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시장과 탄소펀드 개발에 관한 연구

        손우식(Sohn, Woo Sik),박명섭(PAK, Myong Sop) 한국무역상무학회 2010 貿易商務硏究 Vol.46 No.-

        Kyoto Protocol is a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concrete performance program for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hich regulate and prevent to global warming and officially came into effect on February 16, 2005. Kyoto flexible mechanisms, the agreed environmental system in March 1997 in the Third Conference of Parties in UNFCCC General Assembly, Emission Trading System(ETS),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and Joint Implementation(JI), are key policies related to environment. In advanced countries, greenhouse gas emissions should be reduced average 5.2% level compared to 1990 in total emissions during 2008-2012. World leading carbon market finished the trial on the EU ETSⅠ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Ⅱ is operated regularlyafter 2008. World Bank leads to make 'Prototype Carbon Fund(PCF)' in April 2004, which is the world first carbon fund and a representative public carbon fund type, World Bank operate various funds including present PCF. Thus,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in relation to this study: First, in the validity analysis of carbon funds, it would be needed to analyze the Emission Reduction Cost Efficiency(ERCE) of carbon. The ERCE is a break-even value which brings the Net Present Value(NPV) to zero. NPV approach is used among projects and it enables potential projects to be compared and evaluated the ERCE on the basis of the net present value of net future cash flows. Therefore, according to results of analysis, carbon funds should be developed and invested.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allow of issuing bonds together with carbon funds, carbon finance etc. Third, carbon funds,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a relatively enough maturity in project and as a financial derivatives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t is needed various types of transactions. Fourth, it would be needed to standardize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for more efficiently. Fifth,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nd invest in various kinds of domestic and overseas global carbon funds, including governments, privates, governments and privates sectors. And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the medium and long term plans for carbon funds. Sixth, it would be needed to foster the advanced trade mechanisms for carbon funds in the most effective ways. Finally, carbon funds should be used in harmony with international societies to reduce global warming as the social responsible investing funds and it should be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addition, it would seem that carbon funds should be studied on establishing the contributable standard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assignment.

      • KCI등재후보

        녹색금융과 탄소금융에 관한 연구

        박석재(Suk-Jae Park),한낙현(Nak-Hyun Han),김은주(Eun-Joo Kim) 한국무역연구원 2011 무역연구 Vol.7 No.4

        Carbon Finance is a new emerging concept. In older times, we considered carbon as one of main bad gases that polluted the air of globe. But the Kyoto Protocol has changed our recognition about carbon. Nowadays we consider carbon as an economic goods that can be sold or bought.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everal commodities in relation to carbon finance. These commodities include carbon fund, carbon emission trading insurance, project finance etc.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s some legal issues in relation to carbon finance in Korea. Finally this study introduces the development trend on financial products of carbon finance in Korea.

      • KCI등재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위한 행정법적 과제

        이국현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3

        기후위기대응은 생존의 문제이다. 이는 더 깨끗한 물이나 공기, 더 쾌적한 환경과 같은 문제 수준을 넘는다. 기후위기대응은 생물학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생존의 문제이다.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에서의 생존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에 뒤처지는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구조는 더 이상 살아남기 어렵다. 또한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의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회적 약자의 생존도 보장하기 어렵다. 국가공동체는 기본적으로 생존을 위한 사회적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기후위기대응은 국가가 우선순위에 두고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해당한다. 그런데 국가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더구나 기후위기대응은 사회경제적 구조의 대전환을 요구하며 그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가의 재정이나 한 기업의 자금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특히 기후위기대응과 같은 환경문제는 이롭거나 해로운 외부효과를 갖는다. 정부가 이러한 외부효과를 이전하거나 내재화하는 정책을 강력하게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국가재정뿐만 아니라 민간자금이 기후금융으로 모일 수 있다. 이때 국가재정은 민간자금이 기후금융으로 모이는 데 장애가 되는 위험을 분담하고 기후금융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기후대응기금이 당면한 문제는 안정적인 자체수입을 확충하는 것이며, 기후대응기금의 확충과 그 용도를 논의하고 조율하여 정하는 것은 우리 국가공동체가 당장 풀어야 할 문제이다. 여기서는 정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은 기후위기대응이라는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분업적 과제 수행을 어떻게 구조화하느냐와 관련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후대응기금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제고하는 방안으로 기금운용계획안 수립․변경 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참여,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의 상설화 및 역할 확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공개성 및 다양성 제고, 미래세대보호위원회의 신설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통치구조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정당성 제고로 기성세대와 미래세대의 기본권을 실효성 있게 보호하여 기본권 기속성을 강화하는 것이 될 수 있다.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a matter of survival not only from the bi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from the socio-economic perspective. In the climate crisis, survival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is not the only problem. Industrial structures that lag behind in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and emit large amounts of greenhouse gases are no longer able to survive. Additionally, if a fair distribution of costs and benefits in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a carbon-neutral society is not achieve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survival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Basically, a national community can be said to be the social unit for survival. From this perspective,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a problem that the government must prioritize and take the lead in solving. However,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solve any problem, it must have financial support. Moreover,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requires a major transformation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and the costs required cannot be resolved solely with national finances or the funds of any one company. In particular,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have either beneficial or harmful external effects. Only when the government strongly and continuously pursues policies to transfer or internalize these external effects can not only national finances but also private funds be gathered into climate finance. At this time, national finance must serve as a priming agent to share the risks that hinder private funds from gathering into climate finance. The problem facing the Climate Response Fund is to expand its own stable revenue, and discussing, coordinating and determining the expansion of the Climate Response Fund and its use is a problem that our national community must solve immediately. Here, the government must play a leading role, but diverse interests must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particular, the effectiveness and responsibility of the Climate Response Fund are related to how to structure the performance of division of labor task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achieve the national goal of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n this paper, as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the Climate Response Fund, the participation of the Carbon Neutral Green Growth Committee in establishing and changing the fund operation plan, the permanent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Climate Crisis Special Committee, the openness of the Carbon Neutral Green Growth Committee, and Enhancing diversity and establishing a future generation protection committee were proposed. This can effectively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existing and future generations by enhancing the democratic and procedural legitimacy of the governance structure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strengthen the binding of basic rights.

      • KCI등재

        친환경 선박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지원 정책

        류상윤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24 해양비즈니스 Vol.- No.58

        Japan, like Korea, has well-developed shipbuilding and shipping industry and has been making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e shipping sector. What is different from Korea is that the proportion of coastal shipping in Japan is relatively high, so rather than grouping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into the category of ‘ship’ like Korea, Japanese government is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eco-friendly ships under two categories, ‘international shipping’ and ‘coastal shipping.’ The main policy paper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shipping is the ‘Roadmap toward Zero-emission in International Shipping’, which consists of a strategy to participate in IMO regulatory discussions and R&D support for ‘zero-emission ships’ which is provided by a large-scale Green Innovation Fund. The main policy document in the field of coastal shipping is the ‘Summary of Review Committee for the Promotion of Coastal Shipping Carbon Neutrality’, and as a short-term policy, it is promoting the distribution of ‘connected energy-saving ships’ and the use of bio fuel in existing ships. As a mid- to long-term policy, R&Ds are supported, similar to international shipping, but the performance of existing budget projects semms to be relatively poor.

      • KCI등재

        남북 환경협력과 한반도 탄소중립 기후공동체 구축 방안 : 녹색기후기금(GCF) 재원 및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중심으로

        한상민 한독사회과학회 202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파리협정을 기반으로 한 신기후체제 출범 이후 국제사회가 기후위기를 매우 ‘긴급한(urgent)’ 지구적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 환경협력의 방향을 새롭게 고민하고 ‘한반도 탄소중립 기후공동체’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의 중추적 국제 금융기구인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의 재원과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위한 접근 방식과 남북 기후협력의 실제적 운영 방안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평가보고서에서 발표된 지구적 기후위기의 현황과 전망을 간략히 살펴본 후, 남북한이 UNFCCC에 제출한 기후변화 국가보고서(National Communication)의 주요사항들을 점검해 본다. 제3장에서는 남북 환경협력의 과제 및 한계를 어떻게 해결하고 극복해야 할지, 그리고 Post-2020 신기후체제 하에서 한반도 기후공동체를 향한 남북 환경협력의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본다. 제4장에서는 파리협정 제11조 ‘재원(finance)’을 통해 기후재원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본 후, GCF 재원과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중심으로 남북 기후협력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esent policy measures to build a ‘Carbon-Neutral Climate Community of the Korean Peninsular’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cognized the climate crisis as the most serious global problem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limate Regime based on the Paris Agre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Global Climate Fund (GCF), a pivotal international financial organiz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approach to taking advantage of climate projects, and practical ways of advancing climat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hapter II present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global climate crisis in the 4th Assessment Report (AR4)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nd then analyzes the main points of each National Communication (NC) submitted by the two Koreas to the UNFCCC. Chapter III considers how to solve and overcome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the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toward the carbon-neutral climate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Post-2020 New Climate Regime. In Chapter IV, after examin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climate finance through Article 11 of the Paris Agreement, we will have a close look at the ways to promote inter-Korean climate cooperation toward a carbon-neutral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taking advantage of GCF’s funding and climate projects. Chapter V concludes with a summary of the research and a discussion of the main arguments.

      • KCI등재

        탄소배출권 관련 금융상품화를 위한 법적 과제

        김필규 ( Pil Kyu Kim ) 한국환경법학회 2009 環境法 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탄소배출 금융상품의 도입에 있어 제기되고 있는 법적인 과제와 해결방안을 살펴보고 향후 탄소배출 금융상품의 활성화 방안을 검토한다. 한국은 전세계에서 탄소배출이 9번째로 많은 나라이다. 국제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압력이 거세짐에 따라 한국도 온실가스 배출의 대폭적인 감축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온실가스의 대폭적인 감축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형성되고 탄소배출과 관련한 다양한 금융상품의 도입을 통해 시장의 원리에 의한 배출권 감축의 효과를 거두는 법률적,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권의 거래와 배출권 관련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적인 이슈가 존재한다. 탄소배출권과 탄소배출권 파생상품의 법적 정의, 금융법적인 관점에서는 탄소배출권이 일반상품 또는 그 유사한 것으로 볼 것인지의 여부, 배출권 거래소와 관련하여 시장구조에 대한 법률적인 검토 등이 필요하다. 또한 탄소배출 관련 금융상품의 도입에 있어서도 탄소배출권 펀드의 법적 개념과 구조, 투자대상 자산에 대한 법적문제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배출권 거래이 기반이 되는 감축목표 설정, 감축대상 선정 및 할당, 측정 등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법률적ㆍ제도적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배출권 거래제도 및 배출권 관련 금융상품의 도입이 궁극적으로 국내 탄소배출을 효율적으로 감축시키고 기업부문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legal problems of introducing the carbon financial instruments in Korea. Global warming broadly affects individuals, companies and countries. It will be impossible to achieve economic growth while ignoring the environment. In the wake of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in 1997, the right to emit carbon dioxide became a new financial instrument and a new emission trading mechanism was introduced. A carbon market needs to be created to smooth out emission trading in Korea. In order to introducing the carbon market, the legal definition of carbon emission and carbon derivatives need to be established. And the trading system for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hould be established. It is difficult to see benefits from the carbon market without legally binding carbon reduction obligations. An enforcement capacity to check actual compliance with allocated emission quota should be in place along with proper allocation criteria. And Korea should introduce an investment fund that combines carbon finance and investment in the green industries, suitable for the domestic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탄소배출 감축제도하의 녹색기후기금에 관한 연구

        이은정(Lee, Eun Jung),박명섭(Pak, Myong Sop) 한국무역상무학회 2013 貿易商務硏究 Vol.58 No.-

        Since the Kyoto Protocol was released in 2005, there has been a number of mechanisms about funding and how to allocate the burdens. The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have discussed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fund to support the reduction of a greenhouse gas. As the availability of adaption finance for developing countries increase, it's needed for a way of prioritizing countries. This article analyzes the carbon reduction system that includes a emission trading scheme, a carbon tax and examines GCF(Green Climate Fund)'s role and needs. A solution to finance Green Climate Fund is more preferred a harmonized carbon tax that across all nations with carbon tax. Especially the role of industrialized countries is important that based on their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fossil fuel emission. That is, they should get more shares of the global costs tha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중국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법적 쟁점 연구

        김종우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7 No.2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96.6억톤으로 전 지구 배출량의 26.5%를 차지하고 있고 지구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이산화탄소배출을 감축해야 할 의무가 존재한다. 2018년 기준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 중국은 8.4톤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전력과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산업이 중국 이산화탄소의 가장 큰 배출원이며, 제조업과 교통운수업 또한 중국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을 형성하고 있다. 1997년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가 “에너지절약법(节约能源法)”을반포하여 에너지 절약의 개념을 처음으로 확립하였다. 2005년 “에너지 중장기 발전계획 강요(能源中长期发展规划纲要:2004 – 2020)”는 중국 국무원이 최초로당시 중국의 에너지 이용 현황을 설명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2010년 중국국무원의 “전략적인 신흥산업의 신속한 육성과 발전에 관한 결정(关于加快培育 和发展战略性格新兴产业的决定)”에서는 오염물과 탄소배출제도의 확립과 개선을중국의 중점 개혁 업무의 하나로 정식 제기함으로써 탄소거래시장 건설 업무가공식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한다. 2015년 9월 19일 “중미 정상 기후변화 최초의공동 성명(中美元首气候变化联合声明)”1)에서는 2017년을 기점으로 중국 전역에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실시한다는 내용을 발표한다. 중국 시진핑 주석은 2020 년 9월 “30/60”의 双碳, 즉 탄소 중립과 탄소 배출 피크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두 가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2020년 12월 31일 중국 생태환경부가 “탄소배출권 거래 관리방법(碳排放权交易管理办法:시범방안)”을 제정하게 된다. 본고는 중국의 탄소 중립 관련 입법 중 주요한 4가지 분야, 즉 (1) 탄소 중립 채권 분야, (2) 천연자원 분야, (3) 전기자동차 기술 분야, (4) 에너지 안보분야와 관련한 법적 쟁점을 연구하고 있다. 중국 탄소 중립 채권 분야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에서 수령해야 할 보조금 자산 증권화 항목의 법적 쟁점 및 해결방안을 크게 세 부분으로 분류하고 있다. “전기구매계약(购售电合同)” 항목의 양도 제한조항의 쟁점 및 해결방안, “전기구매계약(购售电合同)” 매출채권에 존재하는 권리 부담과 해결방안, 재생가능에너지 미수보조금 회수 주기 불확실성 쟁점의 해결방안이 그것이다. 재생가능에너지 전기가격의 추가자금 권리는 중국의 표준에 따라 발급한중앙 재정보조금에 따라 그 생산과 결산의 주요 근거가 상술한 법률 규정에있는 것이지 “전기구매계약” 전체에 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지불의무인은 실제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기금인 펀드가 되는 것이지, “전기구매계약”의 전기매수인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전기구매계약”의 양도 제한조항이 제한하는 것은 계약의 쌍방 당사자가 “전기구매계약”이 규정한 권리와 의무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 되어야 한다.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미수보조금이 계약채권이고 금전채권 성격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해도 “전기구매계약” 양도 제한 조항에는 양도가 발생하는 경우 관련 계약의 효력에 대해서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질권계약 또는 질권 등기문서에 근거하여 재생가능에너지발전 미수보조금 항목을 질권재산 범위 밖으로 배제해서도 안된다. 그리고 탄소 흡수를 할 수 있는 조림, 탄소 흡수를 할 수 있는 초원, 탄소흡수를 할 수 있는 습지를 조성하는 것이 ...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