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 국제 비교 연구

        변수연(Byoun, Su-Youn),변기용(Byun, Ki-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호주와 캐나다, 네덜란드 등 우리보다 외국인 유학생 교육에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해 온 국가들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의 세부 특징들을 고찰하고 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 질 보장 체계 확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수행되었다. 3개국의 사례 비교 분석 결과, 3개국 모두 규제 중심의 과거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상업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생의 유치와 효과적인 교육을 인증제의 주된 목표로 삼고 있었고, 이 같은 목표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기관의 교육 역량 및 서비스 능력 개선이 인증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국제화라는 추세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변화임에는 분명하지만 적어도 인증제에서는 국제화 자체가 질 보장의 목표와 동일시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올해 시행 4년차에 돌입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역량 인증제'의 정책 목표를 분명히 하고 교육기관들의 실질적인 교육 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정량ㆍ정성적 평가기준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quality assurance systems of the 3 lead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ustralia, Canada, and the Netherland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cases demonstrates that, taking a more commercial stance on the international education service market, quality assurance systems of the 3 countries aim at facilitating effective promotion of student recruitment and enhancing their national brand image as advanced knowledge society. Consequently, rules and regulations of their systems are concerned primarily with strengthening institutional capacities to educate international students effectively, and, ultimately, improving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host countries. Compared to these foreign cases, the newly-adopted quality assurance system in Korea places too much emphasis on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tself, thereby neglecting evaluation of educational capabiliti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urther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IEQA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의 역할 및 시사점

        오예진,박민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has initiated a project named ‘Study Korea Project’ that aims at increasing recruitment effort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While this has been positive, there has been controversy around the resource allocation to support and manage incoming international students, specifically around the existing infrastructure. To solve these challenges, the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IEQAS) has focused on improving overall quality conditions for education. IEQAS started as a pilot study in 2012 and has adopted as a regular project since 201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view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a university where IEQAS has been used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IEQAS on international students. This paper will draw some implications b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교육부는 2005년 ‘Study Korea Project’를 통해 국제학생 유치를 위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인해 국내로 유입된 유학생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양적인 증가를 지원할 수 있는 질적인 인프라 구축 노력 및 국제학생들의 질적인 관리 부분과 관련된 부분에서의 한계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012년 시범사업이후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제도이며 본 연구는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국제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가 실제 한국에 유학 중인 유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와 TOPIK 활용 현황-4년제 대학 외국인 입시 요강을 대상으로-

        최윤곤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0 언어와 문화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Ministry of Education’s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Status Use of TOPIK in Admission plan for the top 20 colleges of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results,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have to operate within the framework only differences by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and infrastructure in college, Ministry of Education’s <Standard operation processing guid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language trainees> and Ministry of Justice’s <Guidelines for visa issuance and stay manage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a sharp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has become a requirement, not an op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financial problems of universities in the recent difficulty in meeting the college entrance quota. However, it is necessary not only to focus on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but also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ies for their graduation and employment, using TOPIK as the indicato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llege and a policy of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

      • KCI등재

        Predicting the outcomes of the Korean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 method using disclosure data for outsiders

        이동현,조순정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2 No.4

        For outsiders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in South Korea, predicting the outcomes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IEQAS)—a Korean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HEIs—is challenging. The annual IEQAS accreditation has been conducted behind closed doors; the assessment process is confdential, and there is little access to the data for the public and individuals. However, many stakeholders, such as overseas applicants to Korean HEIs, may want to predict whether particular universities will pass the upcoming IEQAS. Hence, we sought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outsiders to predict a binary result of the IEQAS accreditation by utilizing disclosure data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published. To best predict the outcomes, we mapped out a threefold discrete model combining logistic regression, discriminant analysis, and neural network.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discl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9 on 138 Korean private HEIs and then analyzed the secondary public dataset in line with the discrete method that ensures generalizability. Results showed (i) three education investment factors, and one school operations factor appeared as key predictors among the tested indices; (ii) education cost per student within education investment proved to be the most crucial element; and (iii) while leveraging the disclosed data turned out to be reliable, neural network’s predictive accuracy was higher than those repor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By processing the publicly available disclosure data, our self-study model may efectively assist in predicting IEQAS outcomes, and it can also be used as a diagnostic, prior to accreditation, by local HEIs in other nations to check their preparedness and likelihood of success within similar contexts.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량인증제 도입의 효과 분석

        김훈호(Hoon-ho Kim),정성수(Sung-soo Ju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7 지방교육경영 Vol.20 No.3

        본 연구는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도입에 의한 정책적 효과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태 및 연도별 변화 추세를 살펴보았다. 둘째, 2012년 이후 외국인 유학생 수의 변화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도입 성과의 양적 측면을,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의 변화를 통해 질적 측면을 분석해 보고, 인증제의 도입 효과가 지속적으로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질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12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도입 이후 국내 대학의 정규 학위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 대학의 TOPIK 4급 이상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12년 이후 우수한 한국어 능력을 갖춘 외국인 유학생들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즉, 양적 규모는 줄어들었으나 질적으로는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능력의 향상만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질적 수준이 제고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인 유학생 교육이나 관리, 지원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이 과연 유학생들의 다양성 확대나 중도탈락률 완화, 졸업성적 및 취업률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ffects of the IEQAS which was initiated in 2012 by the Korean government in attempt to improve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in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thoroughly explored the changing trend of international students' number in Korean universities. Then, the influential power of IEQAS which was introduced in 2012 was investigated by exploring chang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 an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regular degree program in Korean universities has declined significantly since the introduction of IEQAS in 2012.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declined,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higher proficiency on Korean language(over TOPIK grade 4)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shows potential that the qua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may improve in the future due to the introduction of IEQA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to further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effective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의 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인증대학과 미인증대학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의수 ( Kim Uisu ),이정현 ( Lee Junghy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증대학들과 미인증대학들을 나누어 그 차이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 수와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미친 영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인증제의 시행 결과가 국내 대학들의 교육 역량, 국제화 역량 그리고 학생 충원율 부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DSS 고등교육통계 및 대학정보공시 자료, 대학 알리미 자료 등을 사용하여 국내 185개교 4년제 대학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대학의 인증 여부는 유학생 유치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증대학의 경우 미인증대학에 비해 외국인 유학생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학교의 유학생 중 TOPIK 합격생의 비율은 대학의 인증 여부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인증대학에 한국어 실력이 우수한 유학생 수가 더 많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대학의 인증 여부가 유학생 수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규명했으며, 최근 인증된 대학들에 한국어 실력이 우수한 유학생 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교육의 국제화 관련 연구로서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IEQAS) on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t 4-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It was analyzed whether certification for IEQAS affected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185 4-year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various sources. Using SPSS 20.0, the researcher conducted reliability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hich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ecruitment of foreign students in such a way that certified universities were affected negatively in terms of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compared to uncertified one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passed the TOPIK among foreign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ertification, though findings showed that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fluent in Korean on campuses of certified universities has increased recently.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certification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nd those certified recently recruited more foreign students wi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meaningful material for research on the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given the sparse literature on the IEQ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