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수 변화에 대한 학교설립 정책의 대응성 분석

        최기석 ( Choi Kise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30년간 학생수 변동 추이를 기초로 학교설립정책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수 변동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5개 시기로 구분하여 학생수 증감에 따른 학교설립정책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산물인 학교수의 증감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제1기(1991~1997년)인 시도별 자율 정책 시기에는 학생수와 학교수가 동반하여 감소하여 학생수 변화에 따라 학교수도 연동하여 변화하였다. 제2기(1998~2003년)에는 학생수가 계속 증가하였는데 2000년 7.20 교육여건개선사업이라는 대규모 학교 공급 정책으로 학교수는 2001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제3기(2004~2007년)에는 제2기의 학교 공급 사업이 지속되어 학교수가 대폭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 학생수는 오히려 감소하였던 시기였다. 이에 따라 학급총량 규제, 학교신설 조건부 허가 등의 규제 정책이 시행되었지만 학교수 증가는 지속되었다. 제4기(2008~2013년)는 학생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시행되었지만 학교수는 지속 증가한 시기였다. 이는 지속적인 신도시 개발이 주요 원인이었다. 제5기(2014~2020년)도 4기와 같은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역시 재개발, 신도시개발 등이 원인으로 학생 이동에 의한 학교 신설이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중장기 학생수 변화에 학교설립정책이 적정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학생수 변동 분석을 통해 정책 변화의 시점을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수 증가 추세가 감소세로 반전하는 경우와 학생수 감소 추세가 증가세로 반전하는 경우로 나누어 정책적 변화를 시도하되 학교설립기간과 학생수 변화의 시간을 고려하여 학교설립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전국적 일률적 재정 교부금 교부에 의한 학교설립 정책 보다는 시도별 학생수 변화, 도시정책변화, 인구변화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학교설립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최근 제3기 신도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어 1기, 2기 신도시 개발 사례에 비추어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was analyzed based on the trend of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over 30 years. In this process,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changes were analyzed du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divided into five periods centered on the inflection point of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during the first period (1991-1997), the number of autonomous policie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number of schools changed. In the second period (1998-2003), the number of student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number of schools began to increase in 2001 due to the large-scale school supply policy of 7.20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in 2000. In the third period (2004-2007), the number of school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continued supply of schools, which was a period when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As a result, regulatory policies such as regulations on the total amount of classes and conditional permits for new schools were implemented, but the number of schools continued to increase. The fourth period (2008-2013) was a period when the number of schools continued to increase, although the appropriate size of school development policy was implemented due to the continued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i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new cities. The fifth period (2014-2020) also continued the same trend as the fourth period, and the tre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new schools due to the re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continued. In order for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is mid- to long-term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policy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mid- to long-term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Policy changes should be attempted by dividing the tre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into the trend of decreasing and the trend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into the trend of increasing. In addition,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should be decided by considering the period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time of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urban policy changes, and population changes rather than the school establishment policy by nationwide uniform financial grant. As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new city has recently begun in earnest, a close analysis will be needed in light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y development cases.

      • KCI등재후보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옥려 ( Ock Ryeo Kang ),박보영 ( Bo Young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본 연구는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감각 발달과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하였고 4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중재를 하였다. 사전·사후검사 도구로 수감각 검사와 BASA-Math 검사를 사용하였고 대상 학생들의 진전도를 함께 살펴보기 위해 매 2회기가 끝날 때마다 BASA-Math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김희선(2000)의 활동중심 수감각 교육 프로그램을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상 학생들의 수감각이 발달하였으며, 둘째, 대상 학생의 수감각 능력 중에서 ‘숫자 따라하기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영역(수세기Ⅰ과 Ⅱ, 수읽기, 수 의미, 수량변별, 빠진 수 찾기, 덧셈, 뺄셈, 숫자 따라 하기 Ⅱ, 규칙 찾기 Ⅰ과 Ⅱ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고, 셋째, 대상 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넷째, 수학 성취의 진전도에서 중재 후기에 학습고원현상을 보였지만 대체로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장애로 이미 진단을 받은 학생의 수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수 감각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학학습장애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activity -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influence on math achievement and number sense development for students at-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has examined 12 students at-risk with learning disabilities 10 times for 4 weeks. This experiment has executed, intervention, a post test through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of preliminary and post test. Number sense and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as instruments of Preliminary and post test was used and also, every second time it finish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was performed additionally so as to inspect students` progress. The researcher has modified Hee-seon Kim`s program for activity-based number sense education to the appropriate level of students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s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us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g. Second,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had an effect on 11 fields (Skip counting, Counting backward,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meaning, Quantity discrimination, Missing number, Addition, Subtraction, Digits backward, Pattern analysis, Number pattern analysis) except ‘Digits forward’. Third, the math achievement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improved. Forth, the math achievement progress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generally progressed even though it revealed plateau phenomenon in the latter term of mediation. This result above has shown that Activity-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developed number sense of students who are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lso improved the math achievement of them. Succeeding study needs to examin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aims to improve number sense for the students who are already diagnosed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 KCI우수등재

        학급번호의 친구관계 디폴트(default) 설정 및 학교폭력 방어 기능: 행동경제학 및 네트워크 관점에서의 접근

        김경년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Student number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organizing students in class activities for efficient class management. Students with adjacent student number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repetitive group activities in both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design of having adjacent student numbers can act as a stimulus to help students make friendship choices, suggesting a default friendship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 numbers create friendships in a confusing and uncertain class environment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schools and to investigate how student number-based friendships protect against school violence.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of student numbers from the viewpoint of behavioral economics and network expan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__ first year students at a coed middle school, where new peer status is 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riendships are formed around student numbers, and that these friendships are extended to the entire class. The total number of friends formed in this way plays a role in defending and preventing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friendship-forming function of adjacent student numbers can be explained by the analogy of a snowball: In order to form a snowball, snow is initially gathered together, but after a ball is formed, it grows in size as it rolls around and collects more snow. The reduction in friendship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based on student numbers is an unintentional external effect and can be underestimated because it goes unrecognized.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activities based on student numbers. 학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학급번호는 교육활동을 조직화하는 도구로서 수업과 학급 활동에서 학생들을 선택하고 조직화하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인접한 학급번호의 학생들은 교과와 비교과의 활동에서 반복적인 집단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며, 인접한 학급번호는 친구관계 default를 제시한 설계로서 선택을 도와주는 nudge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 간 전환기에 혼란하고 불확실한 학급환경에서 학급번호가 어떻게 새로운 친구 관계를 발생시키는지 또한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학급번호를 기반으로 한 친구 관계가 학교폭력을 방어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급번호의 기능을 행동경제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친구 관계가 확산하는 과정을 네트워크 확장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로 이행기에 새로운 또래 지위를 형성하며 이성 간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또래 간 갈등과 다툼이 많은 시기인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급번호를 중심으로 근접 친구관계가 형성되고 이러한 근접 친구관계가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확장되며. 이렇게 형성된 총 친구 수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방어 및 예방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였다. 근접한 학급번호의 친구 형성 기능은 마치 눈덩이를 뭉치기 위해서 처음에는 근처 눈으로 뭉치지만 덩어리가 형성된 이후에는 여기저기 굴러다니며 온갖 눈을 모으면서 눈덩이가 커진다는 비유로 설명할 수 있다. 학급번호를 토대로 한 친구관계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감소는 비의도적인 외부효과로서 그 영향이 인식되지 못하므로 과소 생산될 수 있다. 교육활동에서 학급번호를 기반으로 한 학생들의 집단적인 활동이 적극적으로 독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수학영재의 짝수·홀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김성준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3

        When are even and odd number concepts dealt with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how can even and odd numbers be defin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ich types take precedence in the process of defining even and odd numbers for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were defined as 40 students who passed the first screening among th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at P University’s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se 40 students. First, one type that can be defined for even and odd concepts was described and explained. Then, the concepts of even and odd were described in different forms, and then we asked about the types that defined even and odd numbers and collect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of explaining even and odd numbers is related to number concepts, multiplication concepts, and division concepts covered in elementary mathematics. Students explained some of them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However, instead of explaining even and odd numbers in mathematical terms, some students responded by repeating tautologies such as ‘there is a pair’ or ‘there is no pair’ or by drawing pictures. By looking at the types and levels of definition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concepts in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it will be possible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potential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by looking at thei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how they are connected and explained. 초등학교 수학에서 짝수⋅홀수는 어느 시기에 다루어지는가, 이와 관련하여 짝수⋅홀수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 중 잠재적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짝수와 홀수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어떤 유형이 우선하는지 이와 함께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잠재적 수학영재는 P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에 응시한 학생 중 1차 전형을 통과한 40명 학생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먼저 짝수와 홀수 개념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한 가지 유형을 기술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짝수와 홀수의 개념을 다른 형태로 기술하게 한 다음 짝수⋅홀수를 정의한 유형에 대해 질문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짝수⋅홀수를 설명하는 과정은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수 개념, 배 개념, 곱셈 개념, 나눗셈 개념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이들 가운데 일부를 설명하고 또 이러한 개념 사이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일부 학생은 짝수⋅홀수를 수학적 용어로 설명하는 대신 ‘짝이 있다, 없다’와 같이 동어반복 수준이거나 그림을 그려서 답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잠재적 수학영재에게서 짝수⋅홀수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의 유형과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을 어떻게 연결하여 설명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잠재적 수학영재 평가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법적 지위 및 유치 확대와 활용 방안 연구

        손흥기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raise the attr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suggest the ways to aggressively utilize international studen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in Korea, to prevent them leaving Korea for their home or the third countries. This study is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in the basis of qualitative analysis on legal materials, academic papers, and national policy data related to attracting and utilizi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existing problems with attracting and utilizing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stage of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ies are mainly eager to recruit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out a long-term road map. Secondly, there are many universities facing difficulties at the entry stage including visa process as they are unable to invite new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the high rate of illegal stay of previously invited international students. Thirdly, there exist high language barriers at the academic stage due to the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most international students are from some certain countries. Lastly,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students who decide to stay illegally after graduation due to the difficulties to find a job in Korea. In order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students, improvements such as installing national agencies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making new standards for student visas issuance, and constructing integrated online student visa system, and adopting special admission and 3 strike-out system for universities which mismanage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In order to actively utilize graduated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art-time work permit system, establish a new OPT visa, operate a restart program, and expand employment and residence visas for them along with employment permit for their family.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의복 소비생활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권수애,최종명 대한가정학회 2003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consumption pattern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509 subjects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of 2002,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LSD),χ2-test were used by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Number of clothing c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income, and major. Female students had more cothes than 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was not satisfied with their number of clothing. University students spend the money below one hundred thousandwon on the purchase of clothing and they depend upon their parents for the cost. Their resources of fashion imformation are display of shop. Clothing consumption patter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nd female students purchased on sale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for formal wear high. The reason for not wearing the clothes they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sex,m male students din't wear their clothes for ragging or unsuitableness of size but female students din't wear because their clothes were old fashion or they lose interests in their clothes. The tendency to have ethetic, easycare and high quatlity clothing of female students was strong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t is necessory business develop high quality formal wear at a low price, made in practical textiles and activative designed skirts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학생수 변화를 고려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지역간 형평화 효과 분석

        한재명 ( Han Jae My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1

        최근 학생수가 전반적으로 급감하면서 지역적으로 불균등하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는 방향으로 교부금 배분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지역간 형평성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학교 및 학급 수를 기준으로 배분되는 세부 측정항목 가운데 학생수도 교부기준으로 추가하는 것이 적합한 항목들을 추출하고, 이 항목들을 중심으로 학생수 반영비율을 높일 때의 지역간 형평성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 1인당 보통교부금 및 세입예산액 측면에서 시·도교육청 간 격차가 줄어드는 형평성 개선효과가 발생하며, 학생수 반영비율을 높일수록 이 효과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생수 증감에 따른 학생 1인당 보통교부금 및 세입예산액의 시·도교육청 간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준재정수요액 산정시 학교 및 학급 수가 주된 교부기준인 일부 측정항목들에 대해 학생수도 교부기준으로 포함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regional equity changes when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is changed in the direction to sufficiently refl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Specifically, I extracted some items suitable for adding the number of students to the allocation criteria among measurement items allocated based on the number of schools or class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rais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students related to these items on the regional equity. The results show that when adding the number of students to the allocation criteria, it is occurred that the disparity in terms of the general grant or the revenue per student between the local education offices decreases, and as the ratio of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s, this effect becomes large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allocation criteria for some measurement items which have the main allocation criteria by the number of schools or classes.

      • KCI등재후보

        보통교부금과 학생수의 추이와 관계 분석: 제주교육청의 법정 교부율에 대한 함의

        고경무(Kyung Moo Ko),우명숙(Myung Suk Woo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3 지방교육경영 Vol.26 No.1

        본 연구는 2013-21년 동안 보통교부금과 보통교부금의 산정 기준이 되는 측정단위인 학생수, 학교수, 학급수, 교원수 등의 증가 추이를 전체 교육청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제주와 세종을 제외한 15개 시도교육청의 보통교부금과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학교당 학생수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보통교부금 법정 교부율이 교육재정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적정한지에 대해 논의했다. 분석 결과, 첫째, 2013-21년 동안 보통교부금의 산정을 위한 주요 측정단위인 학생수, 학급수, 학교수, 교원수의 증가나 비중이 높아진 것을 고려하면 2007년 이후 적용된 제주의 보통교부금 법정교부율은 상향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보통교부금과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학교당 학생수의 관계를 고정효과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학급당 학생수가 감소할수록 학교당 학생수가 증가할수록 보통교부금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교육청의 학급당 학생수 감소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데 이는 부족한 교육재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보통교부금을 증가시킬 필요가 높아 보인다. 학교당 학생수 감소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낮게 나타나 이로 인한 보통교부금 감소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보인다. 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제주의 보통교부금 법정교부율 1.57%를 재고해야 하며, 상향시킬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During 2013-21,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schools, classes, and teachers, which are measurement units for calculating General Grant for Local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Grant and the number of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discussed whether the statutory rate of General Grant for Local Education ordinary subsidies of the Jeju Office of Education was appropri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Jeju's General Grant remained at 1.57% of the total amount of General Grant in most cases with some exceptions.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r proportion of students, classes, schools, and teachers, which are major measurement units for calculating General Grants, the statutory grant rate in Jeju, which has been fixed at 1.57% since 2007, should be raised.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Grants and the number of students, students per class, and students per school with a fixed effect model, students per class and students per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ize of General Grants. As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decreased and students per school increased, the average General Grants increased. The decrease rate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the Jeju Office of Education i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which seems to be due to insufficient educational finances. It might be necessary to increase General Grants of the Jeju Office of Education. As the rate of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school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 effect of this decrease in General Grants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smal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re is a high need to raise the statutory General Grant rate of Jeju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남녀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조사

        김금란(Geum-Ran Kim),김미정(Mi-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서울 시내와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하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의 식생활 실태 중 식사 규칙성과 식사횟수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녀 고등학생의 식사의 규칙성에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는 남녀학생 모두 대체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섭취횟수의 형성 시기에 대한 결과에서는 남녀학생은 모두 ‘중학교’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에 있어서는 ‘학령기 이전’이라고 답한 경우도 28.7%로 높게 나타났다. 활동에 가장 영향을 주는 식사에 대한 답변은 남학생은 점심 (41.0%)이라고 답한 결과가 가장 높은 반면 여학생은 ‘아침’(39.8%)이라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빈도와 규칙성의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차가 없었다(p<0.05). 1일 식사횟수에서는 1~3학년 모두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횟수형성시기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중학교’와 ‘학령기 전’의 순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일반사항의 분석결과, 가족 수 ‘5명’과 ‘용돈이 적을수록’의 항목에서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용돈 중 ‘3만원 이하’의 경우‘5만원 이상’의 식비 지출의 경우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과 교육정도가 높고 월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는 아버지 ‘사무직’(149명(56.9%))과 어머니 ‘전업주부’(279명(56.9%))인 경우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와 일반사항과의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5만원 이하’의 경우 54.3%가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경우, ‘스스로’ 이외에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 부모 학력, 월 가족소득에 따라 식사횟수와 차이를 보여주었다. 식사 섭취횟수의 형성시기와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용돈’과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결과는 ‘중학교’>‘학령기전’ 순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과의 분석결과에서는 ‘5~8시간’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경우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는 결과가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령기 전’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월가구소득과 식사섭취횟수와의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학령기 전’이라고 답변한 결과가 높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가 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령 전’(23.8%), ‘초등학교 4~6학년 전’(13.7%), ‘초등학교 2학년 전’(11.8%) 순으로 나타났다. 한 끼 식사 중 자신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사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점심’이 3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침’(35.8%), ‘저녁’(22.8%)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 ‘점심’이 자신의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9만원 이하’의 경우 ‘점심’이, ‘10~20만원’의 경우 ‘아침’이, ‘21만원 이상’의 경우 ‘저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수면시간과의 분석 결과에서는 4, 5, 6시간의 경우 ‘아침’이, ‘7시간 이상’ 수면을 하는 경우 ‘점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였다. 아버지의 연령은 낮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은 높을수록 ‘아침’의 영향력이 크다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월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아침’의 영향력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결과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는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를 나타내어 차별화된 영양교육과 식생활 태도에 관련한 기초지식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횟수에 있어서는 부모의 특성과 월 가족 소득에서 차이가 나타나 고등학생 개인의 영양교육은 물론이고 가정을 연계한 영양지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사횟수의 형성은 이미 고등학생 이전에 만들어져 고정되어 있는 결과가 나타나기에 특히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그 중요성을 인지하도록 만들고 올바른 식습관으로 개선된 후 유지되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었다. 아침식사보다 점심식사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아침식사에 대한 결식과 영양불균형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영양 섭취가 세 끼니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영양지도의 중요성과 아침식사와 결식에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의 후속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조사의 결과는 남녀 고등학생이 식생활태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하여 분석해서, 실천적인식습관 형성 및 개선에 대한 개별적이면서 세부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지속적이면서 다각적인 식사관련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영양교육 시간이 정규 수업시간으로 정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As for regularity of meal,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regular than those of the male students in a day. They answered 'between 4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As for a highly influential meal, males were higher answered 'lunch (41.0%)' while females were higher answered 'breakfast (39.8%)'. About 'number of meals per day by the grade', they ate 3 times per day mostly. As for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before 4th to 6th in elementary school'>'before elementary school'. In the result of regularity of me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 family of 5 was higher in regularity and those with pocket money showed lower regularity in meal. As for the person who prepares a meal, mothers prepared meals regularly. Also, higher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resulted in more regularity in meals. In number of meals per da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were eating 3 times; moreover, this trend was evident as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the household income was higher. Students answered generally regularity in meal in family where parents' jobs were administrative assistant (father job (56.9%)) and housewife (mother (56.9%). In the formation time of meal intake numbe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answered order 'middle school'> 'before elementary school'. A highly influential meal, they answered as the highest 'lunch' (37.6%). This study may provide information on dietary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nutrition education or counseling can improve food habits and develop positive behavior.

      • KCI등재후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학생수 증감 추세 유형 특성 연구

        윤용기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7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when a school established long term school plans accepted by analyzing the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0 years to target of following city, 32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 16 administration zone for this purpos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ype 5 occupies 55.4%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second most, type 10, 21.4%> type 11> type 13> type 15, which is the most urgent object of the student placement plan Can be.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flict Model Ⅰ and Conflict Model Ⅱ showed that Type1 and Type7 were not needed to be adopted. Third, we can see through the case analysis that the effect of excessive school opening on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nearby school is seriou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number of students in Busan, the number of schools with less than 150 students accounted for 12.4% of the total 323 elementary schools, 30.0% for schools with less than 300 students, and 60.4% for students with less than 600 students. Fifth, whe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duction rate of urban redevelopment area in Busan was examined, the average induction rate was 0.37. 부산광역시 전체 32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5가 가장 많은 전체의 55.4%를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유형10으로전체의 21.4%>유형11>유형13>유형15 순으로 이에대한 학생배치계획의 가장 시급한 대상임을 알 수있다. 둘째, 부산광역시 전체 초등학교 323개교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 결과 「갈등이론Ⅰ」과 「갈등이론Ⅱ」는 성립하지 않으며, 따라서 신도시에서는유형5가, 도시재생지역이나 시가지 확장지역에서는유형10이 학생수 증감 추세예측의 가장 유효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과도한 학교신설이 인근학교 학생수 감소에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것을 사례분석을 통하여알 수 있었다. 넷째, 부산광역시 구별 재학생수 현황을 분석결과총 323개 초등학교중 150명미만의 학교가 전체의12.4%, 300명이하의 학교가 30.0%, 600명이하는 모두 195개교인 전체의 60.4%로 소규모 학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부산광역시 도시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초등학교 학생유발율을 조사 분석한 결과 평균 유발율은 0.37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재정비지역내실제 학생유발율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주변지역학교 신설 또는 분산배치, 학급 증설 등의 학생배치계획 판단의 주요 자료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관내 학교 신설수요나 기설학교의 향후 학생수 변화추세 유형을예측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학교 신설, 통폐합, 이전재배치, 분산배치, 학급증설등 부산광역시의 장기적인 학생배치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16개구(군) 32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타 시도와는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여타 광역시에대한 추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증감추세 유형별 학교 신설, 통폐합, 이전재배치, 분산배치, 학급증설 등의 학생배치계획 방향제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