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非子의 法·術·勢治論

        박노현(Park Ro hy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5

        The teaching consideration of Han Feizi (韓非子) was originated from one of the main leading factions of Oriental thoughts in ancient China from the Zhou dynasty to the Chao dynasty (770-403 B.C.E.). His point of view was in suitabilities as well as in realities of life at that time. Especially he rearranged the defects of previous philosophers’ ideas. Also many of his practical alternatives were contributed to the valuable worths. The Zhou dynasty to the Chao dynasty was confronted with each others’ countries to expand their territories At that time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mselves by the suggestions for governing and guiding for their countries which were political solutions. The philosophers, Confucius (孔子), Mencius (孟子), Xunzi (荀子), Mozi (墨子), Laozi (老子), Zhuangzi (莊子), etc., they had no ethical norms to solve the problems. Although Han Feizi’s philosophy agreed partly the government and enlightenment over human beings’ natural state, he believed that their philosophy couldn’t be the basic solution against the confused and troubled times. So he insisted that the a new suitable political strategy is to be centered by the law-governed state by political power. Han Feizi criticized Shen Buhai (申不害) who insisted on using only artifices not the application of law and Shang Yang (商鞅) who insisted on using only artifices not the application of law. Therefore he insisted on using jointly the application of artifices and laws. Also he insisted that a state is a monarch’s horse, therefore he could controll by artifice. he believed that if in case of disregarding on the relations of law and artifice and power. As we have examined above, Han Feizi power same time. Also that means that the relation of artifice and power shows unavoidably. According to the above, Han Feizi regarded courtesy as power and use as law and artifice, And he studied and analyzed Xian Qin’s (先秦) lawful idea. And he reorganized Xian Qin’s works, which was described that monarch’s sovereign power was regarded as important means of law and artifice to execute his state.

      • 철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

        조민환(Jo, Min-Hwan) 한국서예학회 2008 서예학연구 Vol.13 No.-

        Calligraphy of our own mental world of the South Korea, South Korea tries to reveal the identity of calligraphy, but because of many limitations deep discussion has not come true. the phenomenon has been caused because it is simply a field of calligraphy. Now, like other arts and calligraphy in Korea and looking at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ethnicity, history and the hearts, emotions, we need to consider the kinds of value reflect the results of 写意. Korea, on the basis of the reasons for calligraphy to find a philosophy of performance refers to the artistic features. In this regard, the existing distinction between the types I mentioned,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beauty 'naturalness', 'artless artifice' attention and to be mentioned. This 大巧若拙and my own spirit 眞情and talking about art ever 创新道法自然very closely are related to ideology and the state Lee said stupidity, the price of the tense, analysis, authoring the streets and clearing our minds and their eyes can not see well in the land of tiresome free ablative case is the reason for the quest. beauty and ugliness and right and is the result of insensitive 玄同. Although it forms rough and earthy, but of life '儿孩and the same men of the mind, and putting me in the recovery has come back to nature. Soon to take leisurely 老境and shows the beauty of things, therefore, Lee stupidity said you will tell the features of Korean beauty 'naturalness' views on a variety of related philosophical and aesthetic. I think this will be the foundation. Lee emphasized learning old, however, it old one is to be screwed down to two. Upcoming "学古means through getting out of themselves intended to pursue," said the damgyeojyeo. It old law acrosses the world over how to learn spirit is regarded as a consrouint to achieve. Rising to the level my active 古also ultimately can be used to write my law. The ultimate goal of eventually Lee said, it can be to spirit is regarded as a consrouint. This is ground not law of the level of the rational and reasonable as we are leaving. Words can not explain, 言不尽 意and the ground, heaven and earth, nature and level of human. Therefore, the dimennal ai reaso the grmther natur regaings full of degrees to the work of the level of skill in the artless expressal a of heart 写意to pursue the enemy state. It's the ground rs r a consstupidity.rn ina varies asec ns of living in d, it can bein narrowness and a bunchd, it oe e, but said, stupidity, and fewit oe e havlawoken. Wiit the stupidity and particular narrowness telling people is not exaggeration. Therefore, Stupidity associates with such Korean beauty 'naturalness', 'artless artifice' of calligraphy ever philosophical, aesthetic aspects that can well represent them. South Korea and China, this is the beauty of the calligraphy and the calligraphy of the spirit has a similar discrimination, but the point is found. Spirit of calligraphy, or Calligraphy psychiatric or 'different' no 'merits of the issue of non-face environment or other people associated with the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s in the region should belong to the idea of the story from what is said. In this sense, we say that only 23 stupidity Korea, or the spirit of calligraphy more than the beauty and depth to which the association will be pondered 그동안 한국서예계는 우리만의 서예정신, 한국서예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해왔지만, 여러 가지 한계성 때문에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것은단순히 서예라는 한 분야에만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이제 여타의 한국예술과 마찬가지로 서예를 바라보는 관점 역시 한국인의 민족성, 사상과 심성, 정서, 가치관이 반영되어 이루어낸 결과물인 寫意적 예술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곧 융합적 사유의 바탕 위에서 한국서예의 철학성과 미적 특징을찾아봐야 하는 것을 일컫는다. 나는 이런 점에서 기존의 타자와 구별되는 한국미의특징에 대한 다양한 언급 가운데 ‘자연성’, ‘무기교의 기교’ 등의 거론에 주목한다.이것은 大巧若拙 및 나만의 眞情성과 創新적 예술정신을 펼쳐낼 것을 말하는 道法自然의 도가사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전통적으로 정제미와 균제미 혹은 유가적 차원의 天理나 溫柔敦厚한 中和美를담아낸 예술정신은 예술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바를 말한다. 서예에 있어서 그 중심에는 書聖으로 일컬어지는 王羲之가 있었다. 서예의 姸媚함과 세련됨의 극치를보여준 그에 대하여 주목한 우리나라의 역대 서론에는 玉洞 李漵의『筆訣』, 圓嶠李匡師의『書訣』그리고 秋史 金正喜의 서론 등이 있는데, 크게 보면 이 자료들은일종의 문인 서예에 관한 다양한 견해와 서예란 무엇인가에 대해 형이상학적 접근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이 점은 앞서 거론한 자연성, 무기교의 기교 등의 가치를 한국미의 특징으로 확인해보고자 하는 일과는 일정정도 거리가 있다. 그에 비해 愚拙 과 通靈을 통해 자신의 서예정신과 작품세계를 펼친 創巖 李三晩의 서론『書訣』은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李三晩이 말한 愚拙은 유가의 긴장된, 절제된, 분석적인 마음을 비우고 俗輩의눈으로 보면 잘 알 수 없는 무심의 경지에서 자유롭게 탈격, 탈법, 탈기교를 추구하는 사유이다. 美醜와 是非를 구분하지 않는 玄同의 결과물이다. 비록 형태적으로 는 거칠고 소박하지만, 늘그막 인생의 解依般礡의 자세이자, ‘兒孩와 같은 어른’의마음가짐으로 나에게 들어온 자연을 다시금 회복하고 담아내고 있다. 곧 여유롭게소요하는 老境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는 것인데, 그러므로 李三晩이 말한 愚拙은 한국미의 특징으로 말해지는 ‘자연성’과 관련된 다양한 견해에 대한 철학적 미학적근간이 된다고 생각한다. 주의해 살펴볼 것은 李三晩은 특히 學古를 강조하지만, 그것은 古에 얽매이고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곧 “學古를 통하여 뜻의 自適을 추구하는 의도”가 담겨져 있다고 하겠다. 그것은 古法 너머 세계를 체득하는 방법을 통해 通靈을 이루기 위함인데, 이 경지에 오르면 古도 능동적으로 나의 것이 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나의 법에 의한 글씨를 쓸 수 있게 된다. 李三晩의 궁극적 목표가 바로 通靈에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다. 그 경지를 말하자면 우리의 이성과 합리를 떠한 無法의 경지이다. 말로 설명할 수 없는 言不盡意의 경지이자, 천지자연과 인간이 합일된 천인합일의 경지이다. 곧 단순히 자연물을 모방하는 차원이 아닌 體道의 경지에서 무기교의 기교를 부려 자신의 마음을 담아 표현한 寫意적 경지를 추구하고 있다. 환언하면 愚拙이 실현되는 경지이자, 동시에 悠悠自適하는 逍遙의 경지이다.여기서 주목되는 바는 바로 愚拙이다. 중국서화사는 물론 한국서화사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拙을 말한 사람은 여럿 있지만, 愚를 말한 사람은 거의 없다. 특히拙을 愚와 관련지어 함께 말한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는 한걸음 나아가 愚拙이야말로 한국미와 관련된 ‘자연성’, ‘무기교의 기교’적 서예를 철학적, 미학적 측면에서 잘 대변해주고 있다고 보는데, 이 점이 한국과 중국의 서예미학 혹은 서예정신이 비슷해 보이지만 차별성을 가지는 점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삼만이 말한 愚拙이 한국서예정신 혹은 서예미학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보다 더 심도있게 고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鄭燮 書藝에 미친 老莊美學

        조인숙(Cho In-Suk)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7 No.-

        Pan Kyo would master principle of nature. All natural beings should conserve their innate nature from his view point. He, as a energy theorist, would insist that all things in universe should be composed of energy and he should paint as Heaven has created. He would not have a particular master, but he would look up to nature as his mentor. This would be on the basis of idea of Lao-Tzu in which all creatures should resemble nature and it would be the most ideal that all creatures should act according to innate nature, and idea of Chuang-Tzu in which great beauty could be made in the world when our mind would move according to principles producing all creatures in nature as it is. We can find a factor of anti-neutralized unconventional-beauty in his incomplete handwriting. The stone in his painting would be ugly, but the ugly stone would be gallant and eminent. And he would express disssatisfaction with his society, gloom, anger and sorrow in his life as ugliness, peculiarity, oddity and disorder. This is based upon viewpoint at beauty and ugliness of Lao-Tzu and Chuang-Tzu in which Lao-Tzu and Chuang-Tzu would worry what is the real beauty through relativity of beauty and ugliness. He disgusted with official position he envolved in middle age after hard times and achieved wisdom of living like a fool. Under friendship with nature,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his spirit is shown in his works and expressed at his pleasure. His energy can be freely exposed because his mentality was emancipated. This mental emancipation would be obtained when unification of myself and objects, unity of object and myself, concept of Chuang-Tzu, would be embodied under human emotional meditation. We can find mentality in which Pan Kyo would like to be unrestricted in great artifice of Lao-Tzu and Chuang-Tzu, similar to doing-nothing-but-not-doing nothing, and unity of artifice-Tao. 板橋는 自然의 도를 체득하였다. 모든 자연물을 있는 그대로 두고 타고난 天性을 보존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그는 元氣論者로서 우주만물은 모두 元氣가 뭉쳐 이루어진 것이며, 하늘이 만들어 낸 것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니, 자신은 스승이 따로 없고 自然을 스승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이는 萬物은 자연을 본받아야 하며 그 本性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하는 老子의 사상과 無爲自然으로 萬物을 생기게 하는 道안에서 마음이 노닐게 될 때 천지에 大美가 있게 되는 것이라고 말하는 莊子의 사상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六分半書에서 脫 中和的 破格美의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그는 자기가 그린 돌은 醜石이지만 ‘醜而雄’이고 ‘醜而秀’라고 하였으며, 그는 자기의 一生 가운데서 사회에 대한 불만과 우울, 분노와 애통을 醜?怪?奇?亂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美醜의 상대성을 통하여 진정으로 아름다운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 老莊의 美醜觀에서 찾을 수 있다. 끝으로, 갖가지 어려움을 겪은 후 知天命의 나이에 관직에 나갔던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증을 느끼고, 마침내 難得糊塗라는 멍청하게 살아가는 지혜를 얻었고, 自然과 벗하며 安貧樂道하고 싶어 하는 정신이, 그의 작품 속에서 天氣가 流露하고 縱橫이 자유롭게 표출되었는데, 이는 그의 心性의 大 解放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같은 정신적 解放은 莊子의 物我一體 사상, 物과 我의 통일이 인간의 감성적 觀照 속에서 체현될 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老莊의 無爲而無不爲의 大巧, 技道合一의 경지에서, 板橋가 자유로워지고자 했던 정신세계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본시장법 제178조 제1항 제1호에 대한 연구

        최승재 한국금융법학회 2009 金融法硏究 Vol.6 No.2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CMFIBA) was enacted and entered into its effect since Feb. 4. 2009. Accordingly Commercial code was changed and other rules and regulations of FSS and FSC, KRX has been made and promulgated following the CMFIBA. Still number of problems are open to the scholars and attorneys in the financial area. One of the issues is how to interpret the CMFIBA Article 178-1-1 without violating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CMFIBA Article 178-1 contemplated that No one shall commit any of the following acts in connection with trading (including public offering, private placement, and sale in case of securities; hereafter the same shall apply in this Article and Article 179) or other transaction of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CMFIBA Article 178-1-1 prohibits the activities utilizing an unfair artifice, scheme, or devices and anybody who violates this article shall be punished criminally. Due to the criminal sanction, CMFIBA Article 178-1-1 possibly declared as null and void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because that Article is too vague to follow from the normnehmer's standpoint. For the purpose of avoiding this occasion, this paper try to show some justifying reasons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relying upon the theories and progresses in Germany and make the meaning of the words, that is artifice, scheme, or devices one by one more clear enough to follow by giving some definitions and occasions when the words can be appli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百濟의 ‘九九段’ 木簡과 術數學

        윤선태(Yoon, Seon-t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泗沘 시기 백제 지배층들의 사상적 기반과 학문적 저변은 상당히 넓었다. 당시 백제 지배층들은 유학이나 불교뿐만 아니라 陰陽五行, 曆法, 醫藥, 占卜, 觀相 등 ‘術數學’의 여러 학문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있었다. 최근 발굴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백제의 木簡에도 약간이지만 술수학과 관련된 몇몇의 자료들이 보고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목간들의 내용과 기존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백제의 算學 및 醫藥의 일측면을 보완해보았다. 우선 부여 쌍북리에서 백제의 ‘九九段’ 목간이 발굴되었다. 이 목간은 형태와 서식으로 볼 때, 각 단을 횡선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시각화하여 각 단의 공식을 찾기 쉽도록 배열할 목적에서 애초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고안한 ‘구구단 公式表’라고 명명할 수 있다. 말단의 관료도 구구단을 외우고 있었지만 셈법에 틀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기 위해 검산과정에서 이 공식표를 이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九九術’은 단순하지만 사람들은 그 數에 내재된 법칙성과 정연한 논리 구조를 자각하고 감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구구술’은 오랜 세월동안 數術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지녔다. 따라서 구구단을 직각삼각형에 담으려고 한 발상은 『周髀算經』에 3:4:5의 직각삼각형을 우주의 완전체로 이해하고 있었던 점과 관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백제에서는 이미 한성시대부터 중국의 술수학을 통해 음양, 5행, 10간, 12지, 64괘가 만들어내는 우주, 자연, 인간에 구현된 數의 상징성과 규칙성을 깊게 받아들였다. 백제에서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5나 6, 또는 그 둘이 병칭되는 사례가 많이 확인된다. 또 백제의 핵심관부인 22部司가 왕실이 관할하는 內官 12개 관청과 중앙행정을 담당하는 外官 10개의 관청으로 구성된 것도 바로 天數 12와 人數 10의 상징성을 政治에 적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支藥兒食米記’목간도 그간 백제의 醫藥과 관련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이 ‘支藥兒食米記’를 ‘藥兒에게 食米를 支給한 記錄’으로 해석하고, 백제의 藥兒를 唐의 ‘藥童’이나 古代日本의 ‘藥生’과 같은 관인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기존에 제기되었다. 이 약아나 약생은 약재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거나 빻고 채질해서 調劑할 준비를 했던 의약전문 관인이었다. 그런데 백제의 藥兒 또는 支藥兒는 지급된 食米의 양으로 볼 때 인원이 22명 이상이었다는 점에서, 율령관인이었던 약아나 약생과는 다른 존재였다고 생각된다. 고대일본의 경우 藥生 밑에 말단의 사역인인 ‘客作兒’나 ‘嘗藥小兒’ 등이 확인되는데, 백제의 약아 또는 지약아는 이들과 그 성격이 유사한 존재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 작명방식도 이들과 유사한 ‘支藥兒’로 보인다. ‘支藥兒食米記’목간의 출토지는 지방에서 都城으로 들어오는 입구, 도성의 경계지점에 해당된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男根形’ 목간이나 ‘水’字가 여러 개 連書되어 大祓 의식 때 ‘洗淨’의 의미로 만든 주술목간 등으로 볼 때, 이곳은 주기적으로 災厄을 막기 위해 祭祀가 벌어졌던 非日常的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 陵寺가 완공된 이후에는 사찰이 그러한 의식들을 일부를 주관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지약아목간’의 내용으로 볼 때, 능사에는 능사가 완공되기 전부터 都城人이나 지방관(道使), 지방인(彈耶方) 등 도성을 출입하는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치료소는 고려의 ‘東西大悲院’이나 고대일본의 ‘施藥院’처럼, 大慈大悲의 뜻을 담아 사찰이 완공된 뒤에도 부속시설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치료시설에는 藥園이 할당되었고, 이에는 약을 재배하는 藥戶를 비롯해 藥材를 능사로 운반하는 支藥兒와 같은 말단의 사역인들이 예속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백제와 왕릉을 수호하는 능사가 도성의 경계 지점이라는 비일상적 제의공간을 활용해 도성을 출입하는 관인과 인민에게 施惠를 베푸는 권력 장치로 기능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부여 관북리 蓮池에서 출토된 나무로 만든 팔과 다리는 어깨와 고관절 부위에 연결용 구멍이 두 개 있는 나무인형의 부속품으로 추정된다. 이 목제의 팔과 다리는 일본에서 소위 ‘마리오네트(marionette)式 人形’으로 부르는 ‘詛呪’와 ‘呪禁’의 치료용으로도 사용했던 인형의 부속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주금의식에는 고대일본이나 고려의 사례로 볼 때, 인형을 ‘結縛’하는 의식이 행해졌는데 그때 주술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와 방불하도록 손과 발이 움직일 수 있는 인형을 제작하였다. 또 고대일본의 발굴사례로 보면 결박된 팔이 빠진 채로 발견된 인형도 있어서 관북리 연지의 팔과 다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형에서 분리된 부속품일 가능성이 있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s Shushu(artifice studies), calculations and medicines through wooden document from the recent excavation in Buyeo. In Ssangbuk-ri, a wooden multiplication table was excavated. Originally designed in the form of a right-angled triangle, it can be called the “official table for multiplication” in terms of its form and format. Most petty officials memorized it,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used this official table in order to make the best of the calcul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wooden document will be excavated in China and Japan in the future. At a temple site in Neongsan-ri, wooden document of ‘Jiyakasikmigi(支藥兒食米記)’ was excavated. The place where it was excavated is the entrance to the capital, Sabi, the border of the city. It was a special space where ceremonial ceremonies periodically took place to prevent calamity. There seemed to be facilities for treating people who entered and exited the city. At this treatment facility, low ranking servants such as ‘Jiyaka(支藥兒)’, would have been subordinated. At a lotus pond In Kuanbuk-ri, wooden arms and legs were excavated. Researchers estimated that they were used as parts of a wooden doll with two holes in the shoulder and hip joints. In Japan, accessories for the marionette type dolls used for treatment were unearthed. In ancient Japan and Goryeo, a ceremony of witchcraft was held to “tie” the dolls. For this purpose, they made dolls that could move their hands and feet. Wooden arms and legs of Kuanbuk-ri are also possible accessories of such dolls.

      • KCI등재
      • KCI등재

        주제별 논단 :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의 규제 ; 자본시장법 제178조 제1항 제1호에 대한 연구

        최승재 ( Sung Jai Choi ) 한국금융법학회 2009 金融法硏究 Vol.6 No.2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CMFIB A)(142)) was enacted and entered into its effect since Feb. 4. 2009. Accordingly Commercial code was changed and other rules and regulations of FSS and FSC, KRX has been made and promulgated following the CMFIBA. Still number of problems are open to the scholars and attorneys in the financial area. One of the issues is how to interpret the CMFIBA Article 178-1-1 without violating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CMFIBA Article 178-1 contemplated that No one shall commit any of the following acts in connection with trading (including public offering, private placement, and sale in case of securities; hereafter the same shall apply in this Article and Article 179) or other transaction of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CMFIBA Article 178-1-1 prohibits the activities utilizing an unfair artifice, scheme, or devices and anybody who violates this article shall be punished criminally. Due to the criminal sanction, CMFIBA Article 178-1-1 possibly declared as null and void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because that Article is too vague to follow from the normnehmer`s standpoint. For the purpose of avoiding this occasion, this paper try to show some justifying reasons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relying upon the theories and progresses in Germany and make the meaning of the words, that is artifice, scheme, or devices one by one more clear enough to follow by giving some definitions and occasions when the words can be applied.

      • KCI등재

        인위(유위)의 정치에 대한 노자의 비판

        이재권 한국동서철학회 2024 동서철학연구 Vol.0 No.111

        This paper examines Lao Tzu's critique of the politics of action and inaction. The collapse of the stable slave-based feudal system in the Western Zhou caused great social turmoil, but another way to look at it is that the emperors were engaged in a unifying war to establish a centralized, unified state. While they developed industries to win the war, the war took a toll in terms of human lives and economic destruction, leaving the people in dire straits. The typical solutions to this social chaos and disorder were the establishment of the humanistic ethical code of the Confucians and the rule of law of the Legalists, who espoused extreme humanism. However, Lao Tzu criticized these solutions as creating problems such as oppression, bondage, restraint, interference, domination, and control over the lives of individuals. The gist of Lao Tzu's criticism is that politics based on the principles of humanism, such as Confucianism and legalism, are unnatural, artificial, and contingent, and therefore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he following section of this paper has been devoted to the criticism of the improper ruling behavior of actual rulers. The actual politics of the tyrannical rulers of the time is also an artificial or contingent politics. Their theories and governing behaviors put yokes on people's minds and shackles on their hands and feet, restraining their freedom. Therefore, the people did not trust the rulers, whom Lao Tzu criticized. Lao Tzu also criticized rulers for their economic plunder, irrational stubbornness and arrogance, boasting, and fake learning and skill. Lao Tzu's criticism of the politics of reality is a prerequisite for the politics of the ideal of In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