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내EU BIT상 국제투자중재의 위기 - Achmea 선결적 판결을 중심으로 -

        이서연 ( Seuyeun Lee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8 연세법학 Vol.32 No.-

        올해 3월에 유럽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이하 ‘CJEU’)가 EU회원국 간에 체결된 양자투자조약(bilateral investment treaty, 이하 ‘BIT’)인 소위 ‘역내EU BIT(intra-EU BIT)’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선결적 판결을 내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CJEU가 이 선결적 판결을 통하여 역내EU BIT를 기반으로 한 투자중재가 EU법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이의 제기를 금지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독일 연방법원(Bundesgerichtshof)이 CJEU에 요청한 선결적 판결로 제기된 이 사건(이하 ‘Achmea 선결적 판결’)은 본래 Achmea가 EU회원국인 슬로바키아를 상대로 제기한 투자중재의 판정문을 슬로바키아가 중재지인 독일의 중재법을 근거로 취소를 구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 논문은 Achmea 선결적 판결과 Achmea v Slovakia 투자중재사건을 분석하여 이 두 사건이 상이한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Achmea v Slovakia 중재판정부가 국제법, 그 중에서 특히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비추어 보았을 때에 본 사건에 EU법이 해석 및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중재판정부가 본 투자중재사건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다고 본 것과 달리, CJEU는 EU법의 해석 및 적용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EU조약에 따라 네덜란드-슬로바키아 BIT와 같은 역내EU BIT의 분쟁해결조항이 금지된다고 결론 내렸다. 이렇듯 CJEU가 Achmea v Slovakia 중재판정부와 결론이 다른 것은 두 분쟁해결기관이 TFEU 제267조와 제344조를 해석한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사건의 서로 다른 결론은 EU법의 법적 지위가 국내법인지 또는 국제법인지, EU법과 타 국제법규범과의 관계, EU가 체결한 조약과 EU회원국이 체결한 조약의 상이한 지위와 같은 EU대외관계법상 매우 중요하면서도 근본적이지만 시원하게 해결되지 못한 쟁점과도 연관되어 있다. CJEU의 선결적 판결은 EU법체계 내에서는 절대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사법체계에 속하는 EU회원국의 국내법원이라면 Achmea 선결적 판결에서의 해석에 따를 수밖에 없겠지만, 역내EU BIT를 기반으로 하는 투자중재판정부에 대해서는 그러한 절대적인 구속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 판결 이후 역내EU BIT와 관련된 분쟁에서 설사 EU법이 준거법으로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관련 계약상의 배타적 분쟁해결조항도 투자중재의 관할권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 중재판정부의 수가 많은 이상, EU법에 반한다는 이유로 관할권 없다고 결정 내릴 중재판정부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hereinafter the ‘CJEU’) made a meaningful preliminary ruling in the context of intra-EU BITs concluded between EU member states this March. In this ruling, the CJEU held that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initiated through intra-EU BITs would not be allowed under EU law.69) The root of this preliminary ruling (hereinafter the ‘Achmea preliminary ruling’), the question of which was posed by the Federal Court of Justice of Germany(Bundesgerichtshof), sprung from the investment arbitration dispute of Achmea v Slovakia. Slovakia, an EU member state, sought to annul the final award of Achmea v Slovakia in the German court, and in the process the issue arose of whether a forum other than the CJEU is allowed to interpret and apply EU law. Before issuing its final award, the Achmea v Slovakia tribunal also covered the above issue in its jurisdiction phase; and the conclusions of the two forums are in stark contrast to each other. Whereas the Achmea v Slovakia tribunal saw that it had jurisdic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despite the ‘possibl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U law, the CJEU determined that, according to EU law, the dispute settlement clauses of intra-EU BITs like the Netherlands-Slovakia BIT are to be prohibited due to that same ‘possibility.’ It seems that the main reason that the two forums reached conflicting conclusions is because of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Articles 267 and 344 TFEU. Other relevant factors behind the discrepancy include important but unresolved issues on EU foreign relations law like whether EU law is international or domestic law, the relationship between EU law and other international law regimes and the discrepancies in the treatment of treaties concluded by the EU and those by EU member states. While the supremacy of EU law leaves the domestic courts of EU member states no choice but to succumb to the Achmea preliminary ruling, the ruling does not have the same power over investment arbitration tribunals, including those established by intra-EU BITs. Even if investment disputes regarding intra-EU BITs recognize EU law as part of the applicable law, given the fact that many tribunals were in the view that the exclusive dispute settlement clauses of contracts do not bar jurisdiction, tribunals will not dismiss EU law related disputes merely because of a possible violation of EU law.

      • KCI등재

        1999년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개념에 대한 고찰 - GN v. ZU, CJEU, 2019.12.19., C-532/18 -

        안주연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2

        국제항공운송에서 운송인의 책임을 규율하는 1929년 바르샤바 협약과 1999년 몬트리올 협약의 “사고”는 운송인의 배상 책임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조문상 명시된 바가 없어 법원의 판단과 해석에 상당 부분을 위임하고 있다. 바르샤바 체제에서 몬트리올 협약의 체결에 이르기까지 협약의 목적이나 사정 등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협약상 “사고”의 개념은 논의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몬트리올 협약이 채택된 이후에도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는 점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었다. 이와 연관하여 미국 연방 대법원의 “Air France v. Saks” 판결은 “사고”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으며 현재도 중요한 선례로써 인용되고 있다. 최근 유럽 사법재판소는 GN v. ZU 판결에서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 “사고”는 “일반적 의미를 적용해야 하며, 이는 항공기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전 선례에서 논쟁이 있었던 “항공과 연관된 위험”의 여부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은 몬트리올 협약과 유럽연합 규칙(Regulation EC: No.889/2002)의 기본 이념인 “소비자 이익 보호”에 초점을 맞추어 “사고”의 개념을 확대한 것으로 합리적인 예측이 가능하다. 유럽 사법재판소의 “사고”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은 “운송인 보호”에 중점을 두었던 바르샤바 협약과 “Saks” 판결에서의 사고의 정의에서 탈피하여 “여객 보호” 중심의 몬트리올 협약에 기준을 맞추고 있으며, 법원의 판단영역과 운송인의 위험관리 책임을 확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유럽 사법 재판소의 “사고”에 대한 해석은 “여객 보호”의 측면에서 몬트리올 협약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고”의 확대해석으로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이 상존한다. 첫째, 협약의 기본 취지인 항공운송인과 여객의 ‘공평한 이익 분배’와 관련하여 ‘여객 보호’에 치우쳤다는 점에서 ‘균형성’에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럽연합 내 국가를 취항하는 자국의 항공사가 많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이 예상된다. 셋째, 유럽과 미국의 “사고”를 해석함에 있어 간극이 발생하며, 이는 협약의 기본이념인 “규칙의 통일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넷째, 유럽 사법재판소의 “사고”의 해석은 ‘항공기 운용과의 연관성’ 및 ‘항공기 내의 상황’만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용 범위에 의문이 제기된다. 대상 사안에서 유럽 사법재판소는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판단 기준을 최초로 제시하였는바, “사고”의 해석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므로 추후 판례 변화를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항공운송인의 위험관리에 대한 무한책임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체제 개편을 실시함으로써 여객의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자구책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term “accident” in the Warsaw Convention of 1929 and the Montreal Convention of 1999, which govern carrier liability in international air transport,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carrier liability. However, because there is no explicit definition of the term in the treaty provisions, the term is largely subjected to the judg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courts.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changes in purpose and circumstance in the transition from the Warsaw regime to the conclusion of the Montreal Convention, there was no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accident” therefore, even after the adoption of the Montreal Convention, there is no doubt that the term is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On this point,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s Air France v. Saks clarified the concept of “accident” and is still cited as an important precedent. Recently, the CJEU, in GN v. ZU, presented a new concept of “accident” introduced in the Montreal Convention: that “reference must be made to the ordinary meaning” in interpreting “accident” and that the term “covers all situations occurring on aboard an aircraft.” Furthermore, the CJEU ruled that the term does not include the applicability of “hazards typically associated with aviation,” which was controversial in previous cases. Such an interpretation can be reasonably seen as the court’s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ccident,” with a focus on “protecting consumer interests,” a core tenet of both the Montreal convention and the European Union Regulations(EC: No 889/2002). The CJEU’s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accident” is a departure from the Warsaw Convention and the Saks case, with their focus on “carrier protection,” and instead focuses on the “passenger protection” standard of the Montreal Convention. Consequently, this expands both the court’s discretion and the carrier’s risk management liability. Such an interpretation by the CJEU can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Montreal Convention in terms of “passenger protection.” However, there ar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tandem with an expanded interpretation of “accident.” First, there may be controversy concerning “balance” in that it focused on “passenger protection” in relation to the “equitable balance of interests” between air carriers and passengers, which is the basic purpose of the agreement. Second, huge losses are expected as many airlines fly to countries within the European Union. Third, there is now a gap in the interpretation of “accident”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ich raises a question on the “unity of rules,” another basic tenet of the Convention. Fourth, this interpretation of “accident” by the CJEU raises questions regarding its scope of application, as it only refers to the “hazards typically associated with aviation” and “situations occurring aboard an aircraft.” In this case, the CJEU newly proposed a novel criter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accident”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As this presents food for thought on the interpretation of “accident,”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any changes in court ruling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active measures be taken for passenger safety by recognizing air carriers’ unlimited liability and conducting systematic reforms.

      • KCI등재

        ‘잊혀질 권리’와 관련한 EU사법재판소의 판결에 대한 검토

        함인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1

        In January 2012, the European Commission proposed a comprehensive reform of the EU's 1995 data protection rules to strengthen online privacy rights. One of the key changes in the reform included the ‘right to be forgotten’. But, while attitudes over this new right in Europe may border on the positive, the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verge on the negative. In the meantime, May last year, the Court of Justice of European Union(‘CJEU’), the European Union's highest court ruled that it recognizes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its ruling of 13 May 2014(‘Google case’), CJEU ruled that search engines must take down certain results shown under a search of a person's name if the information was "inadequate, irrelevant or no longer relevant". That is to say, the Court ordered Google to provide people with the so-called ‘right to be forgotten’. Although the "right to be forgotten" existed as a concept in European law, the Google case marked the first time companies like Google have been asked to field such requests from the public. By the way, the Google case has generated fiercely divergent responses in the US and Europe. On the one hand, the ruling is being celebrated as a victory in Europe -- a victory over the omnipotence of American Internet companies and a victory of the value placed by the people of the Old Europe. On the other hand, reactions to the ruling in the United States seem close to unanimous. The incomprehension, rejection and anger of the verdict could be felt not only in the Silicon Valley, but also in the media and among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In an editorial, the New York Times warned that the ruling "could undermine press freedoms and free speech." As regards the Google case representing contradictory views, I would like to present facts of the case and overview of the ruling as well as some implications of the CJEU’s judgment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follows. 2014년 5월 13일에 EU사법재판소(CJEU)는 현행 EU법에 근거하여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동 판결은 스페인 국가법원이 EU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일반법이라고 할 수 있는 1995년 정보보호지침의 해석과 관련하여, CJEU에 선결적 판결을 구하여 제청한 사건과 관련된 것이다. 즉, 구글검색에 의해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잊혀지고 싶은 자신의 과거의 사실 등이 표시되는 바, 1995년 정보보호지침상의 규정을 근거로 하여, 검색결과로부터 자신의 개인정보에로의 링크의 삭제 또는 차단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CJEU에 선결적 판결을 구하여 제청한 것이다. 이는 특히 인터넷상에서 검색엔진에 의한 검색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검색기술도 크게 발전하고 있는 바, 현행 정보보호지침이 제정되었던 1995년 당시에는 예견하지 못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과도 관련하여, 동 지침상의 관련규정의 해석이 문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판결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이유는 과거의 어떤 사실(본 판결의 경우에는 사회보장채무의 연체로 인한 압류부동산의 경매)이 신문에 게재된 것이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인터넷 검색에 의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는 바, 현재 당사자의 프라이버시 또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하는가의 문제와 그 경우에 표현의 자유나 알 권리와의 긴장관계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리고 인터넷 검색엔진운영자의 책임문제 등 현대 정보사회의 첨예한 문제들이 응축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본 판결의 영향은 미국과 EU간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EU와 무역 등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에게도 현실적인 문제로 등장할 것이 예상된다. 왜냐하면, 현재 입법이 진행중인 일반정보보호규칙이 성립되면, 잊혀질 권리와 정보이동권 등 정보주체의 강화된 기본권과 규칙위반에 대한 강력한 제재규정이 맞물려 EU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크게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본 판결의 사실관계와 관련법령 및 판결의 주요내용 등을 충실히 소개하고, 본 판결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상 인격권침해 게시물 접근제한조치의 지역적 범위 - CJEU의 최근 판결을 중심으로

        정찬모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6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delivered preliminary reference decisions concerning geographical scope of de-listing orders of search results under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and the E-Commerce Directive. The former concerns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the latter defamation. Google v. CNIL and Glaswischnig v. Facebook decisions are in line with the general trend of turning from the traditional negative attitude to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national laws towards more positive attitude. Moreover, Bolagsupplysnigen v. Svensk Handel clarified that the court governing the center of interests of the victim, in addition to the courts governing habitual resident place of the defendant and the place of infringement, may order de-listing of search results on a global scale. The decisions show that both public and private legal doctrines are consonant in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national law.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xtraterritoriality in the internet context also reminds the need to circumscribe the extent of extraterritoriality with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Balance of interests needs to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claimant and defendant, the nature of the internet platform, the nature of personality rights, the weight of conflicting public interests, identity or similarity of the contents with the infringement,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state concerned, etc. The comity doctrine and the genuine link doctrine may coexist harmoniously. Cooperation mechanism needs to be developed between administrative and judicial authoriti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The GDPR provides a good model of cooperation in the area of personal data protection. Lastly, it is recommended that Korea, which is no match to the US or the EU in the economic and legal sphere of influence, should take a cautious approach in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its laws. Following an emerging consensus among global leader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mechanism with foreign authorities should be the prior approach for securing effective domestic legislation and enforcement thereof over the foreign internet platforms. 유럽연합사법재판소(CJEU)는 최근 「개인정보보호 일반규칙」(GDPR)상 잊힐 권리의 행사와 「전자상거래지침」상 명예훼손 게시물에 대한 접근제한조치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행정 및 사법당국이 글로벌 플랫폼에 부과하는 검색결과 제거조치의 범위, 특히 지역적 범위에 관한 판결을 연달아 내어 놓았다. ‘구글 v. CNIL’, ‘글라비쉬닉 피스첵 v. 페이스북’ 사건에서 CJEU의 판시는 과거 미국법의 역외적용을 비판하며 소극적 입장에 있던 유럽연합이 EU법의 역외적용에 적극적으로 선회하는 일련의 행보와 연결된다. 또한 국제재판적에 관한 최근 CJEU의 판례, 특히 ‘볼락수플리스니겐 v. 스벤스크’는 피고의 상거소지나 불법행위지 법원이 아닌 피해자의 주된 이해관계지를 관할하는 법원도 범세계적 범위의 검색결과 삭제를 명령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판례는 공·사법을 불문하고 EU법이 지역적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을 통하여 범세계적으로 정보가 유통되는 상황에서 국가법의 역외적용에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해도 일방적 역외적용이 무제한으로 허용될 수는 없으며 국제법 원칙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행위자 및 플랫폼의 역할, 침해가 우려되는 권리의 성격, 이와 충돌하는 권리와 이해의 경중, 게시물의 동등성 여부, 관련 국가의 특수한 상황 등을 고려한 법익형량이 요구된다. 역외적용과 관련하여 공법에서는 예양의 실천에 관한 논의가 많은 데 반하여 국제사법에서는 실질적 관련성에 논의가 집중되는 특색이 있으면서도 공사법의 법리가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경쟁법 역외적용 분야에서 개발되는 경쟁당국 간 협력체계의 개발을 참조하여 인터넷 인격권 보호규정의 역외적용과 관련해서도 행정·사법기관 간의 국제협력체계를 개발하는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겠다. GDPR과 최근 제안된 「디지털 서비스 법(안)」이 좋은 협력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경제력이나 법적 권역의 크기에서 미국이나 EU에 비교할 바가 못 되는 한국으로서는 섣불리 역외적용에 나서기보다는 세계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는 실체적 규범을 수용하고 당국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외국 플랫폼의 국내법 준수를 확보함이 적절하겠다.

      • KCI등재

        브렉시트 이후 해상책임보험의 보험자에 대한 제3자 직접청구권의 행사에 관한 고찰 : 로마Ⅱ 및 Retained EU-Law를 중심으로

        남기정 한국해사법학회 2022 해사법연구 Vol.34 No.2

        Article 18 of REGULATION (EC) No. 864/2007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July 2007 on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 (Rome Ⅱ) stipulates that the court chooses a law that is advantageous to the victim ex officio by selectively linking direct claims to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and the governing law of insurance contrac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ruled that victims can directly claim against insurers as long as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permits, regardless of the provisions of the governing law chosen by the parties to the insurance contract. In addition, after Brexit, Rome II is Retained EU-law, and CJEU's ruling on Article 18 of Rome II is Retained EU case-law, which remains effective in the UK, respectively. Meanwhile, the Supreme Court of the UK declared the basic principle that victims cannot stand in a better position than policyholders in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revealing the validity of the pay to be paid rule. Subsequently, the lower court rulings in the UK also did not allow the victim to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in other countries on the grounds that the victim also was bound by the jurisdiction agreemen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However,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K were not only before the enforcement of Rome II, but CJEU clearly ruled on the nature of Article 18 after the enforcement of Rome II, and its effect is still maintained in the UK. In addi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CJEU's ruling applying the Brussels I regulations and the above regulations is no longer effective for the UK, the exclusive jurisdiction clause(e.g., the English Cour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is likely to take precedence. However, if the UK joins the 2007 Lugano Convention in the futur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russels I Regulations, the purpose of CJEU's ruling, which was based on the Brussels I Regulations, can be considered important again. In the end, even if a lawsuit is filed in a Korean court to exercise the victim'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and insurance contracts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stipulate English laws and customs as governing law, relevant interpreta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Article 18 of the Roman II(Retained EU-law) and the purpose of CJEU's ruling(Retained EU case-law), so that victims can be protected heavily by allowing selective connections to the governing laws of the country in which the damage occurs.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연합 규정(로마Ⅱ) 제18조는 직접청구권을 계약외채무의 준거법과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법원이 직권으로 피해자에게 유리한 법을 선택하도록 정하고 있고, 유럽사법재판소는 위 조항의 해석에 관하여 피해자는 보험계약 당사자들이 보험계약에 적용될 법으로 선택한 준거법의 조항과는 상관없이,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이 허용하는 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를 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로마Ⅱ는 Retained EU-law로서, 로마Ⅱ 제18조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는 Retained EU case-law로서 각각 영국에서 그 효력이 유지된다. 한편 영국 대법원은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에서 피해자가 보험계약자보다 더 나은 지위에 설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선언하면서 선지급 원칙의 유효성을 밝힌 바 있고, 이후 영국의 하급심 판결들 또한 로마Ⅱ 제18조의 규정 취지 및 그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와는 달리 피해자 또한 보험자와 피보험자가 보험계약에서 정한 관할합의 조항에 구속된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피해자가 다른 국가에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 대법원의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은 로마Ⅱ 시행 이전의 것일 뿐만 아니라 유럽사법재판소는 로마Ⅱ 시행 이후 제18조의 성격에 관하여 명확하게 판시하였고 그 효력이 여전히 영국에 대하여도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소위 Brussels I 규정, 위 규정을 적용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가 더 이상 영국에 대하여 효력이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보험계약에서 정한 배타적 관할합의 조항(가령 영국 법원)이 우선시될 가능성이 높지만, 영국이 추후 Brussels I 규정과 실질적으로 내용이 동일한 2007 Lugano Convention에 가입한다면 Brussels I 규정에 근거하였던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 취지는 다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결국 대한민국 법원에 피해자가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소가 제기되고, 보험자와 피보험자 사이의 해상책임보험계약에서 영국의 법률과 관습을 준거법으로 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로마Ⅱ(Retained EU-law) 제18조의 규정 및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Retained EU case-law) 취지대로 불법행위지의 준거법에도 선택적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피해자가 두텁게 보호될 수 있도록 관련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The Regulatory Standards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Carriage of Passengers by Air: An Analysis of EU law and Implications for Korea

        서지민 한국무역연구원 2023 무역연구 Vol.19 No.5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atutory framework and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case law concerning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under EC 261/2004 Regulation (the Regulation). This paper also conducts an examination of the compensation liability system of air carrier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aviation transportation law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studies the scopes,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EC 261/2004 Regulation by analyzing cases of CJEU. It seeks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the Korean Aviation Business Act, and contain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gulation and the stance of Korean law. Findings – This paper confirms that previous CJEU cases have taken a stringent and passive stance in recognizing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hat exempt carriers from compensation liability. Also, it presents some critical views against CJEU perspectives and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Korean law in its conclusion. Research Implications – This paper sheds light on legal issues surrounding applications of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EC 261/2004 Regulation via case law review. In conclusion, it emphasizes the need for amending the Regulation by explicitly specifying the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o better ensure the appropriate fulfillment of air passenger rights protec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uniform legal standards for procedure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air passengers in cases of denied boarding, flight cancellation, or flight delay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 flight compensation terms and conditions in Korea.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저작물의 중고 판매 허용에 관한 EU내의 논의 -유럽사법재판소의 UsedSoft 판결 분석 및 WIPO Copyright Treaty와 EU 저작권법 규정의 검토-

        김민상 ( Kim Minsang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7

        다운로드된 디지털 저작물에 권리소진의 원칙을 적용하여 중고판매를 허용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유럽에서 지금까지 논란이 되어 왔고, 2012년 유럽사법재판소는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중고판매를 허용하는 판결(UsedSoft 사건)을 하였으나, 이를 전자책, MP3, 게임과 같은 다른 디지털 저작물에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외의 디지털 저작물에 대하여는 각 EU 회원국 법원이 다른 판결을 하게 되는 상황이 초래되었고, CJEU는 2015년 Allposters 판결에서도 여전히 이 문제를 명확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결국 UsedSoft 판결이 다른 디지털 저작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유럽에서 여전히 논쟁 중이다. 현행 WIPO Copyright Treaty와 EU의 InfoSoc Directive에 의하면 배포권에 관한 권리소진의 원칙이 유형물에만 적용된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고, 또한 UsedSoft 판결은 특별규정인 EU Software Directive를 근거로 소프트웨어에 대하여만 중고판매를 허용하였는바, 이를 문언적으로만 해석하면 ``권리소진의 원칙은 다운로드된 디지털 저작물중 소프트웨어에만 적용될 뿐, 다른 디지털 저작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유형물의 형태로 디지털 저작물이 판매되는 것과 무형물인 다운로드 방식으로 판매되는 것을 달리 볼 이유가 없고, 소프트웨어와 다른 디지털 저작물을 차별할합리적인 근거도 없다. 소비자가 합법적으로 디지털 저작물을 구매하였는데도, 단지중고판매가 허용되면 저작권자의 판매수입이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로 소유자의 처분권을 제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저작권자는 디지털 저작물을 최초로 판매함으로써 이미 경제적인 보상을 모두 받은 것이다. 또한 디지털 저작물에 관한 합법적인 중고시장을 허용하는 것은 불법복제의 우려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새로 개발된 기술로 중고 판매 이후 원 소유자가 계속하여 해당 저작물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저작권자의 이익도 보호할 수 있다. 결국 현행 저작권법 규정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의 저작권자와 소비자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는데 실패하였는바, 다른 디지털 저작물에 대하여도 배포권의 권리소진을 인정하고 중고판매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현재의 WIPO Copyright Treaty와 EU InfoSoc Directive가 개정될 필요가 있다.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opyright exhaustion with respect to the online distribution of digital copyright works is controversial in the EU. In 2012, the CJEU ruled that downloaded software could be subject to the principle of exhaustion in UsedSoft case. But the court did not clearly state whether this decision could apply to other kinds of digital copyrighted works such as e-books, MP3s and games. This ambiguity subsequently resulted in two different decisions made in different EU Member States, however, the CJEU is still reluctant to resolve this question in the Allposters case in 2015. There is still an ongoing debate over whether the UsedSoft decision could apply to other digital content. Since the WIPO Copyright Treaty and the EU InfoSoc Directive mention that the exhaustion principle of distribution right applies to the tangible product, and the reasoning of the UsedSoft ruling mainly resorted to the EU Software Directive which is a lex specialis, it might be consistent with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opyright laws to say that the principle of exhaustion could only apply to computer programs, and not to other forms of digital copyrighted works. However, there is no legal basis to differentiate between tangible and intangible media as well as between software and other digital content. Moreover, it is no longer reasonable to limit the legal purchaser’s right over the digital content, simply because it could negatively affect the copyright holder’s income. The proprietor had already obtained the remu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conomic value of the copy of the work by the first sale. Allowing a legal second hand market is unrelated to the piracy problem and new technology can stop the illegal use of products by the reseller after the resale. The old copyright laws have failed to balance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the rightholders and the customers in the new digital environment. The current provisions of the WIPO Copyright Treaty and the InfoSoc Directive should be revised to allow application of exhaustion principle on other digital copyrighted works.

      • KCI등재

        데이터베이스권에 대한 재검토 - EU 사례(CV-Online vs. Melons) 및 지침의 개정 동향을 중심으로 -

        김현경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계간 저작권 Vol.35 No.3

        Even in Europe, where database rights(Sui Generis Database Rights) were first created, questions about the utility of these rights have been raised and discussions for revision is going on. We, who benchmarked these European cases at the tim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EU.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the database rights were analyzed and future improvement task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 tudy a re a s follows. First, the EU is changing the criteria for judging database rights infringement through the CJEU decision. In order to accommodate the innovation of data, the creation of added value through reuse of users and competitors and the possibility of innovation are accepted as the criteria for judging infringement. We also need to take this into account in our “significant investment” and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extension of the exception range of the database right. In Europe, through a separate legislative measure called the Data Act, a wide range of exceptions are being allowed by excluding the database right for databases acquired or created by the use of products or services. This is premised on the premise that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databases in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ncluding IoT, is essential anyway, so there is no need to induce investment by guaranteeing sui generis rights. As such, in certain cas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that restrict database rights. Third, like public works, free use of public databases needs to be introduced. Public databases are already trying to create added value through private use through other individual laws. In addition,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criteria for judging infringement, such as ‘significant investment’ and ‘risk of recovery of investment’, can be applied to the act of creating a database funded by the state fin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database rights restrictions on public works. 창작성이 없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독점・배타적 권리, 즉 데이터베이스권을 최초로 창설한 유럽에서조차 최근 이러한 권리의 효용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수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당시 유럽의 사례를 그대로 벤치마킹한 우리 역시 이러한 유럽의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권의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U는 CJEU 결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권 침해 판단의 기준을 변화시키고 있다. 혁신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자・경쟁자의 재사용으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 혁신가능성 등을 침해 판단의 기준으로 수용하고 있다. 우리도 “상당한 투자” 및 “침해의 판단”에 있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데이터베이스권의 제한 범위 확장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있다. 유럽의 경우 데이터법이라는 별도의 입법적 조치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용에 의해 획득 또는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는 데이터베이스권을 제외시킴으로써 광범위한 예외를 허용하고자 하고 있다. 이는 IoT를 비롯한 각종 인공지능 서비스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활용은 어차피 필수적이므로 별도의 권리 보장을 통한 투자유인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음이 전제되어 있다. 이렇듯 일정한 경우 데이터베이스권을 제한하는 규정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저작물과 마찬가지로 공공데이터베이스의 자유 이용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공공데이터베이스는 이미 다른 개별법을 통해 민간의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재정이 투여된 데이터베이스 제작 행위에 대하여 ‘상당한 투자’ 및 ‘투자 회수 위험’ 등 침해 판단의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따라서 공공저작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권 제한 규정의 도입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럽사법재판소 판결을 통해 본 개인정보 보호와 표현의 자유

        이보연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文集 Vol.43 No.1

        This paper aims to show how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has interpreted the Directive 95/46/EC and made decision concerning the right to privacy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oses a menace to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privacy. The European Union introduced Directive 95/46/EC to protect internet privacy, and at the same time, to reconcile the right to privacy with other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freedom of expression.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the Directive allows some exceptions to reconcile the two fundamental rights; when the processing is done in the course of purely personal or household activity, or solely for the journalistic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artistic and literary expression. The CJEU has tried to balance between the right to privacy and freedom of expression. However, the cases dealt in this paper imply that the CJEU put more 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right. In the case of Lindqvist, the Court determined that individuals could be subject to the Directive. The Court widen the scope of the processing of data, while it stated the scope of journalism must be interpreted broadly in the case of Satamedia. In the case of Goolge Spain, the Court admitted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imposed a duty on Google to remove two links. In the recent Buivids-case, the CJEU suggested the processing of data should contribute to public debate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journalistic activities.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개인의 정보와 사생활에 위협이 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표현의 자유 등 다른 기본권과의 사이에 균형을 잡고, 역내 자유로운 정보 유통을 진흥하기 위해 정보보호지침을 도입했다. 이 지침은 개인정보 처리가 합법적이기 위한 엄격한 조건을 제시했다. 그러나 개인과 가정 내 활동의 예외, 보도목적과 예술·문학적 표현을 위한 면제를 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 조화를 꾀하려 했다. 개인정보 보호와 표현의 자유 사이의 충돌에 관련한 사건에서는 개인정보 처리가 위 예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 글은 이러한 사안에서 유럽사법재판소가 이 지침을 어떻게 해석해 왔는지 살펴본다. 유럽사법재판소는 지침의 해석과 관련한 첫 사례인 린드크비스트 판결에서는 개인도 EU 정보보호지침의 적용 대상이 된다고 판단했다. 사타미디어 판결에서는 ‘개인정보 처리’의 범위를 확대하면서도, 언론의 의미는 넓게 판단해야 한다고 보았다. 구글 스페인 판결에서는 정보주체의 잊힐 권리를 인정하고 검색엔진의 링크 삭제 의무를 부과했다. 최근의 부이비즈 판결에서는 ‘유튜버’의 개인정보 처리가 보도목적으로 면책되기 위해서는 그 활동이 공적 논쟁에 기여해야 함을 시사했다. 유럽사법재판소의 판단 대상이 된 매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인 홈페이지, 휴대전화 문자서비스, 검색엔진, 유튜브로 변화했다. 뉴미디어의 발달로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커지면서, 유럽사법재판소는 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 보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던 무게 추를 개인정보 보호 쪽으로 옮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