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Vintage Faith Worship)” 부흥을 꿈꾸는 Emerging Worship에 대한 연구

        주승중(Joo, Seung-Joong)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8 No.-

        오늘 예배의 현장이 공연장처럼 변하고, 예배가 오락시간으로 변하고 있다. 예배는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응답의 행위이다. 그런데 이런 고귀한 예배가 문화에 순응하고 구도자에 민감한 척 하면서 사람들의 만족과 즐거움을 충족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서 21세기의 예배는 더 큰 위기에 놓였는데, 그것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때문이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는 절대 진리 혹은 권위가 배격되고, 이성과 논리에 근거한 합리성의 터가 무너지고 있다. 그래서 모든 것을 상대시하고, 절대 진리를 배격하는 이런 포스트모던의 경향으로 인해 절대자이신 하나님을 예배하려는 교회와 교회의 사역은 커다란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런데 이런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의 급격한 문화변동의 시대상황, 즉“떠오르고 있는”(Emerging) 시대의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그 변화의 핵심에 서 있는“떠오르는 세대”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시도되는 예배가 있다. 그것은 바로“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Vintage-faith Worship)의 부흥을 꿈꾸고 있는 Emerging Worship이다. 이 예배는“구도자 중심의 집회”(Seeker-Sensitive Service)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고민 끝에 시작된 예배이다. 그래서 이“떠오르는 예배” (Emerging Worship)을 가리켜“구도자 중심 이후의 예배”(Post-Seeker Sensitive Service)라고 부른다. 20세기 말에 들어와 많은 교회들이 불신자들에게 예배의 현장에서 복음을 접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집회가 등장했는데, 그것이 바로 구도자 중심의 집회(Seeker-Sensitive Service)이다. 이것은 불신들에게 복음을 전하거나 세속적인 사람들에게 복음을 솔직하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고안 된 집회이다. 그러므로 이는 예배라기 보다는 인간중심적인 집회이다. 그런데 보다 최근에 이르러 구도자 중심의 집회도 포스트모던 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식상한 것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이런 젊은 세대를 타겟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예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고전적 가치를 지닌 믿음의 예배”라고도 불리는“떠오르는 예배”(Emerging Worship)이다. 본 논문은 바로 Emerging Worship이 등장하게 된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고대-미래적 접근 방식(Ancient-future approach), 그리고 이 예배의 특징과 핵심가치 10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 21세기 한국교회 예배를 위한 한 방향성에 대해 언급한다. Currently, worship service is becoming a place of performance and entertainment when it should be our response to God through our glorifying Him. However, this noble worship service is falling from its nobility by its accommodation to the culture, its pretence of sensitivity to seekers of truth, and becoming a means of gratification and pleas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21st century worship service is facing a crisis. This crisis is due to none other than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Post modern society rejects the notion of absolute truth and authority; reason and logic based on rationality is also crumbling. As a result of postmodern influence where everything is relative and absolute truth is rejected, the Church of those who desire to worship the absolute God and its ministries are facing a big crisis. But, in this rapidly changing culture of 21st century postmodernism, there is a new worship emerging that has sensed these rapid changes in the newly emerging era and has focused its attention on this new emerging generation. This emerging worship with its vision of revival is called “Vintage-faith Worship.” This “Vintage-faith Worship” is the result of a long agonizing desir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eeker-Sensitive Service.” Subsequently, this emerging worship is appointed the name “Post-Seeker Sensitive Service.” Towards the end of the 20th century many churches appeared that tailored their services to present the Gospel to unbelievers: this is what is called “Seeker-Sensitive Service.” These were assemblies designed to preach the Gospel to unbelievers and secular people in a straight forward and easy-tounderstand manner. Thus, this is an anthropocentric assembly, rather than worship service. However, in recent days, the younger generations impacted by postmodernism has become indifferent toward seeker-sensitive service assemblie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new kind of worship service appearing that targets these younger generations. This is the emerging worship that has been called “Vintage-faith Worship.” This thesis will refer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the Emerging Worship as well as the ancient-future approach used in its worship. It will also identify and discuss 10 characteristics and core values of the worship which will reveal the direction of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church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

        이상원 ( Lee Sangwon ) 한국교회법학회 2020 교회와 법 Vol.7 No.1

        안식일 계명은 엿새 동안 하던 일을 쉬면서 구원사건을 기념하는 예배를 드릴 것을 명령하는 계명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보편적 도덕법이다. 구약시대에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지키던 관례는 계시기관인 사도들의 모범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로 그 방식만 바뀌었을 뿐, 보편적인 도덕법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이 날에는 불신자들의 모임으로부터 떠나서 신자들이 반드시 한 지역에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주일에 신자들이 따로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라는 명령은 모든 시대의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명령이다. 인간의 생명의 보호는 기독교윤리학에서 절대적으로 우선하는 규범적 명령이다. 따라서 안식일계명의 준수라는 또 다른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가치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 안식일계명의 적용이 유보될 수 있다.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가 적용되는 문제와 성격이 다르다.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의 문제는 성경에 명시적으로 제기된 윤리적 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루며, 행위자들의 믿음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이지만, “COVID 19와 주일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두 개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들이 상충되는 문제로서 행위자의 주관적인 믿음이 문제가 되는 사안은 아니다. 인간의 생명 보호는 가장 중요한 기독교윤리학의 규범적 원리이므로 어떤 상황 속에서도 우선순위를 차지해야 하며, 이 점은 안식일계명과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COVID 19의 전염 위험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모이는 예배”를 재고해야 하지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배 시간을 여러차례 나누어서 드리는 등의 방법으로 “모이는 예배”를 드리면서도 전염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인터넷 예배는 최후의 비상수단임을 명심하고 인터넷 예배의 편의성에 빠져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COVID 19의 전염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생명에 위협이 찾아 올 가능성이 분명하고, 교회의 “모이는 예배”가 COVID 19의 전염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이 분명할 때 국가가 교회의 “모이는 예배”에 관하여 행정지도를 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나, 국가는 교회의 “모이는 주일예배”가 하나님을 향한 신앙표현방식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명령을 준수하는 교회 존립의 본질과 관련된 핵심적인 행사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개 교회들을 향하여 일방적으로 “모이는 주일예배”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지도해서는 안 된다. 교회가 국가와의 관계에서 정치적인 의사를 표현하고 자체 안에서 교회에 대한 교회행정의 차원에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관이 교단이다. 따라서 국가는 교단 관계자들을 만나서 상황설명을 하고 협조를 구하여 교단 자체의 지도체계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예방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모이는 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 예배를 드리는 조치나 비상시의 인터넷 예배 등을 마련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The commandment of the Sabbath orders to stop the works which are done for six weekdays and hold the worship service celebrating the salvation work of God. This commandment is a universal moral law which must be appli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periods and places. Even though the custom of the Old Testament age to celebrate the seventh day as the Sabbath day was transferred to the one to celebrate the day commemorat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y the example of the Apostles, the position of this commandment as a universal law was never changed. In the Sabbath day or the Lord’s day believers should depart from every kind of meeting of nonbelievers and gather together in a particular local place and held a “meeting worship service.” This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kept by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ages.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is a normative commandment which is absolutely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in christian ethics.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collide with the commandment to keep the Sabbath, the other universal and absolute commandment,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can be reserv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deals with the ethical directions which the Scripture does not apparently prescribe, and, therefore can be flexibly applied to Christi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ith and various situations. But,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there collision between two absolute and universal norms. Here the subjective faith of the believer does not matter.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must be always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normative principle of christian ethics. This feature is applied to its relation with the commandment of Sabbath. If the danger of infection of COVID 19 is clear,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adjusted. Bu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the ways to cut off the danger of infection, such as keeping preventive rules and holding worship services several times a day, not sacrificing a meeting worship service as far as possible, The church must remember that an internet worship service is just an emergent way and warn believers neither to fall into convenience nor to loosen the necessity of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Lord’s day. When the life of civilians can clearly be threatened by the infection of COVID 19, and the meeting worship service can clearly be the way to expand the disease, the state can guide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administratively. However, it is not a good guiding way for the state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is the expression of the faith toward God according to the divine absolute and universal order and, is also the ceremony related to the inherent ess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o prohibit the meeting worship services of all local churches forcefully and unilaterally. Churches express political opinions to the state through the denomination, and the denomination can guide local churches on the level of church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state should have met the leaders of the denomination, explained the situation, sought the cooperation, and guided the churches indirectly through the denomination.

      • COVID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

        이상원(Sangwon Lee)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안식일 계명은 엿새 동안 하던 일을 쉬면서 구원사건을 기념하는 예배를 드릴 것을 명령하는 계명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보편적 도덕법이다. 구약시대에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지키던 관례는 계시기관인 사도들의 모범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로 그 방식만 바뀌었을 뿐, 보편적인 도덕법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이 날에는 불신자들의 모임으로부터 떠나서 신자들이 반드시 한지역에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주일에 신자들이 따로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라는 명령은 모든 시대의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명령이다. 인간의 생명의 보호는 기독교윤리학에서 절대적으로 우선하는 규범적 명령이다. 따라서 안식일계명의 준수라는 또 다른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가치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 안식일 계명의 적용이 유보될 수 있다.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가 적용되는 문제와 성격이 다르다.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의 문제는 성경에 명시적으로 제기된 윤리적 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루며, 행위자들의 믿음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이지만, “COVID 19와 주일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두 개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들이 상충되는 문제로서 행위자의 주관적인 믿음이 문제가 되는 사안은 아니다. 인간의 생명보호는 가장 중요한 기독교윤리학의 규범적 원리이므로 어떤 상황 속에서도 우선순위를 차지해야 하며, 이 점은 안식일계명과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COVID 19의 전염 위험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모이는 예배”를 재고해야 하지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배 시간을 여러 차례 나누어서 드리는 등의 방법으로 “모이는 예배”를 드리면서도 전염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인터넷 예배는 최후의 비상수단임을 명심하고 인터넷 예배의 편의성에 빠져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COVID 19의 전염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생명에 위협이 찾아 올 가능성이 분명하고, 교회의 “모이는 예배”가 COVID 19의 전염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이 분명할 때 국가가 교회의 “모이는 예배”에 관하여 행정지도를 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나, 국가는 교회의 “모이는 주일예배”가 하나님을 향한 신앙표현방식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명령을 준수하는 교회 존립의 본질과 관련된 핵심적인 행사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개 교회들을 향하여 일방적으로 “모이는 주일예배”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지도해서는 안 된다. 교회가 국가와의 관계에서 정치적인 의사를 표현하고 자체 안에서 교회에 대한 교회행정의 차원에서 명령을 내릴수 있는 기관이 교단이다. 따라서 국가는 교단 관계자들을 만나서 상황설명을 하고 협조를 구하여 교단 자체의 지도체계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예방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모이는 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 예배를 드리는 조치나 비상시의 인터넷 예배 등을 마련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The commandment of the Sabbath orders to stop the works which are done for six weekdays and hold the worship service celebrating the salvation work of God. This commandment is a universal moral law which must be appli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periods and places. Even though the custom of the Old Testament age to celebrate the seventh day as the Sabbath day was transferred to the one to celebrate the day commemorat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y the example of the Apostles, the position of this commandment as a universal law was never changed. In the Sabbath day or the Lord’s day believers should depart from every kind of meeting of nonbelievers and gather together in a particular local place and held a “meeting worship service.” This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kept by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ages.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is a normative commandment which is absolutely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in christian ethics.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collide with the commandment to keep the Sabbath, the other universal and absolute commandment,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can be reserv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deals with the ethical directions which the Scripture does not apparently prescribe, and, therefore can be flexibly applied to Christi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ith and various situations. But,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there collision between two absolute and universal norms. Here the subjective faith of the believer does not matter.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must be always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normative principle of christian ethics. This feature is applied to its relation with the commandment of Sabbath. If the danger of infection of COVID 19 is clear,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adjusted. Bu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the ways to cut off the danger of infection, such as keeping preventive rules and holding worship services several times a day, not sacrificing a meeting worship service as far as possible. The church must remember that an internet worship service is just an emergent way and warn believers neither to fall into convenience nor to loosen the necessity of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Lord’s day. When the life of civilians can clearly be threatened by the infection of COVID 19, and the meeting worship service can clearly be the way to expand the disease, the state can guide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administratively. However, it is not a good guiding way for the state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is the expression of the faith toward God according to the divine absolute and universal order and, is also the ceremony related to the inherent ess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o prohibit the meeting worship services of all local churches forcefully and unilaterally. Churches express political opinions to the state through the denomination, and the denomination can guide local churches on the level of church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state should have met the leaders of the denomination, explained the situation, sought the cooperation, and guided the churches indirectly through the denomination.

      • KCI등재후보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연구

        김영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8 No.-

        현대 예배갱신 흐름은 교단을 초월하여 초대교회 예배전통과 세계교회의 다양한 예배유산을 적극 활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감리교회 초기예배의 뿌리와 형성과정을 고찰함은 오늘의 한국감리교회 예배이해와 갱신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논자가 초기한국감리교회 예배 중에 주일예배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은 오늘의 예배문제는 곧 주일예배의 문제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주일예배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도구는 교단의 공인된 예배예식서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발굴되지 못한 초기문헌들을 발굴하여 분석하기도 하였고,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존 웨슬리 예배와 미국감리교회 예배를 고찰하였다. 그 후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결론에서는 새로운 과제도 제안하였다. 초기한국감리교회의 시대적 범위는 Appenzeller가 내한하여 선교를 시작한 1885년부터 기독교조선감리회가 태동한 이듬해인 1931년까지 두었다. Regardless of the denomination, the trend of renewing the modern worship service is to actively make good use of the various heritages of the worship services of the early churches and many churches in the world. In this respect, studying the root and process of forming the earl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helps to understand and renew its today’s worship service. The reason why the author considers that the study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Methodist Church is needed is that the problem of today’s worship service is that of Sunday worship service. What is needed for studying Sunday worship service is Book of Worship and Rite which the Methodist Church authoriz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presented in Book of Worship and Rit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ound out and analyzed the hidden early documents,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First of all, the author inquired the worship service of John Wesley and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which are the roots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Then,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the author suggests the new task in concluding. The era range is from 1885 when Appenzeller started his mission in Korea to 1931, the next year whe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launched.

      • KCI등재

        어린이 통합예배 모형

        임영택(Young-Taek L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theology of worship for children and a Sunday service model involving educational meaning. Integration worship for children must be based on a Christian community of faith, an educational ministry, and an intergenerational experience. The theory of integration worship for children is a religious socialization process, which accepts their own roles in a natural way by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In terms of learning, they form Christian faith, a Christian life style, _ and behavior patterns (habits). This paper presents a theory and a model of children service with adults. Children's worship service is different from adult worship service as it does not rely on mass media and technology. It also does not have a single similar age group in common. It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have educational ministry with adults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service that is more visual, faithful, and traditional. The integration service provides intergenerational experience so that families can share faith and life together. The integration service is not for church revival or growth, but to share experience with God and life sharing. Worship is not education, but a learning process for faith formation through liturgy, which needs to be expanded. The integration service is a paradigm of educational ministry because Christian faith and lifestyle are shaped by the Christian faith community. We live in an individual and informational society, so integration worship for children to share communal life is helpful for children's understanding. Church will have a communal memory and vision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It is necessary for ordained pastors involved in worship to have a recognition of and participation in the children's integrated service. Sunday service has been dominated by adults, but we could make it more community orientated through an integration service with children. From this aspect, the model of an integrated service for children has resulted from an experimental program at a Korean church. It presents a children's sermon model as part of the Sunday service with church members. Even though this model can have various result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ct of an integrated service and its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예배의 본질과 온라인 예배

        진지훈 ( Jin Jihoon ) 한국교회법학회 2020 교회와 법 Vol.7 No.1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으로 제대로 된 신학적 논의나 준비가 없이 시작한 온라인 예배를 진단한다. 먼저, 교회사 속에서 공동체 예배의 의미와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를 논하고 이어서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신학적으로 평가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구약의 공동체 예배는 특정한 날과 장소에 제한되었다. 하지만 임마누엘이신 예수님의 오심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사라졌다. 또 구약의 예배는 출애굽 사건을 소환하여 재 진술하는 형태였지만, 신약의 예배는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소환하여 재진술한다. 기독교 역사 속에서 예배는 교회적 행사로서의 공동체성을 가지면서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형성하고 지켜왔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들의 공동체 예배도 그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성과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그것들이 지켜진다면 그 외의 것들은 얼마든지 변화와 새로운것들의 수용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오늘날의 디지털 문화도 마찬가지다. 여기에서 우리는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을 말할 수 있다. 온라인 예배는 대규모 집회 장소 없이도 공동체의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성찬을 할 수 없다는 취약점이 드러났다. 하지만 초대교회 때도 부득불 예배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집사들을 통해서 떡과 포도주를 보내 집에서 그것을 먹고 마심으로 성찬에 참여하게 했다는 기록은 온라인 예배 시에 가정에서 미리 준비된 떡과 포도주를 실시간으로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온라인 예배는 코로나 19라는 예상치 못한 사건 속에서 찾은 창의적 방법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온라인 예배가 단순히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형태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이 일반은총으로 주신 디지털 문화를 선하게 사용하여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온라인 예배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diagnoses the online worship service that recently issued with Covid-19 pandemic.64) First, it discusses the meaning and core values of the worship in church history, then theologically evaluates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and suggests some guide lines for the online service. Worship in the Old Testament era was restricted to specific days and places. After coming of Jesus, however, all limitations disappeared. In the Old Testament, people recalled and restated the Exodus event for the worship, but we call and restatement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In the church history, worship has formed and preserved a twofold structure of word and sacrament. And also oneness was another core component because worship was an ecclesial event. Therefore we must keep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aintain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Christian worship. Others can change and accommodate new ones. It is not different for digital culture in the cyber society in which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We can speak of the possibility of online worship service. Online worship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homogeneity of community without gathering in physical place. But it was evaluated having an important weakness of being unable to celebrate the sacrament. However, we can find the record that people who did not attend the worship service also joined the sacrament taking bread and wine delivered by the deacons in the early church. Here,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Sacrament in the online worship service. It is meaningful that online worship is a creative method found in the unexpected event of Covid-19. However, online worship service should not be abused for human convenience. We have to develop online worship service that pleases God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as a common grace

      • KCI등재

        말씀의 예배(예전)의 형성과 신학 : 성서부터 종교개혁까지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예배는 기독교 신앙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예배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가장 본질적인 사건인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또한 그 만남을 통해 형성하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가지고 삶으로 나아가기도 하다. 한국교회에는 다양한 예배가 있다. 그 예배들 가운데 주일날 오전에 드리는 예배를 우리는 소위 주일대예배라고 부른다. 그러나 ‘주일대예배’는 개신교뿐만 아니라 기독교 예배의 역사에서 살펴볼 때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사실 예배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이 예배에 있어 상당히 어리석은 인간의 창작물일 수 있다. 개신교회에서 지칭하는 주일대예배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고 정확한 표현을 찾자면 ‘말씀의 예배’(The Service of the Word)이 오히려 적합할 수 있다. 주일예배에 대한 현대의 한국개신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예배 자체를 설교와 동일시하는 경향이다. 예배를 드리는 성도들 자체도 예배 순서 전체의 비중을 평등한 관계에서 놓지 않는다. 사실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예배는 ‘말씀의 예배’라기보다 ‘설교 중심의 예배’(Preaching –centered worship)이다. 오늘날 개신교의 설교중심 예배의 역사와 신학에 대해 성서로부터 종교개혁까지 살펴보려고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가는 길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설교를 예배(예전)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은 “설교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청중의 참여와 경험 속에서 세울 수 직접적이고 포괄적” 작업이다. 실제로 초대교회 이후 기독교는 설교를 독립적인 사건에서가 아니라 예배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 논문에서 말씀의 예전에 대한 유래와 신학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Wo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Christian faith. A human meets God through worship. He/She moves on to life with the christian identity formed through the meeting. There are various services at the Korean Church. Among the services, we call Sunday service in the morning ‘Ju-il-dae-ye-bae(the great Sunday worship).’ However, 'the great Sunday worship' is not an accurate express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as well as Protestant churches. In fact, the language expression that represents the size of the worship can be quite a foolish creation of the service. The Service of the Word may be more appropriate to find a better and more accurate expression for the worship service to be referred to by the Protestant Churc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Protestantism about Sunday worship is the tendency to equate worship with sermon itself. The congregations in worship do not regard the elements of the service as equal. In fact, today's Korean church service is more of a 'preaching-centered' rather than 'the service of the Word.' Today, we are looking at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service of the Words from the Bible to the reformation because we need to check the way we are going today. Understanding preaching in the context of worship is the direct and comprehensive work of building it in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the word of God. In fact, since the early Church, Christianity has developed and understood Words in the context of worship, not in independent case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origins of such words and their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明ㆍ淸代 福建 宗族의 祖上祭祀 認識 ― 祈福避禍信仰과 관련하여 ―

        원정식 명청사학회 2014 명청사연구 Vol.0 No.41

        In Fujian, where folk faiths were prevalent, the ancestor-worship services was an official ceremony with strong religious nature in themselves. Also they were rituals that the lineage or family members could participate in relatively easily to know about their ancestors and identify their family lines, while acquiring family-related cultures and passing them down on. In Fujian where armed conflicts against nearby villages and lineages had occurred frequently while the custom of the lineage or family members living collectively was prevalent, various folk faiths had existed to ease off present tensions and possible future unrests. In these circumstances, ancestors became the object of worship as well as a god who would protect the family and lineage beyond that of respect, and people came to pray to their own ancestors for giving them fortune and protection from misfortunes, which had formerly been what people had prayed for in folk faiths. And the belief ‘The souls of ancestors are immortal and exert persistent effects on their descendents.’ made it possible. Each family and lineage wanted to thrive, and its own prosperity depended o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ts own lineage or family members. It requires high birth rate and low death rate. And they thought, it was the matter belonging to spirits, so people prayed for helps to the souls of their ancestors which, they supposed, might know well about the circumstances their descendents were facing. Furthermore, every family and lineage competed to produce more national test passers than others. Under these severe competitions, with strong beliefs in Literacy Guardian Spirit playing important roles in them, people came to think that their ancestors’ souls living in spiritual world would know their descendents’ situation very well and give them helps. Also with a belief that, in achieving great fortunes, Wealth-God and Fengshui (Wind&Water) was important, they prayed to the guardian spirit and tried to possess good one, but they also believed that their ancestors’ helps were also important in it. These beneficial-for-all views toward ancestor-worship services and theology was a vital survival mechanism that people had acquired from living in the times of high tension and conflicts. Unlike common folk faiths, the ancestor-worship services had the principle of “keep close who deserves to be close”, and certain limits had existed on who could be worship-service attenders and worship-service hosts. The presence of the limits on the worship-service attenders and worship-service hosts implies that only those attenders and hosts could enjoy the exclusive rights to the Fortunes Attained-by-ancestors’ Assistance, and the Helps Given-By-Ancestors. For this reason, in the worshiping services, it became the most important to decide who would be the ancestor that deserves to be given services and who would hold the ceremony. Also it w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in unifying lineage or family members into one. Later, the principle of “keep close who deserves to be close” had been systematized further as the theories of the strict blood line, the inheritance of ancestors’ spirits and the possession of the same soul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ents, while the belief took roots that the spirits of ancestors would accept the services held by the descendents who succeeded their blood lines, sharing the same spirit. Also, people made it possible to unify lineage or family members together by describing the father-son and ancestor-descendent as ‘one soul’ or ‘one bod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thers. The principle of repaying, which had originated from the principle that ancestor-worship services should be given to the greatly contributed ancestors, applied to the ancestor-worship services of each family and lineage. Especially, the act of repaying done by descendents for the contributions done by parents had been systemized as filial-ism, and peop...

      • KCI등재

        미디어에 물든 기독교 신앙 : 코로나 기간 동안의 경험을 통해 살펴 본 온라인 예배의 의미와 한계

        이민형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Because of COVID-19, it has become hard for Christians to gather together in the church. Consequently, it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In the beginning of COVID-19, many scholars and ministers insisted that it is mandatory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first. However, as the situation got worse and a means of participating in the worship services remotely was seriously required, many churches utilized online media and started to provide the online worship services. It has been three years since churches started to provide the online worship services, and it has influenced Korean Christians’ faith practices one way and another. Fortunately, the influence of Corona virus is waning and most Korean churches hope to recover their past. Thus, it is the right time to evaluate how the online worship service has changed Korean Christians’ faith as well as to study how the change affects future ministry. This study analyzes and interpret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Korean Churches’ Worship and Spirituality during COVID-19” conducted from February 22 to March 3 by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In specific, it tries to figure 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which was the main faith practice of Korean Christian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result, moreover, this study will anticipate which elements Korean churches should consider seriously for its future ministry. Ultimately, this paper will be an evaluation of the Korean churches’ worship service during COVID-19 and also a cornerstone from which various theological studies on Korean churches’ future will be initiated.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교회에 모이는 것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온라인 예배는 새로운 종교적 예식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 기간의 초기만 하더라도 많은 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온라인 예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비대면 예배를 드리기 위한 방편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여러 교회들은 아직 검증이 채 되지 않은 온라인 미디어를 사용해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온라인 예배로 신앙생활을 해온 지도 3년째에 접어들었고,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종교예식은 개신교인들의 신앙에 여러모로 영향을 미쳤다. 다행히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력이 약화되어 대부분의 교회가 일상의 회복을 희망하는 지금, 한국교회는 그동안 온라인 예배가 개신교 신앙 지형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 그리고 그것이 향후 목회 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에 대한 평가 및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2월 24일부터 3월 3일까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예배와 영성에 대한 조사” 중 “코로나19와 예배” 파트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한국교회와 신학계에 보고하려 한다. 특히 코로나 기간 동안 개신교인들의 신앙 활동의 중심이었던 온라인 예배가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함으로 온라인 예배의 의미와 한계를 고찰할 것이다. 더불어 이를 근거로 앞으로 한국교회는 어떤 부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지를 예상해 보려 한다. 이는 코로나 기간 동안 한국교회가 중점을 둔 바에 대한 일종의 평가가 될 것이며, 향후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세대통합예배에서의 설교에 관한 연구

        이승우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6 No.-

        Recently, interest in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s has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 methods. Insufficient discussion regarding preaching in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s especially is a realit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se worship services, the author studies the kind of sermons that should be preached and the homiletic and liturgical considerations that should be discussed in multi-generational worship. Primarily, this is a form of worship corroborated by the Bible. It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the church community, and bridge faith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In addition, i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demographic cliff era and be a place for healing for generational conflicts.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noted. First, God is the center of worship. Second, the worship service does not mean that children just participate. Third, it is incorrect to believe that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s are following a new trend or are a means of church growth. The preaching in these services should be as follows. The preaching’s purpose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worship service, glorifying and revealing God. The sermon content should follow the direction of the sermon’s purpose. The language should be distinct and poetic, appropriate to proclaiming God’s work. The author recommends that the sermon form should correspond to the form of Bible texts. For effectively preaching in the worship services, a clear and concise message, the restoration of the visible Word by celebrating the Eucharist, and the education of the congregation is proposed. 최근 들어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세대통합예배를 어떻게 드려야 할지에 대해서는 연구는 부족한 상태다. 특히, 세대통합예배에서의 설교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논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필자는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대통합예배에서의 설교는 어떠해야 하며, 어떤 예배학적 혹은 설교학적 고려를 해야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우선 세대통합예배는 성경이 지지하는 예배의 형태이다. 또한 교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세대 간의 신앙 간격을 해소하는 장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구절벽시대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세대갈등의 치유의 장이 될 수 있다. 세대통합예배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예배의 중심이 하나님이심을 잊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단순히 어린이들과 함께 하는 예배 혹은 각 예배 순서에 각 세대들을 참여하는 예배 정도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시대의 유행이나 교회부흥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것도 옳지 않다. 세대통합예배에서의 설교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설교의 목적은 예배의 방향성인 하나님을 높이고 하나님을 드러내는 것과 일치 되어야 하고, 설교의 내용은 그런 설교의 방향성을 따라야 한다. 설교의 언어는 명확한 언어와 더불어 하나님의 일을 선포하는데 적절한 시적 언어를 제안한다. 설교의 형식은 본문이 취하고 있는 형식을 기본적으로 따르는 것을 권한다. 세대통합예배에서의 효과적인 설교를 위해서 필자는 명확하고 간결한 메시지, 성찬예식을 통한 보이는 말씀의 회복 그리고 청중 교육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