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보증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

        안종범(Chong-Bum An),우석진(Seokjin Woo),정지운(Ji Un Ju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1 재정학연구 Vol.4 No.2

        This paper estimated the distributional effects of technology-based credit guarantee program on the financial performances of beneficiary firms. We explicitly considered the self-selection process of receiving the program, and estimated the instrumental variables quantile treatment effect (Ⅳ-QTE) based upon Abadie, Angrist, and Imbens(2002). We also estimated the non-parametric version of the Ⅳ-QTE to check the robustness of the estimation outcomes (Frolich and Melly, 2008).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technology-based credit guarantee program is heterogenous to a significant extent. When it comes to profitability, we could not find the evidence against the program. However, the stability of the beneficiary firms turned out to be deteriorating after receiving the program. 본 연구는 기술보증이 보증기업의 재무성과의 분포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기술보증 수혜가 임의할당의 결과가 아니라 개별 기업의 민간 금융시장 접근성에 따른 자기선택(self-selection)의 결과일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Abadie, Angrist, and Imbens(2002)의 도구변수를 이용한 분위처리효과(IV-Quantile Treatment Effects)를 이용하여 기술보증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또한 Frolich and Melly(2008)의 비모수적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기술보증 지원 자격을 도구변수로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기술보증의 효과는 성과지표의 분위에 따라 상당한 정도의 이질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익성의 경우 내생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기술보증의 효과를 과소추정하고 있었다. 내생성을 고려했을 경우 기술보증이 기업의 수익성을 최소한 악화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안정성의 경우 기술보증을 받은 기업의 안정성은 큰 폭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개선되었다는 증거는 찾을 수는 없었다.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의 교육적 효과 분석: 서울시교육청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김훈호,이호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and the quantile treatment effect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lan(hereafter EWPP) to the disadvantaged students from 2013 to 2015. We utilized panel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cohort groups provid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in 201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in-Differences-in- Difference(DDD) estimator weighted by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we found that there was little average treatment effect of the EWPP in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scores This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hich results in decrease in the average subsidy provided per school. As a result, the improvement in actual educational achievements was limited to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er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direction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 effects of the EWPP could be evenly distributed to all educational disadvantaged students, particularly for those with weaker academic resilience.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서울시교육청의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이 교육소외계층 학생의 교육적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코호트 4차년도 및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선택편의를 보정하고 관찰 불가능한 학교 특성 및 특정 시점의 이질적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일반화경향점수’를 가중치로 적용한 ‘삼중차분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소외계층 학생들에 대한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의 평균적 효과는 인지적 및 비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상위 수준의 교육소외계층 학생들은 인지적․비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교육적 성취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 참여 학교 수의 확대 및 학교당 평균 지원금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실제 교육적 성취의 향상은 상대적으로 학업탄력성이 높은 상위 수준의 학생들에 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의 효과가 모든 교육소외 학생 특히, 성취수준이 낮은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고르게 나타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조정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Estimation of Treatment Effect for Bivariate Censored Survival Data

        Ahn, Choon-Mo,Park, Sang-Gue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2003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0 No.3

        An estimation problem of treatment effect for bivariate censored survival data is considered under location shift model between two sample. The proposed estimator is very intuitive and can be obtained in a closed form. Asymptotic results of the proposed estimator are discussed and simulation studies are performed to show the strength of the proposed estimator.

      • Estimation of treatment effect for two-sample problem with right censored data

        PARK, Hyo I. 淸州大學校 産業經營硏究所 1992 産業經營硏究 Vol.15 No.1

        Akritas(l986) and Meng et al. (1991) proposed estimates of the treatment effect for the two-sample problem for right censored data under the location shift model using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difference of two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which follow the location shift model, has Δ, the location shift parameter, as a median. In this paper, we consider estimating treatment effect based on quantile functions. Consistency and asymptotic normality of our estimate are also given.

      • KCI등재

        사교육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포: 교육 불평등에 대한 사교육의 함의

        강창희 ( Changhui Kang ),박윤수 ( Yoonsoo Park ) 한국경제학회 2021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7 No.2

        사교육이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사교육의 확대가 교육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세대 간 이동성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본 연구는 사교육이 한국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평균 및 분포 효과를 추정하여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중차분모형에서 분포를 복구하는 반모수적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교육은 성취도 분포의 상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분포의 하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교육의 확대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정도가 사교육의 평균 효과가 미미하다는 실증연구들이 시사하는 수준보다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private tutoring becomes globally widespread, many worry that an expansion of private tutoring aggravates educational inequality and ultimately intergenerational mobility. We address the issues by estimating the average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academic outcom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a semiparametric model recovering distributions in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s, we discover that the presence of private tutoring shifts the upper half of the outcome distribution rightward, but it exert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on the lower half of the distribution.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private tutoring in an education system is expected to aggravate educational inequality more than an empirical method reporting modest average effects suggests.

      • KCI등재

        What does Egypt's Revolution Reveal about its Economy?

        Amr Hosny,Magda Kandil,Hamid Mohtadi 한국국제경제학회 2014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28 No.4

        On the third anniversary of the Egyptian revolution and against the backdrop of lingering political instability and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we diagnose the constraints to sectoral growth in Egypt using the 2011 Egyptian revolution as a natural experiment. We combine quantile regressions to study sector outliers with a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ology to capture sectoral behavior before and after revolution. We find that the revolution's effect has been adverse, on average, but heterogeneous across sectors. We identify and characterize sectors most and least impacted. Results reveal that Egypt's fastest growing sectors before Revolution have been the most vulnerable after Revolution. This evidence is supported by our diagnosis approach that shows that faster growing sectors are constrained by continuous increases in prices that threaten export competitiveness (as they erode the benefits accrued to nominal depreciation of currency). Such sectors also benefited from higher monetary growth and fewer constraints on credit availability that have mitigated somewhat the speed of deterior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revolution. Our results, which hold under several robustness checks, inform policy priorities as to how to revive investors’ confidence, boost competitiveness, and design priorities in industrial policy to ease structural impediments and align sectoral growth with macro prio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