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점주의로 본 성경중심적 설교에 관한 연구

        황병준,문영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성경중심적 설교’는 모든 설교자들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설교이다. 그럼에도 성경중심적 설교에 대한 정의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계몽주 의 시대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온 전통적 설교가 가진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 제들이 성경중심적 설교를 통해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다면 설교자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성경중심적 설교란 어떤 것일까? 본 연구는 관점주의라는 도 구를 신학적 논증의 도구로 삼아, 규범적인 관점, 상황적인 관점, 실존적인 관점, 등 3 중적 관점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성경중심적 설교의 온전한 모습을 추구하 고자 한다. 그리고 각 관점에 따른 적절한 설교자는 어떤 모습인지 살피고자 한다. 성 경중심적 설교란 첫 번째, 규범적 관점에서 볼 때, 설교의 ‘내용’(what)이 반드시 본문 에 근거해야 한다. 그리고 본문 중심 설교자는 자기 생각이나 의견을 전하고픈 유혹 을 떨치고, 상황 밖에서 오는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말씀을 선포하는 자이다. 두 번째, 상황적 관점에서 본 성경중심적 설교는 청중과 소통하기 위해 귀납적인 ‘방 법’(how)으로 설교한다. 그리고 청중 중심 설교자는 자신이 먼저 말씀에 감동을 받아 설교하며, 청중을 인정하고 존중하므로 청중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한다. 세 번째, 실 존적 관점에서 본 성경중심적 설교자는 모든 성경의 핵심 메시지인 그리스도를 ‘목 적’(why)으로 설교한다. 여기에서 설교자는 말로만이 아니라 삶과 행동으로 말씀이 육신이 되신 그리스도처럼 ‘성육신적인 설교’를 한다. 그러면 이러한 그리스도 중심적 인 설교를 통해 청중들의 삶이 변화되고, 청중들은 자유와 해방을 누리게 된다. 결국 삼중적 관점에서 보는 ‘성경중심적 설교’란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규범적, 상황 적, 실존적 관점을 충족하는 것이며, 이는 각 관점의 부족한 것을 보완하고 채워줌으 로 우리의 설교를 더욱 온전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All preachers pursue ‘Bible-centered preaching’ as the most ideal form of preaching. However, the reality is that Bible-centered preaching has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I expect that a clear definition of Bible-centered preaching will point out and help overco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preaching that have persisted since Enlightenment times. What then, is a Bible-centered preaching to which many preachers can relate? By using the theological tool of perspectivalism,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a holistic form of Bible-centered preaching that does not lean in any one direction but is informed by three perspectives: the normative perspective, situational perspective, and existential perspective. It also examines examples of preachers who have followed each perspective. First, when Bible-centered preaching is looked at from the normative perspective, the contents or ‘what’ of the sermon must be based on the text. The text-centered preacher resists the temptation to communicate their own thoughts and opinions and instead is caught up in and proclaims the word of God that comes from outside their circumstances. Second, when seen from a situational perspective, the ‘how’ of Bible-centered preaching is in the use of the inductive metho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listener. The listener-focused preacher is first moved by the word themselves, and then makes the effort to communicate with the listener by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them. Third, when seen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the Bible-centered preacher speaks with the purpose or ‘why’ of Christ, who is the core message of all the Bible. Here the preacher does not just speak with words, but with life and actions in an ‘incarnational preaching,’ like Christ who was Word become flesh. Then, through such Christ-centered sermons, the lives of listeners will be transformed and they will enjoy freedom and liberty. Ultimately ‘Bible-centered preaching’ seen from this threefold perspective prevents the preaching from leaning in only one direction. As the normative, situational and existential perspectives are fulfilled, each perspective supplements what is lacking in the others and makes for more holistic preaching.

      • KCI등재

        그리스도 중심적(Christ-Centered Preaching) 설교에 대한 재고(再考): 성경본문의 ‘의미수반발화 행위’와 그 연속성을 중심으로

        김덕현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3 성경과신학 Vol.108 No.-

        논문은 성경 본문의 ‘의미수반발화 행위’와 그 연속성의 개념을 가지고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에 대한 새로운 설교적 비전을 탐구하는 것이다. 성경 본문에 있는 ‘의미수반발화 행위력’과 연속성은 그리스도 목적적 설교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설교 가능 요소로써 ‘의미수반발화 행위’ 인식은 설교자로 하여금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돕는 해석학적 전유와 관련해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이때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시연의 필수조건은 설교자와 그리스도가 행한 ‘의미수반발화 행위’와의 조우이다.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a potential homiletics vision for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in light of the biblical illocutionary action. On this regard, the illocutionary action and its continuous force in biblical text is the enabler of the Christ’s teleogical preaching in the preached text. These preachable matter have facilitated to form these another views in the hermeneutical appropriation in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It will demonstrate how this approaching service to sermon context and its performence. There is nothing for the preaching to become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until the preacher encounters the Christ’s illocutionary action in the Scripture.

      •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실제 : 여호수아 2장을 중심으로

        배혁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주창자들인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Timothy Keller는 본문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그리스도와 연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방법론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방법론들이 언약이라는 성경의 뼈대 위에 자리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원 복음부터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께서 궁극적 성취를 이루신다. 그러 므로 언약을 제쳐놓고 구약 본문과 그리스도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구약 본문을 성급하게 그리스 도와 연결한다는 점, 구약 본문의 풍성한 의미를 놓친다는 점, 적용이 약하고 천편일률적이라는 점 등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다섯 가지 요소를 대안으로 제시 한다. 첫째, 청중의 상황을 설교해야 한다. 둘째, 구약 본문의 의미를 충분히 설교해야 한다. 셋 째, 언약과 그리스도를 설교해야 한다. 넷째, 인물을 넘어 그리스도를 모범으로 설교해야 한다. 다섯째,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설교해야 한다. 그리스도의 이름만 언급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드러나지 않으면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스도로 가득 차 있는 설교자들의 마음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 흘러넘치기를 기대한다.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and Timothy Keller, advocates of 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ed various methodologies to indirectly connect the content of the text to Christ. However, the basis for the methodology is not clea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ate that existing Christ-centered preaching methodologies are based on the biblical framework of the covenant. From the original Gospel to the Noahic Covenant,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the David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Christ achieves the ultimate fulfillment. Therefore, attempting to connect the Old Testament text with Christ, leaving the covenant aside, is missing an important part. Additionally, existing Christ-centered sermons are receiving various criticisms. The points are that the Old Testament text is hastily connected to Christ, the rich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is missed, and the application is weak and uniform.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covenant-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s five elements as alternatives. First, you must preach to the audience's situation. Second, the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must be sufficiently preached. Third, we must preach the covenant and Christ. Fourth, we must preach Christ as an example beyond the person. Fifth, we must preach God’s grace and love. A sermon cannot be said to be Christ-centered if it only mentions the name of Christ and does not reveal the grace of God. I expect that God's grace and love will overflow from the hearts of preachers who are filled with Christ.

      • KCI등재

        현대 설교의 위기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재발견

        김대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2 No.-

        오늘날 한국교회가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다는 진단은 교회 안팎의 다양한 영역에서 들려온다. 설교가 기독교 신앙과 교회의 생명력에 핵 심 역할을 하기에, 교회의 위기 현상의 근본 원인으로 설교가 지목되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특히 디지털 매체와 과학 기술이 주도하는 4 차 산업혁명이 목회환경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던 가운데, 코로나19 로 인한 비대면 예배와 온라인 영상 설교의 대중화는 현대 설교의 위기 를 더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에 대해 다양한 대처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주로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설교 행위와 방법에 관한 대안들이 주를 이루는 것과는 달리, 복음으로 오늘날 청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설교 내용의 갱신에 관한 대안 제시는 드물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그리스도와 복음을 전하는 설교 내용의 갱 신 방향에 주안점은 둔다. 특별히 이 논문은 설교에서 그리스도와 복음 을 강조했던 20세기 중후반의 구속사적 혹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에 관한 이론들의 내용과 한계를 확인한다. 또한 21세기 접어들면서 목회 자들에게 많이 주목받고 있는 Timothy Keller의 그리스도 중심적 복음 설교와 최근 Abraham Kuruvilla의 그리스도 형상적 설교에 관한 이론 들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그동안 그리스도 중심 적 설교에 관한 이론들의 발전이 가져다주는 설교학적 함의들을 정리 하고, 오늘날 그리스도 중심적 복음 설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이론적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diagnosis that the Korean church is facing serious crises today is heard from various field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Since preaching plays a key role in the Christian faith and the vitality of the church, it is not at all strange that preaching is pointed out a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rises in the church. In particular, whil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digital media and science and technology is causing rapid changes in the pastoral environment, the popularization of non-face-to-face worship and online video sermons due to COVID-19 is accelerating the crisis of contemporary preaching. Various countermeasures have been proposed to deal with this issue, but unlike alternatives to preaching behavior and methods considering the digital environment, there are few alternatives to the renewal of preaching contents that can captivate today’s audience with the gospel.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ions of renewal of sermon message that preach Christ and the Gospel. To this end, the writher first examines the content and limitations of theories on the Redemptive-Historical Preaching and Christ-centered sermons in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writer evaluates Timothy Keller’s Christ-centered gospel sermons, which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from pastors as the 21st century begins and Abraham Kuruvilla’s recent theories about Christ-iconic Preaching. Finally, this study attempts to summarize the homiletical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Christ-centered preaching theories, and to suggest a theoretical way to revitalize Christ-centered gospel preaching today.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 개혁주의 설교의 정착을 위한 8가지 제언”

        유응열 한국개혁신학회 2009 한국개혁신학 Vol.26 No.-

        This writer dealt with 8 suggestions to set forth Reformed preaching after briefly stating some problems regarding the pulpit in the Korean church. Reformed preaching should be based on Reformed theology, which should stand on the foundation to accept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This writer especially tries to explain the issues of preachers and preaching theology in the Korean pulpit. First of all, I made an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preacher’s belief on the Reformed theology as well as preacher’s Christ-like character. As Reformed preaching starts with a belief to uphold the authority of the Bible, preachers should have a firm belief on the Bible as an inspired Word of God. Reformed preachers also should be driven by the Holy Spirit, who is an orig! inal writer and interpreter of the Bible. As for the issue of preaching theology, this writer asserts that biblical preaching theology should be the ground of all Reformed preachers. This writer also highly stresses that both the author-oriented interpretation and Christ-centered preaching should be the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of the biblical texts. Every Reformed sermon should keep a balance between the text and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should draw from the biblical text and move toward both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holistic transformation in life.

      • KCI등재

        구약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방법론 연구

        김진규 ( Kim Jinkyu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2 No.-

        이 소고의 목적은 그리스도 중심의 구약 설교 방법론을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구속사적 성경해석 방법론과 성경신학적 해석 방법론이 근저에 깔려 있고, 지금까지 구약과 신약의 연결을 시도한 다양한 학자들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설교학자들 중에서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시도한 시드니 그라이다누스(Sidney Greidanus)와 브라이언 채플(Bryan Chapell)의 이론도 포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스도 중심의 구약 설교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구약과 신약의 메시지의 연결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약속과 성취의 방식, 모형과 대형의 방식, 구속사 흐름의 방식, 하나님의 섭리의 유사성에 기초한 방식, 주제 연결의 방식, 신약의 구약 인용 방식, 대조적 개념의 방식, 타락과 구속의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삶과 사역에 대한 신약의 완성된 계시의 관점에서 구약성경에 계시된 본문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밝힘으로써 21세기의 독자들에게 메시지를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구약 성경의 정경적 이해뿐만 아니라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위한 방법론상 정당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of the Old Testament. The methods laid behind this study are the methodology of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the biblical-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broadly utiliz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done by the scholars who attempted to bridg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staments and also includes the methods of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of the Old Testament proposed by two homileticians Sidney Greidanus and Bryan Chapell.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thods to bridge the two Testaments for the purpose of the Christ-centered preaching: the method of promise-fulfillment, the method of typology, the method of the redemptive history, the method of analogy in God`s providence, the method of the thematic connections, the method of the New Testament uses of the Old Testament, the method of the thematic contrasts, and the method of the fallen condition and the redemp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king the message of the Old Testament relevant to the readers of the 21st century by illuminating its meaning in light of Christ`s person, life, and ministry. Not only is this research, if acceptable, conducive to the canonical understanding of the Old Testament but also provides the methodological validity for Christ-centered preaching.

      • KCI등재

        그리스도 중심의 복음적 관점에서 본 이규현 목사의 설교 연구

        송지섭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4

        The COVID-19 pandemic is a decisive event that has led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world, the spread of anti-Christian culture, and the fall in credibility. Of course,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way of ministry for the restoration of the credibility lost due to the inexperienced response of the Korean church to the COVID-19 situation. However, the fundamental response to overcome the decline of the Korean church relies on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based on the gospel. This is because the church's quantitative crisis, qualitative crisis, and loss of direction are all related to the mission of the preacher and the identity of the believers based on the Biblical worldview. This study proposes a sermon that conveys the 'Christ-centered gospel' to overcome the decline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 The sermon in which the ‘Christ-centered gospel’ is preached is the one that interprets the text in a Christ-centered way and presents applications that urge a life based on the gospel. All of the Bible has its ultimate flow toward Christ. Christ is the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s in the text. This is related to the gospel, which has a theological relationship with all texts. The gospel is the good news based on the salvation ministry performed by Christ, which causes a Christian life. The preacher of the Korean church selected as a person worthy of analysis for the aim is Kyu-hyun Lee, the pastor in charge of Suyeongro Presbyterian Church. He served as a parish pastor of Suyeongro Church, then moved to Australia, planted Sydney Sae Soon Presbyterian Church, and served as a pastor in charge for 19 years. In 2011, he was appointed as the second pastor in charge of Suyeongro Church, succeeding Pil-do Jeong, who was the first pastor. He is a preacher who emphasizes that the gospel should be the core of the message, believing in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power of the Word itself. In other words, Christ is at the center of his preaching, ministry, an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al with Kyu-hyun Lee’s views of the Bible and preaching, analyze his sermons from a Christ-centered evangelical point of view, and present the core elements for a sermon in which the Christ-centered gospel is preached.

      • KCI등재

        Timothy Keller의 설교를 위한 그리스도 중심적, 삼중적 관점의 해석학 연구

        김대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4 No.-

        미국 뉴욕에 있는 리더머 장로교회를 설립한 Timothy Keller는 오늘날 가 장 영향력 있는 설교자 중의 한 명이다. 특별히 그는 21세기를 위한 C. S. Lewis로 불리며 포스트모던의 청중들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설교 자로 유명하다. 분명 Keller의 설교에는 뛰어난 문화적 상황화의 측면도 있지 만, 그의 설교가 지닌 진정한 탁월성과 독특성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에 대한 그의 확신이 어떻게 포스트모던의 청중들에게 한 편의 설교로 구체화되는지에 놓여 있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의 목적은 Timothy Keller의 설교 모델, 즉 그가 명명 한 그리스도 중심적, 삼중적 관점 (A Christo-centric, Tri-perspectival)의 설 교를 위한 해석학을 연구하며 평가하는데 있다. Keller가 추구하는 설교의 목 적은 모든 설교자들이 매주 청중의 가슴에 복음을 설교하는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Keller는 설교자가 본문을 대 할 때 삼중적 관점, 즉 규범적, 상황적, 실존적 관점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각 관점의 단계를 따라가며 Keller가 추구하는 해석의 목적과 전 과정을 설명한다. 더불어 그가 추구하는 그리스도 중심적 강해와 적 용이 담긴 설교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Keller가 자주 활용하는 해석의 방법들 을 각 관점의 단계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위한 Keller의 삼중적 해석학에 대한 장단점을 평가한다. Timothy J. Keller, the founding pastor of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in New York,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reachers of our day. Especially, Keller has been described as a ‘C. S. Lewis for 21st century’ and is widely recognized as a gifted preacher for preaching the gospel to post-modern audiences. Although his preaching definitely has some distinctive aspects of cultural contextualization, the real excellence and uniqueness of his preaching lies on the fact that how his conviction and vision for Christ-centered preaching is concretely embodied in a sermon for the people under the post-modern cult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valuate Keller’s preaching model, which he calls “A Christo-centeric, Triperspectival” hermeneutic for preaching. For Keller, a preacher should preach the gospel to the heart of the audience on a weekly basis. In order to accomplish his vision for Christ-centered preaching, Keller proposes that a preacher see a chosen text from the tri-perspectival perspectives (the normative, situational, and experiential perspectives). Accordingly, this paper discusses Keller’s hermeneutical process following each perspectival stage, providing the detailed explanation of hermeneutical methods and skills, which Keller employs for shaping up a christcentered exposition and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Having explained Keller’s tri-perspectival hermeneutic for Christ-centered preaching, this paper also provides sever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Keller’s preaching model.

      • KCI등재

        신천지에 대처하는 설교를 위한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적 해석

        송지섭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3 No.2

        Most of the Korean churches have reacted against Shincheonji(the Korean heresy) by warning its propagation strat- egies or taking the deluded to professional counseling and educa- tion systems. However,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heresy is not how to respond after the problem actually occurred, but how to ‘prevent’ in advance. Now we need to think about how to pro- tect our precious churches from the Shincheonji and the epigonic. No matter what position one is in church or how long he/she has believed in God, many have been deluded by the Shincheonji be- cause many churches have failed to provide those ability to dis- cern and identify themselves as believers. Since the final purpose of many Korean heresies’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 heresy leader who has been dei- fied over Jesus Christ. Shincheonji also distorts Jesus in the same way. Therefore, as a precautionary education, preaching based on the “Christ-centered theological interpretation” is required in church. Preachers need a theological frame in which the “Christ-centered”(Christ-centered exegesis, theology) Bible read- ing and interpretation are possible. This study introduces key steps in ‘Christ-centered’ theological interpretation for preaching to cope with Shincheonji. 한국교계의 신천지에 대한 대부분의 대처는 그들의 포교방식 을 알리거나 교인이 신천지에 미혹되면 전문 상담소를 통하여 회 심 상담 및 교육을 받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단 문제의 근본 적인 해결은 문제 발생 후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있지 않고, 문제 발생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에 있다. 이제는 교회에 신천지와 그 이후의 아류 집단에 미혹되지 않도록 하는 영적 백신이 필요 한 시점이다. 교회의 직분이나 신앙의 연륜에 상관없이 신천지에 미혹되는 이유는 교회에서 분별력과 신자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을 확립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이단들의 자의적인 성경해 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넘어 신격화된 이단 교주 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신천지도 구원자 되시는 예수를 왜곡한다. 따라서 예방교육 의 차원으로 교회에서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적 해석’에 기초한 설교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설교자에게는 ‘그리스도 중심’으로 성경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신학적 프레임(그리스도 중심의 주 해, 신학)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천지에 대처하는 설교를 위한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적 해석의 핵심 단계를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복의 세 가지 구속사적 의미와 이의 현대 설교에의 적용

        김진규 ( Jin Kyu Kim )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4 No.-

        이 소고에서 필자는 창세기 12장 1-9절에 나오는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복 들이 구원역사의 점진적 계시의 발전에 따라 어떤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이를 현대 설교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먼저 부루스 워키와 번 포이트레스의 견해를 소개한 후에, 다음 3단계의 구속사에 따라 본문을 분석하였다. (1) 본문과 본문이 속한 책 속에서의 의미, (2) 구약성경의 맥락 속에서의 의미, (3) 신약을 포함한 정경 전체 속에서의 의미이다. 제1단계에서는 본문에 나오는 네 가지 복을 정의하였다. (a) 큰 민족의 복 (자손의 복), (b) 이름이 창대케 되는 복, (c) 모든 민족의 복의 통로가 되는 복, (d) 땅의 복 등이다. 지면상 다음 두 단계에서는‘자손의 복’에 초점을 맞 추었다. 제2단계에서 애굽 땅에 내려간 야곱의 자손 70명은 400여년이 지난 후에 약 200만이나 되는 대민족으로 성장하게 되어 아브라함 언약은 문자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후일 이스라엘 백성들이 언약에 불순종하게 될 때, 포로생활과 귀환으로 자손의 복은 현저히 줄어든 모습을 보여준다. 제3단계인 신약으로 넘어오면서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 도를 통하여 아브라함 언약이 영적인 의미에서 훨씬 더 차원 높은 성취를 보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이 방인들이 그를 통하여 복을 받으리라고 약속하신 아브라함의 자손(씨)이기에 그를 통하여 하늘의 별과 같은 많은 아브라함의 후손을 얻게 되리라는 아브라함 언약은 성취되었다. 이어서 필자는 아브라함‘자손의 복’의 3가지 구속사적 의미를 현대 설 교에 적용하였다. (1) 창세기의 맥락 속에서, 아브라함 복에 대한 핵심적인 메시지는 그의 믿음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계시하는 것이다. (2) 구약성경 의 맥락 속에서는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자손의 복이 민족적 차원에서 문 자적으로 성취되었기에 약속에 신실하신 하나님을 계시한다. (3) 신약성경 의 맥락 속에서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나신 예수 그리스도(마 1:1)를 통하여 하늘의 별과 같이 자손이 많으리라는 아브라함 자손의 복은 온전히 성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구속사적인 설교와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와 아울러 현대인들에게 적용성이 있는 설교에 도움을 준다고 본다. The author of this article studies the kind of meaning the blessings given to Abraham in Gen 12:1-9 came to have as God`s revelation had progressed in redemptive history and addresses how we can apply the message to the preaching in our times. After the author conveys the views of Bruce Waltke and Vern Poythress, he analyzes the text using three redemptive-historical stages: (1) the meaning of the text in it of itself and its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book in which the text appears, (2) the meaning of the text within the context of the Old Testament, and (3)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whole canon including the New Testament. In the first stage, the author defines the four blessings within the text. Due to space limitations, the remainder of the article will focus on ``the blessing of the offspring.`` In the second stage, the Abrahamic covenant is literally fulfilled through Jacob`s seventy descendants, who had come down to Egypt and had multiplied. After 400 years, thi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a great nation comprised of two million people. In the third stage, the Abrahamic covenant is spiritually fulfilled in a far greater dimension than before through the coming of Jesus Christ, who is a direct descendant of Abraham. Through Jesus Christ, Abraham`s descendants were multiplied as many as the stars in the sky. Then the author applies the three redemptive-historical meanings of Abraham`s blessing of the offspring to our preaching.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n contribute to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Christ-centered preaching, and preaching to the people in our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