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인의 완전”

        이찬석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John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try to articulate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only.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his 'Christian perfection' is related to his notion of 'simplicity of intention' and 'justification'. In other words, I will try to reveal the aspect of discontinuous continuity among simplicity of intention, jus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Therefore, I will insists that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should be applied in oder to understand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In Christian tradition, the grammar of both/and should be applied. Christianity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s Cross and resurrection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In early Christianity, the controversy about Jesus's nature was a serious thing. But Christianity concluded that Jesus is God and human being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It signifies that the grammar of both/and is a tool to understand the important aspect of Christian tradition. John Wesley experienced the first conversion in 1725 whose main point wa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But it was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his early life but also his later life. Furthermore, it works as a important concept in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1738, his experienced justification through Martin Luther's commentary on Roman. Justification also became one of important concepts in hi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as a metaphor of the branch of grapevine. In other words, Justication is a premise for Christian perfection. Regrading Christian perfection, John Wesley explains as a perfect love through the simplicity of intention and Christ's mind.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존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완전만을 고찰하지 않고, 그의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관성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속적인 측면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바르게 이해되어지기 위해서는 either/or의 문법이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의 전통도 either/or가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한다. 십자가냐? 부활이냐?라는 물음 앞에 십자가이면서 부활이고,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가? 인간인가?라는 물음 앞에 신이면서 인간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both/and의 논리가 기독교의 전통의 중요한 측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도구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생애의 초기라고 할 수 있는 1725년에 첫 번째 회심을 하게 되고, 이 체험을 통하여 의도의 단순성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자신의 사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 개념은 그의 생애의 초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는다. 1738년에 올더스케잇에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칭의사상을 체험한다. 그러나 이 개념도 역시 포도나무의 가지라는 메타포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전제로 작용한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정리하면서 하나님을 향한 의지의 단순함과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것으로 설명한다. 결국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은 그리스도인의 완전과 불연속적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칭의사상과 분리하여 이해한다면 인간의 공로와 도덕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혀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웨슬리의 신학을 칭의냐? 완전이냐? 라고 either/or의 논리를 적용한다면 그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도덕주의로 읽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설명하면서 의도의 단순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고, 그리스도의 은총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음으로 both/and의 논리로 읽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도의 단순성’ ‘그리스도의 마음/포도나무 가지의 완전’ ‘완전한 사랑’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 KCI등재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

        이찬석 ( Chan Seok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존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완전만을 고찰하지 않고, 그의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관성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속적인 측면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바르게 이 해 되 어 지 기 위 해 서는 either/or의 문법 이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의 전통도 either/or가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한다. 십자가냐? 부활이냐?라는 물음 앞에 십자가이면서 부활이고,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가? 인간인가?라는 물음 앞에 신이면서 인간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both/and의 논리가 기독교의 전통의 중요한 측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도구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생애의 초기라고 할 수 있는 1725년에 첫 번째 회심을 하게 되고, 이 체험을 통하여 의도의 단순성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자신의 사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 개념은 그의 생애의 초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는다. 1738년에 올더스케잇에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칭의사상을 체험한다. 그러나 이 개념도 역시 포도나무의 가지라는 메타포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전제로 작용한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정리하면서 하나님을 향한 의지의 단순함과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것으로 설명한다. 결국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은 그리스도인의 완전과 불연속적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칭의사상과 분리하여 이해한다면 인간의 공로와 도덕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혀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웨슬리의 신학을 칭의냐? 완전이냐? 라고 either/or의 논리를 적용한다면 그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도덕주의로 읽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설명하면서 의도의 단순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고, 그리스도의 은총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음으로 both/and의 논리로 읽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도의 단순성`` ``그리스도의 마음/포도나무 가지의 완전`` ``완전한 사랑``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John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try to articulate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only.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his ``Christian perfection`` is related to his notion of ``simplicity of intention`` and ``justification``. In other words, I will try to reveal the aspect of discontinuous continuity among simplicity of intention, jus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Therefore, I will insists that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should be applied in oder to understand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In Christian tradition, the grammar of both/and should be applied. Christianity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s Cross and resurrection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In early Christianity, the controversy about Jesus`s nature was a serious thing. But Christianity concluded that Jesus is God and human being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It signifies that the grammar of both/and is a tool to understand the important aspect of Christian tradition. John Wesley experienced the first conversion in 1725 whose main point wa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But it was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his early life but also his later life. Furthermore, it works as a important concept in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1738, his experienced justification through Martin Luther`s commentary on Roman. Justification also became one of important concepts in hi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as a metaphor of the branch of grapevine. In other words, Justication is a premise for Christian perfection. Regrading Christian perfection, John Wesley explains as a perfect love through the simplicity of intention and Christ`s mind. If one understands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without Justification, he (she) will conclude that John Wesley is a moralist. However, Wesley begins with explaining the simplicity of intention in his book, <Christian perfection>. Furthermore, he clearly emphasizes that the grace of Jesus Christ is continuously required after perfection. Therefore,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Wesley`s Christian perfection in the following subtitle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Christ`s Mind: the Branch of Grapevine, Perfect Love.

      • KCI등재

        웨슬리안 구원론― 기독자의 완전 교리의 함의

        김민석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5 No.-

        The contemporary Wesleyan tradition has abstained from dealing with the discourse on Christian perfection due to not only misunderstandings caused by the term ‘perfection’ itself and the complicated theological nuance in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t, however, is certain that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was one of the main themes in Wesley’s theological trajectory. Thus William J. Abraham asserts that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should be explored for contemporary Wesleyans for the purpose of precipitating ascetic or systematic theology. I call y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Wesley delineated his views on Christian perfection in a close connection with the idea of holiness, explained in the Sermon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Wesley described the idea of holiness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cure from corruption and sin as disease, and imitation of Christ’s virtu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Wesleyan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term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categories. Then, I will clarify what implications in the Wesleyan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re illuminating for contemporary Wesleyans who live in the matrix of modern materialism and extreme individualism. 현대에 들어와서 웨슬리안 전통들에서도 기독자의 완전교리를 다루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발생했다. 그것은 아마도 ‘완전’이라는 용어에서 기인한 오해들과 기독자의 완전 교리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신학적 뉘앙스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기독자의 완전교리는 웨슬리의 일생의 신학적 작업 중에 변함없이 강조했던 신학 주제였다. 또한 윌리엄 에브라함과 같은 학자는 현대 웨슬리안들을 위해 기독자의 완전교리를 재해석해서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작업을 위해 조직신학 혹은 수덕신학의 관점들의 도움을 받을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이 하나가 있다. 웨슬리가 주장한 기독자 완전교리는 “마음의 할례” 설교에서 설명한 ‘성결’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는 ‘성결’ 개념을 하나님 형상의 혁신, ‘병’으로서의 죄와 타락성의 치유, 그리스도의 덕을 닮음이라는 세 요점으로 묘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웨슬리안 관점의 기독자의 완전 교리를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범주에서 살펴보고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근대 물질주의와 극단적 개인주의가 지배하는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 웨슬리안들을 위해 기독자의 완전교리가 가지고 있는 함의들이 무엇이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의 『기독자의 완전에 대한 해설』에 나타난 완전성화의 성서적 기초에 관한 소고

        문병구 ( Moon Byeung Go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2 No.-

        본 논문은 웨슬리(J. Wesley)가 40여 년 동안 설교하고 가르치고 논쟁하며 주장한 기독자의 완전에 관한 사상을 요약한 그의 저서 『기독자의 완전에 대한 해설』(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에 담긴 그의 ‘완전성화’ 사상을 다루고 있다. 웨슬리는 기독자의 완전성화는 자신의 주장이 아니라 주님과 사도들의 교리라고 언급하면서 성서를 인용하여 그 논거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웨슬리의 성화론의 핵심사상인 기독자의 완전성화를 증언하는 성서의 내용을 조사하여 그 성서적 기초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 책의 사람(homounius libri) 존 웨슬리가 제시한 기독자의 완전을 명령하는 성서의 두 구절(주님의 명령으로 되어 있음)에 집중하여 그 주석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의 성화론의 심오한 의미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 가르침이 오늘의 성결한 기독자에게 주는 도전을 정리하였다. 웨슬리의 완전성화의 본질은 온전한 인간존재와 그 보편적 능력으로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되 원수까지 사랑하라는 사랑의 수행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 가르침은 오늘 성결한 기독자에게 그리스도를 모범삼아 이 사랑의 이중명령을 개인적 공동체적 더 나아가 땅 끝까지 수행하도록 도전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his ‘complete sanctification’ thought in his “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which summarizes Wesley’s preaching about the perfection of the Christian who taught, argued for forty years. He cites the Bible as a reference to the complete sanctification of the Christian, not his claim, but the doctrine of the Lord and the apostle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Biblical texts that testify to Wesley 's central idea of the perfect sanctification of the Christian that based on its biblical foundations. In order to this, this paper focuses on two verses (the order of the Lord) of the Bible, which commands the perfection of the Christian as presented by John Wesley, the man of one book (homo unius libri) and investigate the profound meaning of sanctification. It also challenges to today's holy Christian. The essence of Wesley’s perfect sanctific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fulfillment of the love of God and neighbors, and loving to the enemy, with a perfect human existence and one’s universal power. This teaching is challenging today's holy Christian to follow Christ as a model of this double command of love, even both to the personal community, and to the end of the earth.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종말론과 성화(Sanctification)

        이성덕 한국교회사학회 201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2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It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eschatology is at the heart of Wesley’s doctrine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lthough he did not systematically develop his eschatology, John Wesley dealt with the eschatological themes such as death, resurrection, final judgement, and the kingdom of heaven and hell. His eschatological thought was much influenced through German pietist Johann Abrecht Bengel’s works, “Gnomon Novi Testamenti” and “Erklärte Offenbarung.” However, John Wesley declared that he had no opinion about Bengel’s chronological speculations on the Christ’s millennial kingdom, which would begin in 1836. In fact, John Wesley showed so little sympathy and had so little patience with eschatological fervor, which was generated among his Methodists. He tended to identify it with enthusiasm. The reason was that these eschatological enthusiasts stimulated opposition to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Wesley’s concern for protecting and promulgating this doctrine of perfection may provide a key for understanding his reservations about eschatological fervor. John Wesley insists that it is possible in this life to be brought to entire sanc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equivalent to a perfection of love for God and neighbor. This doctrine is distinctive from notions of sanctification in other Christian traditions in that it expects the finite equivalent of eschatological fulfillment (i.e.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s something which can happen in history rather than beyond it. By differing with those who taught that Christian perfection occurs only after death, at the point of death and by holding out for the possibilities of divine grace to perfect us in love in this life, John Wesley was making room for an eschatological hope that could become more than a hope, but rather a gracious reality in the here and now. Moreover, John Wesley, as a sacramentalist, ha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of the Lord’ Supper, which is able to sustain the believers in growth and grace and to lead them through a lifetime of the pursuit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Hymns on the Lord’s Supper” published under the names of both John and Charles Wesley show Wesley’s ‘already’ and ‘not yet’ eschatological thinking.

      • Holy Trinity Holy People: The Theology of Christian Perfecting Eugene, OR: Cascade, 2013.

        T. A. Noble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2019 World Christianity and the Fourfold Gosepl Vol.5 No.1

        Any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is quickly dismissed by most Protestants. The Wesleys are held in great regard, but heads shake over their teaching on what is often referred to as ‘sinless perfection’. That is not helped by the way in which the nineteenth-century holiness movement was shaped by its revivalist subculture to reduce everything to ‘the second blessing’. What could seem more irrelevant to today’s generation, struggling to come to terms with the challenges of world poverty, child abuse, high school shootings, the revived nuclear threat and global warming, than pietists debating how many ‘blessings’ there are in their ordo salutis? This book was written to do two things. The first is to present and clarify exactly what John Wesley taught about what is better called ‘Christian perfecting’. The second is to show that this is not an odd sectarian hobby horse but is firmly based in the central Christian doctrines of Incarnation, Atonement, and Trinity. As a preliminary, the first chapter looks at theological method, and particularly the roles of scripture, tradition, and what is called ‘rational spiritual experience’ in the hermeneutical task of shaping doctrine. Scripture is the one and only source of Christian doctrine, but it has to be interpreted by us today, standing faithfully in the traditional formulations handed on down through generations of preachers and teachers. To do so we have to exercise our reason - not merely rational powers which are part of our fallen condition (thinking kata sarka), but in obedience to God’s self-revelation in Christ (thinking kata pneuma).2 Christian Theology is Trinitarian in shape, centred in the confession that ‘Jesus Christ is Lord.’ Our understanding of our own sanctification therefore has to be articulated within that Trinitarian framework, something which to my knowledge has never been seriously attempted in a systematic way within the Wesleyan tradition. The book is claiming that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holiness as ‘perfect love’ is in no way an eccentric pietistic hobby horse but is based profoundly in the central convictions of the Christian faith? Atonement, Incarnation, and Trinity. Here is a doctrine of sacrificial yet triumphant love which not only accentuates the Church as the community of divine compassion, but which casts the vision for a generation passionately concerned to be part of God’s loving mission to the world.

      • KCI등재

        완벽주의가 인지, 정서, 행동, 신앙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상담 방안

        노철우 ( Chul Woo Roh ),전요섭 ( Jo Seph Je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8 No.-

        이 연구는 완벽주의가 인지, 정서, 행동, 그리고 신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연구하고,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을 시도하였다. 연구자는 완벽주의 문제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완벽주의 개념 및 발생원인, 완벽주의의 폐해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완벽주의는 인지, 정서, 행동, 신앙적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독교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네 가지 기독교상담 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상담자는 완벽주의 탐색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완벽주의가 인지, 정서, 행동, 신앙적 측면에서 부정적 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을 자각하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먼저 감정을 수용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내담자의 완벽주의 사고를 실제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인지왜곡 다루기를 통해 완벽주의의 가장 핵심적 인지왜곡인 이분법적 사고, 과잉일반화 사고, 그리고 당위적사고에 대한 적절한 치료적 방안을 제시했다. 셋째, 상담자는 인지적 재구성을 통해 내담자의 조절된 사고를 더욱 합리적, 성경적 사고로 강화시키는 작업을 한다. 넷째,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결단을 촉구한다. 믿음은 내담자가 불안한 감정으로부터 자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서 발전시켜 왔던 회피들을 멈출 수 있는 힘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가 믿음으로 활기차고 부지런하며 행동하는 결단을 가져오도록 도와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negativ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Christian belief and attempts to solve those problems on the basis of Christianity. The concept and specific features, causative factors of perfectionism, types of perfectionism and the harmful effects of perfectionism were broadly examined in order to obtain a multi-side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caused by perfectionism. The result of research revealed that various problems of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Christian belief were being caused by perfectionism. In this study, we discuss four aspects of the Christian counseling method, which are center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irst, a counselor should help the client realize that perfectionism induces negative reactions in the aspects of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Christian belief. To achieve this goal, a counselor should promote the acceptance of feelings and development of rapport. Second, a counselor should intervene in order to help the client control his or her thought patterns based on perfectionism. A counselor should also intervene with proper treatment of symptoms of perfectionism, such as dichotomous thinking, which is regarded as the core cognitive distortion found in perfectionists, as well as overgeneralized thinking and masturbating. Third, a counselor should focus on tasks aimed at changing the client`s rigid and perfectionist ways of thinking into rational and biblical ways of thinking through cognitive reframing. Finally, a counselor should encourage the client to make a commitment firmly and thoroughly to his or her belief.

      • KCI등재

        요한일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의 온전함의 의미

        박영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2

        This article will clarify what the repeated statement in the first epistle of John, “The love of God is perfected in us”(1 John 2:5; 4:12,17), means. First, the love of God is the subjective Genitive, not the objective Genitive, and means the love given by God(4:12). Second, because the love of God through Jesus Christ can never be incomplete, the perfection can not be understood as the improvement from incompleteness to completement, but as the bringing to its goal/accomplishment. Therefore this statement points to the goal of the salvation of God through Jesus Christ. Generally, the scholars believe that it is the goal of God’s love to love one another. And some scholars think that the goal of God’s love is having confidence in the day of Judgment. In this article I will propose that the meaning of perfection of God’s love at 2:5; 4:12; 4:17 is the mutual dwelling between God and christians. It is written at 2:5 that the perfection of God’ love is the result of the keeping the word of God, but this statement is not to be understood literally, because the author often reverse the causal relation to emphasize the theme, and a good example is to be found at 1:7(cf. 2:3). So the love for others is not the way to the perfection of God’s love, but its result, which comes from our dwelling in God. At 4:12, the goal of God’s love is more apparent, because the perfection of God’s love follows the mutual dwelling between God and christians, and therefore this dwelling is the goal of the love of God for us. Finally, 4:17 shows that the mutual dwelling between God and christians at 4:16 is the way to the perfection of God’s love, and for this reason it is the goal of God’s love. These consideration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goal of God’s love in the first epistle of John is the mutual dwelling between God and christians. 본 논문은 요한일서에 반복하여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 다.”라는 진술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먼저 여기에 언급된 하나님의 사랑은 주격적 속격으로서 하나님께서 베푸신 사랑을 말한다(4:12). 그리고 “온전히 이루어졌다.”는 표현은 하나님께서 베푸신 사랑이 그 목적을 이루었 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하나님의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으로 나타났기에(4:9-10)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다.”는 진술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이루고자하신 목적이 달성되었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진술을 통해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해 이루고자 하신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이에 대한 학자들의 입장은 형제 사랑이 하나님께서 베푸신 사랑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고 본다. 다만 4:17에서는 심판 날의 담대함을 갖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필자는 이 표현이 등장한 2:5; 4:12; 4:17 모두에서 이 진술이 말하고자하는 하나님의 사랑의 목적은 하나님과 상호내주임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2:5에서는 비록 형제를 사랑하는 자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 문장은 문자적으로 이해해 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요한일서 기자는 종종 형제 사랑을 강조하기위해서 선후 관계를 뒤바꿔서 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좋은 예가 1:7이다. 거기서 그는빛 가운데 행하면 하나님과 사귐이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죄를 씻어준다고 말했다. 하지만 형제 사랑은 하나님과 사귐의 결과이지, 전제조건일 수 없다. 이점은 2:3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표현은 형제 사랑을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지는 조건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이어 지는 문장을 하나님 안에 거함으로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있기에 하나님 안에 거하는 것이 하나님의 사랑의 목적임을 알 수 있다. 4:12에서는 더욱 분명하게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시고 그래서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주고 무엇보다 이어지는 4:13에서 다시 한 번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진 것이 하나님과 상호내주의 증거이자 결과로 서술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하나님과 상호내주가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지는 목적 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4:17에서는 앞의 16절에서 언급된 하나님과 상호내주가 이루어짐으로서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졌다고 진술하고 있고, 그런 점에서 하나님과 상호내주가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이루어지는 목적임을 보여준다. 이런 점을 볼 때에 요한일서에서 하나님의 사랑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은 하나님과 상호내주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권오훈(O Hoon Kwon)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3 No.-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m, believed that faith working through love (Galatians 5:6) is the essence of true religion and a true Christian. The author thus studies further each component of John Wesley`s faith working through love based on John Wesley`s 53 Standard Sermons. The Standard Sermons, along with his Explanatory Notes upon the New Testament, were set forward by John Wesley for doctrinal standards of Methodists in 1763. In chapter 2, the author deals with grace and faith as the gift of God. Grace makes good works unnecessary. Faith is not something a Christian earns through meritorious work; it is the free gift of God (Eph. 2:8-9). In chapter 3, the author handles good works as outward signs of inward faith and love. Although faith is glorious and honorable, it is still only the handmaid of love. Only love is the sum of perfection in heaven. Good works are an immediate and necessary fruit of faith. Wesley urges Christians to be zealous of works of mercy, as well as works of piety. In chapter 4, the author discusses Christian perfection as holy love/loving-holiness. Full sanctification and complete salvation are God`s gradual or instantaneous great work in the soul. Christian perfection is holiness and love combined. Faith working through love produces obedience and holiness. It is all inward and outward holiness. It leads us into a new creation, all things in us becoming new. The author concludes this article by emphasizing that John Wesley`s holistic concept holy love/loving-holiness can be an antidote for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sharply divided by a holiness-oriented group (works of piety, evangelism) and a love-oriented group (works of mercy,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John Wesley, a true Christian can be truly evangelical and truly social concurrently.

      • KCI등재

        기독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및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은,박승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문제 경향성이 높은 기독 대학생들에게 내면화된 수치심 및 완벽주의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독 대학생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t–검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에서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 각 변수 별로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 중 ‘실수불안’이, 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중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문제 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문제경향성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만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및 상담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acts as an influencing factor i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high tendency of interpersonal problem. 485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were classified into groups having a high and low tendency of interpersonal problem.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s. Second, in case of a low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anxiety of making a mistake’ in internalized sha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and in case of a high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do.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a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to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only high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was affected by both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set an education and counseling strategy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