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경회에서 부흥사경회로의 변화에 대한 연구 -‚ 1888년부터 1919년까지

        윤은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eat the course, feature and result of the Bible class changing into a Bible class for revival. Early Korean churches did Bible class focusing on Bible study and church education, and the element of revival meeting was combined in the Bible class after 1903. This study treats the feature and result of this change. The key point of changing into Bible class for revival is to accept revival meeting that was based on gospel preaching and spiritual awakening as procedure in the Bible class. This revival meeting made real results that was the conversion of unbelievers and the elimination of an idol. And this study finds an earlier starting point of presbyterian Bible class that was not yet known in previous studies. The creativity of this study is found in a approach none attempted. Previous studies on Bible clas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Bible class, approaching the history of education, growth of church, and relation to The Great Revival in Korea. There were no studies to treat the change from Bible class to Bible class for revival. 이 논문의 목적은 사경회에서 부흥사경회로 전환되어가는 과정과 그 특징과 결과를 다루는 것이다. 초기 한국교회는 성경 공부와 교회교육 중심의 사경회를 행하였고, 1903년 이후에 부흥회의 요소가 사경회에 접목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환이 가지는 특징과 결과들을 다룬다. 부흥사경회로의 전환의 핵심은 전도와 영적인 각성을 중심으로 하는 부흥회를 사경회의 순서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러한 전도와 영적 각성의 부흥회는 불신자의 회심과 우상의 제거라는 실제적인 결과들을 만들어 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장로교 사경회의 더 이른 출발점도 확인한다. 본 연구의 독창성은 새로운 접근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경회의 출발점, 교육사적 접근, 교회 성장의 관점, 평양대부흥운동과의 연관성 등에서 살펴보았다. 사경회에서 부흥사경회로의 전환을 다룬 것은 발견하지 못했다.

      • KCI등재

        한국교회 초기 사경회와 신앙교육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한국교회의 초기 사경회의 모습 속에는 성도들이 열심히 참석하며, 한국인 교사가 가르치고, 사경회에서 얻은 확신으로 전도하고 교회를 설립하는 등 한국교회의 열심 있는 특징들이 드러나고 있다. 사경회의 기간 동안은 매일 조직적인 성경공부와 기도와 개인전도를 할 수 있는 기간이었다. 사경회는 집중적으로, 그리고 조직적으로 성경을 공부하는 모임이었다. 사경회는 일정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하고, 정기적으로 반복해서 계속한다는 면에서 훈련의 좋은 방법이었다. 교인들은 이 사경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훈련을 받을 수 있었고, 부단히 자랄 수 있었다. 그러기에 그들의 신앙을 유지시킬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영적인 힘을 얻을 수 있었다. 사경회를 통한 훈련으로 교회는 훈련된 사람을 얻을 수 있었고, 생명력을 갖추게 되었고, 교회는 부흥과 성장을 이루어 나갈 수 있었다. 사경회는 교회의 지도자를 발굴해 내고 육성하는, 초기에 있어 중요하고도 거의 유일한 산실이 되었다. 교회의 각 부문의 지도자들은 대부분 사경회의 학생들이었다. 목사도 장로도 교사도 사경회의 학생으로부터 출발했다. 한국교회의 초기 역사는 세례교육과 사경회를 통한 계속적인 성경교육을 통하여 교회의 질적 성장과 정비례하는 양적 부흥을 가져왔다. 사경회는 교회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 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건실한 성장을 가져왔다. 사경회를 통한 성장은 건전한 신앙 성장이 되었다. 철저한 성경교육과 해마다 반복되는 정기적인 성경공부를 통해 성도들은 체계 있고 균형 잡힌 신앙생활을 하게 되었다. 초기 교인들의 훈련된 올바른 신앙의 자세는 사경회에 힘입은 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교회 성장은 평신도의 개인전도에 힘입었고, 사경회는 교인들에게 전도에 임할 수 있도록 확신과 열정을 제공해 주었다.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in a 'Bible class' of the early period of Korean churches. First of all, every layman eagerly participated in the class taught by Korean instructor. With confidence acquired through a Bible class, they could evangelize local community and establish churches. During the period of a Bible class, church members were able to focus on studying the Word systematically and spreading the Gospel. It was one of the strengths of a Bible class that members were trained certain period of time regularly and extensively. Thus, it is natural that their faith and comprehension of the Gospel grew significantly, and also believers equipped with spiritual strength. Churches holding a Bible class could gain well-trained members and substantial vitality. Consequently, churches experienced a revival and growth. A Bible class was a very important and only way to train leaders in the church including even pastors and elders. Also the majority of teachers in various fields of church education were from a Bible class. It is found that in the early period Korean Church continued to hold a Bible class and baptism. As a result, Korean Church went through an unprecedented revival in number that is proportional to the qualitative growth. These church revival and growth by a Bible class were truly healthy and stout development. Participating in a comprehensive Bible class every year, believers could attain systematical and well-balanced faith. The sincere attitude of early christians toward the Word was the outcome of a Bible class. The impressive growth of Korean Church owed personal evangelism of church members, and truly it was the Bible class which enabled them to do so. In this paper I systematically examine the size and form of the early Bible Class, characteristics of a Bible Class, the effect of a Bible class which influenced Christian education and church organization, and how the Bible Class brought the church growth.

      • KCI등재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한국 전래와 실천적 의의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4

        The Korean church is well known for its unprecedented revival and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in the world. There are many factors in the revival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hurch, but one of them is the acceptance of Nevius’ missionary policy. Considering these points,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Nevius’ missionary policy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practical area of the Korean church. It was very important for missionary John L. Nevius to visit Korea in 1890 and introduce his missionary policies to Korean missionaries within the first 10 years of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continuing to enter Korea since Horace Allen came to Korea as a medical missionary in 1884.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cultural exchanges and missionary policies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missionary Nevius’ missionary policy in Korea have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situation in Korea, especially in terms of practicality. To this end, I would like to first deal with Nevius’ academic background, and then his Chinese missionary activities through old and new methods, his mission theology, and the acceptance of the Presbyterian Counsel for Nevius’ missionary policy. While dealing with its acceptance, I would like to review the proces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cceptance. In terms of practical significations, I would like to mention missionary work centered on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church management according to three-self formula, and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hurch Bible classe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conclude by briefly evaluating various discussions on the results of the acceptance of Nevius’ missionary policy.

      • KCI등재

        신마리아(1873-1921)의 공적 생애와 기독교

        김은정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신마리아(1873~1921)는 초기 한국 개신교 여성으로서 근대 전환기 조선의 평범한 여성이 서양 종교인 기독교를 선택하여 위기 대처와 생존, 성장의 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신여성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신마리아는 아버지가 선교사의 고용인이 되면서 정동에서 서양 기독교를 처음 접했다. 신마리아도 선교사 집의 아마도 고용되어 가사를 돕다가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는 이후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회 소속 전도부인으로 활동하며 여선교사들과 교류했다. 20대 초반의 신마리아는 여학교에서 배우면서 가르치는 기회를 얻었고 그 기간 중 자녀와 남편·동생을 병이나 사고로 잃었다. 그는 기독교가 제공하는 여성교육의 기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상실의 고통을 극복했다. 사경회와 평양여자성경학교에서 공부하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들과 협력하면서, 그는 여성의 삶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신마리아에게 기독교는 선과 악을 구별하게 하고, 선을 행할 수 있도록 돕는 종교였다. 자녀의 성장을 책임지는 어머니의 권세를 하나님이 부여했다는 발상을 통해 신마리아는 모권에 근거해서 여권을 옹호했다. 신마리아는 강연을 통해 교회 여성들을 지도하고 계몽하는 일로 말년을 보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을 근본으로 삼아 전통적인 여성의 미덕을 실천했다. 기독교 여성지도자이며 교육자 신마리아의 영향력은,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서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에 충실하고자 노력했던 제자들을 통해 나타났다. A Christian educator and leader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Korea, Maria Shin(1873-1921) exemplifies how Christianity shaped the public life of a Korean woman during the modernization. She encountered Christianity as her father first worked for a Western missionary in Chong-dong, Seoul. Maria Shin was hired in a missionary’s home where she was converted to Christian faith. She learned about the Bible from the missionary women and carried out the role of a Bible Woman in her neighborhood. In her early twenties she became a teacher at the girls' school, in which period she lost her husband, eldest son, and younger sister to illness and accident one after another. Her learning and service in the missionary girl’s school helped assuage her grief. She worked hard in the Bible classes of the Pyongyang Woman's Bible Institute and found new possibilities for women's lives in Christianity. She believed that God granted women, especially mothers, the pow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growth. Maria Shin spent her later years guiding and enlightening women in the Korean church in advocacy for women's rights. Her influence was seen through her students, who, as new, higher-educated women, tried to remain faithful to their responsibilities to family and society.

      • KCI등재

        앨리스 샤프(Alice H. Sharp)의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본 논문은 1908년에 재내한하여 1939년까지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위해 헌신했던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선교 업적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앨리스 샤프가 충청지역에서 벌인 선교 사업은 크게 순회전도여행, 사경회, 전도부인 양성, 그리고 교육 사업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8년 공주로 돌아오자마자 순회전도 여행을 시작하였다. 1년 중에 상반기에는 사경회를, 하반기에는 순회전도여행에 집중하였다. 1909년만 해도 73곳의 교회와 마을을 방문했다. 쉬지 않고 순회전도활동을 한 결과, 선교사업을 재개한지 5년만인 1913년에는 동 지방에 여성교인이 남성교인의 수를 넘어서는 놀라운 사실을 기록했다. 앨리스 샤프가 여성선교를 착수한 지 12년만인 1916년, 마침내 남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홀아비 교회’를 탈피하게 되었고 여자교인수가 남자교인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사경회 진행 횟수는 해마다 늘어 1929년에 이르면 49회에 달했다. 1916년에는 ‘가정성경공부 과정’(Home Study Course)을 개설했다 전도부인 양성 훈련 역시 중요한 사역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9년 공주에서, 1910년에는 논산에서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강좌를 열었다. 1916년에 ‘십일조회(날연보, tithing class)’를 개설하였고 1922년에 공주에 성경학원이 세워졌다. 앨리스 샤프와 더불어 충청지역 여선교사들이 추구했던 여성교육의 긍극적 목적은 ‘여성차별적인 무지한 관습과 미신에서 진리로의 해방’이었다. 이를 위해 설립한 학교는 공주·논산·강경을 포함하여 최소한 20개가 넘었다. 또한 강경·홍성·진천·대전·논산 등지에 유치원도 설립하였다. 앨리스 샤프를 통하여 복음과 교육을 받아들인 충청지역 여성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새로운 여자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앨리스 샤프는 실로 ‘충청지역 여성교육의 어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has written to describe the achievement from mission work by Ms. Alice Sharp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hung-cheong region where she devoted her potential from 1908 to 1939. Mostly, Sharp"s Mission work primarily consist of Mission Itinerating travel over the work, Bible study, Women Training and education work. Soon after she came back to Kong Ju, she concentrated on mission tour to visit 73 churches and village on 1909. From this committed effort, five years after she re-started her mission work, the number of women believers outstanded that of men, surprisingly. The ‘widower churches’ had broken from the convention and soon became Women"s church. Bible study was taken place more and more frequently so that its number increased about 49 times a year in 1929. Moreover in 1916, ‘Home Study Course’ had been opened. Training Bible women was also the very important work of her mission. Sharp had opened the lecture at Kong Ju, 1909, but also started at Non-san next year. Furthermore, She opened Tithing class in 1916 and established Bible school at Kong Ju. Including Sharp, Female Missionaries" ultimate purpose on same age was ‘Liberation from ignorant tradition and convention and Advancement to Holy Truth’. For this goal, missionaries established more than twenty schools and kindergartens all around in Chungcheong region. Those who became Christian through Sharp’s effort confessed that they"ve born in new way and tried to find their own identity. To sum, It would be not an exaggeration that Mrs. Sharp is the ‘Mother of Education in Chung-cheong’.

      • KCI등재

        마요셉빈(Mrs. Josephine Hounshell McCutchen) 선교사의 사역

        임희모(YIM Hee-Mo)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본 글은 1902년 남감리교 선교사로 한국에 입국하고 1908년 남장로교선교사 마로덕(Luther Oliver McCutchen)과 결혼하여 1909년부터 남장로교 선교지역인 호남의 선교거점인 전주에서 활동한 선교사 마요셉빈(Mrs. Josephine Hounshell McCutchen)의 사역을 연구한다. 마요셉빈의 공식적 사역은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전주 동북부지역에서 여성 복음전도 사역의 실시, 둘째, 전주 남문교회의 여성교육과 부인조력회 운영이고, 셋째, 전주에서 3가지 여자성경학원(학교) 책임자 및 교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녀의 선교 활동의 기초는 성경이었다. 마요셉빈의 특징적 공헌은 여자성경교육에서 드러난다. 호남지역의 여성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쳐, 이들을 성경의 중요성과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한 순종과 성령 안에서의 기도생활에 충실하도록 이끌었다. 본 연구는 마요셉빈의 활동과 사역을 3가지 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마로덕 선교사와 결혼하기 이전의 1902-1907년 남감리교 여자선교사 하운셀(Josephine Hounshell)의 삶과 사역을 분석한다. 여기에는 1903년 원산부흥회와 관련한 활동분석도 포함된다. 둘째, 마로덕 선교사의 순회전도 구역에서 여성들에게 실시한 복음전도 사역을 시골 사경회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여기에 전주남문교회 활동도 포함된다. 셋째, 마요셉빈의 주된 사역으로서 1909년 이후 전주에서 실시한 여자성경학원과 성경학교 교육사역을 분석한다. 성경교육 상황, 성경교육 체계, 교과과정, 마요셉빈과 서서평 선교사와 만남도 언급된다. 이를 위하여 본 글은 제1차 자료로 남장로교한국선교회 연차회의록(1902-1940), 마요셉빈이 남장로교실행위원회에 보고한 개인 편지들, 이 위원회의 기관지 The Missionary 및 Korea Mission Field 등에 기고한 글들을 분석한다. 제2차 자료로 전북노회회의록과 남편 마로덕 선교사의 글들도 참고할 것이다. 본 글은 마요셉빈 선교사가 미국으로 영구 출국(1940년 1월) 이전의 사역만을 분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Mrs. Josephine Hounshell McCutchen (1902-1940 in Korea), whose husband was Luther Oliver McCutchen. Mrs. McCutchen was sent b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Foreign Mission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her various activities, Josephine McCutchen helped Korean women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Bible as the Truth of God, enhance their faith in the Savior Jesus Christ, and maintain prayer lives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r missionary works in Korea are discussed in three areas: (a) the life and activities of Miss Josephine Hounshell, missionary of MEC, South, prior to their marriage(1908), (b) evangelistic works in the mission fields including the auxiliary works and teaching of prayer life, (c) activities in charge of principals of Bible Schools including Ada Hamilton Clark Memorial Bible School. To examine her missionary works, the author analyzes primary materials such as the Minutes of the Annual Meeting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1902-1940) and Mrs. McCutchen’s personal letters to the Executive Committee of SPC U.S. Also analyzed are her articles for the Missionary and the Korea Mission Field. Additionally, the author examines secondary Korean materials including the Minutes of the Chulla Presbyterian Meetings.

      • KCI등재

        초기 대구⋅경북지역 장로교의 전도부인 양성과 활동

        김병희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초기 한국 교회의 사역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도부인들의 역할과 활동은 한국교회의 성장뿐 아니라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성장에 초석이 되었다. 특히 전도부인의 다양한 활동과 희생적 헌신은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부흥과 성장을 이끌었을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러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대구·경북지역 교회는 전도부인들의 공적을 배제한 채, 남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대구·경북지역 교회에서 장로교의 전도부인이 어떻게 양성되어 활동하였는지를 밝히고 또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부흥과 성장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보았다. 전도부인은 한국의 언어와 풍습에 익숙하지 못하여 독자적인 선교활동을 할 수 없었던 선교사들을 대신하여, 자신들이 이해한 기독 복음의 진리를 전파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네비우스 선교정책 프로그램을 따라 비정규과정인 부인사경회, 부인성경반, 성경연구반과 정규과정인 성경학교에서 발굴되어 훈련과 양육을 받고 전도부인으로 임명받아 활동하였다. 전도부인은 부인성경반을 운영하고 부인야학교와 사경회를 통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생활을 개선시키고, 여성의 문맹퇴치와 여성 계몽운동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또 그들은 성경판매 활동, 순회전도, 해외전도를 통해 기독교의 복음을 전하는 전도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각 지방을 순회하며 상심한 교인들을 심방하여 위로하고, 개 교회 내에 부인전도회를 조직하고 지도하여 부흥시켰으며, 교회가 없는 곳에 복음을 전파하여 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충분한 임금을 받지 못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희생적인 봉사와 헌신으로 대구·경북지역 교회를 부흥시키고 성장시키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효과적인 성인학습을 위한 장(場)으로서의 감리교 사경회 갱신 연구

        양승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In rapidly-changing world, what change is necessary to faith-revival education of Korean Methodist Church? historically, education of KMC for revival has been the core of revival movement and small group gathering. These two movements are based on the spirit of John Wesley. Also, Wesley generated repentance and change through revival movement and motivated growth of personal life. It was a process of reformation created by rebirth and sanctification in Wesleyan tradition. However due to several reasons such as busy lives of modern people, faith revival and small group gathering begin to lose their power. In particular, KMC revival movement, which was the landmark of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is questioned in its necessity, losing its effect. Indeed, it is in crisis turning to be formal and superfici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ver the spirit of KMC revival movement with the question of "How do live as Christians?" When KMC recovers the spirit of revival movement it can bring back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to its organization. With such a purpose an education department of KMC conducted the survey of weather they perform revival sermons and as a result of it they found out that 192 parishes of 209(92%) held the revival movement every year. After this, KMC organized the policy committee for the revival movement and studied the methods to operate the effective revival movement. The revival policy committee had researched on how to recover the spirit of KMC faith movement regularly for one year since 2016. This thesis made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researches of revival policy committee and suggested the way to renew KMC revival reflecting on the are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Chapter Ⅰ, the object and overview of revival movement, which appeared as on education for early korean Church, is investigated and then problems a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f 209 parishes of KMC. Chapter Ⅱ check the process of education of revival and suggests the experie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Ⅲ proposes various ways to operate effective revival movement and Ⅳ suggests the use of flipped learning for teaching methods of reviv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Finally Ⅴ mentions that KMC should play a role of an educational venue to nurture Christians renew growth of KMC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급변하는 시대에 한국감리교회의 신앙부흥교육은 어떠한 변화를 이루어야 하는가? 역사적으로 감리교회의 부흥을 위한 교육은 사경회와 속회운동이 핵심이었다. 이 두 가지는 존 웨슬리의 정신에 기초하는데, 웨슬리는 사경회와 같은 부흥운동을 통하여 회개와 변화를 일으켰으며, 속회를 통하여 양육하고 삶의 성숙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웨슬리 전통에 있어서 은총과 성화의 체험으로 신앙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점진적인 개혁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인의 분주한 일상과 모이기 어려운 삶의 구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사경회와 속회운동은 점차 효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특히 감리교의 상호책임(accountability)과 연대주의(connectionalism)의 표상이었던 한국 감리교회의 사경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의미와 효과를 잃어가면서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형태로 전락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감리교회의 사경회의 정신을 회복하고“이 세상에서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모든 감리교회가 사경회 정신으로 상호책임과 연대주의를 드러내며 부흥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의도를 갖고 감리교 교육국에서는 각 지방회의 사경회 시행 여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209지방 중 192개 지방(92%)이 어떠한 방식이든 매년 사경회를 개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경회 정책위원회를 조직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양육을 위한 효과적인 사경회의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사경회 정책위원회는 2016년부터 1년 동안 정기적으로 모여 사경회의 정신을 살리는 효과적인 운영방법을 논의하며 연구하였다. 본 소고는 사경회 정책위원회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감안하여 효과적인 사경회 갱신 방법을 모색하고 제언하였다. Ⅰ장에서는 한국초대교회의 성인학습의 일환으로 등장한 사경회의 목적과 개관 및 효과를 살펴본 후, 현재 감리교회에 소속된 209지방의 사경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논점들을 발견하고 분석한다. Ⅱ장은 사경회의 교육과정을 점검하면서 회심과 성화의 체험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효과적인 사경회 운영방안을 다양하게 피력하였으며, Ⅳ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경회 교수방법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flipped learning)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Ⅵ장은 결론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입각해 운영방법들을 갱신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효과적인 교육의 장(場)으로서의 역할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기 한국 장로교 대구·경북지방 조사의 역할과 활동

        김병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0 역사신학 논총 Vol.36 No.-

        초기 대구·경북지방 교회의 놀라운 성장에는 한국인 조사(Helpers)들의 역할과 활동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특히 조사의 다양하고 헌신적인 사역은 대구·경북지방 교회의 부흥과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역교회사 연구에 있어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23년 경북노회에서 발간한 『경북교회사』(1894〜1923)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지방 조사의 역할과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초기 한국 교회가 한국인 목사를 배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회를 어떻게 운영하였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오늘날 침체 속에 있는 대구·경북지방 교회를 회복시키는데 작은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초기 대구·경북지방 선교활동에 있어서 조사들의 전도활동은 교회를 부흥시키고 성장시키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그들은 한국인 목사를 배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회들을 돌보면서 주어진 사명을 감당하였다. 그들의 직분은 교회법적으로 정식 직분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초기 교회의 과도기적 교직이었다. 조사를 세우는 주된 목표는 선교사의 관할 구역 내에 교회들을 돌보는 역할을 담당하기 위함이었다. 조사들은 선교사의 지시에 따라 한 달에 한 번씩 교회를 순행 방문하여 예배를 인도하고 설교했다. 그들은 설교뿐만 아니라 학습자를 교육시키고 세우는 일을 담당하였고 교회에 필요한 행정 전반에 대해 처리하고 소속 선교사와 노회에 보고하였다. 특히 사경회를 통한 그들의 교육활동은 기독교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일차적 목적 외에 계몽운동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지적·영적인 면에 모두 성장을 가져왔다. 이같이 조사는 목사의 모든 사역을 대신했으며, 그들의 활발한 전도활동은 초기 대구·경북지방 교회의 형성과 부흥의 초석이 되었다. 또 조사들은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 내에서 학교를 설립하고 확장주일학교를 운영하여 문맹퇴치와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3·1운동과 같은 거족적인 항일운동에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여하면 투옥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일반 민중들로 하여금 기독교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그들은 기독교 신앙의 순결을 지키기 위해 신사참배 거부운동에도 가담하였다. 대구·경북지방 교회의 형성과정과 부흥에 있어서 조사들의 전도자로서의 사명감이 없었다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이들의 사역을 재조명하면서 전도자로서의 사명감에 투철한 지도자를 양성하고 발굴하는 일들이 다시 일어나야 할 것이다. The astonishing church growth over a century ago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was largely made possible because of a special group called the Korean Helpers, due to their active involvement in Christian ministry. Despite the sacrificial and devoted ministry of the Korean Helpers in the region of Daegu and Gyeongbuk,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national Korean church growth, not much historical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this local church group.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Gyeongbuk Church History (1894-1923)” which was published by the Gyeongbuk Presbytery in 1923 to research the Korean Helpers roles and activities to understand how the early Korean Church was managed without having any indigenously ordained Korean pasto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provi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revival of the present-day church in Daegu and Gyeongbuk, which currently faces the challenge of stagnation. In early Daegu and Gyeongbuk missionary work, the Korean Helpers’ evangelism efforts played the main driving force for church growth and revival. They not only served local churches, but they also took care of them where no ordained Korean pastors were available. According to Church Polity, it is hard to identify their position as official, but the Korean Helpers were essential in the transition of early Korean church history. The main purpose of electing Helpers was to serve and take care of churches in a designated missionary’s jurisdiction on the behalf of the missionary. They visited local churches around once a month, leading worship and preaching as their missionary had instructed them. They trained believers who were preparing for their baptism, took care of all administrative work, and reported to their missionary and the presbytery they were under. Particularly, through a Bible class, they not only primarily preached the Gospel, but the Helpers also influenced consistently on the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This brought about both spiritual and educational growth. As mentioned above, they served and worked as if they were ordained pastors. As a result, their active and devoted evangelism work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early Daegu and Gyeongbuk church’s establishment and growth. In addition, the Helpers established schools within the areas they were in charge over, and they operated extended Sunday Schools to fight illiteracy and deploy relevant application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They also participate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moving across the nation, for which they were jailed. This instituted important momentum for the Korean people to further change their view of Christianity. The Helpers also became a part of the Shrine Worship Rejection Movement to continuously abide by the true faith of Christianity. The church establishment process and growth in Daegu and Gyeongbuk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 Helpers devotion and commitment as evangelists. By reviewing their ministry, may this research once again inspire and cultivate future leaders who would also sacrificially devote themselves to their mission for the Gospel as the evangelistic Korean Helpers did.

      • AHCISCOPUSKCI등재

        REV. KIL SON-JU'S THEOLOGY EMPHASIZING SPIRITUAL ENDEAVOR, REVIVALISM AND BIBLICAL INERRANCY : COMMEMORATING THE CENTENARY OF THE GREAT REVIVAL OF 1907 IN P'YONGYANG

        JAE-BUHM HWANG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Acta Koreana Vol.10 No.2

        Rev. Kil Son-ju (1869-1935), often called the father of Korean Protestantism, was the most important leader of the famous Great Revival of 1907 and further revivals of subsequent years (up to 1935). Commemorating the fust centenary of the Great Revival, thts article examines how he helped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to take on a deftnitely revivahst and fundamentahst form. Having taken advantage of his rebous (especdy Sdndo) background, Kil emphasized fervent spiritual endeavor, as may be seen in both hs early writings: Haet'aron (Treatise on laziness) and Mansa songch'wi (Fulfhent of all dungs). Ths was necessary for him since he and early Korean Christians want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through their spiritual endeavors. So Kil played a key role in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sanyongboe (Bible study class) and saebyok kdoboe (day-break prayer meeting) and, what is more, in incorporating these two practices into pubringhoe (revival meeting), which spread like ddfue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He was, however, preoccupied with inducing confession of sins in revival meetings, perhaps because it gave Korean Christians a deep and internal assurance that they had become true Christians. Kil along with other early Korean Christians, who wanted to have a strong assurance of their being true Christians, further sought an absolutized and dogmatic ground for their Christian truth, for which the fundamentahst doctrine of Biblical inerrancy was set up. In sum, Kil's revivahst, Biblicist theology, which was heightened by hs early theology of fervent spiritual endeavor and hs later sturdy denniahsm, naturally evolved into a fundamentahst theology, whch remains dominant in Korea even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