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볼기어캠의 4-축 가공에 관한 연구

        조현덕(Hyun-Deog Cho),신용범(Yong-Bum Shin) 한국기계가공학회 2019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8 No.9

        The automatic tool changer of a machining center consists of a tool magazine and a cam box, and the core components of the cam box are a roller gear cam and a turret. Recently, the roller gear cam of a cam box has been replaced by a ball gear cam. In this study, the design and machining method of ball gear cam for an automatic tool changer was studied. Additionally, an algorithm for a 4-axis post processing method was established from an instrumental formula by designing a ball gear cam, thus preventing machining at the bottom of ball end mill and enabling the ball on the turret to be driven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 curve without collision due to machining errors. In conclusion, machining using only the 4-axis method including the C-axis on a BC -Type 5-axis machine produced the desired ball gear cam.

      • KCI등재

        A study on the Design of Drum Type Automatic Tool Changer

        Hyun-Jin Choi(최현진),Han-Gyu Lee(이한규) 한국기계가공학회 202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9 No.7

        Automatic tool changers (ATCs) can be divided into drum and chain types. Drum-type ATCs contain a magazine, where the tools are mounted, and a cam gearbox, which swaps the tools via roller gear and grooved plate cams. Drum-type ATC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 operating time for the tool magazine is more rapid than that of chain-type ATCs and the length of the unit is shorter. Thus, drum-type ATCs can be fabricated into various shapes and form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ools and the magazine size in accordance with machining center requirements and consumer demand. In particular,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a machining center with a drum-type ATC is higher, while drum-type ATCs are more rigid with fewer parts, possibly reducing the need for regular servicing.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design validity of the magazine base, which is the main structure of a drum-type ATC,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is study kinematically verifies the specifications of the selected drive motor and reducer and assessed the design of the cam gearbox. It also conduct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oller camp, which is the core component of the cam gearbox,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inetodynamic analysis, thus validating the structural design.

      • KCI등재

        볼기어캠의 5-축 가공에 관한 연구

        조현덕(Hyun-Deog Cho),우현구(Hyun-Gu Woo),신용범(Yong-Bum Shin) 한국기계가공학회 202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9 No.12

        In this work, a study on the 5-axis machining of ball gear cam is conducted which is a continuation of reference [1]. The ball gear cam used in this study delivers motion in conjunction with the ball supported by the turret. Therefore, it requires carbonizing heat treatment and is usually completed using a 4-axis machining with a carbide ball end mill. If the nose part of the ball end mill is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machining, then CBN tools without the nose part can be used. However, machining of certain shapes can be carried out only by contacting the ball in some of the areas on either side which can improve the surface of the machining. This requires a 5-axis machining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for the processing path. Therefore, in this work, the 5-axis machining method is studied in order to maintain the direction of the cutter axis at a constant angle with the tangent direction of the curve-ball gear cam. Furthermore, the 5-axis machining program for the ball gear cam was developed and the machining experiment was completed and verified.

      • KCI등재후보

        8각 아웃렛 박스 제조용 금형 및 주변기기 개발

        최계광(Chio Kye-K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6 No.6

        본 논문은 8각 아웃렛 박스 제조용 수동 금형을 2벌의 금형으로 자동화한 것에 관한 연구이다. 8각 아웃렛 박스는 건축물의 전선관용 스위치 박스 또는 배선 연결용 박스이다. 이 박스를 제조 할 때는 제 l차 프레스에서 성형 하고 제 2-6차 프레스로 8각 아웃렛 박스의 4측면 가공과 벤딩을 하게 되므로 프레스 6대, 금형 6벌, 작업자 7명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인건비 과다발생, 생산속도 저조, 불량률 10% 이상 발생,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프레스의 굉음과 진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 등으로 작업자들이 직무를 기피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해 금형 5벌을 I벌의 금형에 통합시킨 캠금형 개발과 자동이송장치를 개발 하였다. 그 결과 프레스 2대와 금형 2별로 무인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게 되고 제조원가 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ually operated di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octagonal boxes into two sets of automated die. In particular, theoctagonal boxes are used for the switch boxes intended for the cable conduit of buildings or for wiring connection. Manufacturing these boxes requires forming the materials using the primary press before they undergo 2nd through 6th processing by the press machine including the four sides of the octagonal outlet box and bending. Such complicated process hikes up labor cost, slows down production, and results in defect rate of 10% or higher; hence the overall rise in manufacturing cost. Moreover, workers avoid this type of work due to the roar and vibration coming from the press and the risk of accident. To eliminate such phenomenon, a CAM die made by integrating five sets of die into one set of die and an automatic conveyor system were developed. As a result, unmanned work was realized with only two units of press and two sets of die; thus solving the problem of work being avoided and saving on manufacturing cost.

      • KCI등재

        집단지성 분석법을 활용한 블랙박스 디자인 개발 연구

        이희영,홍정표,조광수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blackbox design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based on the explosive growth of the blackbox market due to development of blackbox design for vehicle accident prevention and post-treatment. In the past, the blackbox market has produced products indiscriminately to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 of consumers. Therefore, we thought a new design method was necessary to effectively investigate the needs of rapidly changing consum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best-selling blackbox to understand the design flow, and the optimum area for a blackbox,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associated vehicle. Based on discussion with blackbox design experts, we studied the direction of design and the problems with blackbox use, which were reflected in blackbox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two types of design - leading blackbox (A type) and mass production blackbox (B type) - were proposed for compatibility of the blackbox with the car. The leading type of blackbox was positioned so that it was wrapped with the room mirror hinge before the screw was fastened, in order to achieve an integrated design. Therefore, we designed an integrated form and resolved the placement problem of an adhesive blackbox. To blend, the mass production blackbox implemented material and surface processing in the same way with the car, and adopted the slide structure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main body power when removing the SDcard, reflecting consumer needs. This study considers evolving consumer needs through a case stud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als with implementation of the whole design process during mass produc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lackbox design based on design method and its realization. 본 연구는 교통사고 방과 사후 처리를 한 차량용 블랙박스 디자인 개발로 블랙박스 시장 성장에 따른 기업의 내외 블랙박스 디자인 경쟁력을 높이기 해 진행되었다. 과거 블랙박스 시장은 꾸히 증가하는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해 무분별하게 상품을 양산했었다. 수많은 종류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재 사후리, 품질, 디자인 등 소비자 요구를 잘 반한 제품만이 생존하고 있다. IT 사회계망의 발으로 정보와 공유, 소비의 사이클이 빨라지면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효과으로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소비자 니즈 조사방법으로 사례연구 문가의 집단지성 방법론을 활용하여 빠르고 효과인 소비자 요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에서 베스트셀러 블랙박스를 조사하여 디자인의 흐름을 악하고, 차량에 장착되는 제품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블랙박스 최의 거치 구간을 조사했다. 이후, 블랙박스 디자인 문가 집단의 담론을 통해 디자인의 지향을 찾고, 블랙박스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문제을 논의하는 과정과 소비자 요구 조사 과정을 거처 블랙박스 개발에 반했다. 집단지성 분석을 통해 새로운 거치 방식을 제안한 선도형 블랙박스(A type) 타입과 사조사 분석을 반한 양산 개선형 블랙박스(B type) 타입으로 나어 디자인을 제안했다. 선도형 블랙박스는 차량과 일체형으로 디자인을 구하고자 착식 거치 방식이 아닌 룸미러 경첩(hinge)를 감싼 후 나사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하다. 그 결과 차량과 일체화된 형상을 구할 수 있었고, 집단지 성 분석으로 조사된 문제인 거치 착식 블랙박스의 탈 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양산 개선형 블랙박스는 사 트드 조사를 통해 도출된 스타일 재질을 차량과 같은 방식으로 구했으며 SD카드 탈거시 본체 원을 자동으로 끌 수 있도록 슬라이드 구조를 채택하여 소비자 요구를 반 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트드 분석과 집단지 성 방법을 통해 진화되는 소비자의 니즈를 발견하고 두 가지 분석에 의해 도출된 블랙박스를 비교할 수 있다. Ideation, Modeling, Rendering, Mock-up을 통해 양산을 구하는 디자인 과정을 다루고 있다. 디자인 방법과 구을 통해 기업의 블랙박스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했다.

      • KCI등재

        경찰의 도로교통업무에 대한 공법적 고찰 :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분장과 교통단속에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김수진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7 No.2

        Es handelt sich bei dieser Abhandung um die Umwandlung der polizeilichen Aufgaben. Die Polizei hat traditionell das monopole Gewalt im Strassenverkehrsgesetz. But die Einsetzung der kommunalen Selbstverwaltung in Korea ist ueber 20 Jahren hinter sich und der Bedarf, die eigenen Aufgaben der Gebietskoerperschaft wieder herzustellen. Daher die vorherigen Uebertragung der kommunalen Aufgaben auf Polizei ist auf die Frage gestellt. Die Polizei hat wenige Gruende, die Aufgaben, z. B. Einrichtung und Verwaltung der Verkehrssicherungsanlage und Einrichtung der Zebrastrecke auf sich behalten. Andererseits die Verkehrsueberwachung durch Polizei ist inzwischen unmoeglich geworden. Mittels Anfertigung von Videoaufnahme zum Beweis von Verkehrsverstoessen noch erfolgreich. Inzwischen hat der Anzeige der Verkehrsverstoss mittels Dash-cam einer privater in Mode geworden. Es ist beruehrt auf den Eingriff in das allgemeine Persoenlichkeitsreicht und in das Recht auf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 Es ist noetig, eine zulaessige Beschraenkung erfordert eine gesetzliche Ermaechtigungsgrundlage, die Anlass, Zweck und Grenzen des Eingriffs bereichsspezifisch, praezise und normenklar regelt und Grundsatz der Verhaeltnismaessigkeit gerecht werden. Die Reduzierung der Polizeiaufgaben darf nicht zurueckgehen. Die Zusammenarbeit mit Gebietskoerperschaften und Buerger ist am wichtigsten. Um die Zusammenarbeit erfolgreich zu sein, muessen die rechtliche Grundlage durch gesetzliche Veranderung glassklar norminieren. 경찰의 도로교통업무는 최근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경찰청 내지 경찰서의 관계는 지방자치실시 이전과 사뭇 다르다. 특히 도로교통법상의 권한들은 전문화와 예산 및 인력문제와 함께 위임위탁규정으로 인해 권한기관과 실제수행기관이 다른 경우가 많다. 교통안전관리시설의 설치와 관리문제도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복리와 직결되는 사무로써 주민참여의식이 높아지면서 경찰의 사무라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민원사무로서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기존의 경찰중심의 설치·관리를 주장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전통적인 업무인 단속업무의 경우도 경찰인력부족과 증거확보의 문제로 무인 교통단속기 또는 최근에는 시민의 블랙박스동영상신고에 의한 교통법규위반단속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보면, 경찰의 도로교통업무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경찰교통단속업무는 대표적인 침해행정의 예로서 법적인 근거가 있어야 하며 과잉금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위법을 저질렀기 때문에 처벌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도로교통단속에 있어서만큼은 일반화되지 않은듯하다. 이 논문은 도로교통법이란 틀 안에서 지방자치시대의 정착과 함께 경찰의 도로교통업무에는 어떤 변화요구가 있고, 블랙박스 동영상 등의 발전으로 경찰의 교통법규 위반단속업무에서 경찰과 시민의 협조관계, 기본권보호기능이 어떻게 확보되어야 하는지, 여기서의 경찰의 역할에 대하여 고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차량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한 지능형 운전습관 분석서비스

        박선후,황종원,박건후,조영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

        Sinc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n Korea reached a high of 290,481 in 2000, more than 200,000 traffic accidents have been steadily occurring. Classifying drivers' accident factors in the form of traffic violations, safety driving default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all traffic accidents, accounting for 61.3% of all traffic accidents, followed by the Central Line Penetration Act, 6.3% of signal violations, 5.8%, respectively. These statistics clearly show that most accidents play a major role in the failure of safe driving due to the driver's incorrect driving habit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 technology called "Vision-based intelligent driving habit analysis service". The technology detects driving habit defects detected according to various scenarios through object recognition, lane recognition, distance from objects, and relative speed recognition only with 2D images. Defects in the detection cont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oviding analysis completed images and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web to recognize his or her wrong driving habits. 국내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000년 최고치(290,481건)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20만건 이상의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운전자의 사고 요인을 교통법규위반 형태로 분류해보면 안전운전 불이행이 전체 교통사고의 61.3%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선 침범 6.5%, 신호위반 6.3%, 안전거리 미확보 5.8%, 순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는 대부분의 사고는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습관으로 인한 안전운전 불이행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운전습관 분석서비스”를 제안한다. 해당 서비스에서는 자동차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동영상에서 객체인식, 차선인식, 객체간의 거리 및 상대속도 분석 통해 사용자의 운전습관을 평가한다. 운전습관 평가 결과는 웹(Web)을 통해 운전자에게 분석완료 영상 및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를통해 운전자가 본인의 잘못된 운전습관을 인지하고 개선하여 잘못된 운전습관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