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awberry Plant Wetness Detection Using Color and Thermal Imaging

        Swarup Anushka,이원석,Peres Natalia,Fraisse Clyde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바이오시스템공학 Vol.45 No.4

        Purpose Leaf wetness is the presence of free water on the surface of a crop canopy. It is mainly caused due to factors such as rainfall, dew, and irrigation. The duration for which water is present on the crop surface is called the leaf wetness duration (LW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f wetness and plant disease has been studied for centur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rate of infec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temperature of plants during the wet periods. Thus, it is imperative to detect and monitor the presence of water on the plant surface. Methods Currently, the most popular solution for this purpose is to use electronic leaf wetness sensors which are difficult to calibrate and are not user friendly. This research aimed at detecting leaf wetness in strawberry plants using noninvasive optical methods such as color and thermal imaging. Results It was found that color imaging yielded good classification result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wet and dry leaf surfaces. However, its dependence on illumination conditions was a drawback. Thermal imaging proved to be useful when using highresolution cameras for water droplet detection but was dependent on ambient weather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fusing color and thermal imaging technologies could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present when using these technologies individually and could prove to be potent in detecting leaf wetness.

      • KCI등재

        불규칙 파랑 중 직접 예인하는 케이슨의 상판침수에 대한 시간 영역 해석

        허재경(Jae-Kyung Heo),박창욱(Chang-Wook Park)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8 No.1

        불규칙 파랑 중에서 직접 예인하는 케이슨의 상판침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패널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선형 운동해석을 수행하였고, 통계적 방법을 통해 상판침수를 예측하였다. 시간영역 해석에서는 예인시스템, 환경하중 등을 상세히 구현하여 운동해석을 수행하였고, 상판침수 결과를 주파수 영역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 영역 해석에서는 예인선의 수 및 배치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상판침수 측면에서 예인시스템이 미치는 영향과 운송조건을 고찰하였다. A numerical analysis on deck wetness is carried out for a large caisson directly wet-towed by tugs in irregular waves. A constant panel method is used for linear analysis in frequency domain and a statistical post-processing for the deck wetness is presented. Hydrodynamic coefficients obtained from the frequency domain computation are imported for time domain analysis which enables complete modeling for towing equipment, environment, etc. Both frequency and time domain computations over two sea states are performed and comparison is made. In the time domain analysis, towing systems of various arrangements of tugs are investigated from short-term prediction for the largest deck wetness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deck wetness.

      • KCI등재후보

        지표면 wetness에 따른 오존의 건성침적속도 특성

        이화운,김유근,문난경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4

        It has been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osition velocity and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deposition phenomena and deposition velocity also has been estimated for several land-use types. The typical deposition velocities are complex functions of surface types, atmospheric stabilities, friction velocities, air pollutants and so on. The canopy resistance is major contribution to the model's total resistance for O_3. Canopy wetnes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o calculate deposition velocity, We considered the canopy wetness as canopy water content(CWC) in our Model, But, it is not easy to observe CWC over each land-use types. In this study, we use CWC observed by EMEFS(CANADA Environment Service, 1988)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WC in estimation of O_3 dry deposition velocity(V_4) in summertime. The value of O_3 V_4 range 0.2~0.7㎝ s^-4 on dry surface and 0.01~0.35㎝ s^-4 on wet surface in daytime.

      • KCI등재

        상아질 표면 젖음성이 수종 자가접착레진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윤성영,박세희,김진우,조경모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표면 젖음성을 갖는 상아질에 대한 수종의 자가접착레진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위해 Rely-X Unicem (3M. ESPE. St. Paul. MN. USA). Embrace Wetbond (Pulpdent. Oakland. MA. USA). Maxcem (Kerr. Orangc. CA. USA) 3종의 자가접착레진시멘트를 사용하였다. 발거한 상, 하악 대구치 60 개를 미세절단기 (Acutom P-50, Struers, Copenhagen Denmark)를 이용해 한 치아에서 2 mm × 2 mm × 7 mm의 치아 시편 두개씩 얻었다. 상아질 표면을 건조 그룹은 10 초간 강한 공기로 건조시켰고, 습윤 그룹은 과잉의 수분을 2 초간 거즈로 압박해 제거하였다. 상아질 표면의 젖음성을 달리한 시편에 자가접착레진시멘트를 접착한 후 상온의 상대습도 100% 상태에서 24 시간 보관했고, 만능시험기 (EZ Test, 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를 이용해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했고, 분리된 접착면의 파절양상을 근관 치료용 현미경 (OPMI pro.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을 이용해 20 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SPSS™ Ver 10.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응하여 동일한 자가접착레진시멘트에서 상아질 젖음성에 따른 인장접착강도를 T-test로 비교하였으며, 각 자가접착레진시멘트간의 인장접착강도를 One way ANOVA test로 비교 분석하고 95% 유의수준에서 Scheffe's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실험 결과 자가접착레진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는 상마질 젖음성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상아질 표면 젖음성과 상관없이 Maxcem의 인장접착강도가 Unicem과 Embrace의 인장접착강도보다 유의성 있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편의 분리된 접착면은 접착실패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자가접착레진시멘트는 상아질 표면 젖음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several self-adhesive resin cements bonded to dentin surfaces with different wet conditions. Three self-adhesive resin cements:Rely-X Unicem (3M ESPE. St. Paul, MN USA). Embrace Wetbond (Pulpdent. Oakland. MA, USA). Maxcem (Kerr. Orange, CA USA) were used. Extracted sixty human molars were used. Each self-adhesive resin cement was adhered to the dentin specimens (two rectangular sticks from each molar) in different wet conditions. Tensile bond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 at a crosshead speed of 1.0mm/min. After the testing bonding failures of specimens were observed by Operative microscope (OPMI pro.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tin surface wetness. One-way ANOVA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self-adhesive resin cements in the same condition. Scheffe'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zing at the 95% level of confidence. The result showed that wetness of dentin surface didn't affect tensile bond strength of self0adhesive resin cements and Maxcem showed the lowest tensile bond strength.

      • KCI등재

        Atmospheric Corrosion Monitoring with Time-of-Wetness (TOW) Sensor and Thin Film Electric Resistance (TFER) Sensor

        Jung, Sungwon,Kim, Young-Geun,Song, Hong-Seok,Lee, Seung-Min,Kho, Young-Tai 한국부식방식학회 2002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31 No.5

        In this study, TOW sensor was fabricated with the same P. J. Serada's in NRC and was evaluated according to pollutant amount and wetldry cycle. Laboratorily fabricated thin film electric resistance (TFER) probes were applied in same environment for the measurement of corrosion rate for feasibility. TOW sensor could not differentiate the wet and dry time especially at polluted environment like 3.5% NaCl solution. This implies that wet/dry time monitoring by means of TOW sensor need careful application on various environment. TFER sensor could produce instant atmospheric corrosion rate regardless of environment condition. And corrosion rate obtained by TFER sensor c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wetldry cycle, wet/dry cycle time variation and solution chemistry. Corrosion behaviors of TFER sensor showed that corrosion could proceed even after wet cycle because of remained electrolyte at the surface.

      • KCI등재

        보급형 윈드서핑 장비 개발을 위한 보드형상 특성 연구

        임장곤(Jang-Gon Im),서성부(Sung-Bu Suh) 한국해양공학회 2010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4 No.4

        In this paper, the shapes of windsurfing boards are proposed for the promotion of their public utilization. Initially, we investigated the principal dimensions of 1,500 windsurfing boards that were produced in the last six years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ards. Then, model tests were performed in a circulating water channel to determine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the flow phenomena, including the wetness of the decks. After analyzing the principal dimensions and the results of the tests of existing windsurfing boards, we proposed four public board shapes that resulted from changing the shapes of the nose and rail and protecting the deck of free-ride boards from wetness. Finally, we predicted the performance of the four proposed windsurfing boards.

      • KCI등재후보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rol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self-etching adhesive system

        Jin, Myoung Uk,Kim, Young Kyung,Park, Jeong-won 大韓齒科保存學會 2002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7 No.4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는 산 부식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하는 wet-bonding 술식을 많이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self-etching primer의 경우 산부식과 priming 과정이 동시에 시행되고, 제조자들은 건조된 치아표면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정도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추천사항이 없으며,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질 삭제 후 남아있는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의 레진 접착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96개를 이용하여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고, 법랑질 면을 노출시킨 군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 후, 30분 공기 중 방치 군(1군), 5초 공기 건조 군 (2군), 1초 공기 건조 군(3군), 솜으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한 군(blot dry)(4군) 등 총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인 Clearfil SE Bond primer를 20초간 적용하고, bonding제 도포 후 10초간 광중합 시행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치아면에 몰드를 고정한 후 Clearfil AP-X 복합 레진을 2mm 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 응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에서, 30분 건조군과 5초 공기건조군이 1초와 blot drying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을 사용함에 있어서 법랑질과 상아질군 공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수분의 존재시 치아와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접착제의 적용시 수분의 조절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서리 탐지를 위한 ‘무인 다중센서 기반의 관측 시스템’ 고안, 설치 및 시험 운영

        김수현,이승재,손승원,조성식,조은수,김규랑 한국농림기상학회 202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frost observation and the related image data acquisition through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Multiple-sensor based Frost Observation System (MFOS). The MFOS is composed of an RGB camera, a thermal camera and a leaf wetness sensor, and each device performs complementary roles. Through the test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fore the occurrence of frost,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increased when maintaining high relative humidity in the case of no precipitation. In the case of Gapyeong- gun, the high relative humidity was maintained due to the surrounding agricultural waterways, so the voltage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GB camera image, leaf wetness sensor and the surface were not observe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but were observed for the rest of the time.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precipitation period and decreased after the precipitation was terminated. In the RGB camera image,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thermal camera image was taken due to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not observed. Through, where actual frost occur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 value of leaf wetness sensor was higher than the range corresponding to frost, but frost was observed on the surface and equipment surface by the RGB camera. 본 연구는 MFOS라 명명한 다중센서 기반의 서리관측 시스템의 고안 및 설치를 통해 서리의 자동 관측 가능성 및 실제 서리 발생 시 관련 영상 자료를 제시하였다. MFOS의 구성은 RGB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LWS이며, 각 장비들은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서리 발생 전 장비의 시험 운영을 통해, 무강수 사례인 경우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할 때 LWS의 전압값은 증가하였고, 특히 주변의 농수로로 인해 높은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가평군 관측지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RGB 카메라 이미지에서는 일출 전과 일몰 후에 LWS와 지표면을 관측할 수 없었으나 나머지 시간에 대해서는 가능하였다. 강수 사례의 경우 강수 기간 동안 LWS의 전압값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강수 종료 후 감소하였다. RGB 카메라 이미지는 강수 현상과 상관없이 LWS와 지표면을 관측하였다. 반면,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강수 현상으로 인해 이미지 촬영은 되었지만 LWS와 지표면을 관측하지 못했다. 실제 서리가 발생한 사례의 자료를 통해, LWS의 전압값이 서리에 해당하는 범위보다 높더라도 RGB 카메라가 서리의 지표면 및 장비 표면 발생을 관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위성토양수분과 지점강우량을 이용한 지역 선행습윤조건 분석

        선우우연 ( Woo Yeon Sunwoo ),김다은 ( Da Eun Kim ),황석환 ( Seok Hwan Hwang ),최민하 ( Min Ha Choi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5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성은 유역의 수문학적인 반응과 지표 대기간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관심사로 특히, 강우유출 예측 시 유역의 강우사상에서 사전 토양수분 상태 즉, 선행습윤조건(antecedent wetness conditions, AWC)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습윤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토양 습윤지수(SWI), 5일 선행강우지수(API5), 위성토양수분(SMrs), 5일 지점토양수분(SMg5)을 선정하여 한반도 4개 지점에 대한 선행수분조건을 파악하였다. 토양수분 자료는 AMSR-E로 관측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지역별로 2011년의 강우사상을 선택하여 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SCSCN) 법과 강우량을 활용하여 직접유출고와 최대잠재보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토양의 습윤상태를 나타내는 4개 지표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최대잠재보유량과 SWI가 평균 -0.73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토양수분의 시간적 변동성을 나타내는 time length를 산정한 결과 지역 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지역 및 토양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관측된 토양수분이 지표의 습윤상태를 예측하는데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oil mois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ests in hydrological respons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and surface and atmosphere. Estimation of Antecedent Wetness Conditions (AWC) which is soil moisture condition prior to a rainfall in the basin should be considered for rainfallrunoff prediction. In this study, Soil Wetness Index (SWI),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PI5),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SMrs), and 5 days ground Soil Moisture (SMg5)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AWC at four study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data were taken from the AMSR-E soil moisture archive. The maximum potential retention (Sobs) was obtained from direct runoff and rainfall using 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SCS-CN) method by rainfall data of 2011 for each study area. Results showed the great correlations between the maximum potential retention and SWI with a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is equal to -0.73. The results of time length representing the time scale of soil moisture showed a gap from region to region. It was due to the differences of soil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Since the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has been proved as reasonable hydrological variables to predict a wetness in the basin, i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 KCI등재

        유사 동력학적 습윤지수와 동력학적 습윤지수의 개발과 적용

        한지영,김상현,김남원,김현준 한국수자원학회 200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6 No.6

        토양수분 분포의 시공간적인 예측을 위하여 유사 동력학 상태의 습윤지수 계산과정을 정리하였고, 우량 자료를 회귀적분한 동력학적 습윤지수의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설마천 유역의 수치고도 모형과 2년간의 우량자료를 활용하여 동력학적 상태의 습윤지수의 시·공간적인 거동을 분석하였다. 공간적인 거동은 동력학적인 습윤지수가 유사 동력학적 상태나 정적인 습윤지수와 비교하여 흐름분산 특성이 강조된 분포특성을 보여주었다. 통계적인 특성으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Formulation of quasi-dynamic wetness index was derived to predict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soil moisture. The algorithm of dynamic wetness index was developed through introducing the convolution integral with the rainfall input. The 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