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 『문학』과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의 비교 연구 -김소월의 「초혼」과 최서해의 「탈출기」를 중심으로

        최창헌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orientation and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literary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comparing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learners and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two texts. Kim So-wol’s Chohon and Choi Seo-hae’s Talchulgi from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re not only written in common, but also meaningful in terms of works placed at the junction of two Korea’s literary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fter these two works is based on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k.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 and 30s was led by proletariat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ry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ttitude of narrative about this period is markedly different. In the literary textbooks, the surface difference of the amount devoted to the description of proletariat literature,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of proletariat literatur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education history, and in the history of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proletariat literature is a preliminary stage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It is the basis of Juche literature in North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overcoming i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perspectives on proletariat literature, the homosexuality and heterogeneity of the two Koreas exist in Chohon and Talchulgi in the literature textbook. Kim So-wol is regarded as a poet of tradition and locality. In Chohon, we have our traditional emotions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can relate to. However, the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poem shows a different face. In South Korea, ‘Geudae’, the poetic narrator of Chohon, is an open poem with a variety of possible interpretations, such as ‘Yim’ by Han Yong-un.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Chohon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critical realist literature, and the poetic narrator, ‘Geudae’, only means the motherland, to elevate the ‘national love’. This superficial emphasis on national love is deeply related to the Juche idea.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Chohon is to understand traditional emotions and rhythms.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ims at aesthetic internalization of political thought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st revolutionary talent. In addition, short story Talchulgi makes the same evaluation that the two Koreas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However,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gives Talchulgi a place of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in terms of succession and overcoming. 본 연구는 남북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과 학습자의 문학 활동을 비교하여, 남북한 문학 교육의 지향성과 그 속에서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밝혀보려는 시도이다. 김소월의 「초혼」과 최서해의 「탈출기」는 남북한 문학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되었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남북한 문학교육의 분기점에 위치한 작품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 두 작품 이후의 남북한 문학교육에서는 전혀 다른 문학 작품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다. 1920-30년대의 한국문학은 프로문학이 주도한 시기였다. 남북한 문학 교육사(史)에서, 이 시기에 대한 서술 태도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학 교과서 속의 프로문학 서술에 할애된 분량의 표면적인 차이, 문학교육사의 전개 과정에서 프로문학이 차지하는 경중(輕重)의 차이, 그리고 북한 문학교육사에서 프로문학은 ‘항일혁명문학’의 전단계로 계승과 극복의 관점에서 북한 주체문학의 근간을 이룬다는 점이다. 이러한 남북한의 프로문학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초혼」과 「탈출기」에는 남북한의 동질성과 이질성이 함께 존재한다. 김소월은 전통과 향토의 시인으로 평가되는데, 서정시 「초혼」에는 남북한 구성원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가 스며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의 구체적 해석에서는 서로 다른 면모를 보인다. 남한에서 「초혼」의 시적화자 대상인 ‘그대’는 한용운의 ‘임’처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있는 열린 시어이다. 반면에 북한에서 「초혼」은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시적화자의 대상인 ‘그대’는 오로지 조국만을 의미하여 ‘조국애’를 고양시키고 있다. 이러한 표면적인 조국애의 강조는 심층적으로는 주체사상과 관련되어 있다. 「초혼」을 통한 남한 문학 교육은 전통적인 정서와 리듬을 이해하는 것에 있고, 북한 문학 교육은 정치사상의 심미적 내면화와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 양성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단편소설 「탈출기」는 남북한이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동일한 평가를 한다. 그러나 북한의 문학사는 계승과 극복의 연쇄 관점에서 「탈출기」를 민족문학 유산이라는 전통의 한 자리를 부여하고 있다.

      • KCI등재

        국어 교과에서 한문고전의 수록 변천과 교육적 함의 — 제2차, 2009개정 고전 과목에 수록된 유학사상을 중심으로 —

        최창헌 한국한문고전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5 No.1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is considered to Confucian idea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traditional Confucian ideas experienced the ups and downs of severance and succession. Confucian ideas was not included from the 3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for approximately 36 years. The reason for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n the 3rd curriculum, the orient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the change of Confucian values in East Asia,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value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Then again, there will be a reason why Confucian ideas is includ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the Korean, which has passed 36 years. It was the result of industrialization, which predisposes economic growth. Society has faced inhumane social problems. At this poin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o tackle inhumane social issues seems to be a pressing task in institutional education. The change in educational values is also a reflection of the education of education and pragmatism. The Confucian ideas contained in the classic textbooks in 2009 differ from those contained in the second classical textbook. In the second textbook,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re aimed at fostering moral self-discovery based on ‘filial piety’. In 2009, the focus was placed on interpreting or evaluating Confucian ideas based on ‘human nature’. In 2015, "Classics" were also selected as optional courses for 2015 revised courses to be applied to high school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s to high schools beginning in 2018. In 2015, ‘classic reading’ was selected as an elective course. In our society, the heritage of tradition in our socie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 idea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ctual practice of Confucian ideas in ‘Now-Here’ presented by the 2009 revised classical textbook will be a clue to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 ideas. 본 연구는 국어 교과에서 한문고전인 유학사상의 수록 변천과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국어 교과에서 전통의 유학사상은 단절과 계승의 부침을 겪었다. 유학사상은 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대략 36년간 수록되지 않았다. 본고에서 그 원인을 제3차 교육과정부터 한문 교과의 성립, 한국적인 민족문화의 지향, 대외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유학 가치의 변화, 그리고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서구 가치의 도입 등을 꼽았다. 그렇다면 유학사상이 36년의 시간이 흐른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다시 수록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경제 성장을 제1목표로 질주하던 산업화 과정의 결과, 우리 사회에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반인륜적인 사회 문제가 대두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반인륜적인 여러 사회 문제를 해결할 인간성의 회복은 제도권 교육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보인다. 이러한 교육가치의 변화는 과학주의와 실용주의 일변도에 대한 교육의 자기반성이기도 하다. 2009개정 고전 교과서에 수록된 유학사상은 제2차 고전 교과서에 수록된 것과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제2차에서는 유학에서 가르치는 ‘효’ 사상을 바탕으로 도덕적 자기 수양에 목표를 두고 있다면, 2009개정에서는 ‘인간의 본성(仁義禮智)’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을 재해석하거나 평가하여 적용하는 데에 방점을 찍고 있다. 2018년부터 고등학교에 적용될 2015개정 교육과정에도 ‘고전읽기’가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의 계승이라는 테제는 유학 사상의 현대화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유학이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철학적 반성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사상으로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009개정 고전 교과서가 보여준 ‘지금-여기’에서 유학사상 적용의 실제는 유학의 현대화에 대한 하나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말의 성찰을 통한 삶의 방식과 그 의미

        최창헌(Chang He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49

        이 논문은 이청준 소설의 기법적 특징 중의 하나인 탐색 기법과 격자 구조에 주목하여 ≪언어사회학서설≫ 연작의 의미 생성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언어사회학서설≫은 연작소설이다. 지금까지 연구 경향은 <지배와 해방>과 <다시 태어나는 말>이 주로 주목을 받아왔다. <지배와 해방>은 소설로 쓴 소설론·작가론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태어나는 말>은 ≪남도 사람≫과 ≪언어사회학서설≫의 결편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연작소설 속의 개별 작품은 연작의 전체성 속에서 살펴야 한다. 왜냐하면 ≪언어사회학서설≫을 연작으로 분석하면, 개별 작품의 의미들이 전체에 통합되어 의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사회학서설≫에서 말에 대한 탐색은 이청준 자신의 삶의 태도와 작가로서의 글쓰기의 태도나 방법에 대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말에 대한 탐색은 작가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문학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이청준은 ≪언어사회학서설≫의 탐색 주체인 윤지욱을 통해서 존재의 삶과 관계의 삶의 조화를 시도하고 있다. 두 삶의 조화는 존재의 언어와 관계의 언어 질서와 대응된다. 본고에서는 ≪언어사회학서설≫의 연작을 통해서 자유로운 질서 속의 말에 대해서 추적해보았다. 탐색의 주체인 윤지욱은 사건을 탐색하고, 그것의 의미를 찾아낸다. 말의 성찰을 바탕으로 한 삶의 방식은 인간성의 참가치를 실현하고, 그것을 지켜나가며 확대해 나가는 창조성의 질서 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기획논문 : 교수요목기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최창헌 ( Chang Heon C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교수요목기의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논설문과 설명문, 기행문 중심의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국어 교육에서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내용이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우리나라는 신생독립국으로서 읽고 쓰기 위주의 문식성 교육을 통한 국민 만들기가 강조되었다. 새로운 나라 만들기에서의 국어교육은 ‘언어-문화-민족’의 관계망 속에서 국민을 재생산하여 국가에 편입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일제강점기에 상실된 우리말 회복과 보급이 우선시되었다. 일제 잔재의 지식과 문화를 폐기시키고, 동시에 우리의 민족문화 중심의 정체성 확보는 시대가 요구한 사명이었다. 어수선하고 결과가 정해지지 않은 사회적 변화 과정에서, 어떤 저작의 의미와 중요성은 당대의 특정한 담론적 틀 안에서 이해되고 해석된다. 새로운 체험과 견문, 감상 등을 기록한 기행문은 학습자에게 현시적 교수에 의한 우리의 문화유산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민족문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지식인들의 눈을 통해 관찰된 문화유산의 기록은 일본 제국주의 문화의 폐기뿐만 아니라, 미군정 시기에 도입된 외래 사상과 문물의 주체적인 수용과 민족문화전통의 계승이라는 한국적인 사상과 문화를 표상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he paper which elucidated the real picture of the national culture formation & development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mpirical materials of logical writing for persuasion, descriptive writing, and travel essay included in the state-designat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 during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which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Empire, a nation-building was emphasized through literacy education with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as a newly-independent countr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aking a new nation served to transfer people to the nation by reproducing people in the network of ‘Language-Culture-Nation.’ In such circumstance of the time, restoration and supply of our language, which was los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as a top priority. Inspiring the language nationalism into the people for securing legitimacy by scrapping the knowledge & culture embedded in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forming national cultures at the same time were the very mission demanded by the times for securing our identity. In the process of muddled, undetermined social chang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ertain writing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a specific discourse framework of the day. A travel essay recording a new experience, knowledge, impressions while traveling was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means of inspiring the national cultural consciousness into learners by getting them to observe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explicit instruction. Our cultural heritage observed through the eyes of intellectuals wa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ideas and cultures via disuse of Japanese imperialistic culture, independent acceptance of foreign ideas and material culture introduce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succession to traditions of national culture.

      • 남한 『국어』와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고전문학 교육의 양상과 재생산 - 「춘향전」과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

        최창헌 ( Choi Chang-heon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본고는 남북한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고전소설 「춘향전」과 가사 「관동별곡」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남북한 고전문학 교육의 양상과 시공간을 초월한 고전문학 교육이 ‘지금-여기’에서 재구성된 모습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남한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고전문학 교육은 학습자의 핵심역량에 수렴되는 양상을 보이고, 북한의 2013개정 교육강령에 의한 고전문학 교육은 유일한 주체 문예관이 원칙적 기준이 된다. 남북한에서 「춘향전」은 사랑이 주제인 작품으로, 「관동별곡」은 아름다운 우리말이 잘 표현된 고전문학 작품이라는 동일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고전문학 교육은 남북한의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각기 다르게 실현되고 있다. 남한의 「춘향전」은 다양한 가치가 담긴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 중에서 인간의 보편 정서인 사랑을 주제로 하였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을 현대에 연결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문학 활동은 현대에서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 작품 속의 상황을 새롭게 설정하여 「춘향전」을 다시 쓰는 활동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관동별곡」은 학습자로 하여금 대상이나 소재가 시대에 따라 표현이 달라짐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그림이나 문학 등의 예술 작품에 형상화된 ‘과거-현재-미래’를 학습자의 지식이나 경험과 연결시켜, 고전문학이 지금의 일상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북한에서 「춘향전」은 애정문제를 오로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과 결부시키고, 「관동별곡」은 애국적 감정과 민족적 긍지를 인식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문학사적 평가와 제한성이 짝패를 이룬 문학 활동은 유일한 주체 문예관으로 재단된 고전문학이 말하기와 글쓰기로 확장되어 사상 교양과 정서교양을 위한 재생산의 도구적 성격을 갖는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eal the aspect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reconstitu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in the 'here and now' by comparatively studying the classic novel < Chunhyangjeon > and the lyrics < Gwandongbyeolgok >, which are commonly included in textbooks in North and South Korea. . In South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onverges on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in North Korea's 2013 revised educational cod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based on the only Juche view of literary arts. In North and South Korea, < Chunhyangjeon > is a work with a theme of love, and < Gwandongbyeolgok > is a classic literary work that expresses beautiful Korean language well. However,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s of North and South Korea is showing different aspects. < Chunhyangjeon > in South Korea is evaluated as a work of various values. Among them, it connects the classics to the present in the sense that it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because it has the theme of love, a universal human emotion. Literary activities related to this are being expanded to re-writing < Chunhyangjeon > by recognizing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present day and setting a new situation in the work. And < Kwandongbyeolgok > makes the learner recognize that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or subject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In addition, by linking the ‘past-present-future’ embodied in works of art such as paintings and literature with the learner’s knowledge and experiences, classical literature is structured in a way that can be applied to daily life. In North Korea, < Chunhyangjeon > only connects the issue of affection with criticism of social inequality, and < Gwandongbyeolgok > aims to recognize patriotism and national pride. Literary activities, which are paired with such literary historical evaluation and limitedness, are instrumental in ideological and emotional education, as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s been cut as the only Juche view of literary arts, is expanded to speaking and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