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Smart : A Service Platform for Rapid Development of Beacon-based Applications

        Jae-Hwan Jin,WooGun Lee,Hyeong-Seo Koo,Myung-Joon Le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10 No.7

        As of now, BLE beacon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key technology revolutions to provide object identifications and trajectories of objects with low energy. The services leveraging BLE beacons include in-door positioning service, smart home, mobile advertising and context-aware services. The more popular such services are the more useful easy and rapid development of such services becom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ervice platform named BSmart, which supports the core functionalities required for beacon-based services through the associated RESTful Web services. These RESTful Web services provide the functions of beacon/user management, beacon data update/filtering, beacon data searching/monitoring, and alarm notification. With the help of the BSmart platform, developers of services using BLE beacons can rapidly build their services without implementation of core functions related with BLE beacons.

      • KCI등재

        비콘 활용 앱 사용의도 분석을 통한 광고 산업에서의 활용 전망 연구

        허서정(Heo, Seo Jeong),조창환(Cho, Chang Hoan),김주연(Kim, Ju Ye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TAM)을 토대로 비콘(Beacon) 활용 앱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된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과 함께, 비콘(Beacon)의 특징적인 점들을 반영할 수 있는 요인들을 추가하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였다. 고려된 중요한 특징은 비콘(Beacon) 활용 앱이 위치기반 서비스라는 점, 개인정보 제공과 모바일 금융결제에 관한 보안 이슈가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전달하는 광고메시지가 주로 가격과 관련된 쿠폰과 이벤트 정보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가치추구(value seeker) 성향, 프라이버시 염려, 인지된 위험성, 인지된 정보품질 등의 외생변인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가치추구(value seeker) 성향이 강할수록, 사회적 동조가 높을수록, 비콘이 제공하는 정보의 질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인지된 유용성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는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통제가능성은 가설과 반대로 낮아질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가치추구(value seeker) 성향과 사회적 동조, 인지된 정보의 질 변인은 이러한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적 혁신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동조가 높을수록, 인지된 위험성이 낮을수록 인지된 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앱 이용경험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비자 혁신성과 사회적 동조의 정도는 또한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로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위험성은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로 사용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비콘(Beacon) 활용 앱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비콘 앱이 광고홍보 분야에서 활용되는 데에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use for ‘Beacon application’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at were verified to affect the intention of use in TAM, this study added factors that can reflec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eacon, and finally used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There are 3 main characteristics of Beacon. Firstly, Beacon is location-based service. Secondly, there exist security issues about private information providing and mobile financial payment. And lastly, the messages that Beacon application provides are usually about price and coup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various new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uch as value seeker, privacy concern, perceived risk,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perceived behavior control, social agreement, personal innovativeness, and app experience. The finding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increased as value seeker, social agreement, and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increased. But privacy concer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usefulness. Unexpectedly, perceived behavior contro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increased a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ocial agreement increased and perceived risk decreased. But app experience did not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ocial agreement affected the intention of use through mediation of perceived ease of use.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utilizing Beacon in the advertising fiel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Beacon application’.

      • Analysis on Beacon Signals for Blind Navigation

        Woojin Kim,Minji Choo,Daesub Yoon 대한인간공학회 2017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easibility and methodology of the indoor navigation (GPS-free) for blind people using beacon-smartphone communication. Backgroun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re are an estimated 285 million blind people worldwide.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mobility aids are a white cane and a guide dog and an advanced supportive navigation service as an orientation tool used along with other skills to augment the user experience and reassure its users. Method: In this work,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are adopted for communicating with a smartphone in the pocket and triggering instructions at the appropriate time. Usually, beacons are implemented at POIs (position of interests) and junctions of braille guide blocks, and near-the-beacon-or-not decision making algorithm is developed based on probabilistic theories. The beacon signal analysis is also performed in advance. Results: Using the experimental data from commercial beacons, feasibility of using beacons for blind navigation is validated.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beacon signals is highly nonlinear and contains lots of uncertainties, our proposed algorithm well resolves those demerits. Conclusion: To support the mobility of blind people in the indoor environment, beacon signals are analyzed and relevant decision making algorithm is developed. Application: The probabilistic decision making framework is also able to adopt additional sorts of information such as human factors, signal processing and other sensor measurements.

      • KCI등재

        IoT 환경에서 비콘 사용자 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안

        이정아 ( Jung Ah Lee ),김승인 ( Seung I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비콘 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새로운사용자 경험을 창출하는 기술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비콘 서비스는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세세한 부분까지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IoT 환경과 비콘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국내·외의 비콘 서비스 제공 현황에 대한 사례연구와 사용자 행태를 측정하였고 도출되었던 심리적 측면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지속적인 동기부여에 관한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비콘 서비스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유용하고 지속적인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첫째, 비콘인식과 블루투스에 대한 신뢰감 구축이 필요. 둘째, 브랜드별 필터링이 가능해야 한다. 셋째, 맞춤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푸시알림메시지로 인한 부가적인 행동유도를 하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카테고리를 묶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이와 같이 다섯 가지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Beacon service is a technology being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Beacon service is Interested in online and in offline the technology to creating new user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is positive perfomance, continues to increase all around the hold. However, Current beacon service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for users who need detail services. There are 3 steps for this study, First, through analysis of IoT and Beacons, I looked at the concept, role and type. Secondly, based on the five types of beacon, I measured case studies and user behavior of the beacon service providing situation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ally, I analyzed case studie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and grasp the limits of continuous motivation grant by reconstructing the principle of Honeycomb model of Peter Moville, focusing on users who are using the current beacon by in-depth-interview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Beacon services proposed a five guidelines to a useful and constant use to meet the needs of it’s users.

      • KCI등재

        Beacon의 위치 추적 기술을 이용한 놀이터에서의 어린이 위치 정보 활용 시스템

        최선,최창헌,윤소영,노연희,홍장의,유관희,나스리디노프 아지즈 한국정보과학회 201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2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children's location tracking system in playground that uses beacon's positioning technique. One of the main challenges of using beacon for location tracking is that it outputs unstable transmission signa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quire an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first apply Alpha-Trimmed Mean Filter technique to overcome the signal instability, and use trilateration technique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sition informati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is then stored on the server, and parents can track their children's loc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pp. The experimen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uts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o GP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tilized as a warning system to the parents if a child leaves the playground, and thus, prevent from various safety related issues such as missing or kidnapping. 본 논문은 특정 공간에서 사용자가 출입했을 때 스마트폰 앱을 통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인 Beacon 을 활용하여 놀이터에서의 어린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때 Beacon을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해 사용함에 있어 Beacon의 불안정한 송출 신호는 정확한 위치 정보의 획득을 어렵게 만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알파-트림드 평균값 필터(Alpha-Trimmed Mean Filter)를 통해 신호의 불안정성을 해결하였으며 이후 보다 정확한 어린이의 위치파악을 위해 삼변 측량법을 적용하여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위치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며, 이후 스마트폰 앱을 통해 부모가 아이의 위치를 언제 어디에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의 결과, Beacon을 활용한 경우가 기존의 GPS를 통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였을 때 보다 더욱 정확한 위치 정보의 획득이 가능해짐으로써 놀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GPS 등에 기반한 위치 정보 활용 서비스의 정확도 개선에도 Beacon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duct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Beacon

        Won Joo Lee(이원주),Jung Hyun Yoo(유정현),Kang-Ho Lee(이강호),Eun-Gyeom Jang(장은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2

        본 논문에서는 BLE 비콘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 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티켓을 통한 비접촉 입장 서비스, 좌석 안내 서비스, 이벤트 Push 서비스, 콘텐츠Push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이 시스템은 3개 모듈인 비콘 인식 모듈, 서버 연동 모듈, 콘텐츠 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비콘 인식 모듈은 스마트 폰을 가진 고객이 가용 서비스 영역에 접근하면 근접한 비콘의 특정 ID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서버 연동 모듈은 비콘 ID 값을 인식하여, 서버로 전달하고, ID를 가지고 있는 서버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콘텐츠 전송 모듈은 해당 위치에 설정된 이벤트나 서비스 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비콘 기반의 제품 정보 안내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제품 정보 안내 시스템을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product inform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BLE beacons.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tactless entrance service through mobile ticket, seat guidance service, event push service, content push service, and public service. This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 a beacon recognition module, a server linkage module, and a content transmission module. The beacon recognition module implement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pecific ID of a nearby beacon when a customer with a smartphone approaches the available service area. The server linkage module recognizes the beacon ID value, transfers it to the server, and implements the function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server having the ID. The content transmission module implements a function of transmitting event or service information set at a corresponding location to a smartphone. The beacon-based product information guidance system implemented in this pap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easily implement various product information guidance systems.

      • KCI등재

        IEEE 802.11b 무선 랜에서 저 전력 스테이션을 위한 전송 제어 기법

        송명렬 ( Myong-lyol S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2

        IEEE 802.11b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이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스테이션들은 액세스 포인트 (AP)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beacon)을 수신하여 동기를 맞춘다. 예정된 TBTT (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에 무선채널이 사용 중인 경우 비콘 전송이 지연되고 스테이션들은 지연된 비콘을 수신할 때까지 깨어있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 TBTT까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전송하기에 시간이 적은 경우 스테이션들이 전송을 지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으로 매 TBTT 마다 지연이 없는 비콘 전송이 보장되므로 저 전력 스테이션들이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있는 시간이 줄어든다. 제안된 방법에 대해 모의실험이 수행되었고 결과 분석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비콘 지연시간으로 측정된 결과는 에너지 소모가 개선됨을 보여준다. In IEEE 802.11b wireless LAN, stations keep synchronization by receiving beacons being periodically sent by the AP (access point) when they run in low power mode. Beacon transmission is delayed if wireless channel is busy at a scheduled TBTT (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stations must be awake until they receive the delayed beac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that stations get their transmission delayed if they have little time for successful data transmission by the next TBTT. Beacon transmission without delay is guaranteed at every TBTT with this method so that the awake time of low power stations to receive beacon can be reduced. The proposed method is simulat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wit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measured results in terms of beacon delay show some enhancement in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문화예술 공간의 비콘(Beacon)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정란근,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guideline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the case of trends of Beaco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Beacon-Based service in culture and art space of domestic and overseas. I did some literature research followed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beacon service, also did case study of beacon service applic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culture space. The result indicate that beacon technology can provide a variety services in a wide space.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ies, it was found that beacon service in domestic exhibition space should be given as experience-oriented services beyond benefit-oriented services. As this point of time, this study will become a good resource for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beacon service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외 활발히 비콘 기술을 개발 중인 기업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문화예술 공간의 비콘 서비스 적용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문화예술 공간에서 비콘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비콘 서비스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국내·외 문화공간들의 비콘 서비스 적용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비콘 기술은 공간이 넓은 곳에서도 충분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혜택 제공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와는 달리 국외는 경험제공중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통해 국내 전시공간의 비콘 서비스가 혜택 제공중심을 넘어 경험제공중심의 서비스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의 문화예술 공간에서 비콘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비콘 기반의 이중 보안 기법

        박상민(Sang-Min Park),김철진(Chul-J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사물 인터넷의 활성화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디바이스 간의 보안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비콘이 상업적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콘은 블루투스 기반의 서비스로서 보안에 취약하다. 따라서 비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 기반의 서비스 보안을 강화 할 수 있는 이중 보안 기법을 제안한다. 비콘과 인증 서비 스를 기반으로 하는 이중 보안 아키텍쳐와 보안 처리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 기법의 적합성을 증명하기 위해 비콘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검증한다. 검증을 위한 실험 방법는 1차 인증 실패의 인증 실패 사례와 1차 인증 성공와 2차 인증 성공의 인증 성공 사례를 실험한다. 검증 실험의 구성 요소는 2개의 비콘(비콘 ID와 일치, 비콘 ID와 불일 치), 1개의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이중 보안 아키텍쳐와 1차/2차 인증 프로세스의 적합성 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한다. Many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are based on smart devices, and security between devices is emphasized. A beacon on the current IoT(Internet of Things) services has been utilized in the commercial field and is being applied to the services of the home IoT. On the other hand, the beacon is weak to security using Bluetooth-based servi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beacon. This paper proposes a dual security technique that can enhance the security of beacon-based services. The dual security architecture and security process is proposed based on beacon and authentication service. In addition,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the beacon for proving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The experimental method for verification are the authentication failure case, such as 1st authentication fail, and authentication success case, such as 1st authentication success and 2nd authentication success. The components of the verification experiments consists of two beacons (matched with Beacon ID, mismatched with Beacon ID), one mobile device and authentication application. This was tested to verify the compatibility of the dual security architecture and 1st/2nd authentication process.

      • KCI등재

        〈춘향전〉과〈한양가〉에 나오는 봉화(烽火)

        이윤석 ( Yoon Suk Lee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98 No.-

        Chosen`s beacon-signal system was established in King Sejong period, and it was operated until 1894 when the telegraph made it unnecessary. There were over 600 beacon stations, each of which was lit every night. The five lines of the beacon fires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designed to meet at the station on Namsan every evening. The preceding study on this system has regarded that there were five beacon stations with five beacons respectively on Namsan and a single beacon from each station was lit. However it was described that only four were lighted in Hanyang -ga (1880). Furthermore, the record of foreign travellers who visited Chos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ells us the following facts. “On the summit of Nam San are five cairns. In times of peace, four only of these are lighted ; and each of the four, respectively, represents two out of the eight provinces into which Korea is divided.”(Percival Lowell,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1886.) This record conforms with the description in Hanyang-ga. It can be said that the description of beacon-signal in Hanyang-ga is a good example of using literary piece as a mean to confirm historical 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