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김은,김진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4

        The auditor designation is a system that exists only in Korea, and, although numerous studies on this have been undertaken domestically, in this study various empi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verify what influences are exerted on the audit report lag by auditor designation and FSS enforcement action. The survey did so by using the sample that consisted of 8,170 (firm/year) observations of companies listed non-financial institutes Korean firms during 2003~2009, which fiscal year ends at Decemb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auditor designation in a scale model that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number of days (LAG1) that deducted the “day of completion and closing of site audit since it was considered that sufficient evidentiary data needed by an auditor to form an opinion had been collected” from “the number of days between fiscal year-end and audit report announcement date, i.e., the number of elapsed days disclosed in the DART”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In addition, even in an expanded model the auditor designation and FSS enforcement action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ults are attributable to the brevity of the number of days of LAG1. Second, the auditor designation in a scale model that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number of days between the day of fiscal year-end and audit report announcement date, i.e., the number of elapsed days disclosed in the DART” (LAG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This shows that, in the case of firms with designated auditors, the audit report lag is short as compared to firms without designated auditors. It can be stated that auditor designation system, because by itself it is a powerful regulatory device, a highly-independent designated auditor can conduct audits effectively, and that the chances of opinion coordination or conflict between CEO and auditor would be low as well in regard to audit opinions. In an expanded model that uses LAG2 as a dependent variable, auditor designation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FSS enforcement 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udit report lag. This showed that, in the case of firms with FSS enforcement action, audit report lag is short as compared to firms without FSS enforcement ac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because a highly-independent auditor with a monopolistic status would conduct audits for firms with audit designation, the chances of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CEO and auditor is low in regard to audit opinions, therefore, audit report lag is short. Furthermore, it can be viewed that the reason why audit report lag is short for firms with FSS enforcement action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for further negotiations between CEO and auditor since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firms is already widely expo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by raising the understanding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FSS enforcement action, a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ype of system and audit report lag, will propose discussion points regard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audit market in Korea, and al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policy studies and audit practices. 감사인 지정제도는 국내에서만 존재하는 제도로써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국내에서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지정 여부, 지정사유 중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감사시차의 대용치로 LAG1과 LAG2를 사용하여 다양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기간은 2003년부터 2009년의 7년으로, 검증대상은 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8,170개의 기업/연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회계 연도 종료일부터 감사보고서 보고일, 즉 DART에 공시한 일까지의 경과 일수”에서 “감사인이 의견형성에 필요한 증거자료를 충분히 얻었다고 판단하여 현장 감사를 완료하고 현장에서 철수한 날”을 차감한 일수(LAG1) 를 종속변수로 하는 축소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또한 확대모형에서도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LAG1의 누적일수가 짧아 비유의적인 값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된다. 두 번째로 “회계 연도 종료일부터 감사보고서 보고일, 즉 DART에 공시한 일까지의 경과 일수”(LAG2)를 종속변수로 하는 축소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음의 유의한 값을 보인다. 이는 감사인 지정기업의 경우 비지정기업에 비하여 감사시차가 짧은 것을 보여준다. 감사인 지정제도가 그 자체로 강력한 규제장치이기 때문에 독립성이 높은 지정 감사인이 감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감사의견과 관련하여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조율이나 충돌 가능성이 낮아 감사의견 형성의 어려움 또한 낮다고 할 수 있다. LAG2를 종속변수로 하는 확대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지정사유중 감리지적은 감사시차와 음의 유의성을 보인다. 이는 감리지적기업은 감리지적이외 기업 보다 감사시차가 짧은 것을 보여준다. 감리지적기업은 독점적인 지위에 있는 독립성이 높은 지정감사인이 감사를 함으로 인해 감사의견과 관련하여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조율 가능성이 적어 감사시차가 짧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감리지적기업의 감사시차가 짧은 것은 이미 기업의 많은 내용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상태에서 경영자가 감사인과 더는 타협을 시도할 여지가 적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감사인 지정제도와 감리지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러한 제도들과 감사시차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감사시장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며, 향후 정책연구와 감사 실무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이익보고시차 및 감사시차에 따른 발생액 이상 현상

        장금주,이호영,고재민 韓國公認會計士會 200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7 No.-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ccrual anomaly and earnings report lag and audit report lag. Timely disclosure of earnings directly affects capital market efficiency and, therefore, has been of a great concern by investors and regulators. In an effort to improve the information content of earnings report, the U.S. SEC has adopted a rule for accelerated 10K filings requiring firms that satisfy a certain condition file their 10Ks with the SEC within 60 days. Since Sloan (1986) reported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of earning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potential reasons for the anomaly. Sloan(1996) argues that accruals lack persistence relative to cash flows and investors fixate their decisions on accrual-based accounting earnings. He suggests that difficulty in interpreting accounting estimation, complex cost allocation, and accounting choices causes the anomaly. Collins and Hribar(2000) report that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also exists in quarterly earnings and this anomaly is distinct from the post-earings announcement drift. Dopuch at al.(2005) find that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exists only with firms experiencing positive net income. Xie(2001) extends Sloan(1996) showing that the accrual anomaly is primary driven by discretionary accruals. While prior studies reported the anomaly phenomena with several components of earnings, potential reasons for the anomaly are not well understood. Managers tend to disclose good news earlier and bad news later. A potential reason for disclosing bad news later would be to avoid a rapid decline in stock price. When the disclosure of earnings is delayed, the quality of earnings information at the disclosure date would be lower since investors pursue alternative sources of earnings information from other than corporate disclosures.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arnings would, therefore, be different between firms disclosing their earnings early and those disclosing earnings late. This difference in information contents would result in a greater anomaly. Trueman(1990) also suggests tha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nage earnings as their report lags lengthen, which lowers the quality of reported earnings. Regardless of earnings quality pertaining to report lags, investors may not be able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current earnings on future earnings(Thomas and Zhang 2002; Lev and Thiagaraian 1993). This misunderstanding may result in over-reactions to accruals of firms with different lengths of report lags. Therefore, we hypothesize that firms with longer report lag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greater accrual anomaly than others. Earnings report lag is the period between the fiscal year end and the earnings disclosure date and composes of two time periods; a period from the fiscal year end date to audit report date and the period from audit report date to earnings disclosure date. Spending more time in audit procedures may imply a greater auditors' effort, which results in higher audit quality and more reliable accounting earnings. Higher accounting quality improves the persistence of earnings and reduces accrual anomaly. On the other hand, longer audit report lags may not necessarily suggest auditor spending more time for audit procedures. Instead, this may simply suggest that auditors need to spend more time for judgements in determining and/or negotiating the final numbers on the statements with their client managers. Consistent with this view, Na and Choi(2004) find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udit report lag and accruals and conclude that auditors extend their audit since audit risk associated with accruals is high. Most prior studies also find that audit report lags are greater when audit risk as a result of complex business transactions and high bankruptcy risk is high. When business transactions are complex and bankruptcy risk is high, inves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ifficulty in interpreting accounting accruals and, therefore, accrual anomaly is expected to be greater. We, therefore, hypothesize that firms with longer audit report lag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greater accrual anomaly than others. Using sample period from 1999 through 2005, we examine whether accrual anomaly varies depending on the report lags. In particular, we utilize Mishkin(1983) test in detecting accrual anomaly. The results of our analyses show that accrual anomaly phenomenon is observed in Korean capital market consistent with findings of prior oversee's studies. Second, the results of our analyses show that for firms with relatively short earnings report lags,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is not observed. On the other hand, firms with longer earnings report lags experience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Third, firms with longer audit report lags also experience the accrual anomaly similar to earnings report lags. Additional analyses reveal that accrual anomaly phenomenon becomes prevalent when earnings report and audit report lags lengthen. In particular, when audit report lags are larger, the accrual anomaly phenomenon is clearly observed in both discretionary and non-discretionary accru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firms with longer earnings and audit report lags, the quality of accruals are low and, therefore, investors are seemed not to properly evaluate the underlying meanings of accruals on firm value.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length of lags investors may also over-react to accruals while, in fact, the quality of accruals remains unchanged. The results with both earnings report lags and audit report lags suggest that the lags may deteriorate the efficiency of capital market and, therefore, further analyses on potential reasons for the anomaly of earnings need to be conducted. 본 연구는 발생액 이상 현상이 이익보고시차 및 감사시차에 따라 차별적으로 달라지는가를 1999년부터 2005년까지의 거래소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익 공시 시점은 목적 적합한 회계정보의 전제 조건인 적시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미국의 경우 적시성 있는 공시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되어 일정요건을 충족한 기업의 경우 재무제표 공시기한을 과거의 90일에서 2007년까지 60일로 점차 단축시키는 규정(accelerated 10K filings)이 도입된 바 있다(SEC 2002, 2005). 이에 본 연구는 이익보고시차와 감사시차에 따라 발생액 이상 현상이 차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미시킨 검증(1983)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익보고시차와 감사시차가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발생액 이상 현상이 차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총발생액을 비재량적발생액과 재량적발생액으로 구분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비재량적발생액의 경우는 이익보고시차가 큰 기업군과 작은 기업군 각각에서 발생액 이상 현상이 약하게 나타나나 두 그룹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재량적발생액의 경우는 이익보고시차가 큰 집단에서만 발생액 이상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감사시차와 관련하여 비재량적발생액과 재량적발생액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감사시차가 큰 집단에서만 발생액 이상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감사시차가 길수록 투자자들이 발생액에 대하여 해석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익보고시차와 감사시차가 크면 투자자들은 발생액에 대한 미래이익지속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실제 이익지속성보다 과대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익보고시차와 감사시차가 커질수록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투자자들에게 해석상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적시성 있는 회계정보의 공시제도가 자본시장의 효율성 제고와 회계 신인도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하나의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사시차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배진철(Bae, Jin-Cheol),첩기룡(Tie, Ji-Long),임충혁(Im, Chung-Hyeok),김명인(Kim, Myung-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9

        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도입 전후로 감사시차 및 감사시차 결정요인에 유의한 변화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감사시차는 결산일로부터 감사보고서일까지의 기간으로 측정되며, 감사 효율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재무제표의 적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지금까지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파악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K-IFRS 도입 기간인 2011년을 중심으로 전후 각 6년간의 표본을 구성하였다. K-IFRS 도입이 감사시차를 증가 혹은 감소시켰는지, 혹은 감사시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지 검증함으로써 K-IFRS 도입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K-IFRS 제정과 개정에 근거자료가 되고자 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K-IFRS 도입 전후로 감사시차가 달라졌다면, K-IFRS 도입전후로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감사시차 결정요인이 변화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K-IFRS 도입 전후로 나누어 감사시차 결정요인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FRS 도입 이후에 감사시차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KIFRS의 도입 이후 결산일과 감사보고일 사이의 기간이 증가한 것이다. 둘째, K-IFRS 도입 이전과 이후로 감사시차 결정요인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FRS 도입 전 감사시차에 음(-)의 영향을 미치던 기업규모는 K-IFRS 도입 이후 그 크기가 감소했다. 반대로 K-IFRS 도입 전 감사시차에 양(+)의 영향을 미치던 대형회계법인 감사유무와 당기순손실보고 유무는 그 영향이 감소하였다. 부채비율은 감사시차에 미치던 양(+)의 영향이 K-IFRS 도입이후 더 강해졌다. 본 연구는 K-IFRS 도입 이후 감사시차 결정요인들의 변화를 KOSPI와 KOSDAQ시장을 구분하여 검증함으로써 감사효율성과 재무보고 적시성을 중시하는 실무계, 학계, 투자자 및 정책입안자 등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mandatory adoption of K-IFRS affects the audit report lag and more specifically examines th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audit report lag. Audit report lag, measured by the period from fiscal year-end date to audit report dat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udit efficiency as well as the timeliness of financial statement. Given that prior studies have shown the determinants affecting audit report lag such as leverage, firm size, auditor size, loss firm, etc.,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how K-IFRS adoption influences the days of audit report lag but also how specifically K-IFRS adoption changes each determinant of audit report lag. We construct our sample with each 6 years before and after K-IFRS adoption in 2011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16. We find that the mandatory K-IFRS adoption significantly increases audit report lag, and it also significantly changes the impact of determinants on audit report lag.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determinants including firm size, Big 4 auditor (type of auditor size), loss firm significantly decrease after K-IFRS adoption but the effect of financial leverage significantly increases after K-IFRS adoption. Our results contribute to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audit and K-IFRS adoption. First of all, it is the first study to show that K-IFRS adoption increases audit report lag in Korea while European prior studies present a significant decrease in audit report lag after IFRS adoption. Second, we interpret our evidence of higher impact of financial leverage on audit report lag as suggesting that creditors are more concerned about K-IFRS adoption, which delays the submission of audit report. We believe that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 useful guideline to auditors, standard setters, government, practitioners and other stakeholders.

      • KCI등재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재무보고품질 사이의 관계

        노희천,임규한,전영준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3

        최근 수년간 상장법인 중 일부기업이 공시시한을 위반하여 감사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재무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재무제표 신뢰성 및 상장폐지에 대한 우려로 해당기업의 주가가 하락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경영진과 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감사보고서를 공시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 및 감사업무를 사실상 완료한 날인 감사보고서일에대한 정보 즉 감사보고서 발행시차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정보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보고와 관련해서는 감사보고서일과 결산일간의 시차인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찾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한편 감사보고서일과 감사보고서 공시일간에는 시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감사현장 철수일 이후 감사보고서를 발행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감사증거의 확보, 감사조서의 작성 및 내부심리 등의 추가적인 감사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사인의 추가감사시간이 일정수준 발생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나, 적정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이익공시의 적시성을 훼손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보고서 제출공시가 의무화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상장법인 및 코스닥시장상장법인을 대상으로 감사시차, 감사보고서 공시일을 기준으로한 감사시차 및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재량적 발생액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단일변량분석과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모두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재량적 발생액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즉, 감사의견 형성을 위해 충분한 감사증거를 확보한 이후의 감사보고서 공시지연은 경영진과의 의견불일치로 인한 보고지연의 문제로 해석할 수있으며, 경영진과의 의견불일치 해소를 위해 감사인이 추가적인 감사노력을 투입하더라도 경영자의 재량적 이익조정을 감소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보고서를 지연제출하는기업의 경우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 정도가 중요한 수준에 있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한감사인의 노력이 재량적 이익조정행위에 대하여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어 재량적 발생액을감소시키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나라 회계감사인들이 회계이익의 불투명성의 증대와 이익조정가능성에 대하여 보수적인 판단기준을 적용하여 감사업무범위를 확대하거나 감사보고서 발행시 더 보수적으로 대응한다는것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노력이 경영자의 재량적 이익조정행위를 완전하게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재무제표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감사보고서 발행시차는 중요한 정보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코스닥시장상장법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이익조정 사이에 대한분석결과가 더 강화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코스닥시장상장법인의 재무제표 이용시 보다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감사인 규모에 따른 추가 분석결과에서는감사인 규모에 따라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이익조정 사이의 분석결과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 규모에 따라 감사품질(audit quality)이 달라지는 지에 대하여 일관되 ... In recent years, the frequent, repeated cases have been shown where stock prices of some stock -listed companies have repetitiously dropped due to reliability in financial statements and investors' worries about being delisted, as a result of submitting audit report in breach of the posting public announcement and not disclosing timely financial information to investors. Such are presumed to be mostly due to the disagreements between the management and auditors, causing a confusion among investors. Accordingly, it is judged to inform usefulness for investors to study the information effect of audit report filing lag on financial statements, namely information difference between the dates of the audit report disclosure and the completed audit report. Regarding audit reporting, lots of prior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audit report lag, i.e. a time lag between audit report date and the closing day of the fiscal year. Another time lag exists between the dates of the audit report and the audit report disclosure because, in order to file the audit report after auditors' spot inspection, additional audit efforts are required for securing additional audit evidence, filing an audit report and deliberating internal mentality, etc. The auditors' additional audit time is understandably inevitable to some extent, but in case of exceeding the acceptable extension, the timeliness of official income disclosure might be damag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t report lag and discretionary accruals and between audit report filing lag and discretionary accruals, targeting the stock-listed firms in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and KOSDAQ(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Market from 2003-the year of legally obligated submission & disclosure of the audit report-until 2010. As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report filing lag and discretionary accrua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 other words, the delay in public announcement of audit report after securing adequate proof for the formation of auditors' opinion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porting delay due to disagreements with the management;Concerning this, this study confirmed that an auditor failed to reduce management's discretionary earnings managements, despite an auditors' additional audit efforts for solving disagreements with the management.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though the level of disagreements between auditors and the management which submits the audit report belatedly is in the significant level an auditors' effort failed to reduce the discretionary accruals owing to an intrinsic limit to the act of discretionary earnings management in solving this fric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auditors in Korea are expanding their range of auditing or coping with more conservatively in filing audit reports by applying a conservative criterion to increase in the non-transparency of accounting profits and likelihood of earnings management, but it can be analyzed that such actual efforts fail to eliminate management's act of earnings management completely. Accordingly, from viewpoints of the users of financial statements,the audit report filing lag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cator of important information effects. In addition, such a result also shows mo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especially in the analysis of the listed corporations on KOSDAQ, which suggests investors need to be more cautious in considering such corporations' financial statements. Additionally, the additional analysis of the auditors' scal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uditors' scale and audit quality. This analyzed result supports domestic researches which are showing inconsistent results on whether the audit quality depends on the auditors' scale, indicating that accounting inform...

      • KCI등재

        불성실공시와 감사보고시차

        장석진,이세철,인창열 한국공인회계사회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대상회사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될 경우 감사보고시차가 증가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불성실공시제도는 부적절한 공시로 인해 자본시장이 혼란을 겪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내부통제에 미비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황에 따라서 내부통제상 미비점은 경영진이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정황적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업의 회계시스템 및 내부회계관리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여 불성실공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불성실공시를 수행한 경영자의 불순한 의도가 재무제표 작성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감사인은 불성실공시법인의 감사위험을 높게 평가할 것이다. 따라서 감사인은 높아진 감사위험을 낮추기 위해 추가적으로 감사증거를 수집해야 한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감사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이 지연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으로 인해 감사보고시차가 증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이 부과 받은 당해벌점 및 누적벌점이 많을수록 감사보고시차가 증가하는지를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상장시장에 따라 감사인의 감사위험 평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전체표본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체표본에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은 감사보고시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유가증권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과 감사보고시차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발견되었으나, 코스닥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은 감사보고시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불성실공시법인의 당해벌점과 누적벌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표본에서 불성실공시법인의 당해벌점 및 누적벌점이 감사보고시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도 불성실공시법인의 당해벌점 및 누적벌점이 많을수록 감사보고시차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감사보고시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추가적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당해벌점 및 부과벌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불성실공시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으로 인하여 감사투입시간의 증대, 회계정보의 적시성 감소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회비용이 발생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감독기관과 감사인, 감사대상회사 등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udit report lag increases when enterprises being audited are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Concretely,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whether the time taken by auditors to prepare audit reports increases when enterprises being audited have been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nd according to related penalty points.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was introduced to prevent the disorder of the capital market caused by inadequate disclosures. The designation of an enterprise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means that the manager of the relevant enterprise conducted inadequate disclosures to the capital market with an impure intention. Unfaithful disclosures may occur when enterprises’ accounting systems an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are not effectively operated. Auditors should evaluate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s being highly risky that the impure intentions of the managers that conducted unfaithful disclosures may be included in the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the auditors should collect sufficient audit evidence to reduce the audit risk and taking additional time leading to delays in the preparation and submission of audit reports. Based on the foregoing background,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signation enterprises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on audit report lag.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whether audit report lag of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increases when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imposed on the relevant corporations increase. Furthermore, to examine whether auditors’ evaluation of audit risks varies among listing markets, the entir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ose listed in the KOSPI stock market and those in the KOSDAQ stock market to analyze the samples separately along while analyzing the entire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the designation of enterprises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has positive (+) effects on audit report lag in the entire sampl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designation of enterprises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nd audit report lag in the KOSPI stock marke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esignation of enterprises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nd audit report lag in the KOSDAQ stock market. According to results of analyses conducted using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of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of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have positive (+) effects on audit report lag in the entire sampl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ing the audit report lag increased along with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of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can be identified both in the KOSPI stock market and in the KOSDAQ stock market. This study should have some contribution in that it presents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operated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should provide implications to follow-up studies because it presents results indicating that the designation of enterprises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nd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other factors that affect audit report lag. Furthermore, the study is judged to provide implications to auditors, enterprises being audited, and supervising organizations in that it presents results indicating that opportunity costs may additionally incurred following increases in audit hours due to unfaithful disclosures.

      • KCI등재

        기업의 횡령⋅배임 공시와 감사보고시차의 관계

        신혜정,안정인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affects audit report lags. Auditor can evaluate high audit risk for firms that have disclosed the asset embezzl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distinguishes audit report lags into four components which are reporting lag, fieldwork lag, fieldwork days and file lag. Using Audit report which is publicly disclosed under External Audit Act, we find that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eduling lag and fieldwork days, resulting in longer fieldwork la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uditors put more efforts to a client disclosing asset embezzlement with the results of longer fieldwork lag. However,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porting lag and file lag, indicating that longer fieldwork lag arising from auditor’s incremental efforts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the delay in auditor’s report issuance. These findings persist after the several robustness tests.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auditors strategically react to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and do not delay audit report. This study extends literature on audit report lags by studying with individual components of audit report lags. By doing so, we can distinguish the effect of factors on each audit report lag. Our paper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deliberately define the audit report lags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Our results also show that external auditors’ strategic response to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Therefore, the disclosure of asset embezzlement is used as an information to external auditors. 본 연구는 기업의 횡령⋅배임 공시가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감사인은 기업의 횡령⋅배임을 공시한 기업에 대해감사위험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공시되기 시작한 외부감사인 자료를활용하여, 횡령⋅배임 공시에 따라 감사보고시차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감사보고서시차에 포함된 감사인의 노력투입의 정도와 경영자 간 의견불일치로 인한 시차의 증가를 구분하기 위하여 감사보고시차를 감사보고서일시차, 현장감사 관련 시차, 그리고감사보고서공시시차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분석 결과, 횡령⋅배임을 공시한 경우 현장감사 관련 시차, 즉, 현장감사착수시차 및 현장감사수행시차가 지연되었다. 특히 횡령⋅배임을 4분기에 공시한 경우에는 현장감사착수시차가 유의하게 지연되며, 횡령⋅배임 규모가 클수록 현장감사수행시차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횡령⋅배임 발생 공시 시점과 금액의 중요성 모두 현장감사 관련 시차에 영향을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감사보고서일시차와 감사보고서공시시차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감사보고시차를 세분화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실증감사절차 수립과 의견 형성 기간 전체를포함하는 감사보고시차를 세부 시차로 구분하여 횡령ㆍ배임 발생 공시가 감사인의 감사계획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보여주었다. 그러나 현장감사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감사보고서의 지연 발행은 나타나지 않아 감사인이 횡령ㆍ배임 공시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감사노력 투입을 고려하여 감사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우수등재

        감사시차가 세무조사 적발에 미치는 영향

        전병욱,기은선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학연구 Vol.44 No.6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udit report lag,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fiscal year-end and audit report date (on-site audit end date), on tax-audit detection risk. Tax adjustments are made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financial statements are provisionally finalized after the on-site audit. Since domestic corporations are required to submit their tax returns within three months of the fiscal year-end date, the delayed confirm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i.e., increased audit report lag) makes it difficult for tax agents to have sufficient time to prepare for making tax adjustments to file for tax returns. Therefore, a tight tax adjustment schedule triggered by the delayed confirm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w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being caught in a tax audit because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tax agents to conduct an accurate and close review of the impact of the company's transaction details on corporate taxes. We expect that the longer the audit report lag (the shorter the tax report lag), the higher probability of tax-audit detection by tax authorities. This study uses December year-end,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that disclosed significant tax assessments due to an unfaithful tax reporting from 2002 to 2017 and matching firms. In empirical analhysis,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we fi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report lag and the probability of tax-audit detection.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not affected by auditor-provided corporate tax filing servic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audit report lag affects not only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but also the quality of tax reporting. It provide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that the tax authorities ne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audit report lag in assessing the quality of a firm's tax reporting. 본 연구는 결산일과 감사보고서일간 차이인 감사시차가 세무조사 적발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법인세 세무조정은 확정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회계감사 종료가 늦어지면 그만큼 촉박하게 세무조정 일정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 감사시차가길어지면 세무대리인이 세무조정에 이용 가능한 기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세무조사 적발가능성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 기간 중 세무조사 결과 중대한 세금추징이 발생한 사실을 공시한 12월 결산, 비금융 상장기업과 매칭기업을 이용하여 감사시차와 세무조사 적발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세무조사 결과 거액의 세금추징 사실을 공시한 기업이 매칭기업에 비하여 감사시차가 유의하게 더 긴지, 이러한 관계가 감사인의 세무조정서비스 제공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감사시차는 세무조사 적발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인의 세무조정서비스 제공여부는 감사시차와 세무조사 적발간 양(+) 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사시차가 재무보고의질뿐 아니라 세무조사 적발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과세당국이 기업의 세무보고 질을 판단함에 있어 회계감사 종결시점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배창현,우용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4 회계와 정책연구 Vol.19 No.2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audit report lag, and finds how auditor and management respond to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party transactions would worse earnings quality becaus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used as a way of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the mor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the more information asymmetry is. In this situation,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accounting period to audit report date would increase because auditor spends more time and effort in audit procedures.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for management to resolve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order to be highly evaluated in stock market, to raise the timeliness of the publicly disclosed information. So, the period from audit report date to the date of audit report submission is shortened.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using listed companies from 2003 to 201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dit report lag (closing day of fiscal year∼audit report day) increases as the amount of related party transaction increases. This result means that auditor considers the opaqueness of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invests more time and effort to the audit procedure.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audit report publishing lag (audit report day∼audit report submission day).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agers want to disclose information as soon as possible when the amount of related party transaction is large in order to eliminate information asymmetry. In addition, the interaction variable of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whether a company is included in conglomerat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report lag and negatively related with audit report publishing lag. This result means that auditor and manager strategically respond to related party transaction in case of a company which is included in conglomerate. 본 연구는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와 감사시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로 인한 정보비대칭에 대해 감사인과 경영자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는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되어 이로 인해 기업의 이익의 질이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많을수록 정보비대칭이 심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사인은 감사과정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것이기 때문에 회계연도 종료일부터 감사보고서일까지의 기간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경영자는 정보비대칭을 해소하여 시장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정보의 적시성을 높이려고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감사보고서일부터 감사보고서 제출일까지의 기간은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많아질수록 짧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동안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금액이 커질수록 감사보고서 시차(LAG_1:회계연도 종료일~감사보고서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이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한 불투명성을 인지하고 있고, 감사위험을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감사과정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와 감사보고서 발행시차(LAG_2:감사보고서일~감사보고서 제출일)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금액이 클수록 경영자는 정보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정보를 공개하여 정보의 적시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대규모기업집단소속 여부와 특수관계자 거래 상호작용 변수는 감사보고시차(LAG_1)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감사보고서 발행시차(LAG_2)와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기업의 경우, 감사인과 경영자들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의 일환으로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회계발생의 수준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나종길 ( Chong Kil Nah ),최기호 ( Gi Ho Choi ) 한국회계학회 2004 회계학연구 Vol.29 No.1

        감사시차는 결산일부터 감사보고서일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감사시차는 재무제표의 적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간이다. 지금까지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파악된 요인 외에 본 연구에서는 재무제표의 회계발생액이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회계발생의 크기를 회계발생 심화성으로 측정하였는데 회계발생 심화성은 매출액에서 회계발생액의 절대값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374개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1998년과 1999년 양 연도에 걸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단일변량분석과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모두 회계발생 심화성은 감사시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계발생 심화성이 클수록 감사시차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전기에 비하여 회계발생 심화성이 증가한 경우에는 전기에 비하여 감사시차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증 결과는 회계발생이 내포하는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회계감사인이 높은 감사위험을 인식하고 감사시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udit report lag of Korean companies is associated with an accounting accruals level. Timely disclosure of audited financial statement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since the financial stat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this context, prior studies investigated numerous factors that affect audit report lag, i.e., the length of time taken by external auditors to complete audits. While many factors, including audit risk, financial condition, and audit technology, have been examined, no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accounting accrual levels. Accounting accrual levels, as measured by absolute accounting accruals divided by sales, have been argued to represent the level of uncertainty and potential errors in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auditors who need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audit quality would devote more audit effort in the audit process for firms with high levels of accounting accruals, resulting in increased audit report lag. For the empirical analysis, 374 listed firms are selected for the sample. Except for accounting accrual levels, many other factors may affect the audit report lag. For examples, Big 5 auditors, firm size, financial condition, net operating loss, qualified audit opinion, and extraordinary items are such factors. These factors are incorporated into statistical model as control variables.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are employed to test the prediction. Also,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models are used to test.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fter controlling for other related variables, the accrual level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udit report lag. That is, as accrual level increases, the audit report lag increases, while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that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the audit report lag. This result indicates that auditors perceive a high audit risk for firms with high accounting levels and increases the audit efforts. For sensitivity analysis, discretionary accruals of cross-sectional Jones` model are substitute for accounting accrual levels. But the result of this sensitivity test is the same as the main result. Another sensitivity analysis is conducted. The accounting accrual levels are divided into current and non-current accruals. The effect of non-current accruals on the audit report lag is significant, but that of current accruals is not. This sensitivity test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accounting accruals is due to the uncertainty perceived by the auditor and is no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statements items such as accounting receivables, inventories and accounting payables. These sensitivity tests suppor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our paper.

      •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정기위(Kiwi Chung),손성규(Sungkyu Sohn)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9 연세경영연구 Vol.46 No.1

        지금까지 감사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도 감사보고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과 감사보고시차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선행연구에서 기업 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감시하는 등 기업 내 지배구조개선에 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밝혀진 외국인 투자자의 존재가 그 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으로 하여금 감사위험을 낮춰 연말에 실시하는 입증절차의 범위를 줄여 감사보고시차가 감소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과 감사보고시차와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의 변동과 감사보고시차의 변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시차모형분석에서도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보고시차 결정요인을 밝혀낸 많은 선행연구와 더불어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 또한 감사보고시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나의 변수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Audit report lag is a period from balance sheet date to audit report date. There are many implications for this period. If there is a disagreement between auditor and auditee, audit report date will be delayed. Also, we need additional time due to new legislation of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which was adopted in 2005. Audit report lag could be a good proxy for company"s monitoring system. If this monitoring mechanism operat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udit report lag will be shortened. After the freeing of investment of foreigner in public company, there are also many implications for this.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audit report lag, audit report lag can be shortened if the ownership of foreign investor is high because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investor ownership and monitoring system. In this study,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report lag and ownership of foreigners who monitor the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and prefer the company which has low a systematic risk and leverage ratio. In empirical results, ownership of foreign investors" positive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audit report lag. Because of foreign investors" positive effect on company, this allows auditor lower audit risk, then lead to shortening of audit report lag and improvement of timeliness of financial repor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