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자 편방(偏旁) 분석에 대한 고찰

        金正男(Kim, Jung-nam)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6

        Thereafte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by Wu-Dacheng and Sun-Yirang made huge contribution in making Chinese Graphonomy one of a kind it’s field. With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the time period and locality of ancient texts were able to be brought to light and a system of analysis for ancient writing able to be established. Using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for the first time Sun-Yirang showed an objective model of research for ancient writing and analysis oriented on character types from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being compared to those on epigraphs. Tang-Lan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as the first to propose a subject for research concerning and to present the meaning and scope of Chinese ancient writing. Using Tan-Lan’s theory as a basis, Rong-Yuchun introduced in detail three uses of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He-Linyi gained the attention of the Warring State Period concerning characters and used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in an adaptable fashion. I introduced supplementary 4 points to consider when analyzing an author from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long with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 component analysis. Firstly was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unpacking the sentence and reading it by applying direct transcription and modern character transcription concurrently. Secondly was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characters based upon the movement of the brush on silk and bamboo strips. Thirdly was the necessity of analysis of characters by basic-factor elements present in the fundamental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Fourthly was differentiating the shibi(饰笔) did not accompany the meaning and phonetics. If the aforementioned 4 points are considered during interpretation, a more objective conclusion may be drawn and anticipated.

      • KCI등재

        국내 개봉 영화에 나타난 군인 캐릭터 분석

        전해님,윤영민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5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2년까지 연간 박스오피스 순위 50위(한국/외국) 내 영화에 등장하는 군인 캐릭터 280명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군인 캐릭터의 성별, 계급, 직업 이미지(선함과 악함, 유능함과 무능함), 관계성(적군 및 아군과의 관계: 우호적-적대적)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해 배경 시기와 개봉 시기, 제작 국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군의 등장과 역할이 제한적이었고 실제에 비해 장교, 특히 장군의 비율이 높았다. 직업 이미지는 ‘선함’과 ‘유능함’의 평균값이 높았으며 6.25 전쟁기의 캐릭터가 선한 것으로, 병영문화혁신기의 캐릭터가 유능한 것으로 그려졌다. 또한 진보정권 시기 개봉 영화, 특히 군사정권 시기를 배경으로 한 캐릭터의 ‘악함’이 두드러졌다. 외국 영화의 캐릭터는 더 유능하며, 한국 영화의 캐릭터는 아군에게 더 적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군사정권 시기의 군인이 재현되는 이미지, 아군끼리 적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 등을 극복하고 국군의 유능함을 보일 수 있는 전투 스토리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280 military characters appearing in films which was within in the 50th place in the annual box office rankings (2004-2022, Korea/foreign) by content analysis. The gender, class, image of civil servants (goodness and evil,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nd relationship (enemies and allies: friendly-hostile) of military characters were analyzed. In addi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timing, release timing, and production country were analyzed using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ppearance and image of female military characters were limited. And the proportion of officers, especially generals, was higher than in reality. As for the job image, the average value of "goodness" and "competence" was high. Characters during the Korean War were depicted as good, and characters during the military culture innovation period were depicted as competent. In addition, the "evilness" of the characters set in the period of the progressive regime, especially during the military regime, was prominent. The characters of foreign films were more competent. The characters of Korean movies were more hostile to our forces. It is recommended to overcome the image of the military regime and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our allies. It is also necessary to discover a combat story that can show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military.

      • KCI등재

        애니메이션 <울프워커스> 속나타난 캐릭터 이미지의 분석-기호학을 중심으로-

        장소텅,김탁훈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논문의 연구 방법 중 소쉬르의 기표와 기의의 기호학 이론은 실물의 내재 의미와 외재 현상을 엄격하게 구별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형태, 내적 입장, 심리의 대조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연구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퍼스의 기호 삼각형 이론은 캐릭터의 심리적 변화와 외부 형태변화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적합한데, 본 연구에서는 <울프워커스>의주요 캐릭터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기호학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한그룹은 로빈과 메브이고, 다른 그룹은 로빈의 아버지 빌 굿펠로와 메브의 어머니 몰 맥타이어로, 이 두 그룹에서 캐릭터의 형태와 옷 색깔, 그리고 캐릭터의입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기호학 이론인 ‘기표’와 ‘기의’를 통해 알아본다. ‘기표’는 캐릭터의 외적인 특징을 나타내며, ‘기의’는 캐릭터의 입장과 심리를 표현하는데, 이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입장과 심리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로빈과 빌 굿펠로의 외적인 이미지와 특징도서사의 진행에 따라 변화된다. 이 애니메이션의 전반적인 이야기는 네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로빈이 빌 굿펠로를 따라 숲으로 가 몰래 늑대 사냥을하러 가는 부분이고, 두 번째는 메브를 만나는 부분, 세 번째는 몰 맥타이어를도와 탈출시키는 부분이며,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울프워커가 되어 로빈과 메브가 함께 하는 부분이다. 이 네 가지 이야기 속에서 로빈의 외적 특징이 점점변화하며, 날카로운 형태가 점차 둥글둥글하게 변하고 빌 굿펠로 또한 이 과정에서 로빈의 심리변화를 따라 외적 특징이 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퍼스의 기호 삼각형 이론을 활용하여 캐릭터의 형태 변화와 이야기의 전개 간의관계를 자세하게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캐릭터의 형태, 색상, 그리고 캐릭터의 입장 사이에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캐릭터의 형태와 색깔의변화는 캐릭터의 심리적 변화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이며, 로빈과 로빈 아버지의 마음과 입장의 변화가 캐릭터의 형태 변화로 잘 나타내어졌다. Semiotics, the study of information using symbols as objects, has along history as a research method for studying animation. Saussure’sTheory of Semiotics has been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morphology of inner values and the psychological contrasts of animatedcharacters, thus strictl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physical objects’intrinsic meanings and extrinsic phenomena. In addition, CharlesSanders Peirce’s Triangle of Reference is applicable to analyzing the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s and externalmorphological changes. This study divides the main characters ofWolfwalkers into two groups and analyzes them based on semiotics. One group is Robyn Goodfellowe and Mebh .g MacT.re, and theother group is Bill Goodfellowe and Moll MacT.re. Fully applyingthe Western semiotic theory of signifiant and signifie, it compares thecharacters’ morphologies, their clothes’ colors, and their stance changes. Signifiant refers to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signifie refers to the stance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Throughthis analysis, viewers can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stance andpsychology of the characters. In this animation, the outward appearance and features of Robynand Bill change as the story progresses. The overall story can be dividedinto four parts. First, Robyn secretly follows his father into the woodsto hunt. Second, Robyn meets with Mebh. Third, Robyn helps Mebh’s mother to escape. The last one is with the werewolf. In these fourparts, Robyn’s external features gradually change, with sharp contourlines gradually turning into rounded ones; Bill also changes alongwith Robyn. This study uses Peirce’s Triangle of Reference theory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external changesand the story’s unfolding. The results show an important correlationbetween the characters’ morphology, color, and stance. Changes in themorphological style and color of the characters’ clothes seem to suggestpsychological changes, and the changes in the hearts and stances ofRobyn and his father are well expressed in the morphological changesof the characters.

      • KCI등재

        캐릭터 아크를 통한 ‘마녀’ 캐릭터 분석 연구 – <말레피센트2>와 <겨울왕국2>를 중심으로

        서동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7

        Witches in the fairy tales are the bad people who harass or curse good people. Recently in Disney animations and movies, the witches have emerged as an origin-character with a very different styles. <Maleficent 2> and <Frozen 2> are completely new fantasy film. These movie have only the elements of ‘curse’ and ‘witches’ name’ in the original film, ‘Sleeping Beauty’. Witch in <Maleficent 2> are no longer typical witches. In this study, I analyzes the character based on Semiotics and aim to help making characters. I use the character-arc to analyze Maleficent and Elsa that appear as a witch. The narrative structure was examined through ‘Greimas’ semiotic analysis. Maleficent and Elsa are not the classic type of witch but the character of recovery and harmony. There are the semiotic objects, which are horns and black wings, contrast of colors: black and white, cloth horns, show prejudice and intolerance. Emphasis was placed on objects perceived as 'symbols' so that the audience could perceive distorted gaze or evaluation. Character analysis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helpful material for various story making and character creation. 고전적 형태의 ‘마녀’는 착한사람을 괴롭히거나 저주를 주는 악인으로 등장한다. 고전동화에서는 주인공을 방해하는 인물로 등장하지만,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영화에서 ‘마녀’는 아주 다른 개념의 창작 캐릭터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 개봉한 <말레피센트2>는 본편의 원작인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서 저주와 마녀라는 요소만 가지고 본편이나 원작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판타지 영화이다. <말레피센트2>의 마녀는 더 이상 전형적인 마녀의 모습이 아니다. <겨울왕국2>에서도 초능력을 지닌 엘사는 주술의 힘을 가지고 있는 ‘마녀’와 같으나 그것을 아름다운 여제로 그려내고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를 제작할 때 캐릭터 창작에 도움이 되기 위해 캐릭터를 분석하여 일반화된 시선의 변화와 숨겨진 의미를 찾는데 목적을 둔다. ‘마녀’로 등장하는 캐릭터를 분석하기 위해 캐릭터 아크를 그리고, 그레마스(Greimas) 행위소 모형 분석 방법을 통해 서사구조를 살펴보았다. 말레피센트와 엘사는 이전에 마녀가 가진 대상보다도 회복과 화합의 대상을 가진 인물이다. 스토리는 라이벌과의 대립이나 모험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뿔과 날개, 검은색과 흰색, 영의 소리를 듣거나 손에 닿는 것을 얼리는 능력, 변화하는 드레스 등은 일반화된 시선의 숨겨진 의미를 보여주었다. ‘기호’로 인식되는 객체를 더욱 강조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왜곡된 시선이나 상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도 캐릭터 분석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며 본 연구가 다양한 스토리 제작과 캐릭터 창작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고등학생 인성교육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이현정(Lee Hyun Jung),김장회(Kim Jang Ho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 인성교육 개선에 관한 학생과 교사 간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지역 고등학교 학생 286명과 고등학교 교사 201명으로 총 487명이다. 자료 분석은 최근 사회․과학적 현상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SNA기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인성교육이 필요한 대상, 인성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할 교과, 인성교육이 요구되는 문제 유형별 수준, 인성교육 활성화에 필요한 교육적 지원, 대학입시에 인성평가 반영을 보는 견해는 유사하였다. 인성덕목별 수준, 인성역량별 수준, 인성교육의 장애요인을 보는 견해는 학생과 교사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학생이 원하는 인성교육의 내용은 체험중심의 활동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가 원하는 인성교육의 실천조건은 학부모의 관심과 지원이 가장 높았다. 인성교육에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 수준은 보통 수준보다 낮아 교사교육 내용으로 상담자의 역량이 요구되었다. 교사들은 가장 필요한 교사교육 내용으로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중요하게 요구하였다. 하지만 인성교육을 이해 및 실천하는 역량과 학습열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과 교사 대상의 프로그램 개발과 고등학교 인성교육 계획 수립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ecuted to suggest the activating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impro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are total 487 personnel, who are 286 students and 201 teachers in high school of the k province. Collected data are analysed by SNA technique which widely utilizing in social and scientific phenomen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ve the similar view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object who need to receive character education, a subject that have to be centered of character education, the level of each problem type requiring character education, the most necessary educational support, and the opinion that university exam needs to reflect character evaluation was similar.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ve the different views on levels of character virtue, levels of character competency, and obstacle factors on character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students wanted were the highest in practical and experience-focused activities. The teacher s requirement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were the highest in parents concern and support. The competency level of teachers required for character education was lower than average level, so teachers’competency as a counselor should be included in their education contents. Teachers demanded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amily as the most necessary teacher education contents. However,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and learning enthusiasm have been relatively low. This study s findings have some meanings in that, as a means of activating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s, they can suggest developing program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and provide directions for planning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s.

      • KCI등재

        지역이미지와 관광캐릭터의 관계 -경주시 관광캐릭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탁정은,김규호,김진훈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e fever of local cultural tourism as an attempt to activate local economy and culture using local cultural elements has been led to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using characters. In this regard,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ssue from the aspect that in the use of characters to activate local tourism, there should be an understanding of characters that are visual language from fundamental aspects instead of blindly introducing characters 'just imitating others.' The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ocal images and tourism characters as an attempt to have profound 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software. As a qualitative method, in particular, a semiotic method was adopted in the actual analysis of the meanings of tourism characte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ourism characters symbolically reflect local images. However, the character analysis revealed a problem and complementary points due to the weak or ambiguous symbolism between local images and tourism characters. Hence, the attractions and symbolism of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will need to be enhanced with efforts in resource maintenance and advertisement. 지역의 문화적인 요인을 통해 지역 경제와 문화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는 지역 문화관광에 대한 열기는 캐릭터를 도입하여 홍보효과를 배가시키려는 움직임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지역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캐릭터의 활용은 ‘따라 하기’식의 맹목적인 캐릭터 도입에서 벗어나, 보다 근원적인 면에서 시각언어라고 할 수 있는 캐릭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문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목적은, 문화관광 소프트웨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지역이미지와 관광캐릭터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질적 방법론으로서 기호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실질적인 캐릭터의 의미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관광캐릭터가 지역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이미지와 관광캐릭터 간의 상징정도가 미약하거나 모호함으로 인한 문제점과 보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원정비와 홍보 등의 노력을 통해 유ㆍ무형 자원에 대한 매력과 상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FIFA Online3 캐릭터 행동과 교류방식 연구

        김미선,고일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고 사회적 교류를 하는 게임 캐릭터를 제안하기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행동과 사회적 교류 방식을 정의하였다. 다양한 메시지 교환이 발생하는 기타 게임에 비해, 축구 게임인 FIFA Online3는 공을 매개로 하여 타 캐릭터와 상호작용 한다는 점에서 캐릭터의 행동과 교류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제 사람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방법론인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 행동방식의 정의와 캐릭터 간 관계성 부여는 플레이어에게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캐릭터의 행동방식을 정의하기 위해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인 교류분석 이론의 자아상태를 활용하였다. 둘째, 교류분석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수행하는 행동을 통해 발생하는 캐릭터 간 교류방식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캐릭터가 사회적 교류를 진행하는 방식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이렇게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과 교류를 정의함으로써 캐릭터가 실제 사람과 유사한 특성 가지고 게임에서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behavior patterns of a character in FIFA Online3, and the transaction patterns between the characters to present a character that acts like a real person and has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characters. A character interacts with others mediated by balls in FIFA Online3, we analysis character's behavior and interactions more cleary. Providing the realistic behavior patterns of a character and the relation in the transaction patterns between the characters based on psychology theory, we can give a player the sense of reality. To define the behavior pattern of a character, this study applied the Ego-state as defined by Transactional Analysis(TA). Based on the Transactions in TA, this study then defined the transaction patterns between the characters, which are produced by the actions that a character in the game. This study also presented how to apply a character's transaction patterns with the examples. It showed that a character can act in the game like a real person by defining how a character acts and interacts in the game.

      • KCI등재

        강박신경증 캐릭터 원형 적용을 통한 영화 분석 연구

        김미림,김종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grated analysis methodology between two disciplines by approaching movie analysis between scenario writing method and the psychoanalytic concept. The movie, ‘As Good As It Gets’, is selected and analyzed as a character prototype that is modifi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Christopher Vogler’s 7 types of character prototype. First, by analyzing the story of the movie, ‘As Good As It Gets’ that character prototyp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character’s abyss as a substantial nature through the film analysis methodology. Second, by analyzing the movie according to Lacan’s psychoanalysis, I examine the types with psychoanalytic characteristics called neurotic characters and in doing so, I expect to establish a character up to a deep level of inner self who appears in a movie that tells about abnormal mentality. 본 연구는 영화분석을 시나리오 작법과 정신분석학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두 학문 간의 통합적 분석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를 선정하여 캐릭터 원형인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7가지 유형에 따라 연구자가 역할을 수정한 캐릭터 원형으로써 영화를 분석한다. 첫 번째로, 캐릭터를 유형화 한 캐릭터 원형에 적용한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스토리 분석을 통해, 캐릭터 본질인 내면에 근접하여 영화정신분석의 심도 깊은 해석을 적용해볼 수 있다. 두 번째로,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따라 분석하여, 신경증적 캐릭터라고 하는 정신분석학적 특징을 가진 유형을 살펴보고 분석해봄으로써 추후 이상심리를 기능하는 영화 속 캐릭터 설계와 심도 깊은 캐릭터 구축을 기대해볼 수 있다.

      • KCI등재

        디즈니 애니메이션 악당 캐릭터의 색채분석

        성례아,김혜성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021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8 No.6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robots, and biotechnology, but also cultural industries that require human creativity will lead. Among the cultural industries, the animation industry has high industrial utilization value due to its high connection with other industries. Among them, animation character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as the subject leading the story of animation. In particular, the villain character not only serves as a medium for the main character to lead the story, but also captivates the audience with a different presence from the main character, adding to the fun and completeness of the animation. These characters consist of visual elements such as form and color, of which color is a tool that effectively conveys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role to the audience, and is the first visual element to be considered in delicately describing the character's emo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lor of the villain character. To this end, we will select eight Disney animation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in character's color by analyzing the color, value, chroma, and color association of the colors used in the Disney villain charac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lors mainly used by Disney to convey the villain's image were red (R) and Orange (YR), and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s or animation production methods. Second, the brightness of Disney villain characters appeared to be the same medium/famous regardless of the times and production methods, and the frequency of use of high brightness was very low. In terms of saturation, the frequency of use of high and low saturation was high. Third, blackish (Bk), Strong (S), dull (Dl), and deep (Dp) tones were mainly used for tones. In particular, in recent 3D animations than previously produced 2D animations, the use of low chroma and the high black mixing rate increased. Fourth, it can be seen that Disney uses color as a visual method to more clearly express the psychology of the villain character using color association. In conclusion, the color selection of animation characte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s a tool to convey the character's personality, role, and emotion beyond simply using color, and the color selection of characters using color associations and symbols strengthens the narrative struc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analyze and select the character color of animation.

      • KCI등재

        자치구 브랜딩에 있어서 캐릭터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

        박영주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브랜딩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시 자치구 캐릭터디자인을 조사,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 및 전국의 지자체 캐릭터의 사례를 들어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한 후, 서울시 자치구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조형적 분석 및 스토리텔링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자치구 캐릭터는 25구 중 16개가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고 9개소가 캐릭터가 없는 상태이다. 자치구의 자원분석을 통한 6개의 분류로 도표를 만들었는데 그 소재 유형은 ①자연 자원형, ②문화 자원형, ③상품 자원형, ④서비스자원형, ⑤인물 자원형, ⑥기타 자원형이다. 색채 분석에 있어서는 컬러 이미지 스케일 상 ‘귀여운’, ‘경쾌한’, ‘화려한’, ‘다이내믹한’,‘귀여운’, ‘화려한’ 및 ‘맑은’, ‘온화한’에도 분포되어 있어서 강한 느낌의 캐릭터 디자인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디자인도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 모티브로는 동식물이 7개로 가장 많았고 가상인물, 복합물이 각각 3개로 나타났다. 표현기법은 2D가 압도적으로 많은 15개였고 입체적으로 보이는 것은 1개였다. 결론 좋은 자치구 캐릭터 디자인이 되기 위해서는 뛰어난 디자인은 물론 스토리텔링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자치구가 캐릭터 역할의 중요성을 자각해야 하고 디자인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으로서 첫째, 트렌드와 기술의 발전을 읽어야 하고 둘째, 온라인을 통한 캐릭터의 역할 증대를 이해해야 하며 셋째, 이모티콘 굿즈 개발 등의 수익사업도 기대할 수 있다. 자치구의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정된 캐릭터를 오래 사용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As part of urban branding research,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character designs in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Research Method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six types of characters from autonomous regions in Seoul and across the country, and then conducted a formative analysis and storytelling survey focusing on the characters of local governments in Seoul. Result 16 out of 25 autonomous region characters in Seoul have characters, and many local governments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s. A chart was created with six categories through resource analysis by local governments. In color analysis, it is distributed in 'cute', 'light', 'fancy', 'dynamic', 'cute', 'fancy', 'clear', and 'moderate' on the color image scale, showing not only strong character design but also soft design. As for the design motif, plants and animals were the most common with seven, and virtual people and complexes were three each.There were 15 expression techniques with overwhelmingly many 2D and one that looked three-dimensional. Conclusion In order to become a good autonomous district character design, there must be excellent design as well as support for storytelling. Autonomous district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roles, and through design analysis, this study should first read trend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secondly understand the role of characters online, and thirdly, development into profitable businesses such as emoticon goods development. It will also be important to use the characters established for a long time to maintain the image of the autonomous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