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5 No.1

        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aims to develop the citizen ident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velop the civic education competencies based on it. The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universities. However, the standard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a proper approach should be sought.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development can be linked with undergraduate-graduate linkage and university-based training programs such as majors and liberal arts courses, dormitory education courses, cooperative 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To strengthen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to design and implement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school citizenship, local citizenship,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be aware of the citizenship identity, to implement the transformational practice in the community life, and to learn democratic decision and responsibility, there should be a system for co-designing citizenship education course by professors and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한국에서의 실천적 시민교육 재구성을 위한 영국 시민교육과 자원봉사활동 고찰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에서 지식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민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천적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영국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한국의 시민교육이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기 위해서는 시민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방법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고 서구의 여러 국가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시민교육교과를 교육과정안에 정식교과로 도입하고 시민단체와 함께 자원봉사라는 방법으로 실천적 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영국의 시민교육 사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국 시민교육 내용과 방법의 분석을 통한 향후 한국에서의 실현가능한 시민교육을 내용 제시하고 둘째, 시민교육 방법으로서의 영국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분석하여, 셋째,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어떤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하는 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문헌연구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및 제언으로는 첫째, 실천적 시민성 함양을 위하여 도덕과나 사회과 교과의 내용 보완, 자원봉사와의 연결이 있었으며, 또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과 지원, 시민단체의 교육적 역할의 인식과 역량강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itizenship education and youth volunteering in England in order to get over the challenges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starts with the notion that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in Korean context. The reason why this study chose the English case was, citizenship education has a very new method for practic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 first, analyze citizenship education and methods (volunteering) in England and then suggest for Korean model, second look for the new methods for the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third, what to do in Korea for the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Document analysis was used for research methods.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rist, citizenship education(such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should be reorganized for active citizenship implementation. Second, volunteering can be effective methods for the delivery of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ere should be the national policy for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with empowerment.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기독교사 인식

        이은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교육의 기독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떤 교사 교육의 요구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155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세계시민교육 실행 경험과 교사 교육 참여 의지, 교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기독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이 기독교 대안학교에 필요하며 세계시민교육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을 키우는 데 효과가 있고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면에서는 기독교인의 정체성, 가치와 성품,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것의 중요도를 높게 제시했다. 기독교사가 기대하는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은 기독교세계시민의 정체성 및 가치관 확립에서 시작하여 지역과 사회,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인식하고 실천과 참여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제시된 교사 연수의 내용과 방법, 학교 리더의 세계시민교육에의 관심과 참여를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educators in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emands for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from 155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 data encompas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ir experiences in implementing 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and the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reveal that Christian educato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y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consider it helpful. In term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viewing Christian identity, values, character,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desired form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ticipated by Christian educators, starts with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values of Christian global citizens. This foundation extends to perceiving and engaging with local, societal,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leading to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participation. The conclusion addresses the urgent need for teacher training content and methodologies to activat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손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beral music education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crete program, and examin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instructor's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viewpoint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ight types of global citizens that have been recently distinguished by academia are summarized. Eight global citizenships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a cosmopolita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econd is a advocacy global citizenship. The first includes moral global citizenship, political global citizenship, economic global citizenship, and cultural global citizenship, while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and spiritual global citizenshp. Based upon this typolog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sof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cultural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this research developed two liberal courses, <Understanding of World Music> and <Understanding Word through Soundscape>. In <Understanding World Music>, I tried to have an idiomatic sensitivity to the difference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I tried to accept other cultures as dynamic subject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stagnant others to cultivate cultural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Understanding of Word through Soundscape>, I tried to expand the scope of music and derive environmental awareness by bringing the sounds of the environment into the theme, believing that social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through critical studing of soundscap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estimate that liberal music education can play its role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was mo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develop liberal music education into a behavior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urther research on more sophisticated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s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시하였으며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교수자의 세계시민에 대한 개념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입장을 점검하기 위해서 최근 학계에서 구분하는 여덟 가지 유형의 세계시민을 정리하였다. 여덟 가지 세계시민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이며 두 번째는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이다.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에 속하는 세계시민은 도덕적 세계시민, 정치적 세계시민, 경제적 세계시민, 문화적 세계시민이 있으며,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에는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 그리고 영적 세계시민이 있다. 이를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은 온건한 세계시민교육과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열 세 항목에 따라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문화적 세계시민,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그리고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에 주목하였으며 교과목 <월드뮤직의 이해>와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를 개발 및 실시하여 성찰하였다. <월드뮤직의 이해>에서는 다양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다름에 대한 관용적인 감성을 갖추고자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타문화를 정체된 타자로 인식하지 않고 역동적인 주체로 받아들이려 하였다. 문화적 세계시민과 비판적 세계시민을 함양하기 위해서이다.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에서는 환경의 소리를 주제로 가져오면서 청각의 확장을 도모하였으며 환경적 인식을 도출하려 하였다. 이는 사회적 세계시민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을 배양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이다. 연구의 결과로 교양 음악교육이 세계시민교육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교과목 설계 및 시행을 통하여 가늠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영역은 물론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예술교육의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교양 음악교육이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 교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A Study on World Peace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Jin Young Kim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3 다문화와 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alternat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Human history is a series of conflicts and wars, and these conflicts are the biggest enemies of human happiness. However, education plays a key role in changing people's perceptions of conflict or prejudices. This study compares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citizenship education traditionally emphasized citizenship in a country and reduces conflict with others only within the territor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 weakness to distinguish the majority from the minority and to unintentionally make prejudice and conflic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r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ves just from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emphasizes universal values or virtues in the global society such as human rights, peace, equality, and tolerance and contributes to solving global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discusses on the progress from citizenship educa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ally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박환보,조혜승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created an analytic framework by reviewing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research themes. We analyzed 255 studies conducted between 1995 and 2016 February (articles: 197, dissertation and thesis: 58), according to the following six criteria: study periods, themes, topics, educational stages, methods, and journal typ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before 2000 research focused on conceptual or theoretical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response to Korea’s change in globalization. The total amount of research increased, however, since 2000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implies the expansion of implementation research despite the lack of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reover, as the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associated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its research themes, targets, and methods became diversified. The analysis of themes showed research on curriculum and pedagogy has been the most actively conducted, and recently the research regarding th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nd its effect is increasing. In terms of educational stages, education in general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 in that order. Document analysis was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method, and journals regarding curriculum inclu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he most.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1) the need of the theoretical research to understand diverse perception and ideology with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in a macro context, 3)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argets, and 4) cultivating experts and researcher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연구영역을 검토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 연구영역,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 학술지 성격에 따라 1995년부터 2016년 2월까지 국내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197편의 학술논문과 58편의 석·박사 학위논문, 총 25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학술 연구는 세계화에 따른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계시민성의 개념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이론적‧개념적 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점차 학교교육과정 내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론적·개념적 연구보다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위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2010년 이후에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연구가 민주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개발교육 등 유사개념과의 관계 속에서 양적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었고,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에서도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주제별 분석결과 세계시민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법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세계시민교육의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대상별로는 교육일반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 중등교육, 초등교육,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마지막으로 유아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학술지의 성격에 따른 분석결과로는 교과교육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세계시민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1) 다양한 주체들의 상이한 인식이나 담론 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연구, 2) 거시적인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의 확대, 4)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 전문가 및 연구자 육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원주의 시대의 세계시민 교육

        노찬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4

        오늘날의 인류는 공존의 필요성 때문에 전세계적인 상호협력을 필요로 하고 여기에서 세계시민적 실천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오늘날의 세계화, 다원주의 시대에 요청되는 세계시민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기존 국제교육, 특히 지구사회 교육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다원성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보편성을 추구하는 세계시민에 대한 교육이 요청된다는 것을 추론해 내었다. 그리고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세계시민 교육은 기존의 자유주의적 관점에의 편향을 벗어나서 근본적 다원주의의 관점을 다분히 수용하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다원주의 사회에서 세계시민은 다원성 속에서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화간의 중첩합의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중첩합의에 의한 보편성은 기존의 자유주의적 보편성처럼 일방적인 우월성을 강요하지도 않고 자발적으로 합의되는 것이며,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문화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변적인 보편성이다. 세계시민이 추구하는 보편성이 이런 가변적이고 최소한의 보편성이기 때문에 교육에서도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다원성을 존중하고 보편성을 합의해나가는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그러므로 세계시민 교육은 미래사회에 요청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능력함양에 중점이 주어지고 교육의 방법도 토론과 체험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impact of globalization. The radical change aroused by such impact challenges citizenship education as the goal of social studies. And in social and cultural sphere, world society has the characteristic of pluralistic satiety in which many diverse cultures co-exist and sometimes conflict with each other. Therefore, social studies must investigate their reflection in citizenship education. My thesis is to asser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ursue both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and minimum universality by overlapping consensus. In relation to solving identity problem, there are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liberalism and radical pluralism. Liberalism believes that there is liberal universality and that this composes global citizenship and has priority over national citizenship. Meanwhile, radical pluralism recognizes diverse cultural identities. Radical pluralism believes that global citizenship is only required for mutual toleration and co-existence. In this paper, I explore the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luralistic society. And I asser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cept the perspective of radical pluralism. B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ust also pursue universality by overlapping consensus. In exploring the model of education, I critically exam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UNESCO model and glob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When we consider emphasis on cognitive aspect in past international education and desirability of action orientation in international affairs, we must emphasize the objective of skill and value-attitud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is consideration, I develop the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practical suggestion in school.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사회과 교육적 함의

        김영현(Kim Yo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성의 관점으로 기존 디지털 시민성 및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특성을 검토하고 그것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 각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오늘날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접근하는 다양한 양상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확인하였다. 이후 시민성과 시민성 교육의 역사로부터 앞서 파악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사회과 교육의 관점에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세계 각국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논의가 ‘디지털’에 방점을 두고 ‘시민성’의 관점이 배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민성’의 관점이 포함된 디지털 시민성을 확인하고자 시민성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시민성의 가장 큰 특징이 참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육에서 참여에 기반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함의와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결론 사회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은 학생들이 현실과 디지털 세계의 삶을 참여를 매개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공간과 함께 지금까지 교육에서는 온전히 다루지 못했던 미래역량 함양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meaning and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itizenship can hav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present them as specific ideas. Methods By analyzing case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r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s actively conducted, various aspects of today s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pproach were identified, and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confirmed. Afterwards, we explored way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dentified through the history of citizenship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focused on ‘digital’ and that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was exclud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citizenship to confirm digital citizenship including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digital citizenship is participation. Based on this, various ways to practic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proposed. Conclusions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participation practiced through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be able to establish a new learning space and a foundation for future competency development by linking students lives in the re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through participation.

      • KCI등재

        청소년 시민교육의 전달체계 수립과 발전방안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청소년 시민교육의 전달체계를 수립하고 시민교육이 발전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새로운 시각에서의 시민교육의 목적을 분석하고 둘째, 유럽 각국과 국제시민성비교연구에 참가한 38개국의 시민교육 전달 및 지원체계를 비교를 통한 효과적인 시민교육 전달체계를 모색하며,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시민교육의 나아가야할 방향과 쟁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방법 중 문헌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청소년 시민교육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시민교육이 발전되기 위해서는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외에 둘째, 시민교육의 공교육안에서의 실시, 셋째, 시민역량 측정 도구의 개발 필요, 넷째, 시민교육을 위한 관련기관의 연대, 마지막으로 시민교육 전문가 양성이 시민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has begun to inspire the importance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aims of the research are to validate the purpose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young people. The second aim is to analyse the provi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which had participated in 2009 ICCS stud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supporting systems for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2009 ICCS study, and to seek the ways of efficient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context. The third aim is how to develop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meet the research aims, this research proposed firstly, establishment of nation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for young people and the provi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ducation system, secondly the need of development for citizenship indicator to strengthen the citizenship education, thirdly, network building between schools and youth centres, and finally, the preparation of citizenship experts in order to deliver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

        구경남(Ku Kyeong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세계시민교육 교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학습 주제 및 내용을 담고 있는『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 수학습 길라잡이』와 경기도교육청 인정교과서인『세계시민』을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에 비추어 역사 교육의 목적을 재개념화하는 것이다. 자국사 중심의 역사과 교과편제와 교육내용이 미래지향의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을 담아 낼 수 있도록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역사 교수학습 방법이 재고되어야 한다. 역사수업에서 논쟁을 통해 다원적 관점을 학습하는 것은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에 대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 세계화로 인해 나타난 여러 문제의 현상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의 원인을 역사적 맥락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행동으로 참여하는 세계시민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ritical review on previous studi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extboo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 analy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and Global Citizenship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which contains the goals and subj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re-conceptualize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to meet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history curriculum and contents of education, centered on the history of the nation, so that it is able to serve the purpose of future - ori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method of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reconsidered. Learning from pluralistic perspectives through controversy in history class will contribute to cultivating attitude of respecting the pluralistic value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oriente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It is not just to list the phenomena of various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but to explore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raise the global citizenship who participate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