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58~1661년(順治年間)신흥사 수륙재 의식집의 간행

        김현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The woodblocks in Shinheungsa-temple produced in 1658~1661(SoonChi 16~18, the name of an Ching dynasty era reign name). In total, those collections in ShinHeungsa-temple have 269 woodblocks. It is composed of some Sutras such as the Sutra of Lotus(Pundarika Sutra), the Sutra for filial duty and collections of prints for buddhist ritual. The woodblocks were used to print Buddhist book for the buddhist ritual, especially for the deceased-SuryuckJae(水陸齋). After 17th century, whole Chosun had to have recovered from 2 times Invasions, the Japanese and Chinese(Ching dynasty) Invasions of Chosun. The people would only responded to the pray and the buddhist rituals, SuryukJae. Therefore the Buddhist rituals, SuyrukJae, were held for consolation the spirits of the deceased by wars during the period very often at many buddhist temples in whole country.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shows prevalent of SuryukJae in around the east side of Kangwondo province include Shinheungsa-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after. The prints collection for the ritual were in great demand to hold the ceremony, SuryukJae as guide books. It is reported 39 kinds of the ancient guide books of a buddhist ritual, SuryukJae, remained untill now. However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 –temple are the only the woodblock relics in Kangwondo province now, the old books printed from blocks as well. It was reported that the print collections of Shinheungsa-temple from the woodblocks are the most various kinds and the largest numbers and the oldest of prints by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are very important relics, not only perfect numbers of the temple woodblocks for SuryukJae in 17th century but also for the study of ancient korean words. 순치 15~18년 신흥사에서는 대규모의 판경불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간행된 경서들은 『법화경』, 『부모은중경』을 비롯한 경전류와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설수륙재의소』, 『진언집』, 『운수단가사』와 같은 의식집, 그중에서도 수륙재와 관련된 것 대부분이다. 양란 이후 17세기는 전쟁의 피해 복구가 사회적 요구였으며, 이와 더불어 민심을 위로하기 위한 민간 발원의 수륙재가 전국적으로 성행하게 되었다. 순치년간 신흥사 경판들의 구성을 통해서 강원도 영동지역에서도 수륙재와 같은 불교 의식이 성행했었음을 알 수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의 판본들은 수륙재의 설행에는 꼭 필요한 의식집이라는 점에서 이 지역에서의 수륙재의 성행과 그에 따른 의식집의 수요가 대단히 많았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조선시대 전기 1470년부터 17세기까지 전국 사찰에서 수륙재 의식에 필요한 경판이 대량으로 제작되었고, 이때 인출된 판본은 39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들 판본은 대부분 전라도와 경상도 사찰 경판에서 인출된 것이 전해지는 가운데, 강원도 지역에서 인출된 판본은 현재 신흥사판이 유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본(서적)만을 보더라도 강원도 지역 내에서는 신흥사 판본의 경전이 수량과 종류면에서 가장 많았으며, 현존하는 판본 중에서도 판각년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더욱이 사찰본 의식집의 경판 자체를 제대로 소장 보존된 것은 신흥사와 흥국사(여수) 경판이 유일한데, 이 중에서도 신흥사 소장 경판은 내용과 구성면에서 거의 완전히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소장 경판 중에서 『진언집』은 불교사적인 의의 외에도 당시 한글의 일반적인 표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국어사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은 불교사, 서지학, 국어학 등의 연구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강원도 내 유일한 사찰판 경판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17세기 수륙재의식집 목판이다.

      • KCI등재

        圓光大 소장 明刊本 23종에 대한 淺考

        강찬수(Kang, Chan-so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필자는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22,000여 권의 고서 가운데 조선 간행본과 중국 간행본을 나누는 1차 전수조사 과정에서 먼저 그 간행시기가 비교적 앞서는 明刊本 23種을 선별해 내었다. 이에 이 고서의 주요 판식 사항, 간행인, 현전 판본 상황 등에 대해 역대 목록서와 관련 문헌 기록을 조사하고, 국내외 고서기관에 소장된 판본과 비교 검토하여 기존에 도서관에서 소개한 서지사항 중의 오류를 수정하고 또 새롭게 발견된 서지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成化 16년(1480) 尙仁齋 간행본 《新箋決科古今源流至論》과 만력 19년(1591) 간행본 《文選纂註評苑》은 지금까지 국내외 학계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매우 희귀한 판본이자 이 책들의 판본 계통을 보완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 자료로 평가된다. 그리고 天啟五年(1625)에 朱養純이 간행한 花齋刻本 《管子》와 萬曆間 吳勉學 重校本 《六臣註文選》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광대에만 소장된 판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현재 중국 정부와 학계의 주도하에 대부분의 明刊本을 “國家珍藏稀貴古籍名錄”으로 분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국내 소장 명간본이 지니고 있는 문물 가치로서의 의미를 넘어 한중 양국 간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될 뿐만 향후 이 고서를 대상으로 한 文本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에도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summarizes the major engravings, publishers, and current editions of the book, focusing on twenty-three types of books printed during the Ming Dynasty, through the first survey of ancient Chinese books in the central library of Wonkwang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I find XinjianJuekeGujinYuanliuZhilun(新箋決科古今源流至論) published in Shangrenzhai(尙仁齋), Fujian Province in 1480 and WenxuanZhuanzhuPingyuan(文選纂註評苑) published in 1591. These two books are rare books that have never been introduced in academia, will supplement the version system of these books. Though analysis of these books, I investigate that Zibu(子部) and Jibu(集部) account for 82% of all, Books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ccount for 95% of all, and most of the books are published in Jiangsu Province and Zhejiang Province. In addition, I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several book editions that I had never grasped during the collation of ancient book appraisal, and provide more accurate publication information.

      • KCI등재

        규장각(奎章閣) 소장(所藏) 중국본(中國本) 고서(古書) 정리(整理) 및 연구(硏究)에 관한 규견(窺見)

        김호 ( Kim Ho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3 No.-

        규장각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고서 소장 기구이다.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중국본 고서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매우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다만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고서에 대한 정리와 연구는 대부분 한국본에 집중되어 있고 중국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소장 중국본 고서의 문헌가치를 일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규장각도서중국본종합목록』에도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되는데 이는 관련 연구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문은 먼저 규장각 소장 중국본 고서에 대한 본격적인 정리와 연구 이전에 중국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설명하고, 뒤이어 『규장각도서중국본종합목록』에 나타나는 약간의 오류를 지적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규장각 소장 중국고서와 관련된 정리와 연구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을 개진하고자 한다. The Kyujanggak (the royal library of the Joseon Dynasty) is Korea's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wning ancient books, along with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ancient books printed in China owned by the Kyujanggak are thought to be very valuable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But in reality, among the Kyujanggak-owned books, most of the books that are used for research and are arranged are the ones printed in Korea, while the ones printed in China are relatively few in number. In addition, the fact that not a few errors are found even in “the union catalog of the Kyujanggak books printed in China,” which helps primarily grasp the value of the ancient books printed in China as literature, is negatively affecting the progress of relevant studies. First, the body of this paper intends to explain that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ancient books printed in China is necessary before arranging the Kyujanggak-owned ancient books printed in China and conducting studies of them in earnest, and then point out some errors found in the catalogue. Finally, several opinions on arrangement and studies of the Chinese ancient books will be voiced.

      • KCI등재

        투고논문 : 활자본 <현수문전>을 통해서 본 독자성향

        김현정 ( Hyun Jung Kim ) 근역한문학회 200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6 No.-

        <현수문전>은 활자본 9종외에 필사본 4종과 방각본 1종이 남아 있는 작품이다. 방각본 소설은 대량 생산, 대량 유통 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대중 소설의 본격적인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대중 소설은 상업성을 목적으로 출판된 것이므로 독자들의 성향을 적극 고려하여 출판된다. 이 글에서는 방각본 <현수문전>이 대중 소설로서 독자들에게 인정을 받아 활자본으로 다시 출판된 작품이라고 보고, 20세기 대중소설인 활자본 <현수문전>의 내용 분석을 통해 변화된 독자들의 성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김기진의 「大衆小說論」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활자본 고소설의 독자인 부인이나 농민, 노동자들은 재자가인이나, 부귀공명에 대한 이야기, 호색 남녀의 이야기, 충신열녀의 이야기 등을 선호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활자본 <현수문전>에서는 기존의 이본들 보다 더 많은 전쟁담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에 따른 영웅의 지략과 계책, 신기한 도술을 부리는 모습 또한 기존의 이본들 보다 더 자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건 전개에 있어서도 방각본 <65장본>보다 훨씬 단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二代記 구조를 통해 아들 현침의 영웅담에 대한 사건들이 다른 이본들 보다 치밀한 구성과 사건의 전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은 <65장본>에 강조되었던 억지스러운 임금에 대한 신하의 충성심 대신 그 내용을 천자와 신하의 도리에 대한 것으로 바꾸어 위정자의 덕을 강조하는 것으로 작품의 주제 의식이 변화되어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활자본 <현수문전>에서 기존 이본들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을 변화하는 독자들의 성향과 연관 있을 것이라 보았다. 그리하여 현수문이 보여주고 있는 전쟁담, 지략과 계책, 도술을 부리는 모습은 기존보다 늘어난 재미있는 사건을 통해 독자들에게 더욱더 신나는 간접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작품의 주제 의식이 변화되어 나타나는 것도 활자본 소설의 독자인 부인, 농민, 노동자 등이 의식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활자본 <현수문전>에서는 천자와 신하의 충성심을 지나치게 강조하기 보다는 천자의 덕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전환한 것이라 보고 있다. `Hyeonsumunjeon` is a literary work which is in existence in the form of 9 types of printed books, 4 types of handwritten books and one Banggakbon(block book). Banggakbon novels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our country`s popular novels in that they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massively. Popular novels were published for commercial purposes, so they are pu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readers` propensity.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pensity of changed readers through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printed book `Hyeonsumunjeon`, which is the 20th century popular novel, considering that `Hyeonsumunjeon` is a literary work published in the form of a printed book after it was recognized by the readers as a popular novel. As can be seen in Kim Gi-Jin`s `On Popular Novel`, the readers of printed book ancient novels, women, farmers, and laborers, had the propensity to prefer the stories of a wit and a beauty, wealth and fame, lustful men and women, loyal subjects and faithful women. The printed book `Hyeonsumunjeon` shows more war stories than the existing alternative versions and represents the hero`s strategies and tactics and wondrous magical arts in more detail than the alternative versions. Moreover, it represents the development of story events more systematically that `65 Jang Vers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on Hyeonchim`s heroic stories were represented in more meticulous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events through the two generation description structure. An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are that instead of the forced loyalty to the king of loyal subjects, the proper conducts of the king and the subjects were emphasized, showing that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literary work had been changing. This paper viewed that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book `Hyeonsumunjeon` that are represent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alternative versions would be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of the readers. So it is viewed that the war stories, strategies and tactics and magical arts shown in `Hyeonsumunjeon` can be regarded as reflecting the intention to make the readers have more exciting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increasingly more interesting stories than the existing versions. And changes in thematic consciousness took place as changes in consciousness of the readers of the printed book novels-women, farmers, and laborers-occurred, so in the printed book Hyeonsumunjeon, the virtues of the king were emphasized instead of subjects` loyalty to the king being too much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