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작문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약 100여 년 전에 심리학자 후에이는 독서과정의 완전한 분석은 심리학자들의 꿈의 성취와 같다고 말하였다. 독서가 얼마나 정교하고 복잡한 심리 과정인가를 강조한 말이다. 그런데 작문은 독서보다 훨씬 더 높은 지적작용이다. 독서가 2차적 지식 생산 과정이라고 한다면, 작문은 1차적 지식생산 과정이기 때문이다. 여러 수준의 작문 중에서, 대학작문은 가장 복잡하고 다양하고 수준이 높은 작문이다. 대학작문은 여러 측면의 특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 대학작문은 고등학교 작문의 후속적 연계이면서 수준은 더 높아야 하고, 교양적이어야 하고, 대학 내의 여러 전공으로 나아가는 학문성도 띄어야하고, 사회의 다양한 직업적 요구도 맞추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대학작문은 이런 여러 특성을 갖추지도 못하였고, 필요나 요구에 부응하지도 못하고 있다. 어쩌면 고등학교 작문보다 그 수준이 더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유한다고 본다. 하나는 대학에 대학작문 과정이 개설되어 있기는 하나, 그에 적합한 전공자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는 첫 번째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강사나 교재 편찬 위원들이 대부분 작문 전공자가 아닌 어학이나 문학 전공자들이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대부분 대학의 대학작문 교재가 언어학적 규칙을 가르치거나, 문학적 또는 수사학적 글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학작문의 개선이 시급히 요청된다. 우선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교수나 강사들을 모두 작문 또는 대학작문 전공자들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최신의 대학작문 이론들을 도입하여 그 교재의 내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About one hundred years ago, famous psychologist Huey said that the complete analysis of reading process would almost be the acme of a psychologist’s dream. His words were to emphasize how much complex the reading process would be. But it has for a long time been agreed among the psychologists that writing would be higher than reading in the complexity of cognitive processes.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to say that writing is the primary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while reading is the secondary. Among all kinds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writing would be the most complex and intricate workings of cognition in human mind. College composition has many characteristics in its position, nature, and needs. In its educational position, college composition comes after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hat is, college composition would be theoretically and educationally more difficult than the compositions at other levels. In the college, college com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gate of entering into various technical fields, that is, into the liberal arts field, social science field, and natural science field. College composition is also expected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job-related writings in the society. College composition has many-sided aspects in its nature. But unfortunately, the current actual conditions of college composition in this country is far away from all these aspects; position, nature, and needs. An analysis betrayed that college composition textbooks fell far behind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extbooks in both writing theori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wo very critical main reasons are assumed. The first i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college composition. Many scholars who are engaged in teaching or textbook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ollege composition still understand that the college composition is academically an applied area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and so they emphasize the teaching of grammar and textual rhetoric(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xt types) in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rather than the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writing processes. The second is because of the unqualified professors/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Most professors and/or 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are those who acquired their doctoral degrees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or literature. Many paradigmatic changes in the field of composition/writing have occurred in the last few decades : From linguistics and literature to cognitive psychology in the theories and academic fields; From text itself to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teaching and researching focus. Innovative change are needed in college composition.

      • KCI등재

        창작자(Creator)로서의 배우 양성을 위한 훈련법 연구 - 앤 보가트의 컴포지션(Composition)응용 훈련을 중심으로 -

        정은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creation-centered acto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diversifying trend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field and to examine appropriate training methods. This researcher discussed Anne Bogart's Composition as a useful training method for the actor to play a more active role as a ‘creator' i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performance. Accordingly, a case in which the researcher applied composition as a training method for student actors based on the basic acting course taught in Pyeongtaek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was examined. To this end, the concept and work method of composition as a composition task were first examined, an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six approaches' that can be applied to ‘initial composition training' and ‘six steps' that can be applied to ‘creation of work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a of creating works learned in composition work was embodied as an action and played an independent role in the creation process. In addition, ‘Object composition', ‘Text composition', and ‘Image composition' training, which were applied to the basic acting class for 9 weeks, were able to apply ‘6 approaches' for composition training and ‘6 steps' for creation to suit the material and subject of training. In this process, by examining the stages of each application training and the composition results of the student actors, it was found that composition training is a process in which the actor comprehensively understands the stage of creation and can explore the acting style suitable to the form and genre of the pla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 process of training student actors to play a role as subjects of creation in the creative process was necessary, and a ‘creation-centered actor trai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was suggested.

      • KCI등재

        한국인 소아 청소년 신체조성의 변화

        이영아,임중섭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0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5 No.1

        The term body composition describes the percentages of fat, bone, and muscle in the human body; it reflects the nutritional or growth stat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urther, its evaluation is clinically important to assess the nutritional abnormalities, growth failure, progress of chronic diseases, or treatment measures for these conditions. Body composition parameters such as total body fat and fat distribution are risk factors for metabolic disease not only in adults but also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adequate bone mineral acquisition and failure to achieve peak bone mass is a risk for subsequent osteoporosis. Therefore, measuring the body composition is important to ascertain the natural course of metabolic diseases and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ir prevention because the body composi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predictive of their body composition as adults.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basic concept and methods of measuring body composition. This review also deals with the evaluation of body composition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ecause the body composition of individuals differs with age, body weight, puberty, sex, race, and ethnicity, it is important for pediatricians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composition chang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Semantic-Aware Approach for Automatic Cloud Services Composition

        Hasan A. H. Naji,Chao Zhong Wu,Shu Gao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Grid and Distributed Comp Vol.9 No.8

        Service composition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approach to generate composite services for satisfying services Consumers’ needs using their preferences.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previous studies ignored issues that affect Service composition such as increasing composition time and no ranking for produced composite services. To address these issues, we propose a semantic-aware approach for automatic cloud services composition. Firstly, a semantic network of service is built using an efficient input-output matching algorithm. Secondly, a Forward-Chaining based algorithm is adopted to create composit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loud Service Consumer. Thirdly, a hybrid ranking method based on similarity quality and QoS Criteria is implemente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omposite service. The results of experiments provide evidence that our approach can effectively produce composite services for service consumer’s request, and show benefits of consuming less composition time comparing to similar composition algorithms.

      • 작문 교육을 위한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공간 모형 설계 방안

        임천택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본고는 새로운 작문 환경과 교수·학습 환경에 부응하여 컴퓨터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이용하여 작문 교육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하이퍼텍스트란 노드들이 링크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언어적, 비언어적 텍스트의 총체를 말한다. 하이퍼텍스트의 구조는 작문을 위해 정보를 탐색하는 측면에서 방향감 상실이나 인지적 과부하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는 표현의 자율성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하이퍼텍스트가 작문 교육에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작문 과제, 작문 과정, 학습자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망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과정을 계획하기, 탐색하기, 작성하기, 다듬기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계획하기 단계는 과제를 인식하고, 필요한 지식이나 전략을 선택하고, 전체적인 작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탐색하기는 계획하기 단계에서 산출한 아이디어를 단서로 삼아 필요한 내용을 찾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다. 작성하기 단계는 탐색하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초고를 작성하는 실질적인 글의 산출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작문 매체 자체는 조작이 가능하고, 텍스트의 조작과 저장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내용을 생성화고, 조직하고,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전사하기가 이루어진다. 다듬기는 초고를 작성한 후에 작문 과제에 비추어 초고를 점검하고 수정하며, 의사 소통 상황에 맞게 편집하는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펜-작문과는 달리 텍스트의 조작이 용이하고 시각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다듬기 단계가 중요하다. 조정하기는 필자가 작문 과정을 점검하고 통제하고, 의미의 연결 망을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은 사고를 즉각적으로 처리하고, 작문 단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문 공간 모형'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쓰기 자료, 쓰기 지식, 쓰기 전략의 설계를 통하여 쓰기 과정을 지원하는 일종의 개념 지도라고 할 수 있다. 작문 공간은 이른 바 '계획 공간', '조직 공간', '쓰기 공간' '상호작용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계획 공간은 과제를 초점화하고 쓰기 계획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자료 공간은 필자가 다양한 자료를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쓰기 공간'은 텍스트를 구성하고 교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상호 작용 공간'은 필자가 다른 사람들과 텍스트를 공유하고 생각을 주고받는 공간이다. 필자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쓰기 과정에 필요한 지식과 전략을 인식할 수 있고, 내면화할 수 있다. 즉, 작문 공간은 필자에게 쓰기 지식과 전략을 내면화하는 데 비계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tudy proposed model of writing space for system supporting composition education in hypertext environment considering new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First, I explained characteristics and moving structures of hypertext. It is basic discussion to be necessary for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of composition education. Hypertext is the whole of verve and non-verve text having network structures that nodes is connected with link. Hypertext has to have web structure to be used within compositio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omposition process based hypertext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revising. Planning is the step to know task, choose knowledge and strategy, and make whole plan of composition. Researching is the step to understand, interpreter, and research content needed on basis of cues in planning step. Composing is the step to product text practically. Revising is the step to check a draft, revise it, and edit it on basis of situation. Regulation is the course controlling and cheking composition process, and making meaning web connected. Hypertext system supports to process thinking immediately and move composition steps easily. Model of composition space is one of the these programs, it is concept-map that support writing process with design of materials, knowledge, strategy, composition space consists of called 'plan space' , 'organization space', 'materials space', 'writing space', 'interaction space'. Plan space supports writer to know task accuracy and plan writing. 'Organiza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 model of text and make organizer-map. 'Materials space' supports writer to investigate and use various materials. 'Writing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nd revise text. 'Interac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exchange think and own in common text with others, Writer knows the knowledge and strategy that can use in writing process using these spaces.

      • KCI등재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연출 구도 비교 연구 -힘과 방향을 중심으로-

        성창경,정진헌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4

        A good screen composition is essential to easi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moving pictures to the audience. Traditionally, the golden section cut was frequently used when arranging static paintings or still cuts. This is because it is also one of the most suitable screen composition method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this golden section cut in dynamic images (flat, stereo-scopic). While painting or still pictures have a composition within a fixed frame, because moving pictures form a composition in a moving screen, if the golden section cut is applied by pausing the moving picture at any one point, it will cause an inconsistency with the next image and thus interfere with the audience understanding its contents. This problem can be even more severe in stereo-scopic imag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stereo-scopic images and flat screen images is its depth, and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but also the front and rear of the screen must also be considered in its composition. Stereo-scopic images are expanding the composition space by arranging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screen from deep in the screen to right in front of the audience. Therefore, the production composition of stereo-scopic images and flat screen image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flat screen image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flat perspective and stereo-scopic screen image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dimension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screen of 3D images is not flat, but dimensional, and the screen composition should be produc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audience is included in the 3D screen. In addition, when producing the composition, it should be done so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golden section cut, but also the strength and direction in the screen, the relationship of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outside of the screen and the constituents, and the relationship of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space inside of the screen and the constituents. 영상에서 좋은 화면구도가 필요한 이유는 관객에게 보다 쉽게 영상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전통적으로 정적인 회화나 스틸 사진에서 화면에 구성요소를 배치할 때에 황금분할 구도를 많이 사용해 왔는데, 이것 또한 관객의 이해를 돕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화면구도 방식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황금분할 구도 방식을 그대로 동적인 영상(평면, 입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회화나 스틸 사진에서는 고정된 프레임 속에서 구도가 형성되지만, 영상은 움직이는 화면에서 구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한 시점에 영상을 고정시켜 황금분할 구도를 적용한다면, 다음으로 연결되는 영상과 불협화음이 생겨 관객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어 오히려 더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입체영상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입체영상과 평면영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깊이(depth)인데, 입체영상의 화면구도는 깊이로 인해 화면의 좌우 외에 전후의 공간을 구도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입체영상은 화면의 구성요소들을 화면 깊숙이 먼 곳에서 관객 바로 앞까지 배치하여 구도공간을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영상과 평면영상의 연출구도의 개념은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야 하는데, 평면영상은 화면을 평면적 관점에서 입체영상은 화면을 입체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다시 말해 입체영상의 스크린은 평면이 아니라 입체이고, 관객은 그 입체 스크린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화면 구도를 연출해야 한다. 또한 구도를 연출 할 때 황금분할구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속에서 힘과 방향, 스크린외각과 구성요소와의 힘과 방향의 관계, 스크린속 공간과 구성요소의 힘과 방향 관계를 함께 고려해 구도연출을 해야 한다.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의 단지 및 도시 계획에 있어 정사각형 평면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김연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서 특히 정사각형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단순히 하나의 정사각형 평면을 구성하는데서 출발하여 여러 정사각형의 복합적인 구성 및 도시적인 스케일에까지 적용이 되며 보이드/솔리드의 관계에 의한 공간적인 특성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 중 정사각형 유형 및 구성에 대한 주제 중 단일건물에 대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고 후속 연구로서 단지 및 도시적 규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사각형이라는 기하학적 요소가 그의 건축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따라서 코르뷔지에의 건축 중 단지 및 도시계획에서 사용된 정사각형의 적용 방법과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고 형태 및 공간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에 있어 코르뷔지에의 전 작품 중 정사각형의 구성 특성을 보이는 30개 작품을 계획의 규모에 따라 단지 계획과 도시 계획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 우선 2장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 계획에 대한 배경을 살피게 된다. 3장에서는 정사각형의 기하학이 적용된 작품을 대상으로 정사각형 배치 구성의 유형 특성을 고찰하게 되는데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모든 작품에 대하여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태를 도출하여 정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정리된 내용에 대하여 형태, 공간, 규모적인 특성 및 연관성을 정리하여 유형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진화 과정 및 형태를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결과) 르 코르뷔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단지 및 도시 계획에서 정사각형 구성을 하였는데, 그 유형과 구성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초기의 도시 계획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인 격자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 중 현대도시의 경우 전체 도시의 중심에 고층 건물군을 배치하였으나 부와쟁 계획에서는 고층 건물군 위주에 일부 저층 주거 등을 계획하였고 빛나는 도시에서는 훨씬 큰 규모의 저층 주거 블럭에서 고층 건물군이 독립적으로 분화되어 축선상의 상부에 배치되었다. 2. 계획의 스케일은 규모에 따른 격자를 기반으로 결정되었는 바, 도시 계획에 있어 블록의 경우 기본적으로 800m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그 규모에 따라 400m, 200m 단위로 격자의 규모를 조절하고 있다. 한편 단지 계획에서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주택은 2.26m, 3.6m, 공장은 40m 등의 스케일로 구성되었다. 3. 도시 계획에 있어서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데카르트식 마천루로 400m 모듈이 사용된 고층 오피스 블록인데 사방이 도로로 둘러싸인 독립된 정사각형의 대지를 갖게 되며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사용되었다. 4. 정사각형을 이용한 다른 구성 특성은 일정한 모듈이 계속 반복되어 규모가 커 나가는 증식형 구성이다. 5. 단지나 도시 계획에 있어 전체 공간은 다수의 건물군과 외부 공간으로 나뉘며 개별 건물은 정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위가 반복되는 선형 건물로 구성되고 외부공간은 다시 포장된 외부 공간과 녹지 외부 공간으로 나뉜다. 건물과 2가지의 외부 공간은 상호 영향을 미치며 구성되는 방식에 띠라 위계를 가진다. (결론) 이상과 같이 도출된 결론에서 보듯이 정사각형이 단일 건물의 평면 구성에서 뿐 아니라 단지 및 ...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huge cases of square form in Le Corbusier’architecture from single square plan to complex composition of various squares even in urban scale. In scale, the variety of form and the extent of adaption in his works , square could be an architectural element which defines Le Corbusier’s architecture. There are two ways of analyzing the square of Le Corbusier. The first in the single building is already done in previous study and this study aims conception and composition by square in site & city planning. To make clear the meaning the square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types and forms of square plan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ocess of square plan composi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formal and spatial development. (Method) First of all, the elements which had influenced the square form of Le Corbusier’s site & city planning will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The formal types of 30 work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quare in site & city planning will be analyzed. Thir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principals the study is constructed to categorize various cases of composition typ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ypes and plan compositions will be presented. (Results) Th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according to type of square forms and plan compositions. First, 1. In the earlier city planning works, the entire composition was made by the framework of regular basic grid and the cruciform high rise building group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hole planning in Ville Contemporaine and was mixed with low housing building. Second, The planning size was decided by the grid representing urban scale. In city planning, Le Corbusier basically has used 800m module and controlled the scale of grid as 400m, 200m. And in site planning, he adopted small scale like 2.26m, 3.6m grid for housing and 40m for factory facility. Third, In city planning, one of the principal composition elements is a high rise building block which is an independent square site of 400m module surrounded by grand boulevard and is used as a basic unit for composing city. Fourth, Another characteristic of composition by square is the‘proliferation type’which grows in scale after repetitions. Fifth, The entire space of site & city planning is composed of building group and exterior space. And the exterior space has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is covered space such as plaza and the other is green space. Those three elements are placed by spatial hierarchy and have relations one another. (Conclusion) After the categorizing and analyzing Le Corbusier’s works concerning square composition, square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icient tool in site & city planning. And this study made clear the details and nuances of delicat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square plan and with another study on the square forms and compositions in single building, as a result one of the essence of le Corbusier could be fully understood.

      • KCI등재

        대학작문교육의 위상과 실행 요건 연구

        장은섭(Jang Eun-seob),최승식(Choe Seung-si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우리 사회가 본격적인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은 대학들은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을 개혁하고 있는데 이때, 중요한 부분이 교육과정에 대한 개혁이다. 특히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의 경계를 뛰어넘어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운영하는 과정으로 범교과적이고 유용한 교과목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대학에서 빠짐없이 개설되고 또 강조하고 있는 과목이 대학작문이다. 작문교육의 강화 배경에는 작문 고유의 성격과 학문 발달 외에도 시대와 사회 그리고 대학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즉, 새로운 지식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사고를 표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주목받으면서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간학문간, 통섭의 인식들이 구체화된 대학작문이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핵심과목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대학작문은 대학 전체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는 ‘이해와 표현’을 다루고 다른 학문과의 소통을 이루는 과목으로서, 전 학년에 걸쳐 고르게 이수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과목으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에 따른 실행조건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전체 대학교육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과목으로서 대학작문교육이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 교육을 전체적인 틀 아래에서 조정하고 지도할 대학 내 통합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작문교육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하는 글쓰기 하위영역의 성취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넷째, 인적 자원 면에서, 작문교육을 전공한, 대학작문교육을 담당할 전임 교수의 부족은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작문교육은 전공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대학 졸업 이후에도 사회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균형 잡힌 인간형으로 육성해 주는 교육이다. 이상의 논의처럼, 현재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과목으로서 요구받고 있는 대학작문교육의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위상에 대한 관점과 조직, 내용, 구성에 대하여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As we enter a knowledge-based society, many colleges are trying to change their curricula to follow the rapid changes in people’s needs. The focus lies on the revolution of education and curricula. One of the most commonly college requirements or non-major curriculum and most emphasized is ‘college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courses that the students should take. Enforcement of college composition is not only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itself, but the requirements of both college and society. Furthermore, concepts of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ce have become important. Thus, composition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college courses. Composition is no longer limited to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what is related to the major courses, but extends to integration of all subjects. Therefore, composition must be adjusted as a course that requires systematic instruction. This article suggests four conditions to adjust composition as a systematic instructed course. Firstly, placement of the composi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leads the entire college courses. Secondly, centralized and integrated organization for composition is needed. Thirdly,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category must be clearly presented within subject context. Fourthly, trained and qualified instructors are needed to teach this course. Composition not only provides foundation for studying in college, but also educates one to become individual who can engage in social interactions. As described above, college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s epoch-making changes.

      • KCI등재

        현대건축에 있어서 脫定型的 공간구성의 多義的 표현에 관한 연구

        장훈익,김영태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2

        This study is about ex-formal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There are five types of various space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concept of ex-formal. They are dynamic form composition through plasticity of concrete, disposal spatial composition by geometric collision and geometric superimposion, deconstruction formal composition through form dismantle, ex-cubic spatial composition through folding and free formal composition by digital technology. Also, there are some elements express ex-formality spatial composition for each type. To begin with, they are plasticity, totality and dynamism in dynamic form composition through plasticity of concrete, they are interpenetration, dispersibility in the second type, temporality, fragment, destruction in the third type and obliquity, inclination, bending in the fourth type. Finally, they are fluidity, nonlinearity, plasticity, organic character, continuity in free formal composition by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 tendency of various space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searching how to express type of ex-formal spatial composition and polysemous expression character in building since 1960's.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의 단일 건물 정사각형 평면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김연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many cases of square forms in Le Corbusier’s architecture, from single square plans to complex compositions of various squares, even on an urban scale. The variety of forms and the extent of adaptation in his works are so numerous that the square could be seen as the defining architectural element of Le Corbusier’s architecture. In fact, we could call him the architect of squares and prove such a hypothesis through this study.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square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types and forms of square plans. The aim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discover the process of square plan composition from conception through formal and spatial development. While Siza’s works have been interpreted and analyzed in different ways, this study on the square form and composition is another effective way to describe the essence of Le Corbusier’s architecture. (Method) First of all, the elements that influenced Le Corbusier’s square form will be clearly identified. They include the architectural and artistic surroundings of the early 1920s, such as De Stijl, Russian Constructivism, etc. There was also an instinctive preference for the square. Second, the formal types of 67 works will be clearly analyzed. Because there are vast numbers of cases and types, it is very difficult to account for all of them, so the range of this research will be limited to the forms and plan composition of squares. Thir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principles, the study is constructed to categorize various cases of composition typ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ypes and plan compositions will be presented. (Results) Th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from the types of square forms and plan compositions. First, Le Corbusier organized square plans into six types; 1. Single square 2. Square divided into equal parts, 3. Continuing linear, 4. Inter-penetrating, 5. Free plan (Plan libre), 6. Transformed curve. Second, the “single square” type is associated with small, singular spaces, and accompanied by diagonal extensions of space. Third, the “square divided into equal parts” type consists of four, 9 or 16 equal parts. Fourth, the “continuing linear” type is categorized as two or three multiple, continuous compositions. Fifth, the “inter-penetrating” type is found very frequently in Le Corbusier’s later works, and is adopted in nearly one quarter of those 67 works. Furthermore, as the scale of building increases and the programs vary, plan compositions become more complex and include multiple composition types. (Conclusion) After categorizing and analyzing all of Le Corbusier’s works that involve square plan composi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details and nuances of the delicate forms and compositions of these plans. With further study of square forms and plans, another essential aspect of Le Corbusier can be fully understood. (연구배경 및 목적)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서 특히 정사각형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단순히 하나의 정사각형 평면을 구성하는데서 출발하여 여러 정사각형의 복합적인 구성 및 도시적인 스케일에까지 적용이 되는 등 실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의 작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규모와 형태의 다양함, 그리고 사용범위 등에서 정사각형을 그의 건축을 정의할 수 있는 하나의 건축적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이 점에서 그를 정사각형의 건축가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게 되며 이 연구를 통하여 이를 증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코르뷔지에의 건축에서 정사각형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 적용 방법과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정리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그의 건축에서 착상되어 형태 및 공간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르 코르뷔지에의 정사각형 평면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살피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그가 영향을 받았던 건축적 환경과 예술 사조, 특히 데 스틸이나 러시아 구성주의와 같은 아방가르드 예술사조에서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그의 건축 또는 이외의 부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사각형에 대한 직관적 선호와 모듈러 같은 그의 건축적 도구 등에 대한 스케치나 저서의 내용을 고찰할 것이다. 3장에서는 정사각형의 기하학이 적용된 67작품을 대상으로 정사각형 평면의 유형 특성을 고찰하게 되는데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모든 작품에 대하여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태를 도출하여 정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정리된 내용에 대하여 형태, 공간, 규모적인 특성 및 연관성을 정리하여 유형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구성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결과) 르 코르뷔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사각형 평면 구성을 하였는데, 그 유형과 구성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정사각형 평면 구성의 유형은 단일 정사각형, 정사각형 등분 구성, 연속 선형 구성, 중첩 구성, 자유로운 평면, 변형된 곡선 구성 등의 6가지로 나뉜다. 2) 정사각형 등분 구성은 전체 형태가 정사각형으로 4등분, 9등분 그리고 16등분까지 구성되며 크기가 커지고 프로그램이 다양화함에 따라 변화하여 복잡하게 구성된다. 3) 연속 선형 구성은 2연속, 3연속, 다중연속 구성 유형으로 나뉘며 모듈의 수가 많아지면서 외부공간을 점유하는 선형 건물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4) 앞서 정사각형 단일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커지면서 중첩 구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전체 분석 대상 건물 중 약 1/4에 이를 정도로 많은 구성 방법이며 후반기에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5) 외부 공간 통합 구성은 건물과 외부 공간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외부 공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건물의 길이가 긴 선형 건물에서 연속 선형 구성과 외부 공간 동반 구성 형식을 볼 수 있다. 6) 이상의 평면 구성은 하나의 특성을 갖는 것에서 복수의 구성 특성을 갖는 복합 구성의 형식을 가지게 된다. (결론) 이상의 결론과 같이 르 코르뷔지에의 단일 건물에 대한 정사각형 평면의 구성 방법 및 의미를 살펴보았고 이에 따라 정사각형 평면 구성을 그의 건축을 규정짓는 하나의 특성으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