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이재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4

        4차 산업혁명이란 디지털기술이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과 결합・융합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으로 나타나는 기술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산업, 경제, 의료, 군사/보안, 농업, 오락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향후 산업계의 선도기술로써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현행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총체적 변화 과정을 국가적인 방향전환의 계기로 삼아, 경제성장과 사회문제해결을 함께 추구하는 포용적 성장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며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술 등이 정부의 정책상, 산업별, 부처별 연계 부족으로 연구개발 성과가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핵심 기술수준이 외국에 비해 낮고, 경직된 규제와 지원부족, 그리고 관・산・학 연계 부족으로 집중적인 연구개발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인프라가 부족하여 공공서비스 및 공공 스마트 구축・활용이 미흡하고 국제 경쟁력 또한 저조한 상황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난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의 유연성 미흡, 노동시장의 유연성 등이 부족하고,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타트업에 대한 환경 조성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범정부 차원에서의 과학기술혁신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각 부처간 그리고 창출, R&D시스템 혁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국가 전략기술의 구축을 위한 국가 ICT 네트워크의 인프라의 구축과 시스템 S/W 및 네트워크, 센서, 소재 관・학・산업체 간 상생협력과 자체평가를 통한 성과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선도적인 핵심기술개발과 융합 신산업 육성,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등 핵심기술의 연구개발과 지원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창의적 사고를 지닌 유능한 인재의 양성과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4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방안

        윤현석 ( Hyun-seok Yoon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集 Vol.25 No.2

        제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되어 우리의 삶을 비롯하여 기존의 산업구조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들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과 기술은 기존의 산업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정부 정책은 기존의 생산ㆍ수요ㆍ경쟁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어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산업 및 기술 분야를 포섭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에서 나타나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신산업의 출현에 적합하도록 제도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정부는 기업의 투자 및 연구개발을 유인하기 위해 현행법상 지원방식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업의 세제지원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행 조특법에 대해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행 조특법상 신성장ㆍ원천기술 뿐만 아니라 사업화 시설에 대한 열거주의 방식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의 전체, 그리고 계속적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산업 및 기술 분야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현행 세제지원방식이 연구개발 등을 뒤처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외방식(Negative System)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조특법상 신성장ㆍ원천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투자의 범위는 유형자산ㆍ무형자산의 투자를 포함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 이용을 통한 투자에 대해서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4차 산업혁명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연구소 등을 소유하지 않고 공유를 통한 연구개발, 위탁 또는 공동으로 하는 연구개발 등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기업 간의 공동연구와 위탁연구에 대한 세액공제의 요건을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현행 조특법은 제조업 관점에서 신성장 연구개발 대상기술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산업과 관련된 서비스개발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차 산업혁명 산업과 관련된 서비스개발에 대해서도 연구개발 활동으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신성장ㆍ원천기술의 범위를 선정할 때에는 관련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새로이 등장하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과 기술 또는 서비스가 신성장ㆍ원천기술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기술 등에 대한 세제지원 여부를 판단할 때에도 제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문가를 다수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cluding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I), blockchain, and cloud. These technologies are bringing tremendous changes to our lives and the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s. Not only companies but also countries are actively investing i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although industr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industries,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is optimized for the existing production, demand, and competition methods. Industrial and technical field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often not included in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industries that appea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to suit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change the support method under the current law to induce investment and R&D by companies. This study proposes a tax support plan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and technical field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current law, which is not outside the scope of tax support for existing industries. First, under the current law, the enumerationist method of not only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but also commercialization facilities cannot respond to the entire industry and technology field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the newly emerging industries and technology fields. Since such a support method can act as a factor that lags behind R&D, it is necessary to convert it to a negative system. In addition, the scope of investment to commercialize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should be able to provide tax support not only for investment in facilities, that is, tangible assets, but also for investment costs for the use of related services. Nex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R&D through sharing without owning software or research centers, etc., or joint R&D. There is a need to relax the requirements for tax credit for research and commissioned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law defines target technologies for new growth R&D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 may be cases where tax credits are not received for R&D activities related to service development related to the service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service development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Finally, when selecting the range of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relevant experts must actively participate so that newly emerging industries, technologies or servic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elected as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large number of experts closel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tax support for related technologies.

      • 경기도 4차 산업혁명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배영임,신혜리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개최된 세계경제포럼(The World Economic Forum)에서 이슈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은 미래 기술개발과 제조업의 혁신 등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을 구축하여 4차 산업혁명 아젠다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UBS의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준비수준 평가 결과 25위로 나타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풍부한 혁신자원과 역량을 보유한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경기도의 현재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조사와 중소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정책 우선순위와 제조혁신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도출하였다. 경기도는 현재 미래유망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고루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볼 때, R&D 및 기술지원, 인프라(공간, 정보, 기반구축)분야에 대한 지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교육분야(발명, 기업가정신, 융합교육, 기술혁신 등)에 대한 정책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하였으며 경기도의 혁신역량을 활용한 테스트베드의 구축 등 우선적으로 추진할 핵심 아젠다의 선정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경기도의 중소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준비수준은 매우 미흡한 단계로 생산성혁신과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인간과 도시를 위한 가상과 현실의 융합 ‘디지털혁명’으로 정의하고 4차 산업혁명의 정책 목표를 ‘인간의 편리와 삶의 질 향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 첫 번째, 사회와 도시의 문제 발굴이며 이를 위해 기업, 공공, 시민 등 도시의 구성원들이 모두 참여하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 나가야 한다. 두 번째,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투자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통해 추진할 수 있다. 리빙랩은 인간주도형 지능정보사회의 중요한 실천적 방법론으로 새로운 혁신 모델이다. 세 번째, 신기술 테스트베드 구축은 경기도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 현재 문재인 정부의 공약으로 제시된 1+5디지털시티 등 혁신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적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테스트베드인 판교 자율주행실증단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클러스터별 특성과 컨셉을 반영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 인력양성과 교육, 비즈니스모델 창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네 번째, 미래 인재양성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기술 및 산업 전문성을 강조하는 (예비)창업가 대상 메이커프로 그램과 창의와 경험 축적을 위한 초중고 학생 대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교육과정을 2-track으로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 4차 산업혁명 통합 추진체계 마련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전담조직의 신설이 필요하고 테스트 베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거티브 규제 및 규제프리존의 설치가 필요하다. 미래 기술기반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사전적인 규제 없이 자유롭게 실험하고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중요하다. 자유로운 규제환경의 마련은 세 번째 전략인 신기술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desirable direction of policy to implement the role of promo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Gyeonggi-Do, which possess innovativ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iscussed at the World Economic Forum held in 2016, and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deal with it. Korea,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and China are trying to build sustainabl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to secu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nda. Korea is ranked 25th in UBS"s preparatory level evaluation result of the countr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trategic response are needed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policy agenda for Gyeonggi-Do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ioritization of response policy through expert survey, and leading manufacturing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rategies that Gyeonggi-Do should promote are as follows. First, it i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tablish a vision. Second, it is an expansion of support for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ird, it is the establishment of a new technology test bed and the spread of smart factories. Fourth, it is the management of fu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Fifth, it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gration Promotion System.

      • KCI등재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특성과 시사점

        장병열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2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서비스 산업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 및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분석을 수행하였다.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해 기업 비율, 기술 개발 및 활용 비중, 개발·활용 기술, 기술 활용 분야, 기술 개발 방법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서비스 산업 4차 산업혁명 기술 변화 추이도 분석하였다. 서비스 산업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타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및 개발 현황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유형을 4차 산업혁명 기업 비율과 4차 산업혁명 기업 비율의 증가율 관점에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서비스 산업별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및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특성과 시사점을 9가지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산업 기업이 타 산업 기업보다 더 적극적으로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 서비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교육 서비스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 또는 활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4차 산업혁명 기업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서비스 산업은 부동산업,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핵심 3대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분석되었다. 서비스 산업은 4차 산업혁명 기업 비율과 증가율 측면에서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형별 차별적인 혁신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산업 혁신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용진,이종혁,유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In modern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s in high-tech core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autonomous car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Korea's middle school education, it is only a superficial education such as explanation of related terms, and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oriented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can actually experience or design principle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y and interlock proc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mprov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cy. The study procedure was progressed in four stages of literature reviews, study design,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ASSURE model and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Thus, in phase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re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analyzed and the related study was analyzed. In the study design phase, Data sensing, Internet communica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as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tools for examin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improve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verifi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of the class, and as a result,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locking technology process area had a great effect on the sub-area.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경험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중등 교육에서는 첨단 핵심기술의 용어 설명과 같은 피상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으며, 실제로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원리를 경험하거나 직접 설계해 볼 수 있는 체험 위주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연동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의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 고찰, 연구 설계, ASSURE 모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 단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교육 분야에서 관련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설계 단계에서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로 데이터 센싱, 인터넷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선정하였으며, 기술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ASSURE모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4차 산업혁명 연동과정 영역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 실태 및 고용효과 - 기업규모와 지역(수도권/비수도권)을 중심으로 -

        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를 사용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 실태와 고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비중은 2017년 8.1%에서 2021년 14.3%로 6.2%p 증가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고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미활용 기업은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권역별 활용 비중(전국=100)은 수도권 기업(79.1%)이 비수도권 기업(20.9%)보다 현격히 높았다. 비수도권 내에서는 영남권, 충청권 순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 비중이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권역별 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 모든 권역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고용 창출효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기업규모별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은 중소기업(11.2%)보다 대기업(22.2%)이 2배 정도 높았다.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기업규모별 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 대·중소기업 모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업차원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 비중이 낮은 비수도권과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김정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currently drawing worldwide attention. In all disciplin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research and discussions are underway on what to prepare and how to respond to the great changes in the world brought o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n analysis of leading technologies, and major issues that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In these situations, I examined areas, task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s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five parts: I. Introduction: I raised research motivations and problem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paper. II. The Main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prominent concer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vered across three themes. 1. The Mea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discuss the views of three scholar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introduce and analyze concepts of three dominant scholars, including Alvin Toffler's "The Third Wave"(1980),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2011), and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16). 2.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present three domains of technology, including the physical sphere, digital sphere, and biological sphere. 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re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SAI) vs. Weak Artificial Intelligence(WAI), and Issues in Education are examined. II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oncerns in Education: Three Educational concer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Educational concerns of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2. Educational concerns of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Educational concerns of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V. Educational Ministry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Here I discuss three themes pertaining to new situations of Educational Ministry as follows. 1. Historical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Church. 2. Educational ministry in new situations, caring and nurturing. V. Conclusion: Finally I insist that despite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ffered to u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 must once again reflect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ministry as a source of caring for excluded and alienated human beings.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지구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뜨거운 관심사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큰 변화에 대하여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술들의 내용,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천신학으로서 교육목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과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전개되었다. I.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 동기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II.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에 대한 세 학자들의 견해를 논의하였다. 1980년 앨빈 토플러의 ‘제3물결’, 2011년 제러미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 2016년 클라우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2.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크놀로지들에서는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 등을 소개하였다. 3.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강한 인공지능 vs. 약한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교육에서의 이슈 등을 다루었다. III.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분야의 관심에서는 1.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관심, 2.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적 관심 등을 소개하였다. IV.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교회 교육목회의 과제에서는 1. 기독교회의 역사의식과 자의식, 2. 새로운 상황과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등을 논의하였다. V. 나가는 말에서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의 우리에게 선사한 혁신적 기술들의 혜택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배제되고 소외된 인간에 대한 관심과 돌봄으로서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성찰함으로 글을 마쳤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기본 방향 연구

        홍정아(Hong, Jungah),김상규(Kim, Sangkyu)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3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 논의가 확산됨에 따라 박물관, 미술관을 포함한 기존 전시공간에서 전시 콘텐츠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적극적인 기술의 적용과 확장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한편, 일부에서는 기술이 목적으로 전도되고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가 단순히 스펙터클로 소비되는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중심으로 한 전시 콘텐츠를 다루는 연구들이 다수 나타나고 있으나,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오프라인의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다양성과 활용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전시 콘텐츠 사례를 통해 유형을 분류하고 경험요소를 분석하여 기술 기반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현재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오프라인 체험형 전시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과 전시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한다. 이어서, 전시 커뮤니케이션 모델, 경험요소 재구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분석 틀을 통해 기술 기반의 오프라인 체험형 전시 콘텐츠 사례를 분석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경험요소의 분석과 전시 콘텐츠의 유형들을 통해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체험형 콘텐츠의 기본방향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현재 상용되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전시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경험요소는 대부분 시·청각과 관련한 공감각 요소를 바탕으로 복합적인 추가 경험요소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험요소의 비중 분포에 있어 관계 요소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를 전시 콘텐츠 유형 그룹 중 하나인 "다수와의 상호작용"의 참여 특성과 함께 전시 콘텐츠 방향으로 보완하고자 했다. 결론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오프라인 체험형 전시 콘텐츠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관람객과의 관계 경험요소의 측면에서 추후 보완되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전시 콘텐츠의 세 가지 방향을 제안하며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관계, 상호작용 요소 보완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번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경험요소와 전시경험을 더욱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전시 콘텐츠 기획 방법론을 후속 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s the discussion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spreads, exhibition contents are changing in existing exhibition spaces including museums and art galleries. While the possibility of activ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echnology is raised, some are concerned about the phenomenon that technology is inverted for a purpose and, the content to which technology is applied is simply consumed as a spectac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chnology-based Interaction exhibition content by classifying types and analyzing experience elements through the case of exhibition content to which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applied. Methods The research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es and exhibition contents currently applied in offline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it also conducts a cases study of technology-based offlin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experience element reconstruction theory. The basic direction of Interaction exhibition content based on the technology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i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experience elements derived from case studies and the types of exhibition contents. Result Among the experience factors, the relationship factor was found to be the lowest and its elements need to be supplemented. Therefore,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audiences" and the experience elements, one of the exhibition content type groups, attempted to supplement together with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research derived elements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in terms of interaction experience factors with visitors through case analysis of offline experience exhibition contents. In view of what has been mentioned before, three directions for exhibition content based on the technology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proposed, and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diversifying exhibition content were derived. Based on this basic study, a follow-up study o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based exhibition content planning methodology that can more diversely create elements of experience and exhibition experience would be conducted.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 4차산업혁명 기술 수용성 연구 - 공연예술 및 시각예술 현장전문가를 중심으로

        안현우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 기술을 비롯한 모든 신기술의 등장이 필연적으로 문화예술 분야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하며,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달이 문화예술 현장전문가들과 조직에 있어 어떻게 인식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부터 시작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기술에 대한 경험과 기술적 역량은 4차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준비도나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치를 상승시킨다. 둘째, 전략지향성이 높은 문화예술 기업이나 조직일수록 4차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준비도가 높게 나타난다. 셋째, 4차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기여도를 긍정적으로 여길수록 4차산업혁명 기술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을 높게 받아들인다. 넷째, 4차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활용 경험이 높을수록 4차산업혁명 기술 수용성이 높아지나, 4차산업 혁명 기술기여도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4차산업혁명 기술과 문화예술의 만남과 융합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제 동시대 문화예술 현장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초기 자료로써 활용 되어 추후 후속 연구에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청소년활동정책 전략 연구

        이경상,이창호,김민,김평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능정보사회에 적합한 청소년 역량함양을 위해 청소년활동시설의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들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전략 및 세부 정책과제들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지능정보기술들의 유형, 지능정보기술들의 도입과 사회변화 전망, 변화된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주요 청소년 역량들,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방향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고, 둘째, 공공 청소년 활동시설 대상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대응실태를 살펴보았고, 셋째, 공공 청소년 활동시설 대상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대응실태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넷째, 활동시설 실태조사, 사례조사, 전문가의견조사, 청소년정책포럼을 실시하여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전략을 모색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청소년활동정책의 3개 발전전략과 17개 세부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시설, 지도자의 정책분야별로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청소년활동정책의 3개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분야는 4차 산업혁명관련 청소년역량 강화, 시설분야는 4차 산업혁명관련 설비/시설 강화, 지도자분야는 4차 산업혁명관련 지도자역량 강화를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이어, 각 정책분야별 발전전략 달성을 위한 17개의 세부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분야에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청소년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세부 정책과제들로, 1) 지능정보기술 관련 프로그램의 확대, 2) STEAM/메이커관련 프로그램의 체계적 도입 및 확산, 3) 청소년 자기주도적 참여 기반의 활동프로그램 실시, 4)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의 강화, 5) 소통합리성 함양 프로그램의 강화, 6) 진로체험교육프로그램에서 진로탄력성관련 내용의 강화, 7) 지능정보기술관련 진로직업체험프로그램의 강화, 8) 4차 산업혁명관련 윤리교육의 강화의 8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시설분야에는 4차 산업혁명관련 설비/시설을 강화하기 위한 세부 정책과제들로, 9) 청소년활동 분야의 빅데이터 구축, 10) 활동프로그램개발/개선/운영에서 AR/VR 기술의 적용 확대, 11) 4차 산업혁명관련 외부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12) 4차 산업혁명관련 설비/기자재의 공급 강화, 13) 청소년활동시설 운영의 스마트화 추진, 14) 국립청소년 시설의 4차 산업혁명관련 거점화의 6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도자분야에는 4차 산업혁명관련 지도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세부정책과제들로, 15) 활동시설 지도자 대상 4차 산업혁명관련 정보제공 확대, 16) 청소년 지도자 대상 4차 산업혁명관련 직무모형 개발 및 직무연수 실시, 17) 예비청소년지도자의 4차 산업혁명 역량 강화의 3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3개 발전전략과 17개 세부 정책과제들은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