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란강아 말하라>의 창작방법 연구

        이해영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3 한중인문학연구 Vol.11 No.-

        본고에서는 중국 조선족의 첫 장편소설이자 또한 작고한 중국 조선족 문학의 거장-김학철의 첫 장편소설인〈해란강아 말하라〉의 창작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해란강아 말하라〉는 조선의용관의 상이전사 김학철이 연변에 정착한지 2년 뒤인 1954년에 발표한 것이다. 조국의 해방을 위하여 피 흘려 싸웠으나 그의 전우들과 함께 정작 해방된 조국에서 외면을 당한 김학철에게 있어서 연변은 곧 선택이 생략된 운명적인 공간이자, 이상과 현실이 합치되는 행복한 공간이었다. 그 역사적인 공간에서 김학철은 '중국공산당의 영도'라는 정치적 감각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것은〈해란강아 말하라〉의 외적인 틀이 전통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의 정형화된 서사구조를 이루게끔 한 내적인 원동력이다. 그러나 소설은 또 한편으로 얘기꾼의 도입, 고문주의 서술, 드러내는 플롯에 의한 플롯의 무정 형화에로의 지향 등 정형화된 외적인 틀에서의 일탈을 시도하는바 이는 소박성ㆍ낙천성으로 표상되는 김학철 특유의 작가적 진실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감각과 특유의 작가적 진실이 부딪친 자리에〈해란강아 말하라〉가 놓였는데, 이 둘의 내적 긴장은 소설의 서사구소를 이원적이게 하는 내적인 힘이다. 이 내적인 긴장과 힘에 의하여〈해란강아 말하라〉는 그 서사적 균형을 유지한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artistic technique of Say, Hailan river, the first Korean-Chinese novel, which written by Jin Xuetie, a wounded soldier and Korean-Chinese literary giant. Say, Hailan River was published in 1954 after Jin Xuetie had settled down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China) for 2years. Having fought bloody battles to liberate Korea but rejeced, there was no place for him and his comrade-in-arms. So Yanbian became the only happy place for him to choose, a place of an ideal and reality. Politically affected by the leadship of communism in that historical place, it became the internal motivity of achieving the finalized narrative 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ist realism novels. On the other hand, with the story-teller and antiquities narration, this novel deviates from finalized plot to unfinalized plot, simplicity and optimism based on the writer's particular truth. Placed between the political sense and particular conscious reality of the writer, this internal tense became the internal power of Say, Hailan River fiver to make the narrative construction dual. And the internal power and tense keep the narrative balance of Say, Hailan River.

      • KCI등재

        경계인의 삶의 지형과 디아스포라 의식 연구 - 박홍근 소년소설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을 중심으로

        최미선 ( Choi Misu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7 No.-

        이 논문은 아동문학가 박홍근의 작품세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에서 작가의 성장기 지형이 매우 의미 있게 두드러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된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을 중심으로 작가 박홍근이 경계인으로 살았던 삶의 지형과 디아스포라 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은 용정에서 일어나는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삶의 이야기가 서사의 중심축으로 전경화(foreground)되고, 무력독립운동 항쟁의 역사적 사실이 배경(back grounding)으로 기능하는 복합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올해는 박홍근 탄생 100주년의 해로 이에 즈음하여 작품의 미의식과 문학적 성취를 고구(考究)할 필요가 있다고 보기에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은 1919년 기미 독립만세운동 직후, 북간도 용정지방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스토리이다. 용정은 우리 민족이 가장 고통스럽고 어려웠던 시기에 이산지로 선택한 지역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항일 운동이 거세게 일어난 특별한 곳이다. 박홍근은 간도 용정에서 중학교 시절을 보내며 첫 번째 디아스포라를 경험한다. 그리고 한국전쟁 이후 고향 함경북도 성진에서 부산으로 피난하고, 이후 실향민으로 평생을 보낸 것이 두 번째의 디아스포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계인으로서의 작가의 정체성은 당시의 시대상황과 어떻게 결합되며 작품 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가를 살피는 작업을 우선적으로 하게 된다. 『해란 강이 흐르는 땅』에서 디아스포라 양상은 공동체의 과업인 본토(내지)의 주권회복과 본토복원의 열망이 최대 과업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독립운동으로 표면화되고 소년 주인공 인물도 여기에 역할을 맡는다. 여기서 ‘형일’이를 중심으로 하는 소년화자들은 어른들과 달리 디아스포라의 감상에 빠져 있기 보다는 그런 감상을 극복하면서 작은 영웅으로 활약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작가가 소년소설의 효용적 가치에 충실히 복무하면서 독자들에게 옳은 역사의식과 현명한 인물상을 심어주기 위한 의도로 이해된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허구의 서사와 결합시킨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은 선현들의 활약을 이해함으로 민족적 자긍심을 가지는 한편 역사사건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는 소년소설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해란 강이 흐르는 땅』은 역사사실, 역사 실존인물을 소환하여 역사소설, 교양소설(Bildungsroman)의 기능을 이행하고 있으며, 용정 지역 공동체 주민들의 삶과 일상을 전경화하여 복합적인 소설 구성을 이루었다. 그리고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소년 화자는 역사 속에서 디아스포라 유민의 삶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고, 한국소년소설로는 드물게 공간적 배경 지평 확장에도 기여했다는 가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a writer’s diasporic identity as a marginal man can affect his literary works and can be presented in his wor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Land Through Which Hailan River Flows, written by Hong-Guen Park, who had diasporic experiences as a marginal man. This study begins by observ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k's literary works and the places he used to live, especially during his years prior to old age. Since this year i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Hong-Geun Park, it is high time to study his esthetic conscious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in honor of him. The Land Through Which Hailan River Flows, which belongs to young-adult literature, is set in Long jing, the center of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ies in North-Jiandao, China,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9. The story is set in the time period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before ‘The Grand Punitive Expedition’ in 1920 by Japan. At that time, Long Jing was the place that many Korean immigrants had chosen as their hometown, which became the center of the Korean-national independence parties resisting Japanese colonization. A complex story structure is created by foregrounding the life of this diasporic community as the central focus of the narrative and by providing a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ruled Korea. The changing designations of home and worrying about homelessness are recurring themes in diasporic literature. Looking at the life of Hong-Geun Park in this respect, Park experienced his first diaspora in Long jing during his junior high school days. After the Korean War, his second diaspora in Busan continued for the rest of his life as a displaced person. In this case, diasporic writing reveals these experiences of instability and displacement at some level. A diasporic text can be investigated in terms of location, displacement, and relocation. The diasporic aspect in this literary work is presented as an aspiration to restore sovereignty and regain lost lands. Instead of writing stories about the helpless adults who were so discouraged by diasporic homelessness, displacement, and alienation, the writer focuses more on the diasporic reconstruction, which is embodied as an independence movement, prominently in the role of Hyeong-il, the boy protagonist, and his friends. It might have been the writer’s intention to give young readers the right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a role model, such as Hyeong-il, not to mention the value of the story itself. One of the effects of this story is that young readers have a chance to gain national pride and understand historical events by identifying genuine Korean activities to regain lost land and overcome their diasporic hardships. To summarize, the article explores several contributions of The Land Through Which Hailan River Flows to the history of Young Adult Literature. First, combining the ordinary and daily life of diasporic immigrants in Long jing and historic aspects of the armed anti-Japanese movement in 1919, the story serves as a historical novel and Bildungsroman by summoning historical facts and historical figures. Second, the story focuses more on the role of the boy protagonist with the aspiration to regain the lost homeland, rather than the first generation’s diasporic nostalgia, loss, and alienation in the immigrant community. Finally, the story contributes to the exploration of the diasporic background, an element rarely found in Korean young-adult literature.

      • KCI등재

        김학철의 반제혁명 인식의 발전과 작가적 성장 : 초기 창작을 중심으로

        이해영 ( Li Hai-yi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이 글은 그동안 김학철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1945년 광복직후로부터 1953년 조선전쟁이 휴전되던 무렵까지의 초기 창작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초기 창작이 어떻게 『격정시대』가 이룩한 김학철 특유의 미학적 특징과 서사적 양식으로 연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에서는 그동안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김학철의 북한 시기의 작품인 중편소설 「범람」의 역사적 의미를 구명하였다. 일본 나가사끼 감옥에서 해방을 맞은 김학철의 서울 귀환은 작가 되기 즉 조선의용군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소설을 문학지에 발표하는 것과, 조선의용군의 상이군인으로서 각종 정치단체의 집회에 초청되어 귀환보고를 하는 것 두 가지 형식이었다. 신념과 체험의 절대성과 구체성이 귀환보고에서는 선동적이고 즉흥적이었다면 소설로 표현될 때는 미처 외부세계와의 교섭을 통한 객관화와 주체화에 이르지 못하고 직접성을 띨 수밖에 없었다. 좌익에 대한 정치적 탄압을 피해 월북한 평양에서 김학철은 서울시기의 조선의용군 체험의 회상에서 점차 벗어나 새로운 소재 영역을 향해 나아가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남조선 빨치산 투쟁을 다룬 『범람』이다. 이 소설은 소재 영역에서 ‘10월인민항쟁’과 그로부터 시작된 남조선의 빨치산 투쟁을 다루고 있으며 서사내용 측면에서 남조선의 빨치산 투쟁이 김일성 ‘장군’을 위수로 하는 노동당 중앙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고 있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정치적 망명의 최종적인 종착지로 선택된 연변은 김학철에게 이상과 현실이 합치된 운명적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며 그는 연변에 온지 1년 만에 “중국 공산당 영도 하의 연변 조선족 인민의 항일투쟁사”를 형상화한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를 발표한다. 그것은 공적인 역사 쓰기를 통한 연변 역사에의 합류였다. 하지만 연변의 역사와 혁명사에 대한 이해가 전무했던 김학철에게 그것은 “남조선 빨치산 투쟁”과 마찬가지의 생소한 소재였다. 김학철은 엄청난 취재와 인터뷰, 자료조사를 통해 생소한 이야기를 자신의 체험과 비슷한 차원의 체화된 수준으로 각인시킬 수 있었으며 그 결과물이 바로 『해란강아 말하라』이다. 그러므로 정형화와 탈정형화의 동시적 체현으로 특징 지어지는 『해란강아 말하라』의 역동적인 서사적 특징은 연변 조선족 인민의 반제혁명투쟁에 대한 김학철 식의 형상화 방식 즉 체화된 이야기의 직접성과 작가 주체의 대상화가 결합된 독특한 방식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문혁이 끝났을 때, 김학철은 조선의용군체험을 전격적으로 형상화한 장편소설『격정시대』에서 개방된 서사구조, 탈정형화로 특징 지어지는 특유의 서사적 양식을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This thesis focused on Kim Hak-cheol’s early works between 1945(the year of Liberation) and 1953(the year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nd tried to find how to connect them with the special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ode of Kim Hak-cheol’s work Passion Era.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d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loodone of Kim Hak-cheol’s novelle during North Korean period, which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Before Liberation Kim Hak-cheol was in prison of Nagasaki, Japan. He expressed his return to Seoul in two ways. One was to be a writer who published novels that literally depicted the experience of Korean Volunteer Army, the other was to be a disabled veteran of Korean Volunteer Army who was invited to give reports about ‘return’ at meetings of the various political groups. The absoluteness and concreteness of beliefs and experiences in ‘return’ reports were inflammatory and improvisational. Compared with this, it fails to achieve objectification and subje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but seems to be the directness of his novels. Kim Hak-cheol, who fled to Pyongyang to avoid political repression of the left party, Gradually came out of the recollection of the experience of Korean Volunteer Army and started to use new materials. The representative work is Flood. The work is about ‘People’s Uprising in October’ and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after that. From this novel, we know that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was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Labor Party Central Committee which was headed by General Kim Il-sung. Yanbian, which was chosen as the final destination of political asylum, was recognized by Kim Hak-cheol as a fateful space in which ideal and reality coincided. Only one year after he settled in, he published the Say, Hailan River, which depicted “Yanbian Korean people’s history of anti-Japanese struggl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official history wan connected with Yanbian history by his writing. However, the same as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Yanbian history and revolutionary history were new to him. So he collected many materials, did interviews and investigations to change these new things to be his experience and specific memories. Say, Hailan River was the result. In Say, Hailan River, standardization and de-standardization were reflected at the same time. Its dynamic narrative features is Kim Hak-cheol’s way of visualizing Koreans’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imperialism in Yanbian. That is a special way to combine the directness of specific story with objectification of the writer himself. At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he created a special narrative method formed by open narrative structure and de-standardization in his novel Passion Era that was the visualization of the experience in Korean Volunteer Army. This means the emergence and formation of the writer himself like Kim Hak-cheol.

      • KCI등재

        건국 초기 동북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가적 정체성의 확립 ― 김학철의 『해란강아 말하라』를 중심으로

        李海英 ( Li Haiyi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이 글은 1953년 연변 조선족 자치구 창립 1년 만에 창작된 김학철의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를 중심으로 사회주의 중국의 건국 초기에 그러한 조선족의 혁명서사가 나타나게 된 정치 사회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작가 김학철의 현실인식과 함께 그러한 혁명서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바를 구명하였다. 소설은 ‘9.18’사변을 전후한 시기, 중국 공산당 영도 하의 조선인의 동만 항일근거지 건설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인 중공 당원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절대적 지도와 형과 같은 위치가 강조된다. 동북의 항일투쟁에 대한 조선인의 공헌과 기여는 중국 공산당과 건국 초기 중국 공산당에 의해 연변 조선족의 지도자로 발탁된 조선의용군 계열 간부인 주덕해와 최채들의 공통된 입장이지만 거기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했다. 동북항일연군 최고 지도자 주보중이 만주의 조선공산당원들이 중국공산당에 가입한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고 있는 반면 김학철의 소설은 이 한단락의 역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소설은 또 동만 조선인 사회의 계급적 분화를 통해 친일지주계급의 반동성과 소작인 농민들의 혁명성을 뚜렷이 보여주었으며 소작농 출신 혁명가의 철저성과 비타협성을 강조하였고 반제동맹은 결국 조, 중두 민족의 비타협적이고 혁명적인 소작농 계급에 의해 가능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김학철이 소설에서 구상한 반제동맹에서 불철저성과 불안정성을 가졌던 浮游하는 계층은 모두 타락하고 변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소거되었으며 준엄한 투쟁의 고험을 이겨낸 비타협적 계층만이 지속적으로 동만 항일근거지 건설에 연결됨으로써 해방 이후 연변 조선족 사회의 순결성을 보장하였다. 소설은 또 역사적 사실에 충실함으로써 반우파 투쟁당시 ‘혁명의 패배사’라고 비판받기도 했지만 이는 그의 작가적 양심이기도 했으며 사회주의 사실주의 문학의 핵심인 ‘사회주의적 전망’의 부재라는 면에서 그의 작가적 한계이기도 했으나 역으로 김학철식 문학 양식의 탄생이기도 했다. 이러한 혁명서사를 통해 김학철과 그의 전우들은 광복 전, 재만 조선인의 역사를 중국 공산당 영도 하의 동만 조선인의 항일투쟁 역사로 온전히 환원함으로써 조선족의 역사를 중국 근대사 속에 무리 없이 편입시킬 수 있었다. 이는 광복 직후, 중국에 남은 120만 조선인이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에 대한 그들 차원에서의 최고의 대안이었으며 당시 혼란에 처해있던 조선족의 조국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었다. Say It, Hailan River is a long revolutionary novel about "the Chinese Koreans' Anti-Japanese struggle in Manchuria in 1930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hich was written by Chinese Korean writer Kim Hak-cheol in 1953,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By describing the class division of the Chinese Korean society in Manchuria, the novel vividly depicted the reactionary nature of the pro-Japanese landlord class and the revolutionary nature of the tenants, as well as the thoroughness and non compromise of the revolutionaries who came from the tenants. Kim Hak-cheol emphasized that only the non compromise class who had withstood the severe struggle could continu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onstruction of Manchuria anti-Japanese base area in Northeast China, and only they could ultimately ensure the purity of Chinese Korean society in Yanbian. Through this revolutionary narration, Kim Hak-cheol completely restored Chinese Koreans’ history in Manchuria to the history of Chinese Koreans' anti-Japanese struggle in Manchuria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compiled Chinese Koreans' history into the modern history of China without disp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