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신성홍반성낭창과 류마티스양관절염에서의 IL-6의 의의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Rheumatoid Arthritis

        이정수,정화순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9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2 No.2

        IL-6는 단구, 대식구, T 및 B림프구와 기타 일부 세포에서 생성되는 26kDa의 싸이토카인으로서 면역작용, 감염 및 염증반응 등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IL-6는 간(肝)세포를 자극하여 피브리노겐과 같은 혈장단백의 생성을 유도하여 간접적으로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IL-4와 IL-5에 의해 활성화된 B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면역글로불린 class switching등의 마지막 분화과정을 촉진시키고 M, G, A형의 면역글로불린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는 IL-6가 면역계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과 임상양상의 발현에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가면역 질환에서 IL-6의 병인론적인 역할을 알아보고 혈청 IL-6의 활동성 지표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1995년 3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에서 추적관찰중인 전신성홍반성낭창환자의 30검체와 류마티스양관절염환자의 26검체를 대상으로 혈청 IL-6와 적혈구침강속도, C-반응단백, 항 dsDNA, C3, C4 및 류마티스양인자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신성홍반성낭창환자의 혈청 IL-6치는 평균(±표준편차)3.94土4.40pg/mL로 정상대조군의 1.33土l.72pg/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32) 류마티스양관절염환자 IL-6치도 8.22±5.17pg/mL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2) 전신성홍반성낭창환자에서 질병의 활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항 dsDNA, C-반응단백, 적혈구침강속도, C3, C4치와 IL-6치를 비교하였을 때 항 dsDNA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38) 다른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6명의 전신성홍반성낭창 환자에서 질병의 경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시행한 검사치에서도 질병의 활동성을 나타내는 검사치들과 IL-6치간에 명확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3) 류마티스양관절염 환자에서 C-반응단백, 류마티스양인자와 IL-6치를 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신성홍반성난창 및 류마티스양관절염 환자에서 혈청 IL-6치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질병의 경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시행한 검사치에서 질병의 활동성을 나타내는 검사치들과 IL-6치간에 명확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아 혈청 IL-6치가 질병의 활동성 지표로 사용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and rheumatoid arthritis(RA) are the widely recognized rheumatic diseases of unknown etiology in which extensive immune dysfunction has been reported. Cytokine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ecretions of the immune system that participate in a variety of cellular, inflammatory and pathogenic processes in human disease. Since imbalance of the cytokine network in autoimmune disease may be detrimental for the severity or clinical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I determined serum level of IL-6 in patients with SLE, RA, and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rum levels of IL-6 in patients with SLE(p=0.0032) and RA(p=O.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2) The serum levels of ESR, CRP, and complements did not correlated with serum IL-6 levels. Only the levels of anti-dsDNA in patients with SLE showed correlation with that of serum IL-6. And the serial follow-up of serum IL-6 levels in 6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atients show no significant correlation. 3)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IL-6 of RA patients and disease activity markers such as CRP and rheumatoid factors. This results indicate that serum IL-6 levels of SLE and R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s, and needs further study to be used as a marker for disease activity.

      • KCI등재후보

        Effect of IL-6 on Osteoclast Generation and Regulation of Its Production in Osteoblastic Cells

        Shin, Dong-In,Baek, Jeong-Hwa,Ko, Seung-Hee,Kim, Gwan-Shik The Official Publication of Korean Academy of Oral 1996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20 No.1

        Interleukin-6 (IL-6) is a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known to be synthesized by osteoblasts and suggested to be an important regulator of bone resorption in some physiologic and/or pathologic conditions. However, the mechanism of cation of IL-6 responsible for bone resorption in vitro and role as a possible mediator of bone resorptive action of systemic or local osteotropic agents are not clear yet. Therefore, to further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L-6 action on bone resorp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IL-6 on the generation of osteoclast-like cells using mouse bone marrow culture system. We also observed the regulation of IL-6 secretion in human osteoblastic cells by several cytokines and systemic osteotropic hormones, known to stimulate or inhibit bone resorption. To observe the effects of IL-6 on the generation of osteoclast-like cells, mouse bone marrow cells were isolated from femurs and tibiae of 4 to 6 week-old mice, plated at 3.0×10^6 cells/well in 24-well plates and cultured for 8 days.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IL-6 in osteoclast-like multinucleated cell (MNC) generation, bone marrow cells were treated with IL-6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rostaglandin E_2(PGE_2). After culture, cells were stained for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a marker enzyme of osteoclasts, according to the modified method of Burstone. The TRAP-positive MNCs, which have 3 or more nuclei, were counted. Also we observed the regulation of IL-6 secretion in human osteoblastic cells (MG-63) by several osteotropic agents using the quantita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L-6 alone did not generate TRAP-positive MNCs, but significantly enhanced the generation of TRAP-positive MNCs induced by PGE_2(10^-6 M) in a dose-dependent manner. Though the augmenting effect of IL-6 was significant through all the culture period, it was greater at later period of culture. And augmenting effect of IL-6 on generation of TRAP-positive MNCs significantly appeared from the 6th-day of cul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6 enhances the effect of PGE_2 on TRAP-positive MNC generation by stimulating both differentiation and fusion of osteoclast precursors. On the otherhand, bone resorbing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β(IL-1β)and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stimulated the secretion of IL-6 from MG-63 cells, but interferon-γ(IFN-γ), known to be an inhibitor of bone resorp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NF-α-stimulated secretion of IL-6. However, parathyroid hormone, 1,25(OH)_2-vitamin D_3, and PGE_2, well known bone resorbing agents, did not induce the secretion of IL-6 from MG-63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6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bone resorption by regulating the generation of osteoclasts and at least partly, mediate the bone modulating effects of several cytokines.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에서 Interleukin (IL)-6 유전자 (AT) 다형성, 그 혈중 농도 및 골밀도의 연관성

        김훈 ( Hoon Kim ),김정구 ( Jung Gu Kim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문신용 ( Shin Yong Moon ),이진용 ( Jin Yong Lee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IL-6 유전자 VNTR 다형성양상과 혈중 IL-6 농도 및 골밀도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자연폐경여성 274명을 대상으로 하여 IL-6 유전자 VNTR 다형성양상을 분석하였고 요추 및 대퇴 근위부에서의 골밀도를 DEXA로, 혈청 CTX, BAP, IL-6를 면역측정법과 효소면역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IL-6 유전자내 VNTR 양상을 분석한 결과 그 크기가 610-760 염기쌍 (base pair; bp)에 속하는 4종의 대립인자 B1∼B4가 관찰되었고 5가지 유전자형이 존재하였는데 이중 B3동형접합이 가장 빈번하였다. IL-6 유전자내 VNTR 양상에따른 요추, 대퇴골경부, Ward 삼각주, 대퇴돌기에서의 골밀도와 혈청 osteocalcin, BAP, CTX 농도, 혈청 IL-6 농도의 차이가 없었다. 정상골밀도 여성, 골감소증 여성, 골다공증여성사이에 각 IL-6 B3 유전자형의 분포양상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한국여성에서 IL-6 VNTR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lymorphic AT rich minisatelite repeat in IL-6 gen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A variable number tandem repeat (VNTR) in the IL-6 gene was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electrophoresis in 274 postmenopausal Korean women. Serum IL-6, bone alkaline phosphatase (BAP) and CrossLaps (CTX)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sorbent assay and immuno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Four alleles in IL-6 gene were identified; B1 (760 bp), B2 (680 bp), B3 (640 bp), and B4 (610 bp). Five genotypes were found and B3 homozygote was the most frequent type. No differences in serum levels of IL-6, BAP, CTX and BMD at the lumbar spine, femoral 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were observed between B3 homozygotes and B3 heterozygo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IL-6 B3 genotypes among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A IL-6 AT rich minisatelite is not associated with BMD in Korean women.

      • SCOPUSKCI등재

        Mouse L Cell에서의 외래 유전자 유래 단백질의 생산

        최윤희,岸本忠三,최차용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5

        유전자 재조합 동물세포를 제작하여 외래 유전자 유래의 단백질을 생산하고자 그 model system으로써 부착성 동물 세포인 mouse L cell과 pBMG Neo vector, 그리고 외래 유전자로는 hNF-IL6를 선택하였다. hNF-IL6는 hIL-6 유전자의 promoter 서열에 결합하는 성질에 의해 분리된 핵단백질로서 IL-6의 전자조절 인자로 밝혀져 있다. 이 hNF-IL6는 다른 면역 관계 단백지의 전사 조절 영역에도 결합함이 밝혀져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재조합 대장균에서는 발현시 너무 빨리 분해되어 생산이 어려웠다. Plasmid내의 neomycin resistance 특성을 이용한 1차 screening, 그리고 southern blot analysis를 이용한 2차 screening에 걸쳐 hNF-IL6 발현 vector가 도입된 재조합 clone을 선택하였으며, 전사 및 발현를 확인하였고 그 발현이 MT promoter 특유의 유도기작에 따르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생산된 hNF-IL6는 핵내에 존재함으로써 본래의 핵단백질 특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DNA binding activity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pBMG Neo vector를 사용, mouse L cell에서 발현된 외래 단백질 hNF-IL6가 본래의 활성도 유지함 대량 생산된 것을 알 수 있었고, 동물 세포에서의 외래 유전자 발현에 대한 이 system의 응용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Some interleukin 6 (IL-6) transcription control factors were reported as the regulator of IL-6 expression. A nuclear protein bound to interleukin 1 (IL-1) responsive element in the IL-6 promoter region was named NF-IL-6 (nuclear factor for IL-6). This NF-IL6 was known to be very important as a transcription factor for various immuno-protein as well as for IL-6. The human NF-IL6 genes were transfected into the mouse L cells under the metallothionein promoter (MT promoter) to establish a model system for the expression of foreign gene in the mammalian cell line. Over a thousand of neomycin-resistant clones were obtained by using electroporation method, and some positive clones were screened with Southern blotting. After the selection of LBM6104 clone with high copy numbers, the expression of human NF-IL6 under the control of the MT promoter was confirmed by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MT promoter vector system became quite useful for a setup of foreign protein expression in the mammalian cell lines.

      • KCI등재

        자연폐경여성에서 interleukin(IL)-6 유전자내 (CA) 반복다형성, 혈청 IL-6농도 및 골밀도와의 연관성

        김정구(Jung Gu Kim),김석현(Seok Hyun Kim),최영민(Young Min Choi),문신용(Shin Yong Moon),이진용(Jing Yo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3

        N/A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ytosine-adenosine(CA) polymorphism in interleukin-6 (IL-6) gene, serum IL-6 level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Methods : IL-6 CA polymorphism was analyzed by polyacrylamide-urea gel electrophoretic patterns in 300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direct DNA sequencing. Serum IL-6 was measured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Nine alleles were observed with product sizes ranging between 120-136 bp and 125 allele was the most comm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IL-6 levels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between the women who possessed at least one allele of each genotype and those who did not posses that allele. Serum IL-6 levels did not correlated with age, menopause duration, body mass index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IL-6 CA polymorphic pattern and serum IL-6 levels in osteoporotic women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in normal BMD or osteopenic women. Conclusions: IL-6 CA polymorphism has no relationship with serum IL-6 levels and BMD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 SCOPUSKCI등재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에 관한 연구

        천선희,Cheon, Seon-Hee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5

        연구배경: 결핵균(m. tuberculosis)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능에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중요하며, 항 결핵반응은 주로 T-림프구와 대식세포에 의하여 매개된다. 결핵균이 대식세포에 탐식되면 특징적인 cytokine이 분비되며 이 cytokine이 잠재적인 면역조절반응과 결핵감염시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특히 육아종 형성, 건락성 괴사, 및 지연형 과민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의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cytokine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와 interleukin-8의 자발 및 LPS 자극 후의 분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결핵 환자 10예와 대조군 5예를 대상으로 기관지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여 폐포 대식세포를 분리한 후 RPMI 1640 배양액에 폐포 대식세포가 mi당 $1 {\times}10^6$개가 되도록 희석하여 LPS 0.1 ${\mu}g/ml$, 1 ${\mu}g/ml$, 10 ${\mu}g/ml$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37^{\circ}C$, 5% CO2 하에서 24 시간 및 48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에서 TNF-$\alpha$, IL-1$\beta$, IL-6와 IL-8의 분비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폐포 대식세포에서 측정한 24 시간 자발적 TNF-$\alpha$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 $1149{\pm}805.5$ pg/ml, 대조군 $125{\pm}109.7$ pg/ml, 비병변 $127{\pm}135.6$ pg/ml, IL-6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이 $20.6{\pm}16.12$ ng/ml, 대조군 $0.91{\pm}0.58$ ng/ml, 비병변 $1.10{\pm}1.38$ ng/ml로 병변에서 유의하게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p<0.05). 폐포 대식세포에서 LPS 10 ${\mu}g/ml$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TNF-$\alpha$와 IL-6 분비능은 결핵의 이환된 병변에서 대조군이나 비병변에 1:11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IL-1$\beta$와 IL-8의 24시간 자발적 분비능 및 LPS 10 ${\mu}g/ml$로 48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분비능은 결핵 병변의 대식세포에서는 측정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 비병변에서 얻어진 대식세포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TNF-$\alpha$의 분비는 대부분이 처음 24 시간에 분비되었으나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는 48시간까지 점차 증가되었다. TNF-$\alpha$, IL-1$\beta$ 및 IL-6는 자발적 분비에 비하여 LPS를 0.1 ${\mu}g/ml$, 1 ${\mu}g/ml$, 10 ${\mu}g/ml$로 증가시킬 수록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IL-8은 LPS 1 ${\mu}g/ml$ 시 분비가 고평부를 이루었다. 결핵 비병변에서 얻어진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분비능은 초치료 환자에서 재발환자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IL-6와 IL-8의 분비능은 초치료와 재치료 환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이는 직접 이환된 부위의 폐포 대식세포에 국한되었다. 또한 폐포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1$\beta$가 특히 결핵의 초감염시 균에 대한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pontaneous and LPS stimulate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 release of alveolar macrophages in the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healthy individuals, as a control. Alveolar macrophages recovered from bronchoalveolar lavage fluids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LPS 0.1, 1, or 10 ${\mu}g/ml$ for 24 and 48 hours in 37C, 5% CO2. TNF-$\alpha$, IL-1$\beta$, IL-6 and IL-8 amount were evaluated using ELISA kit from the supernatants. There wer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pontaneous 24 hours release of TNF-$\alpha$ and IL-6 from the involved segments of tuberculosis patients compared with uninvolved segments and normal control There were also increasing trends of release of them after LPS stimulation in involved segments, but not significant. IL-1$\beta$ and IL-8 were not evaluated from the involved segments of tubeculosis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m between uninvolved segments of tuberculosis and normal control. It is concluded that cytokine release of alveolar macrophages in the pulmonary tuberculosis was markedly increased, and it was localized to the alveolar macrophages from the involved segments.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복강내의 IL-6와 IL-10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이경석(Kyung Suk Lee),강정배(Jeong Bae Kang),김홍배(Hong Bae Kim),이근영(Keun Young Lee),강성원(Sung Won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는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 매개성 면역계의 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인의 복강액을 채취하여 면역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IL-6와 IL-10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0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한림대학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불임검사, 불임시술 또는 양성 골반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복강경 또는 개복술을 시행한 여성 57명을 대상으로 이들 중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29명을 연구군으로 나머지 자궁내막증의 증상과 소견이 없는 28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군의 복강액에서 IL-6와 IL-10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복강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는 1320.3121pg/ml로 대조군의 1017113 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IL-10의 농도도 자궁내막증군에서 1.090.04 pg/ml로 대조군의 2.190.03 pg/ml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3). 자궁내막증 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변화는 IL-6는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2) IL-10은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막증군 중에서도 IL-6는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IL-10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증의 병기에 따른 IL-6와 IL-10의 농도를 각각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액에서 세포매개성 면역변화로 IL-6가 증가하고 IL-10은 감소하며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진행,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기계적폐쇄로 인한 배란장애와 난소이동의 장애, 수정력 감소, 착상장애로 불임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면역계통의 변화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Objective: Endometriosis is a disease affecting a large population of women all over the world. A local sterile inflammation occurs in the peritonel cavity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t suggests that immunological events play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We have studied the levels of serveral T cell and monocyte derived cytokines, especially IL-6 (promoter of immune response) and IL-10 (inhibitor of immune response), in the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o characterize the change of immune response that occurs at the site of endometriosis.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Hallym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1997 to October 1998 and enrolled 29 women with gross or mic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in case group, and 28 women without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n control group. IL-6 an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and compared between endometriosis and controls and between fertile and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according to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 IL-6 was higher and IL-10 was lower in the peritoneal fluid of endometriosis group than of control group. Cyclic variations in the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endometriosis group :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In endometriosis group, IL-6 concentrations of infertile women were higher than fertile women. Both IL-6 and IL-10 in the peritoneal fluid of endomtriosis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r-AFS stages. Conclusion: Increased IL-6 and decrease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d to infertility and pathogenesis in the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중 Interleukin - 6 ( IL- 6 ) 의 정량분석

        이규완(K . W . Lee),김종오(J . O . Kim),장기훈(K. H . Chang),이용호(Y . H . Lee),이낙우(N . W . Lee),박용균(Y . K . Park),조윤정(Y . J . Cho),김영태(Y . T .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혈중 IL-6의 과발현은 다발성 골수종, 악성 흑색종, 신경 교아종, 난소암, 신장암과 림프종에서의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중 IL-6의 농도를 정량화하여 대조군과 상피내암 및 자궁경부암에서 혈중 IL-6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29명, 자궁경부 상피내암 14명,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혈액 시료를 채취 후 분석시까지 -70℃에 보관하였으며 ELISA(BioSource International) kit를 이용하여 IL-6를 정량 분석하였다. 결과 : 혈중 IL-6의 평균농도는 대조군 4.4±1.7 pg/ml, 자궁경부 상피내암 5.3±1.7 pg/ml,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5.6±4.1 pg/ml로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에서 혈중 IL-6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각 군간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478).결론 :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자궁경부 편평상피암과 자궁경부 상피내암에서 혈중 IL-6의 농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으며 더 많은 예를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rum IL-6 and the prognosis of cervical cancer patients, because high level of IL-6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with adverse prognosis in multiple myeloma, renal cancer, glioblastoma, ovarian cancer and lymphoma. Methods : From June, 1997 to June 1998, total 58 patients including 29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14 Carcinoma in situ, 15 contro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se patients of serum IL-6 by ELISA. Result : The mean serum IL-6 was 4.35±1.68pg/ml on control, 5.29±1.72pg/ml on carcinoma in situ and 5.57±4.10pg/ml in cervical cancer patients.Conclusion : Detectable serum IL-6 levels were more ofte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and carcinoma in situ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결핵성 흉막염에서 Soluble Interleukin-2R, Interleukin-6 및 Adenosine Deaminase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종혁 ( Kim Jong Hyeog ),정복현 ( Jeong Bog Hyeon ),문승환 ( Mun Seung Hwan ),조호준 ( Jo Ho Jun ),이명구 ( Lee Myeong Gu ),현인규 ( Hyeon In Gyu ),정기석 ( Jeong Gi Seog ),남송현 ( Nam Song Hyeon ),류지소 ( Lyu Ji So ),조현찬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2

        흉막 질환을 진단하고 그 기전을 이해하는데 각종 면역학적 지표들이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결핵성 흉막염은 T 임파구가 활성화도이 조력 T 임파구가 증가하고 sIL-2R, ADA 및 interferon gamma 등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이들 T 임파구의 산물인 sIL-2R, IL-6, ADA 등이 흉막질환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 보고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흉막액에서 sIL-2R 치는 결핵성에서 877±430pmol/L로 결핵성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2) 흉막액에서 IL-6 치는 결핵성에서 25,593±17,352pg/ml, 악성에서 5,800±3,485pg/m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흉에서 74,080±48,569p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결핵성 흉막액내의 sIL-2R 치와 ADA 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증가되어 있었다(r=0.5623, p=0.001). 4) 결핵성 흉막액의 sIL-2R 치는 IL-6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흉막염에서 결핵과 악성 종양의 감별은 ADA, sIL-2R 및 IL-6 모두가 의미있는 지표들로 사료되며 결핵성에서 sIL-2R와 ADA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sIL-2R와 IL-6 간에도 동반상승의 경향을 보여 T 임파구에서 형성되는 이들 지표들이 결핵성 흉막 삼출액내에서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interleukin-6 (IL-6), Soluble interleukin-2 receptor (sIL-2R) and adenosine deaminase in diagnosing tuberculos pleurisy and in differentiating it from malignant pleural effusion, and to find out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parameter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level of IL-6, sIL-2R and ADA in various pleural diseases. Included were 77 subjects with pleural effusion (57 bopsy proven tuberculous pleurisy, 9 malignant pleural effusion, 5 empyema, 4 parapneumonic effusion, 1 paragonimiasis and 1 pancreatitis). IL-6 was measured by Quantikine human IL-6 (R&D systems), sIL-2R by h-interleukin-2-receotor ELISA (Boehringer Manheim biochemica) and ADA by Giusti`s colorimetric method. Results: The level of IL-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uberculous effusion (25,593±17,352 pg/ml) than that of malignant effusion (5,800±3,485 pg/ml, p < 0.001). IL-6 was also increased in empyema fluids (74,080±48, 569 pg/ml). The level of sIL-2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uberculous effuson (877±430 pmol/l) than that of 20 nontuberculous effusion (259±230 pmol/L, p<0.001). The level of ADA was also higher in tuberculous effusion (82.4±26.9 U/L) than that of nontuberculous effusion (18.8±11.6 U/L, p<0.001). Levels of both ADA and sIL-2R were lower in malignant effusion (16.4±9.66 U/L, 229+171 pmol/L) than those of tuberculous effusio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L-6 in discriminating tuberculosis from malignancy were 84% and 100% respectively (cut-off value: 10000 pg/ml). Those of sIL-2R were 87% and 77% (cut-off value: 350 pmol/L). ADA was most valuable in differentiating tuberculosis from malignan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which were 100% (cut-off value: 40 U/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IL-2R and IL-6 was 0.3822 (p=0.001).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assay of IL-6, sIL-2R and ADA could play an implemental role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Increased level of the three parameter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suggestive of the involvement of activated T cells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