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洛論의 學風과 思想의 계승양상

        권오영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8

        Representative Nangnon(洛論) scholars such as Yi Jae and Kim Won-haeng especially emphasized the study of transforming human disposition while lecturing at private academies including Simgok Seowon(深谷書院), Hancheon Jeongsa(寒泉精舍), and Seoksil Seowon(石室書院). They suggested that only through the application and manifestation of the heart-mind can qi(氣) be rectified to recover human nature(性), and further stated disposition cannot be changed without the application and function of the heart-mind operation. And Nangnon scholars thinked that the heart-mind and nature of a sage and an ordinary person is equal. Therefore Nangnon scholars aimed to become a sage through changing the disposition The thinking of Nangnon is based on the doctrine of human nature is li(理) and the substance(本體) of the heart-mind(心), and as such, is good. And this thinking advocated that the heart-mind is the pure spirit (spiritual illumination) of qi, the substance of li and qi are the same, and the heart-mind and human nature are in accord. Yi Jae claimed illustrious virtue(明德) is the fundamental heart-mind and the two cannot be separated. Based on this doctrine, he presente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matter as being the same, just as the mind of a sage and the mind of an ordinary person are also the same. And Kim Won-haeng advocated a doctrine of the heart-mind as the spiritual residence(靈處) of qi based on Zhu Xi’s statement of the heart-mind is qi's pure spirit. He stated that illustrious virtue is the combination of the heart-mind’s li and qi but it is generally the so-called spirit of the heart-mind. In terms of the Giho academia and the political circle, the Horon academia declined when Song Si-yeol’s descendant Song Deok-sang and Kim Jang-saeng’s descendant Kim Jeong-muk supported Nangnon’s theory after the deaths of Yi Jae and Kim Won-haeng. With the support of Nangnon by Song Deok-sang and Kim Jeong-muk who were famous in late 18th century, Nangnon was able to attain a more favorable position for controlling the academic and political circles as of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 scholastic mantle of Yi Jae was handed down to Hong Gye-hee but was excluded from the scholastic mantle of Yi Jae in late 18th Century. In early 19th century, the scholarship of Nangnon was succeeded by Kim Jo-sun in the political circle and by Hong Jik-pil and Oh Hui-sang in the academic circle. Scholars of the Song clan of Eunjin including Song Chi-gyu who are descendants of Song Si-yeol were also defecting to Nangnon. This phenomenon signaled the advent of political power in the hands of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end of Horon academic ties and revealed that the monopoly of Nangnon faction over academic and political circles through political and ideological assimilation of Horon School toward Nangnon. 洛論의 대표적 학자인 李縡나 金元行 등은 深谷書院과 寒泉精舍, 石室書院 등에서 강학하면서, 氣質을 변화시키는 공부를 특히 강조하였다. 이들은 氣를 교정하여 性으로 돌아가는 공은 오로지 心의 운용과 발휘에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낙론 학자의 心性說은 人性과 物性이 같고, 聖人과 凡人의 마음이 같다는 전제 하에 氣質을 변화시켜 聖人을 배우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낙론의 사상은 性은 곧 理이고 心의 본체는 善하다는 설에 토대를 두고 있다. 그리고 心은 氣의 精爽(靈明)이며, 理와 氣는 實이 같고, 心과 性은 一致한다는 설을 제창하였다. 이재는 明德에 대해 本心이라고 주장하면서 分數가 없다고 보았다. 이러한 설을 토대로 人性과 物性은 같고 聖人의 마음과 凡人의 마음이 같다는 학설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김원행은 朱熹가 心은 氣의 精爽이고, 靈處가 다만 心이라고 한 말에 근거하여, 心은 곧 氣의 靈處라는 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명덕에 대해서 心의 理氣를 합한 것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른바 心의 靈이라고 하였다. 李縡의 낙론학맥은 洪啓禧로 嫡傳이 전해진 것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균역법 등 여러 법제의 제정에 앞장섰고 청과 일본으로부터 새로운 학술과 문물을 수용하고자 했던 홍계희는, 이재의 학맥에서 점차 배제되어 나간 반면, 朴聖源·金元行 등이 이재 이후의 낙론을 잇는 학자로 활동하였다. 그런가하면 이재 사후에 기호 학계와 정계에는, 송시열의 후손인 宋德相과 김장생의 후손인 金正黙이 낙론의 학설을 지지하였다. 송덕상과 김정묵의 낙론 지지로 18세기 후반 이후에 낙론은 더욱더 학계와 정계를 주도할 수 있는 위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김원행을 이은 낙론 학맥은 19세기 초에 정계에는 金祖淳으로, 학계에는 吳熙常․洪直弼 등으로 계승되었다. 이제 송시열의 후손인 宋穉圭 등 은진송씨 학자들도 낙론으로 전향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세도정치의 등장과 더불어 호론 학맥의 종언을 의미하며, 호론 학맥의 낙론으로의 사상적 정치적 동화를 통해 학계와 정계가 낙론의 일당 독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 KCI등재

        당주(鐺洲) 박종(朴琮)의 「미호유록(渼湖遊錄)」 연구

        오상욱 ( Oh Sang-uk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8

        咸鏡道 鏡城 출신의 儒學者 鐺洲 朴琮(1735~1793)은 함경도를 벗어나 澹窩 洪啓禧(1703~1771)와 渼湖 金元行(1702~1772)의 문하에 수학하면서, 楊州 洛口의 江泉亭과 미호의 石室書院을 오고가며 여러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渼湖遊錄」은 경치유람뿐 아니라, 미호 선생을 만나면서 학문의 폭을 넓히는 데 상당한 기여가 있었고, 미호 유람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박종은 벗들과 함께 隱寂寺와 深源寺 등에서 주자서를 읽고 베꼈다. 당주는 1763·1765·1768년 3차례에 걸친 미호 유람을 통해 『大學』과 『中庸』 문답을 시작으로 『禮記』와 『儀禮』 등 喪·祭禮에 관해 주로 물었으며, 미호 유람에 앞서 1754년엔 「燭龍堂日錄」에서 『중용』 공부를 하였고, 1757년엔 미호 선생을 찾아 수학하였다. 1763년에 첫 번째 미호를 유람하며 아름다운 풍광을 즐겼고, 1765년에 두 번째 미호를 유람하며 학문의 폭을 넓혔다. 이후 1767년 여러 벗과 함경도의 은적사에서 독서하며 주자서를 외웠으며 「隱寂寺讀書錄」, 주자서가 담긴책상자를 들고 雪峰山[劍峯山] 深源寺에 들어가 이눌과 주자서를 읽고 여러 벗들과 주자서를 베낀 사실 「深源寺讀書錄」 등을 각각 기록으로 남겼다. 특히 세 번째 미호 유람에서는 그동안 경전의 의심나는 부분을 해소하며 학문의 발전을 이뤘으며, 주자서를 보급한 정황 등은 한층 더 미호 유람을 빛냈다. 당주는 수려한 龜溪江亭을 보기위해 미호 유람을 결행하였지만, 정작 미호 선생을 뵙고 학문적 가르침을 받는 從遊가 미호 유람의 주목적이었다. 그는 관북의 벽촌에 살면서 스승 삼기가 어려워 碩學의 학문적 가르침을 받기위해 낙구와 미호를 오갔으며, 유람을 통해 산천의 경치를 즐기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학문의 발전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6년에 걸친 세 차례의 미호 유람은 주자서 등의 서적보급을 통해 함경도의 낙후된 학문을 일으키는 데에 일조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Dang Joo Park Jong(1735~1793), a Confucian scholar who was born in Gyungsung, Hamgyung-do, interacted with a variety of scholars studying under Dam Wa Hong Gye Hee(1703~1771) and Mi Ho Kim Won Hang(170 2~1772) out of Hamgyung-do and being between Ganchonjung at Nakgu, Yangchon and Sukshil school at Miho. ‘Mihoyoorok’ contributed not only to provide with excursion but also to expand his study scope after meeting with the teacher Miho, and he read and copi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the places like Eujok temple and Shimwon temple returning home since Miho excursion. Dang Joo asked mainly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such as ‘Book of Rites’ and ‘Yili’ starting from questions and answers of ‘Great Learning’ and ‘Doctrine of the Mean’ by Miho excursion in 1763, 1765, and 1768 for three times. Also, he studied on ‘Doctrine of the Mean’ at Chokryongdangilok in 1754 prior to Miho excursion and sought Miho teacher in 1757 for his study. He enjoyed the beautiful scenery of Miho traveling there at the first time in 1763, and expanded his study scope upon the second traveling Miho. Since then, he read and memoriz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Eujok temple in Hamgyung-do in 1767, came to Shimwon temple at Sulbong mountain (Mt. Gumbong) carrying the book box including the books of Zhuxi to read them together with Lee Nul, and recorded ‘Book review at Shimwon temple’ which copi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this time,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Miho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especially highlighting Miho excursion more with the situation to supply the books of Zhuxi. In addition, he achieved the progress of his study resolving the questions on the scriptures at the third travelling Miho. Dang Joo implemented to travel Miho to see the beautiful scenery of Googyegangjung, however, the main objective of the travel was ‘enjoying together’ to see the teacher Mi Ho and to take the lessons from him. Because he lived in the remote countryside of Gwanbuk which was hard to get lessons from his teacher, he came and went to Nakgoo and Miho to learn the lessons from the master. He enjoyed the scenery of the nature by excursion, and also empathized to progress his study. Therefore, what he tried to achieve from Miho excursions three times for six years were to develop the straggling study in Hamgyung-do and to contribute to supply the studies as well as the books of Zhuxi.

      • KCI등재

        관북유학자(關北儒學者) 당주(당洲) 박종(朴琮)의 생애(生涯)와 도학연원(道學淵源) 고찰(考察) -『당주집(당洲集)』을 중심(中心)으로-

        오상욱 ( Sang Uk Oh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당洲集』의 著者 당洲 朴琮(1735~1793)은 咸鏡道 鏡城 출신의 유학자로 18세기關北地方 유학에 영향을 끼친 인물로, 華谷 朴興宗(1600~1687)과 松巖 李載亨(1665~1741)을 私淑하였으며, 農巖 金昌協(1651~1708)과 陶菴 李縡(1680~1746)의 학풍을 이어받았다. 그리고 안동의 陽坡 柳觀鉉을 비롯 영남 남인들과도 교유하 였으며, 澹窩 洪啓禧(1703~1771)의 제자가 되었고, 이후 스승 澹窩를 따라 上京해서 楊州의 江泉亭과 渼湖의 石室書院을 중심으로 渼湖 金元行(1702~1772)을 비롯해 많은 문인들과 교유를 하였으며, 經史에 禮學에 뛰어난 선비였다. 하지만 그는 선비로써의 立身揚名을 시험하였으나, 함경도 문인으로써의 상황을 직시해벼슬을 포기하고, 관북문인으로써 지조와 절의를 지켰으며, 朱子學을 배우고 禮學을 실천하는 전형적인 유학자이면서 山林處士의 삶을 살아간다. 훗날 1777년에 담와의 손자[洪相範]가 정조시해미수사건을 일으킨 일로 인해 연루된 자들 모두가 죽임을 당할 때에, 박종만은 節義를 지키다 寧海로 16년간의 기나긴 定配에 처해지지만 곧은 의지로 더욱 학문에 邁進하고, 자연을 벗 삼아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새로운 기회로 삼았으며, 配所에서 餘生을 보내다 타계한다. 이처럼 당洲는 평생토록 학문을 궁구하고 벼슬에 연연하지 않은 함경도인의 강인한기개와 절의를 가졌으며, 그의 인물관과 의식세계는 함경도 문인의 특징을 대변하기에 충분하다. 그는 담와, 미호 兩先生을 스승으로 모시고 龜溪 洪季修, 鳳巖 韓夢麟, 楡軒韓夢弼, 畏菴 洪章海, 疏江 金鍾健, 漁南 李식, 蘆厓 柳道源 등 많은 문인들과 교유하며 학문 활동을 펼쳤으며, 고향에 돌아와서는 당주서당 등을 통해 많은 후학을 가르쳤다. 그의 학문은 훗날 관북부자 龜巖 李元培(1745~1802)를 거쳐晦堂 玄翊洙, 屯塢 林宗七(1781~1859)로 계승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러한 당주 박종의 道學淵源은 우암 송시열과 농암 김창협을 중심으로 화곡 박흥종 - 송암 이재형 - 도암 이재 - 담와 홍계희, 미호 김원행 - 당주 박종순의 학문적 연원을 가지며, 당주 박종은 18세기 北關四賢의 맥을 이었으며, 관북학문을 履修·傳授한 정통성을 지닌 관북유학자였다. 『Dang-Ju Collection』 of Dang-Ju Park Jong (1735~1793) was born in Kyungsung, Hamkyung Province. As Confucian scholar, he had influence over the 18th century Kwanbukregion Confucianism. With Wha-kok Park Hung-jong and Song-am Lee Jae-hyung as a model, Park Jong succeeded to the academic traditions of Kim Chang-hyup and Do-am Lee Jae. And he kept company with Youngnam the Southerners as well as Ahndong Ryu Kwan-hyun and became the pupil of Dan-wha Hong Kye-hee. Later, he followed his master to the capital and had social intercourse with many men of letters such as Mi-ho Kim Won-hang in Kang Chun Jeong and Mi-ho Soeksil Seowon in Yang Ju. Although he tried to achieve fame and prestige as scholar but gave up a government post, facing up to the reality that he was a man of letters from Hamgkyung Province. He kept his principle and belief as Kwanbuk literator and lived a typical life of Chusa as Confucian scholar, learning the teachings of Chu-tzu and practicing Yehak. In 1777, when all the accomplices were punished to death due to the attempted murder of King Jeong-jo by the grandson (Hong Sang-bum) of Dam-wha, only Park Jong was loyal] to his principle and was banished to a territorial waters for 16 years. However, he was more engrossed with learning with upright volition, taking advantage of the banishment as a chance to find his identity while keeping company with nature. He spent the rest of his days in the place of exile and passed away. He showed a strong will of spirit and principle of a Hamkyung-dorian, mastering learning for all his natural without clinging to a government post. Therefore, his character and consciousness are enough to represent the distinctions of Hamkyung-do men of letters. He was associated with many men of letters including Dam-wha, Teacher Mi-ho, Kwi-kye Hong Kye-soo, Bong-am Han Bong-rin, Ku-am Lee Won-bae, Yang-pa Ryu Kwan-hyun, Ye-am Hong Jang-hae, and Ur-nam Lee Kyung-bo. In addition, he trained disciples in Dang-Ju Village School. His academic disciplines paved a ground for succession to Dun-oh Lim Jong-chul through Ku-am Lee Won-bae. Such academic principles of Dang-Ju Park Jong had been handed down from mainly U-am Song Si-yeulm and Nong-am Kim Chang-hyup and also Wha-kok Park Hung-jong, Song-am Lee Jae-hyung, Do-am Lee Jae, Dam-wha Hong Kye-hee, Mi-ho Kim Won-hang and to himself. Dang-Ju Park Jong was a Kwanbuk Confucian scholar of legitimacy among the scholars who succeeded to Kwanbuk Sahyun, learned and passed down Kwanbuk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경기지역 서원의 정치적 성격

        조준호(Cho Jun-ho)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1 No.-

        경기지역의 서원은 높은 사액비율과 제향인물의 과반이상이 고위관료 출신이라는 통계에 나타나듯, 중앙 정치 지향성이 매우 강하였다. 중앙 정치의 변동과 서원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왕도王都의 인근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경기지역 서원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사례는 석실서원에서 살필 수 있다. 효종 연간 김상헌 등을 제향한 충절서원으로 건립 된 석실서원은 이후 숙종대 김수항ㆍ민정중ㆍ이단상 등을 추가로 제향함으로써 노론의 핵심서원으로 부상하였다. 이후 석실서원은 김창협ㆍ김원행 등의 학문 활동을 통해 서울학계의 학풍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석실의 문인들은 후일 중앙 정계에서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였다. 영조 후반 탕평책을 주도했던 박세채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 활동과 화양서원묘정비를 둘러싼 시비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석실서원의 정치 사상적 성향은 노론계의 의리명분론을 상징하는 곳이자, 서울 학풍으로 대변되는 낙론계 학맥의 중심지로 규정할 수 있다. The fact that Seowons in Kyungkii Province showed a high rate of Saeke and the majority of local scholars were retired government officials proved their innate respect for authority. Changes in central government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swing of the pendulum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to Wangdo. Suk-Sil Seowon represents a typical situation of Seowons in Kyungkii Province. Built to serve a religious ritual for Sang-Hun Kim (金尙憲) and others during Hyo-Jong(孝宗)'s reign, the Seowon gained its place in the core of No-Ron(老論) by commemorating Su-Hang Kim(金壽恒). Jung-Jung Min(閔鼎重), and Dan-Sang Lee(李端相) during Suk-Jong(肅宗)'s reign. Suk-sil Seowon exercises great influence on the academic society of Seoul through various scholars like Chang-Hyp Kim(金昌協) and Won-Hang Kim(金元行). Afterwards, disciples of Suk-Sil Seowon emerged as an important power class in the central government. Criticism on Se-Chae Park(朴世采) who led Tang-Pyong-Check(蕩平策) during Young-Jong(英祖)'S reign and political tendencies displayed during quarrels centering Hwahangseowonmowjungbee(華陽書院廟庭碑) define Suk-Sil Seowon as a symbol of No-Ron's principles and a center of Nak-Ron(洛論), academic societies of Seoul.

      • 석실서원의 건립과 안동김씨

        조준호 ( Cho Jun-ho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효종 연간 안동김씨 김상헌 등의 제향처로 건립된 석실서원은 이후 숙종 대 김수항, 민정중, 이단상, 김창협을 추가로 제향함으로써 노론의 핵심 서원으로 부상하였다. 이후 석실서원은 김창협·김원행 등의 학문 활동을 통해 서울 학계의 학풍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석실의 문인들은 후일 중앙 정계에서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였다. 영조 후반 탕평책을 주도했던 박세채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 활동과 <화양서원묘정비>를 둘러싼 시비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석실서원의 정치사상적 성향은 노론계의 의리명분론을 상징하는 곳이자, 서울 학풍으로 대변되는 낙론계 학맥의 중심지로 규정할 수 있다. Suk-Sil Seowon built to serve a religious ritual for Sang-Hun Kim(金尙憲) and others during Hyo-Jong(孝宗)’s reign, the Seowon gained its place in the core of No-Ron(老論) by commemorating Su-Hang Kim(金壽恒). Jung-Jung Min(閔鼎重), and Dan-Sang Lee(李端相) during Suk-Jong(肅宗)’s reign. Suk-sil Seowon exercises great influence on the academic society of Seoul through various scholars like Chang-Hyp Kim(金昌協) and Won-Hang Kim(金元行). Afterwards, disciples of Suk-Sil Seowon emerged as an important power class in the central government. Criticism on Se-Chae Park(朴世采) who led Tang-Pyong-Check(蕩平策) during Young-Jong(英祖)’s reign and political tendencies displayed during quarrels centering Hwahangseowonmowjungbee(華陽書院廟庭碑) define Suk-Sil Seowon as a symbol of No-Ron’s principles and a center of Nak-Ron(洛論), academic societies of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