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和寺 鐵造盧舍那佛像의 圖像的 意義와 造成背景에 관한 考察

        서지민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7 新羅文化 Vol.49 No.-

        Considering pattern characteristics and records about foundation,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late 9th century when the temples were buil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amhwasa-temples’ foundation, their iron Locana Buddha images are assumed to be one of the three Bhaisajyaguru Buddha brothers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ough it is not hard to believe the records, the points that they are iron Buddha and their hands are damaged correspond to those of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Also,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oundation, the iron Buddha’s hands are stored in stone pagoda, and in fact, six iron pieces were excavated from Samhwasa-temples’ three-storied stone pagoda. These iron pieces are supposed to be those of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Referring to the fact that in the same period, Tri-kaya Buddha was built in nearby area or that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inscription combined with another inscription is a complete form, we can assume that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were originally built as Tri-kaya Buddha. The examples referable to restore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Iconographic may be Locana Buddha images from Daenosanasanggam(大盧舍那像龕) in Longmen Grottoes temples(龍門石窟), China and also Locana Buddha images from Daebul-jeon(大佛殿) of Dongdae-temple(東大寺) in Nara, Japan. Because Abhay and Varada Mudra’s Locana Buddha images were Iconographic built in China and Japan, too, we can assume that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imitated the Iconographic of Locana Buddha images shared by the three states in East Asia. Also, considering these statues of Buddha, we can see that at least from the early 8th century, Abhay and Varada Mudra’s Locana Buddha images were built in Silla.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are said to have been built by the king’s wishes and famous Buddhist monk, Gyeoleon’s joining in the temple. However, it is still hard to believe that in consideration of their unsophisticated methods applied. Referring to the records about rebuilding of Sungbok-temple or the inscription of Carved buddha images in Yongbong-temple, we can assume that when building Samhwasa-temples’ iron Locana Buddha images, they may have used the king and Gyeoleon(決言)’s names deceitfully to justify the temple clearly and publicize it.

      •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의 조성과 그 의미

        장일규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9 No.-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삼화사 창건 내역과 노사나불상 조성의 내용, 그리고 불상 조성의 불교사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다만 불상의 양식을 중 심으로 고찰한 기존 연구와 달리 명문에 기록된 결언의 행적, 사상 경향을 통해서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 조성의 정치적인 입장을 주로 살폈다. 삼화사는 대체로 후삼국통일 이후에 왕건이 범일의 遺墟에 전각을 세우고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범일이 터를 닦기 이전에 이미 삼화사는 지금의 자리보다는 바다에 가까운 계곡 아래쪽에 자리 하였다. 삼화사 옛 터에는 석탑 1기와 함께 철불 2구가 있었다고 전한다. 현재는 1구의 철불만이 남아 있는데, 그것은 삼화사 적광전에 봉안된 노사나불상이다. 이 불상은 ‘말법이 시작된 지 300여 년’에 조성되었다.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상이나 염거화상 승탑의 명문과 관련하여 볼 때, 제작 시기는 대체로 860년 쯤일 것이다. 없어진 1구의 철불은 9세기에 전국적으로 비로자나불상 제작이 성행하였음을 고려하면, 비로자나불상일 것으로 짐작된다.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 조성 불사는 결언이 주관하였다. 결언은 삼화사 노사나 불상을 조성하는 불사를 설행한 뒤, 다시 숭복사 노사나불상을 제작하는 불사에 참여하는 등 주로 노사나불상 조성에 깊이 관여하였다. 숭복사 노사나불상의 제작은 경문왕의 지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도 경문왕 의 교서에 의해서 제작되었을 것이다. 곧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의 조성에는 즉위 직후 위상을 부각하면서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경문왕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 되었다. 결언은 해인사 승려였다. 헌강왕과 정강왕 때 해인사에서는 지엄과 의상을 추모 하는 법회를 개최하면서 60권 화엄경과 80권 화엄경을 사경하는 화엄불사를 설행하였다. 결언은 현준과 함께 이 불사를 주관하였다. 결언은 성기론적 화엄사 상을 가졌지만, 유식 논리에도 유념하였으며 실천 논리에도 관심을 가졌다. 결언 이 융섭적인 화엄사상을 강조하면서 노사나불상과 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는 불사를 주관하였으므로, 삼화사 노사나불상 조성 불사는 화엄사상을 통해 당시 불교계를 아우르려는 경문왕계 왕실의 입장이 반영되었다. 경문왕계 왕실은 노사나불상과 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면서, 당시를 말세로 인식하는 민심을 위무하고, 굴산 문과 같은 선종산문을 견제하려고 하였다. 결국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 조성 불사는 9세기 중반 이후에 경문왕계 왕실이 명주 일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삼척 을 전략적 요충지로 삼아 지배력을 유지하려고 하였던 정치적 의도와 밀접히 관련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oundation history of Samhwasa, the construction and the content of Nosanabulsang, as well as the Buddhist meaning of construction of Bulsang (statue of the Buddha)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ly, as opposed to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form of Bulsang, political perspective behind the construction of Samhwasang Cheoljonosanabulsang was mainly observed. Samhwasa is generally known to have been founded as Wanggeon built a royal palace on the historical site of Beomil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However, the record from the late Chosun reveals that it was already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a valley near the sea instead of the present location even before Beomil laid the foundation. It has been told that there was a stone tower and 2 iron Buddhas on the old site of Samhwasa. Today, only 1 iron Buddha remains and this seems to be Nosanabulsang that was enshrined before the serene light of Samhwasa. This Bulsang was built after 300 years of the start of the latter days of the law. Based on Dopiansa Cheoljobirojanabulsang and Yeomgeohwasang Seungtap of that perio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esumed to be around the year 860. The iron Buddha that disappeared is presumed to be Birojanabulsang based on the fact that it prevailed around the country in the 9thcentury. The Buddhist service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was supervised by Gyeoleon. Gyeoleon was deeply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Nosanabulsang, for example performing the Buddhist service for constructing Samhwasa Nosanabulsang, as well as attending the Buddhist rituals for building Soongboksa Nosanabulsang. The construction of Seungboksa Nosanabulsnag was supported by King Gyeongmun. Accordingly,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too was probably built following the order of king Gyeongmun. The King Gyeongmun’s political intention to accentuate its status following the accession to throne and to seize the political leadership was behind the construction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Gyeoleon was the Buddhist monk of Haeinsa. During the period of king Heongang and king Jeonggang, Haensa organized Buddhist ceremonies commemorating Jieom and Euisang, and performed Hwaeombulsa for the Avatamska Sutra(Hwaeomgyeong). Gyeoleon, along with Hyeonjun, organized Buddhist services. Natuallry, Gyeoleon had Hwaeomsasang, but was also interested in scholarly reasoning and practical logic. As Gyeoleon emphasized combined Hwaeomsasang as he organized Buddhist services building Nasanabulsang and Birojanabulsang,, the stance of King Gyeongmun wishing to embrace the Buddhism was reflected. The royal family of King Gyeongmun tried to pacify the public sentiment perceiving that the world was coming to an end, and to hold Seonjongsanmun in check. Finally, the construction Buddhist services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wa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intention of the royal family of king Gyeongmun who attempted to preserve its power with the interest in Myeongju areas and by using Samcheok as strategic point.

      • KCI등재

        삼화사 국행수륙재의 호국적 성격

        성청환 ( Sung Chung-whan ),박영만 ( Park Young-m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본 논문은 조선 태조가 처음으로 설행한 삼화사 수륙재의 고유성을 분석하고 이에 내포된 호국적 성격을 밝히는데 있다. 먼저 삼화사 창건과 관련된 설화를 살펴보면 삼화사 창건 그 자체가 왕실내지 국가와 밀접하게 관계하는 호국적인 성격이 있다. 삼화사의 창건은 선덕여왕의 왕권 강화를 위한 자장율사의 오대산 지역성역화 사업을 기원으로 삼든, 고려 태조의 후삼국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삼화사’라는 명칭을 하사한 것을 보듯이 어느 경우에도 왕권의 강화와 국가의 안정을 기원하는 불교의 호국적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점은 조선 태조가 최초로 국행수륙재로 설행한 삼화사 수륙재에도 동일한 의미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다. 태조 이성계가 삼화사에서 국행수륙재를 설행할 것을 명한 직접적인 원인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 부자가 조선왕조의 건국세력에 의해 삼척에서 죽음을 당하였기 때문이다. 삼화사 수륙재의 표면적인 설행목적은 고려 공양왕을 위한 천도였으며, 나머지 두 사찰은 개국의 과정에서 몰살당한 여타의 고려의 왕씨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였다. 삼화사 수륙재가 고려 왕실의 공민왕 천도를 목적으로 설행됨으로써 그 동기는 새롭게 건설한 조선의 번영과 왕실의 안녕을 위한 호국적 성격을 띤다. 조선 초기에 설행된 국행수륙재는 모두 좁은 의미에서 보면 태조가 몰살된 고려의 왕족에 대한 참회를 위한 행위였지만, 수륙재의 설행의 보다 큰 목적은 신왕조 개창초기의 사회적 화합과 결속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하였던 것으로 호국적 성격을 띤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uniqueness of the rite for saving all beings of water and land in the Samhwasa temple which was first performed by Taejo, Yi Seonggye (1335~1408) in Joseon Dynasty. After that,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he rite was reveal the patriotic character, state-protecting Buddhism. First of all, looking at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founding of Samhwasa, the founding of Samhwasa itself has a patriotic character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r the state. The establishment of Samhwasa was based on Jajangyulsa's sanctification project in the Odaesan mountain area to strengthen the kingship of Queen Seondeok in Silla Dynasty. It has a patriotic character of Buddhism that prays for stability and national stability. This point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same meaning to Samhwasa's amphibious material, which was first established by Joseon Taejo as a national expedition. The direct reason why Taejo ordered Samhwasa to preach national haengyangjae was because the last king of Goryeo, the rich man of King Gongyang, was killed in Samcheok by the founding forces of the Joseon Dynasty. The apparent purpose of Samhwasa Temple's sermons was a pilgrimage for the King of Goryeo's memorial service, and the other two temples were an event to commemorate the other kings of Goryeo who were annihilated in the process of opening up. As Samhwasa Suyukjae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Cheondo, King of Gongmin of the Goryeo royal family, its motive is the patriotic character for the prosperity of the newly built Joseon and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Moreover, through this rite the king planned for social stability. In a narrow sense, all of the state-run amphibious goods practi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acts of repentance against the Goryeo royal family where Taejo was annihilated which has a nationality character.

      • KCI등재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삼화사

        박동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0

        삼척(동해)지역의 대표적인 사찰인 삼화사에는 보물인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과 삼화사 삼층석탑이 위치하고 있다. 『三和寺古今事蹟』을 비롯한 삼화사 사적기와 『陟州誌』, 『眞珠誌』, 江原道誌, 『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범일이 삼화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지만 철불의 조상기를 통해 9세기 후반경 삼화사는 화엄종 사찰로 확인되었고, 범일이 사굴산문을 창건한 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삼화사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시대 삼화사를 전하는 자료인 『新增東國輿地勝覽』에 태조 왕건이 `三 和寺'라는 사찰명을 하사했다는 내용과 이승휴가 삼척에 은거할 때 삼화사에서 대장경을 빌려 보았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어 고려시대 삼화사는 태조의지원을 공식적으로 받은 사찰로 대규모의 장경고 시설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화사지에서 출토된 소탑은 『無垢淨光大陀羅尼經』에 의거한 장엄방식으로 동일한 석탑 봉안방식이 양양 선림원지에서 보이고 있어 삼화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동해・삼척의 불교문화는 경상북도 내륙과 태백산을 연결하는 백두대간을 따라 북상하여 영동지역 북부로 이어주는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Samhwasa Temple, a representative temple in the Samcheok (Donghae) region and a treasure, is home to the iron seated statue of Rocana Buddha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Samhwasa Temple. Historical records of Samhwasa Temple including Samhwasa Gogeumsajeok as well as those regional history books of Cheokjuji, Jinjuji, and Gangwondoji and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say that Beomil founded Samhwasa Temple. Related literature says that Beomil founded Samhwasa Temple, but through the record of how to make the iron Buddha statue, it was confirmed that Samhwasa Temple was a temple under the Huayan school around the late 9th century and understood that after Beomil founded the Sagulsan school, Samhwasa Temple exis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gulsan school. In the book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as a material saying Samhwa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Taejo Wanggeon, the founder king of the Goryeo Dynasty, bestowed the temple name `Samhwasa Temple(三和寺)'it seems that there was had a storage building of Tripitaka Koreana capable of storing up a large collection The pagoda excavated from Samhwasa Temple Site is a majestic method based on the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and the same stone pagoda enshrinement method is shown in Yangyang Seollimwon Site, The Buddhist culture of Donghae and Samcheok, which was formed around Samhwasa Temple, served as a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along the Baekdudaegan, which connects inland Gyeongsangbuk-do and Taebaeksan, to the northern part of Yeongdong area.

      • KCI등재

        기획논문 -주제: 한국 수륙재와 공연문화 : 삼화사수륙재의 특징과 가치 재고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수륙재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보다 다양한 논의를 할 수있는 공론의 장에 수륙재가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과거 문헌 자료를 토대로 복원한 역사적 무형문화재의 인정이라는 새로운 국면이 벌어지고 있음을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필자는 그렇게 수륙재 문화재 지정에서 포착된 두 가지의미를 바탕으로, 삼화사수륙재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았다. 기존 논의에서 언급된 삼화사수륙재의 특징과 가치를 ‘정통적 수륙재 의식문의엄정한 구현’, ‘국행수륙재 전통의 계승’, ‘지역문화전통과의 긴밀한 연관’ 등으로정리하고 이를 재검토한 것이다. ‘정통적 수륙재 의식문의 엄정한 구현’은 삼화사수륙재가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를 근간으로 복원한 것이라는 점에서 설정된 가치이다. 그 가치는 ‘고유하고 차별적인 관욕의식의 실행’이라는 특징으로 현상화된다. ‘국행수륙재 전통의계승’은 삼화사수륙재의 종목과 전승주체의 공식 명칭에서 나타난다. 문헌 기록을 근거로 ‘국행수륙재’라는 가치가 설정되었고, 그것은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에서도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지역문화전통과의 긴밀한 연관’은 방생의식의 존재라는 특징이 함축한 가치이다. 수륙재 본령의 생명 통합의 정신을 내세우면서인문적 지리적 환경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방생의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상에서 정리한 삼화사수륙재의 특징과 가치들이 서로 충돌하거나모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는 ‘정통적 수륙재 의식문의엄정한 구현’이라는 가치 실현의 핵심적 근거가 된다. 그런데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는 16세기 이후부터 삼화사에서 국행수륙재가 아닌 사찰 중심의 수륙재가 벌어졌음을 추정케 하는 자료이다. 여기서 ‘정통 수륙재 의식문의 엄정한 구현’이라는 가치와 ‘국행수륙재 전통의 계승’이라는 가치가 충돌을 일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통적 수륙재 의식문의 엄정한 구현’이라는 가치는 ‘지역문화전통과의 긴밀한 연관’이라는 가치 지향과도 충돌을 일으킨다. ‘지역문화전통과의긴밀한 연관’이라는 가치를 함축한 방생의식의 존재라는 특징은, 삼화사수륙재가 근간으로 삼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에는 존재하지 않는 의식이기 때문이다. ‘지역문화전통과의 긴밀한 연관’이라는 가치와 ‘국행수륙재 전통의 계승’이라는 가치 사이에도 충돌이 일어난다. 지역문화전통과의 긴밀한 연관이라는 가치를 함축한 특징인 방생의식은, 조선 초기 이후 쇠락한 수륙재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삼화사수륙재의 특징과 가치들은 서로 어긋나고 충돌을 일으킨다. 그러한 모순과 충돌의 양상은, 그동안 삼화사수륙재의 가치와 특징과 가치라 말해왔던 것들에 대해 다시 보게 만든다. 삼화사수륙재의 특징과 가치라고 그동안주장되어 왔던 것들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삼화사수륙재 연행과 전승의 산물이 아니다. 그것은 현재에서 미래로 향하는 지향들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2000년 이후 삼화사수륙재를 복원,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구성’하는 과정에서피력된 주체들의 지향인 것이다. 그 지향은 현재로서는 일원화되어 있지 않으며,엄정한 일관성을 갖고 있지도 않다. 그 지향들이 현재로서는 삐걱거리고 충돌을일으키는 형국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치와 특징의 모순과 충돌은 삼화사수륙재의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향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결국 삼화사수륙재의 가치와 특징에서 나타나는 모순과 충돌은 삼화사수륙재가 구성 과정 중에 있음을말하는 것이다. The Suryukjae(the Buddhist ritual for the lonely spirits of the deceased of water and land) have been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means that Suryukjae enters the field of public opinion that can make more extensive discussion. At the same time, it also would say that a new phase of recognition of Histori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is restored on the basis of past data is going on. On the basis of the acquired two meanings in the Suryukjae designate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 review the existing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which we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summarize such as the ‘rigorous implementation of orthodox Suryukjae text’,`` ‘succession of Gukhaeng Suryukjae(the national Buddhist ritual for the lonely spirits of the deceased of water and land)tradition’, ‘close association with local cultural tradition’, and then review them.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which we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were present in a contradictory or conflicting with each other. Aspects of such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should be re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which we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that have been claim in previous studies are not the products of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of Samhwasa Suryukjae from past to present, but the orientations of the construct-subjects of Samhwasa Suryukjae which are inclined from present to future. Those are the orientations of the subjects which been expres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 of the Samhwasa Suryukjae since the year 2000. Those orientations neither unity nor consistency. Currently, those orientations may cause a crash.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of characteristics and values result from difference of orientation which i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 of Samhwasa Suryukjae. In the end,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at appear i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amhwasa Suryukjae mean that Samhwasa suryukjae is during the configuration process.

      • KCI등재

        동해 삼화사지출토 불교유물에 대한 고찰

        최성은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동국사학 Vol.75 No.-

        신라하대에 창건된 삼화사는 고려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화재와 전란을 겪으며 법등을 이어왔다. 사찰은 원래의 삼화사터와 중대암터를 오가며 여러 차례 중건을 거듭했고, 1977년에는 현재 삼화사가 있는 중대사지 근처로 이전하였다. 그 전까지 삼화사가 있었던 원래의 삼화사지는 그 동안 여러 차례 지표조사와 시굴조사가 이루어졌고 2018년부터 최근까지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특히 4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금동여래입상과 납석제 소탑 6기, 청동존상 및 금속제 장식편 등, 미술사 유물들은 삼화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높이 8.38cm 금동여래입상은 얼굴의 相好와 신체비례, 세부표현, 주조기법에서 신라하대의 다른 금동불입상들과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소형의 금동불은 이동이 용이하여 출토지와 제작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할 것이나, 조형적인 면에서 신라하대 9세기 중후반으로 편년되는 금동여래입상이 삼화사지에서 출토되었다는 것은 삼화사의 창건시기 뿐 아니라 이 사찰에 전해오는 철조노사나불좌상의 제작시기와 관련해서도 참고할만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삼화사지 탑지에서 출토된 6기의 납석제 소탑은 1979년에 확인된 25기의 납석제 소탑과 함께 석탑 내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납석제 소탑은 삼화사 석탑이 8세기초에 신라에 전해진 『無垢淨光大陀羅尼經』에 의거하여 77기 또는 99기의 소탑을 탑 안에 봉안하는 장엄법식을 따랐음을 알려준다. 동일한 석탑 장엄방식은 億聖寺로 추정되는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에서도 보이고 있어 당시 溟州에 속했던 설악산 권역과 두타산 권역의 석탑 장엄방식이 동일했음을 알 수 있다. 삼화사지출토 납석제 소탑은 탑의 정면에 방형의 감실형 공간이 뚫려있는데, 이것은 다른 신라하대 소탑에서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표현으로 초층탑신에 방형 감실이 개설된 전탑이나 모전석탑의 형태를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금속제 존상과 장식편들은 고려후기 13세기에 삼화사 석탑을 중수할 때 봉안했던 금동탑의 부재와 장식물로 추정되며 당시 삼화사가 크게 융성한 사찰이었음을 말해주는 유물이라고 하겠다. The Samhwasa temple(三和寺) of Donghae(東海市), Gangwon Province, erected during the later half of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prosperous during th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until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the 17th century of the later Joseon period, Samhwasa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relocated several times when the temple was destroyed either by fire or landslide caused from flood, and the temple was finally moved to its present place in 1977. The temple-site of Samhwasa has been investigated several times and, since 2018, has been excavated four times. During the fourth excavation, Buddhist artifacts such a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image, six miniature pyrophyllite stupa, and metal images and fragments were unearthe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image of the later half of 9th century show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Buddha images of the late 9th century, including facial expression, body-proportion, and detail of drapery. Considering small gilt-bronze images could be found where they were not made, it is interesting that the gilt-bronze Buddha image of the later half of the 9th century was unearthed at the temple-site of Samhwasa, where it was established. The six miniature stupas made with pyrophyllite show that they were enshrined inside of the stone stupa, which follows the enshrining method(formula) of Rasmi-vimala-visuddha–Prabha-Dharani(無垢淨光大 陀羅尼經). In this sutra, Buddha explains that it is as meritorious to enshrine 77 or 99 small stupas as it is to build a myriad of stupas. This sutra was first introduced to Unified Silla in the early 8th century and became widespread in the 9th century. Miniature stupas of the Samhwasa temple- site are unique in their shape with a rectangular niche on the surface. Small metal images and fragments were most likely parts of a small metal stupa,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gilt-gold is found on the surface of these fragments, which demonstrates that the small stupa was gilt-bronze. It is fair to assume that this gilt-bronze stupa(金銅塔) was enshrined inside of the stone stupa that was restored in the 13th century of the late Goryeo period when Samhwasa was very prosperous.

      • 삼화사국행수륙재의 문화재 지정이후의 과제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삼화사국행수륙재는 이제 한국불교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국가중요무형문화재가 125호가 되었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유형의 문화재를 만드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 기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호, 육성, 계승하자는 것이다. 근대화로 잃어버린 우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해방 이후 성립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는 생활이었던 것이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사라져가지만, 우리를 우리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켜내고자 인위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는 ‘원형’보존에 그 의미가 있는데, 지금까지 어느 정도 국가주도의 그 ‘원형보존’이 가능했던 이유는 시대에 맞는 ‘가치’가 계속 창출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이것이 꼭 왜 ‘전통’이어야 하느냐 하는 것은 우리를 ‘우리’ 이게 하는 요소는 전통 속에서 그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같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라는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전통’의 맥락에서 우리라는 민족의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각종 우리 언어가 넘쳐나는 가운데 표준어는 엄연히 존재하고 그렇지만 또 언어의 유희는 계속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삼화사국행수륙재처럼 강원도의 경우, 보다 많은 불교무형문화 자원이 존재 하고 있다. 이를 좀 더 보완하여 불교 포교를 위해 무형문화재 추진을 함께 서둘러 불교문화 원형 자원화해야 할 것이다. Samhwasa nationa suryukjae is now an importan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Buddhism was call 125.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is to protect the person making the cultural assets of this type. Protect, nurture continue to be the technology, and suggesting succession. It will be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to establish a modernized lost our identity. In traditional societies thing to disappear as modernization proceeds were living, because we keep naegoja that this is our effort to create artificial. Because it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round’ There is a meaning to preserve, to some extent, its “circular preserv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he country has been possible to continue to create “value” for the period until now. It is not know exactly why this is, you must do the traditional thing for us, because we ‘That element is found in the Mac tradition. As if to feel emotions by using the same language of ‘we’ because we feel that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Among the various Mandarin distinctly present and our language is overflowing, but again just as in the language of the play is going on. And in the case of Gangwon like Samhwasa nationa suryukjae, and the more intangible Buddhist cultural resources exist. To complement this, the more the Buddhist Missionary hurry wit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e Buddhist culture will have a circular recycling.

      • KCI등재

        梵日의 崛山門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정동락(Jung, Dong-lak)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5

        梵日(810~889)선사는 溟州출신으로, 그의 집안은 金周元계와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졌다. 崛山門의 성장은 범일의 가문과 김주원계의 후원이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그러다가 신라왕실에서 國師로 초빙한 871년(경문왕 11)무렵부터 왕실의 지원이 본격화되었다. 범일과 굴산문은 김주원계의 후원으로 성장했고, 신라왕실의 지원을 받으면서 급속히 발전할 수 있었다. 범일의 비문은 효공왕 때에 朴仁範이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굴산사 터에서 발견된 비석 조각의 ‘溟州都督’과 ‘副都督’ 등은 비석 건립에 관여한 인물이었다. 굴산사에 머물던 범일은 洛山寺와 三和寺등을 포섭하였다. 낙산사와 삼화사는 모두 화엄종 계통의 사찰이었다. 낙산사에서는 김주원계의 도움이 있었고, 삼화사에서는 신라왕실의 후원을 받았다. 범일은 굴산사의 남쪽과 북쪽에 위치한 거점 사찰을 확보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성장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Monk Beomil(810~889) was from Myeongju, and his family had the common interests with Kim Ju-won’s lineage. In the growth of Gulsanmun, support from Beomil’s family and Kim Ju-won’s lineage did work crucially. Meanwhile, around the year of 871(King Gyeongmun 11) when Silla’s royal family invited him as a national mentor, the royal family’s support genuinely began. Beomil and Gulsanmun grew with support from Kim Ju-won’s lineage and could develop rapidly with support from Silla’s royal family. There is possibility that Beomil’s tombstone was built by Pak In-beom during King Hyogong’s reign. Figures like ‘Myeongju Dodok’ or ‘Budodok’ on the pieces of tombstone found in the ground of Gulsansa were the ones involved in building the tombstone. Beomil staying in Gulsansa won over Naksansa and Samhwasa and so on. Naksansa and Samhwasa were both Buddhist temples in the Hwaeom sect. For Naksansa, Kim Ju-won’s lineage gave help, and for Samhwasa, Silla’s royal family gave support. Beomil secured foothold Buddhist temples located in the north and south of Gulsansa and laid the ground for growth based on that.

      • 나말려초 굴산문 범일과 삼척지역

        정동락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이 글은 나말려초 崛山門을 개창한 梵日선사와 삼척지역과의 관련성과 그 의미 를 살펴본 사례 연구이다. 굴산문과 범일, 그리고 삼척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 었다. 삼척은 범일이 三和寺를 포섭하면서, 범일 당시부터 그 세력권에 속하였다. 그 후 굴산문이 세력을 확대하는 거점지로 기능하였고, 굴산문은 영동과 동해안 일대에서 번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성을 토대로 범일은 삼척지역의 불교문화 를 꽃 피운 神僧으로써 존숭받았다. 강릉지역에서 범일이 神的인 존재로 ‘大關嶺 國師城隍神’으로 모셔졌던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삼척지역의 삼화 사, 天恩寺, 靈隱寺, 新興寺 등에서 ‘범일국사 창건설화’가 창출될 수 있었다. 하지 만, 삼화사를 제외한 사찰은 범일 혹은 굴산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 같지는 않 아 보인다. ‘범일 창건설화’는 범일과 굴산문을 염두에 두면고 조선시대 이후에 정 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범일과 굴산문의 영향력과 위상이 높았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This writing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evancy between Beomilseonsa who founded Gulsanmun at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and Samcheock area and the meaning. Gulsanmun and Beomil, and Samcheock had close relationships. As Beomil embraced Samhwasa, Samcheock belonged to the sphere of influence from the time of Beomil. Since then, Gulsanmun acted as a base to expand power and it could flourish in the area of Yeongdong and east coast area.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Beomil was respected as a hold monk who blew Buddhist culture in Samcheok area. It can be guessed from the fact that Beomil was enshrined as 'Daegwanryeongguksa-seonghwangsin' as a god-like existence in Gangneung area. Thus, Samhwasa, Cheoneunsa, Yeongeunsa, and Sinheungsa in Samcheock area could create 'Beomilguksa Foundation Tale'.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temples except Samhwasa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Beomil or Gulsanmun. It seems that 'Beomil Foundation Tale' was settled since Joseon dynasty bearing Beomil and Gulsanmun in mind. This seems to be a symbolical phenomenon showing that influence and status of Beomil and Gulsanmun were strong and high with Yeongdong area as a center

      • 삼척과 울릉지역의 불교전래와 정착과정에 대한 검토

        홍성익 한국이사부학회 2017 이사부와 동해 Vol.13 No.-

        이 글은 삼척과 울릉지역에 불교가 어느 시기에 전파되었고 정착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삼척지역은 4~5세기에 신라의 문화가 전파되고 505년에 이사부가 실직군주로 부임하면서 신라에 복속되지만 이 시기의 문헌기록이나 불교유적 또는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삼척지역에서 가장 시기가 이른 자료는 굴산문의 개산조인 범일국사가 삼화사를 창건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된 것이 없다. 이후의 유적으로 흥전리절터와 삼화사, 영은사, 지상사가 있다. 유물로는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된 7세기 중엽 작품인 금동보살입상과 8세기에 작품인 금동여래입상, 삼화사의 철불과 3층석탑, 지상 사의 철불 등이 있다. 특히 흥전리사지의 3층석탑과 석등재 그리고 「國統」이 새겨진 비문 그리고 최근에 공개된 「梵雄官衙之印」은 삼척지역의 불교세력을 새롭게 밝힐 수 있는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로보면 삼척지역의 불교는 적어도 7세기 중엽 이전에는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8세기에는 정착되고 9세기에는 신라불교가 정착단계를 지나 확산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울릉지역의 불교 전래는 이사부가 울릉도를 복속하는 512년 이전에 불교가 전래 또는 일부의 계층에서는 인식하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사자라는 동물이 현재와 같이 당시에도 존재하지 않는 동물임에도 울릉주민이 두려워하는 대상이었다는 것은 불교의 호법신장 역할을 하는 사자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이후 울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유물로 80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내륙에서 제작되어 울릉지역에서 수습된 소형금동불과 불상 대좌 편 등이 있어서 적어도 이 시기에 불교가 정착하였으며, 의종 11년인 1157년에는 절터와 범종 석탑 등이 있다는 것은 불교가 완전히 정착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 보면 삼척과 울릉지역은 적어도 6세기에는 불교가 전파되어 8세기에는 정착과 확산단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when Buddhism was transmitted to and settled in Samcheok and Ulleung. Shilla's culture was transmitted to Samcheok in the 4th~5th Century and Samcheok became a part of Shilla when Isabu was appointed as Siljikgunju in 505, but no literature or Buddhist relics or artifacts have been found. The earliest record about Samcheok assumes that National Priest Beomil, the origin of Gulsanmun, founded Samhwasa Temple, but no remains or relics have been found. Later relics include Heungjeol-ri Temple Site, Samhwasa Temple, Yeungeunsa Temple, and Jisangsa Temple. Artifacts include Brass Status of Bodhisattva from the mid-7th Century and Brass Statue of Tatha-gata, Iron Buddha, and 3-story Stone Pagoda from the 8th Century. They tell us that Buddhism was transmitted to Samcheok at least in the mid-7th Century and Shilla's Buddhism began to settle in the 8th Century and spread in the 9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Buddhism was transmitted or known to some classes in Ulleung before 512 when Isabu was assigned to Ulleungdo. The fact that the people of Ulleung were afraid of lions when they did not exist there shows that they were aware of the lions that serve as the guardian souls in Buddhism. Later relics found in Ulleung include a small brass Buddha that was produced in the inland around the 800s and delivered to Ulleung, so it means that Buddhism settled at that time. Also, the fact that there were temple sites, Buddhist bells, and stone pagodas in the 11th year of King Euijong (1157) means that Buddhism had settled by th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Buddhism was transmitted to Samcheok and Ulleung at least in the 6th Century and settled and spread from the 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