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工業의 成長率分析

        黃炳晙 서울大學校商科大學 韓國經濟硏究所 1965 經濟論集 Vol.4 No.3

        Ⅰ.The Growth antral Structure of Korean Economy This thesis aims to analyse the growth ra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however, that we look into the growth rate and structure of national economy of this country before we examine the essential points.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s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1. Trend of Economic Growth Rate The rate and trend of Korean economic growth in the past 16 years (1948-64) were analysed here. As you see In Table 1 Korean economy was doubled in scale during this period, and its average economic growth rate per year showed 5.5%. In details. an average growth rate of secondary industry was increased by 14.9% per year. This growth rate of 14.9%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industries. On the contrary, primary industry showed the lowest average growth rate of 3.3% per year(see Table 1). Actually, during the past 20 years of 1945-64, we had had a series of social and political insecurities including the Korean War which lasted three years, and the two political revolutions.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in this period could not show a favorable upward trend, and its fluctuations were pretty remarkable. 2.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During the same period, the different growth rate by industry has brought about a considerable changed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able 5 we can see that the proportions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als to GNP consisted of 46.3%,8.6% and 45.1%, 8.6% and 45.1% in 1948 but those are changed into 31.4%, 22.4%, and 46.2% in 1964. So to speak, as the result of rapid growth in the secondary industry including mining, manufacturing and electric power, the notable improvemen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realized. This means in brief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n economy. Now, focusing our attentions on manufacturing industry, we can point out in Table 6 that its average growth rate par year during 1953-64 amounted to 10.9%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whole economy. Consequently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to GNP was increased from 8.0% in 1953 to 14.3% in 1964 (see Table 7 and 16), and so five dare to say that Korean economy has been strikingly industrialized during the past 10 years. 3. Direction and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In spite of such an outstanding improvemen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still the proportion of primary industry including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to GNP occupies 31.4%. in 1964 while that of tertiary industry indicates 46.2% in the same year. This means that the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has not yet emerged out of its traditional backwardness and deformity, Under such a present condition it would be unreasonable and more almost impossible to convert at one time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into a developed country's model which shows the order of the weight to GNP to be tertiary industry. secondary industry and then primary industry. Therefore, I would like to say the reasonability should be insisted that for the time being the readjustmen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such an order as the proportion of primary industry to GNP is highest and that of a secondary industry lowest. Ⅱ An Analysis on the Growth Rate and its Trend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This part is the core of this analysis. I carried out an analysis on the growth rate before 1945, and the trend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e period from the liberation of 1945 to 1964, and also for the long period under the Japanese rule before. It is because that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of nowadays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deformity inherited by Japanese imperialistic rule over this country. Hence, the growth rate and its trend of manufacturing industry were figured out and examined as follow: (1) for the period about 20 years before the liberation of 1945, (2) for the period since the liberation, particularly from the truce of Korean War in 1953 to 1964, and (3) for the near a half of a century throughout the above two periods. The analysis on the above three stages is chiefly based on a series of tables as shown in the body of this thesis. And also, at the end of this part. some notes on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n economy, which has been brought about as the result of rapid growth of manufacturing industry, were added. Lastly we observed that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truce of Korean War in 1953 to 1964 was far lower than that of the industry in 1930s when Korea had been ruled by Japan and was as similarly high as in 1920s and that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to GNP which shows the industrialization of national economy almost corresponds to that in 1920s.

      • KCI등재

        한국교회학교의 실천적 전략을 위한 제언

        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연구는 21세기 한국교회 교회학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한국교회 교회학교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21세기 교회학교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한국교회 교인수의 감소와 특별히 교회학교 어린이들의 감소는 한국교회 목회자들과 교단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경종을 울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교회 교회학교의 감소원인과 그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면서 앞으로 21세기 교회학교 부흥과 성장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본 연구는 교회학교의 중요성을 교회학교 역사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로, 현 한국교회 교회학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셋째로 교회학교의 실천적 전략을 교사들의 훈련 및 교육, 교회학교 시설확보와 지역사회를 위한 개방가능성, 그리고 예배구조의 변화와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회학교의 발전과 방향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교회학교 교사의 훈련 및 교육과제를 교사의 소명확인과 구원의 확신을 통해 교사를 깨워야 함을 강조했다. 교사들의 훈련 및 소명확인은 궁극적으로 목회자들의 교사의 훈련과 영성에 관심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사훈련 및 교육제도를 어린이에서부터 전교인에 이르는 각 부분의 통합적 교육 방안이어야 한다. 둘째로, 교육시설의 확보와 지역사회를 위한 교육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교회시설을 위한 교회예산 증대, 주중학교, 교회체육시설 및 제반시설을 지역사회를 위해 공개할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예배구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강조하였다. 어린이 예배구조의 변화는 멀티미디어 기타교육 기자재를 활용하여 예전의 의미를 교육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예배 혹은 드라마 예배를 제시하였다. 예배의 활성화를 돕기 위해 절기예배의 기본정신을 현대 어린이들의 세계관과 접목시켜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절기예배와 함께 어린이들의 영성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어린이 렉시오 디비나 영성개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rticulate the direction of Korean Sunday school for 21st century and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for changing Sunday school paradigm toward the future, pointing out present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Korean Sunday school. In recent years, Korean Christian populations, especially Sunday school children's populations have been reduced and it warns Korean pastors and leaders of each denomination. This study will suggest active practical models for 21st Sunday school revival and growth, recognizing the reason of reducing Sunday school populations and its problems. First, this study will figure out the importance of Sunday school by the history of church and Sunday school. Second, it will analyze problems of present Korean Sunday school. Third, it will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for changing paradigm of future Sunday school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church facility improvement and its open for local community, and worship style change and program change.

      • A Theological Reflection on Cell Group Movement - Wesley’s Heritage of the Small Group -

        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06 신학과 실천 Vol.0 No.11

        본 논문은 웨슬리 신학과 전통 안에서 발전된 셀(cell) 그룹 운동에 관한 신학적, 역사적 고찰에 그 목적이 있다. 웨슬리 시대의 Class Meeting은 초대 감리교도들의 신앙, 경건, 친교, 영성, 그리고 봉사실천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기능이었다. 웨슬리에게서 시작된 소그룹 운동은 한국 감리교회에도 도입되어 속회로 조직되었다. 한국의 상황에서, 속회 운동은 구성원들의 리더십과 영적 성장의 발전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한국 감리교회 역사 속에 교회 성장의 밑거름이라는 공헌을 가져왔다. 그러나 속회의 약점은 개인적인 삶 속에 경험된 신앙고백과 실천을 위한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의 부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회는 특별히 예배와 선교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영성 개발의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미국의 커버넌트 제자화 운동은 기독교의 제자화를 위한 책임감을 강조한다. 이 제자화 운동에서 구성원들은 서로 열려진 자신들의 모습을 발견하며 그들의 삶의 영적인 여정을 서로 나누는 수용성과 친밀성을 강조한다. 또한, 커버넌트 제자화 운동은 균형 잡힌 자비의 행위(Works of Mercy)와 경건의 행위(Works of Piety)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이 소그룹의 목적은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영적인 양식을 위해 일하고, 교회를 향한, 그리고 교회를 위한 책임감을 가지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커버넌트 제자화 운동은 한마디로 경건과 선행의 균형을 갖춘 제자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소그룹 운동이다. 자유주의 신학에 근거한 라틴 아메리카의 기초 공동체는 빈민들의 사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초 공동체는 더 풍요로운 삶을 위해 자원(resource)을 제공하는 (사회적) 공동체와 그것을 보조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소그룹의 기능을 강조한다. 이 기초 공동체 안에서 사람들은 성경연구, 기도, 찬양을 하며, 하나의 의식화된 공동체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찾아가려는 평신도 운동이다. 초대 감리교도들과 같이 오늘날 크리스천들도 그들의 공동체 안에서 동일한 요구들을 경험한다. 비록 그들이 다른 문화와 사회적 상황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Class Meeting은 오늘날 한국교회에 좋은 전통이 되었다. 이러한 웨슬리 신학의 좋은 전통 안에서 여전히 현대 교회 안에 강조되어야 할 것은 경건과 행함의 균형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ssue in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importance of cell group movement, the class meetings. The class meeting in Wesley’s day was a basic foundation for the early Methodists to develop their faith, fellowship, piety, spirituality, and works. In a Korean context, the class meeting has focused on the developing of leadership and spiritual growth amongst the members. The Sock-Whey movement contributed to the Korean church’s growth in its Methodist history. However, the weakness of the Sock-Whey is a lack of participation through individual expression of confession and testimonies. Sock-Whey, however, has been especially strong in building spirituality and in developing leadership for worship and mission. For covenant discipleship groups, the implications are the accountability for Christian discipleship. In the group, the members develop openness to one another, and an intimacy that permit them to share their spiritual pilgrimage unreservedly. The covenant discipleship groups have a heritage of accountability for a balance between works of mercy and works of piety. Class meetings work for our spiritual food in the Holy Spirit and they have accountability to and for the church. In the covenant discipleship group, it is focused on the discipleship, balancing between the works and piety based on the General Rule. In Latin America, the base communities focus on their society (the poor) based upon liberation theology. They also function as community social and assistance centers offering the resources for more abundant life. In these basic communities people practice Bible study, prayer, singing, and they find their voice in the personality of individuals as well as a group consciousness. Like the early Methodists, today’s Christians experience the same needs in their communities, even though they com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contexts. Class meetings give a good heritage to the Methodist church today. In its good heritage, the basics of the general rule that balances between the works and piety are as significant today as they were when Methodism was a young movement.

      • KCI등재

        론 헌터 (Ron Hunter)의 D6 미니스트리를 통해 본 교회의 가정과 연계한 신앙전승교육

        황병준,조천희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본 연구는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북미 론 헌터(Ron Hunter, Jr)를 통하여 제시된 교회의 가정과 연계한 D6 미니스트리 가정 사역을 연구하여 코로나 뉴노멀 시대 위 기의 가정과 다음 세대를 위한 신앙 전승 교육과 사역을 탐구하고자 한다. 코로나 이 전에 교회학교에 자녀의 신앙교육을 전적으로 위탁했던 자녀 신앙교육이 사회적 팬데 믹 상황으로 갑작스럽게 부모가 이어받게 되었다는 것은 부모에게 큰 책임이 따르는 상황이 되었다. 교회가 가정 사역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어떻게 가정 사역을 시작해야 하는지 모르고 분명한 가정 사역의 비전과 모델도 없는 상태에서 사역을 진 행하다 보니 가정 사역을 시도하던 교회들도 중도에 포기하는 상황 가운데 처해있다. 그러나 20년 전부터 다음 세대의 위기 상황을 미리 알고 가정 사역에 대한 사역을 시 작했던 론 헌터는 신명기 6장의 교육 원리에 기초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교회와 가 정이라는 교육의 두 장소에 역점을 두어 세대 간 제자 양육과 세대 통합 사역을 시행 하였다. 론 헌터는 신명기의 영어 첫 글자인 D와 신명기 6장의 6을 합쳐 D6라고 명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사회적, 가정적, 교회 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된 시대에 가정 사역의 필요성에 대하여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론 헌터가 제시한 북미의 D6 교회의 가정 연계 사역을 이해하고 교회의 가정 연계 사역을 실천하고 있는 한국교회를 사례 연구 분석하였으며 뉴노멀 시대 교회의 가정과 연계한 신앙 전승 사역의 방향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뉴노 멀 시대 하나님께서 가정에 말씀하신 신명기 6장의 말씀을 실천하여 성서에 따른 가 정의 신앙 전승 사역에 도움이 되고 위기의 한국교회 가정과 다음 세대를 살리기를 이바지하는 연구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6 ministry, a representative church-linked family ministry institution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the words of Deuteronomy 6,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amily ministry by conducting an in-depth study on the Korean church's faith transmission ministry. It has become a situation where parents have a great responsibility that their children's faith education, which had been entirely entrusted to the church school before Covid-19, was suddenly taken over by their parents due to a social pandemic situation. Churches agree that family ministry is necessary, but as they do not know how to start family ministry and do not have a clear vision and model for family ministry. Churches that have attempted family ministr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give up halfway. However, Ron Hunter, who knew the crisis situation of the next generation in advance and started the family ministry 20 years ago, developed a curriculum based on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Deuteronomy 6, focusing on the two places of education, the church and the home, to raise disciples between generations. and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ministry was implemented. Ron Hunter ordered D6 by combining D, the first English letter of Deuteronomy, with 6 in Deuteronomy 6. This study looked at social, family, and church changes in the Corona New Normal era and looked at biblical, historical, and theological theories about the necessity of family ministry in these changed times. In addition, Ron Hunter's family-linked ministry of the D6 church in North America was understood, a case study was analyzed for the Korean church that practiced the church's family-linked ministry, and the direction of the faith transmission ministry in connection with the family of the church in the New Normal era was investigated. This study intends to practice the words of Deuteronomy 6, which God spoke to families in the New Normal era, to contribute to the family's faith transmission ministry according to the Bible and to save Korean church families and the next generation in crisis.

      • KCI등재후보

        미래교회와 평신도 리더십

        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3

        본 연구는 미래교회와 평신도 리더십 개발의 관계성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개신교회의 감소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현대교회의 쇠퇴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한국교회의 현실과 함께, 어떻게 한국교회의 개혁이 제3의 물결 속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갈수 있을까? 미래교회를 위해 교회와 목회자가 가져야 할 관심 분야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들을 가지고 세가지 측면에서 그 방향성을 모색해 본다. 첫째, 평신도 신학의 새로운 규명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평신도 신학의 재정립으로 시도해 본다. 둘째, 셀(cell)그룹의 역동성을 통한 평신도 운동과 평신도 리더십의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셀 그룹은 신앙공동체 안에서 크리스찬의 정체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평신도 운동이기 때문이다. 셋째, 크리찬의 리더십 개발이다. 현대교회의 새로운 지표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목회자 리더십과 평신도 지도력 개발의 가능성을 리더십의 단계를 통하여 제시한다. 평신도 운동의 새로운 방향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영역이 교회만이 아니라, 전 세계를 포함한다는 차원에서 새로운 자리의 이해가 요청되며, 나아가 이일을 위해서 평신도들은 새로운 훈련과 선교 신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미래교회와 평신도 리더십을 위한 방안으로 셀(cell)운동의 역동성은 많은 긍정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목회자들의 셀 그룹의 역동성에 관한 이해는 평신도 리더십 개발과 신앙공동체의 유기체적 효율성을 가져 올 것이다. 또한 교회 안에서 셀(cell)그룹을 통하여 평신도의 리더십 개발은 사회 속에서 크리스찬의 바른 정체성을 회복하고 사회공동체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future church and laity leadership development. What is the reason that Korean church has been declined? What causes Korean church has dwindled away? How can the Korean church develop a new paradigm for the future church in the reformation process of the third-wave? What would be church and pastor's interests for the future church?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these issues in three ways. First, it is to articulate the theology of the laity.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theology of the laity as a possibility of the new paradigm for the Korean church. Second, it is to study the dynamics of the cell group, considering the laity movement in the church and lay leadership development. The cell group as the movement in the church helps consistently confirm the Christian identity through Bible study, discu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s. Finally, it is leadership development, particularly laity leadership. The leadership development will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church in Korea. It can be realized by developmental programs of pastors and lay people and the understandings of leadership theory, the stages of leadership. The direction of the laity movement is to understand that the areas of Christ's salvation should be included not only the church but the whole world. Further, the direction needs training programs for laity and pastors for their leadership and the understandings of mission theology. For the future church and laity leadership, cell movements have a lot of positive factors that include the dynamics of small group and leadership development. And the movements will provide the efficiency in organic faithful communit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laity leadership in the church will help Christians develop their identities and influence social community wherever they 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