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 Yoonjin Ryu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시설물, 식재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시설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시설, 휴식시설, 농업시설, 경관시설 비중이 높아졌으며 경계시설, 이동시설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시설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시설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시설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시설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 오면서 시설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등 활동이 나타나는 시설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s and Gardens was implemented last July, and forest and garden industries have been received the Blue Ocean design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gardens belong to individuals, constructing gardens is directly related to a local society``s environmental development. Further, thi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ich emotions. In fact, it is the oldest expression method of civilization. The garden in a private residence is an open space-the site left after the building site has been excluded;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s lives. Although a personal garden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referenc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standards, methods, and management of garden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garden in a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value and construction method pertaining to gardens of the fu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in existing gardens. (Metho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on 60 gardens (i.e., 30 traditional gardens and 30 modern gardens) throughout the nation; accordingly,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were analyzed. (Results) In terms of facilities, management facilities, rest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cenery facilities were analyzed; it was noted that modern garden facilities have fewer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options than traditional gardens. In fact, boundaries decreased by 1.5% for modern gardens, although ratios remained almost the same. Traditional gardens usually have facilities for living, whereas modern gardens have facilities for relaxing or engaging in activities. Regarding plantings, traditional gardens contain more fruit trees, whereas modern gardens incorporate more plants for their appreciation value, related activities, and seasonal events. Concerning space composition, both traditional gardens and modern gardens reflect a preference for flooring, though the amount of flooring decreased by 18.2% in modern gardens. However, the size of plantings increased by 17.3%. (Conclusion) Space composition, facilities, and planting methods that allow various activities in a single space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a garden culture. Regarding space composition, relaxation or orchestration of activities can be encouraged by increasing the size of a lawn or kitchen garden. Concerning planting, trees that can present the changes of seasons should be used to make create sceneries that incorporate benches, pergolas, or swings.

      • KCI등재

        현대정원에서 투영과 투명성 재료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쇼몽 가든페스티벌을 대상으로

        권진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정원에 도입되는 다양한 재료는 형이하학적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물성으로서 정원의 구체적인 형태를 구성하고 시각적으로 인지되며, 정원에 필요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한다, 현애에 접어들어 그 재료는 형이상학적 의미로, 심미적 표현의 재료로서 디자이너의 창의적 발상과 독창적인 정체성을 단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본 연구는 프랑스 쇼몽 페스티벌을 통하여 현대정원에 빈번히 등장하는 표형 언어인 "투영"과 그것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투명성 재료의 표현특성을 고찰하였다. 쇼몽의 정원박람회에 나타난 투명성 재료의 표현특성을 가시적 투명성과 현상적 투명성의 관점으로 바라보았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명성 재료의 특성은 시각적 선호 인자를 통하여 가시적 투명성으로 정원의 형식을 전달하나, 곧 이것은 현상적 투명성과 연계되어 감상에 대한 다양한 층위를 복합적으로 유도한다. 둘째, 정원에서 투영의 다의적 표현은 투명성 재료의 다양성과 그 변형된 형태, 질감 등을 통하여 전달되며, 투영을 통하여 전통적 정원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직관과 기억 그리고 감정을 관찰자들에게 전달한다. 아울러 이것은 자연재료의 불규칙한 표면특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재료로서 의미가 있다. 셋째, 한정된 정원에서 공간의 체험 영역은 투명성 재료를 통하여 경계에 대한 불확정성과 공감각적 탈 영역성의 습득이 용이하며, 재료에 대한 비물질적 감성을 전달받기도 한다. 본 연구는 현대정원에 표현되는 오브제로서 투명성 재료가 가지는 투영의 다의적 해석에 대한 확장된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는 시각문화의 요소로서 자연재료와의 조화를 위한 디자인 실험의 기초를 고찰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Various materials applied to gardens have properties to organize physical spaces They are visually recognized and play functional roles required for gardens. In modem times, such materials sometimes carry metaphysical meanings and are used for aesthetic expressions, with showcase the designers creative ideas and unique identity.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Chaumont Garden Festival and investigated "projection" as a expressive language frequently shown In modem garde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materials used for it. The author has review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materials shown in the Chaumont garden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l transparency and phenomenal transparency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materials not only delivers the form of gardens as literal transparency through visually preferred demerits but also are associated with phenomenal transparency to attract various levels of appreciations. Secondly, the polysemous expression of projection In gardens is delivered through the variety of transparent materials and their modified shape and texture, and projection serves as a media that delivers to viewers intuition, memories and emotions that traditional gardens cannot express. J50, they have significance as material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atural materials that have irregularities on their surface. Thirdly, in the experience area of spatially limited gardens, transparent materials help comprehend the uncertainty of boundaries and synaesthetic non-territorial characteristics and deliver asomatous emotions about materia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extended meanings of the polysemous interpretation of transparent materials" projection as objects expressed in modem gardens arid the foundations for design experiments for harmonization with natural materials as an element of visual culture.

      • KCI등재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서울정원’ 디자인 기본계획

        김영준,이행열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1

        본 서울정원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공모하여 당선된 기본계획으로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는 정원 설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만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름답고 특색 있는 정원이며, 서울을 상징할 수 있는 친환경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서울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역동적 도시로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서울정원은 공존하는 도시 안에 정원을 만들기 위하여 4가지 공간을 계획하였다. 첫째, 옛 서울 공간은 전통정원 공간으로 서울의 옛 모습과 전통성을 계획하였다. 둘째, 근대서울의 풍경은 근대 도시로 변화한 서울의 풍경을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인 공간을 계획하였다. 셋째, 역동적인 서울은 현재의 서울로 역동성과 다양성에서 생태자연과 도시문화의 공존을 현대적인 소재로 계획하였다. 넷째, 숨겨진 한강의 기적은 빠르게 변하는 도시 속에서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고 있는 생태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본 서울정원 계획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출품되어 전시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정원박람회 출품을 위해 현상공모 후 설계 및 조성공사를 시행한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후, 서울시에서는 2015년부터 서울정원박람회를 직접 개최하여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 초청 및 디자인 우수작품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정원박람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순천만국 제정원박람회의 서울정원 출품을 통하여 서울시의 정원과 정원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기초가 되었다는 것에 대해 본 계획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eoul-garden is a basic design that was opened to the public and selected by Seoul special city to participate in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It aims to suggest a garden design strategy for representing Seoul special city. The Seoul-gard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Seoul, reinforced the fact that Seoul is a beautiful and distinctive garden, and suggested an eco-friendly model that can symbolize Seoul. Seoul is a dynamic city where traditional times and modern times coexist and where tradition, modernity, nature and city are in harmony. Four spaces were designed to make a garden in the city that those things coexist. The four spaces are as followed: 1) Tradition Seoul, 2) Landscape of modern Seoul, 3) Dynamic Seoul, and 4) Miracle of the Hangang. First, Tradition Seoul was designed as a space for a traditional garden. It was intended to show old traces and tradition in Seoul. Second, Landscape of modern Seoul is a space where sadness and delight coexist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e-war city. It was intended as a romantic space for citizens to remember old memories. Third, Dynamic Seoul is contemporary Seoul and was designed with modern sources that ecological nature and urban culture coexist based on dynamics and diversities. Fourth, Miracle of the Hangang was designed as a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ecological nature that heals and recovers for itself in a fast changing city. This Seoul-garden design was exhibited at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Seoul special city carried 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fter the competition for the garden fair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Seoul has been hosting the Seoul Garden Show since 2015 and various garden fair programs have been performed such as inviting globally famous garden designers and exhibiting excellent design works. This proposal is important in that exhibiting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was the basis for the interest and effort on gardens and garden fairs in Seoul.

      • KCI등재

        중국 현대건축의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 상해(上海) 가정(嘉定)구와 청포(青浦)구를 중심으로 -

        방곤,김영은,이웅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상해시는 중국의 경제 및 금융의 센터이고 번영한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가정(嘉定)신도시 지역과 청포(青浦)신도시 지역은 상해시의 위성도시로서 최근 10년 이래 건축 설계 작품 중에는 많은 중국 본토 건축가들의 작품들이 나타났다. 이런 본토 건축가의 작품이 중국 현대 건축의 발전에 대해 공헌을 하였고 더 많은 국제 건축가들과 학자로 하여금 가정(嘉定)신도시 지역과 청포(青浦)신도시 지역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가정(嘉定)신도시 지역과 청포(青浦)신도시 지역 건축 작품 중 중국 본토 건축가들의 배경을 이해하고 설계 방법을 밝히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분석결과로 가정(嘉定), 청포(青浦)의 29개 현대건축 중에 건축 외부 색채는 대부분 백색, 회색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강남 건축의 특징을 갖도록 색채 디자인을 하였다. 이것은 중국 강남 건축문화의 전통적인 사상을 잘 표현한 형식으로 평가된다. 또한 가정(嘉定), 청포(青浦)의 현대건축은 디자인 개념에서 대부분이 건축물과 주변 환경과의 공존과 서로 융합의 관계를 강조한다. 일부 건축은 중국 전통 강남 정원의 구조 방식을 계승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본 연구대상 현대건축물 29개 현대 건축 외부 디자인의 스타일은 주로 규칙적인 입방체 구조 형식으로 디자인 되었다. 외부 장식에서 주로 중국 전통 건축양식과 현대건축 요소의 결합으로 설계하였다. 가정(嘉定), 청포(青浦) 양 신도시의 현대건축 대부분은 호수 옆에 건설되거나 건축물 주변에 인공 호수를 건설하고 있다. 건축물의 주변 경관을 계획함에 있어서 중국 전통 강남(江南) 수향(水乡)의 전통 스타일을 뚜렷하게 선호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Shanghai is one of China’s economic and financial centers, as well as a prosperous international metropolis. As local satellite cities of Shanghai, Jiading and Qingpu have manifested the rising appearance of local architects’ works during the last ten years, whi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modern architecture, thereby arousing interests of international architects and scholars on Jiading and Qingpu.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ontext - as to architectural basis or background - of local Chinese architects and revealing the construction method conveys a significance. The analysis of 29 modern architectures in Jiading and Qingpu shows a recurring theme of white and grey colored exteriors,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iangnan architecture, which is evaluated as an epitome of reflect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Jiangnan architecture. Furthermore, the modern architectures of Jiading and Qingpu emphasize the fusion of the structures and their surroundings in terms of their designs. Some of them inherit the structural system of traditional Jiangnan garden. The exterior designs of the 29 modern architectures focused in this study exhibit a pattern of regular cubical structure, where the ornaments are combinations of the traditional style of Chinese architecture and component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general, the modern structures in Jiading and Qingpu are built next to a natural, or artificial, lake. Hence, with respect to the planning of ambient landscape of the structures, the preference to the traditional, waterside style of Jiangnan architecture is apparent in its architectures.

      • 동탄작가정원, 몽탄원(夢灘園)설계

        홍광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4 No.1

        This design is an experimental work on how to creatively inheri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gardens through certain means and methods for building modern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design wa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elements introduced into a traditional garden, the use of modern materials, and the modernization of gardening. In this design, the concept of design was defined as 'an imaginary garden met in dream' and conceived design language and design strategy accordingl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eatively succeed traditional gardens, and this work shall not be considered as the answer to the creativ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Therefore, many attempts shall be made in the future, and a discussion space will be set up to openly discuss tradition and modern communication. 본 설계는 전통정원이 가진 내용을 현대정원에 어떠한 수단과 방법을 통해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실험과정으로 진행한 작품이다. 본 설계에서 주목한 내용은 전통정원에 도입된 요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현대적 재료 사용, 그리고 작법의 현대화였다. 본 설계에서는 설계의 개념을 ‘꿈에서 만난 상상정원’으로 정하고, 이것에 대한 설계언어와 전략을 구상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 이 작업이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정답이라고 볼수는 없다. 따라서 향후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그것에 대한 담론의 장이 마련되어서 공개적으로 전통과 현대의 소통에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당대(當代) 중국 정원(庭園)의 세 경향 -건축 디자인 요소의 측면에서-

        이상옥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I illuminate the tendencies of the contemporary Chinese garden design according to the case study using the approach method of the correlation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It would be the point of the paper that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Chinese design would be as follows: restoration, compromising, and modernization. It would be considered that according to the tendencies of contemporary Chinese garden design we could understand the basic theories of each tendencies as follows: Korea`s strategies, designer`s behavior and works, and categories.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the three tendencies would be analysed as of examples context analysis for the purpose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endencies. The theories of architecture design as basic of garden design would be the symbols of rite practices and subsidiary meaning, practice heaven-earth-human system. and the contents hierachic order and religious, and timbering framework. Chinese garden theory represented heaven-earth-human environmental system and spirited dimension. The contents included nature practice and construct theory like earth chosen. The case study would be the three parts: first, restoration had developed garden owners centered concepts in the contemporary China so the designer and owners must communicate. Second, compromization has stressed on the ‘neo-Chinese style’designs. The style has populized in the Canton Province. Third, modernization would be understood as the strategies of Chinese ancient style plus mixture and harmony.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ree points that first, the tendencies of contemporary Chinese garden design have had three main elements as restoration, compromization, and modernization, second, the tendencies of the three tendencies would be the modernization as mainstream, and restoration and compromization as subsidiaries, and third, tendencies of contemporary Chinese garden design would have possible lessons on us because of the mixed background of East and West civilization and the advent of China and Asian period. 당대(當代) 중국 원림(園林) 디자인의 주요 경향을 복고화, 절충화 및 현대화로 귀납하여 이를 분석한다. 이의 이론과 실제를 사례별로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며 이는 우리에게 전략적 대응 차원에서 이해의 필요성에서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연 구 범위는 세 부분으로 디자인 경향의 행위자와 작품, 유형화 방법을 사용한다. 사례 분석 방법’이 연구 방법으로 사용된다. 원림 디자인 이론의 모(母) 이론인 중국 건축 디자인 이론을 그 개념과 내용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개념은 건축은 예(禮) 실현 의 상징 의미와 디자인의 부수적인 성격을 나타내며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을 구현한다. 내용으로는 계층 질서성과 종교 성의 특징 및 목조(木造) 체계를 주로 하는 면을 보인다. 중국 정원 디자인 이론은 역시 개념과 내용으로 나누어 개념은 천지인 (天地人)의 환경관과 경계(境界)관으로 나눌 수 있다. 내용으로는 천지(天地)를 모사하는 자연 체현관과 영조(營造)관으로 산수 택리(擇理) 등을 그 주요 내용으로 한다. 복고화의 사례 분석으로 70%가 주인, 30%가 디자이너’의 몫이라는 원림 주인의 의지가 반영되어 중국과 서양의 사상과 양식 이 배합되어 나타난다. 디자이너와 주인의 밀접한 소통이 중요하며 고대 원림의 정신인 생기(生氣)에 창조적 전통의 계승의 정 신 바탕을 두어야 한다. 절충화 정원 디자인 경향은 신(新中式, neo-Chinese style)’으로 대표되는 독특한 양식이며 실제 사 례에서 광동(廣東) 지역을 들 수 있다. 이 지역은 일찍이 서양 양식이 중국식과 결합하거나 절충되어 새로운 중식(中式) 디자인 세계를 표출하고 있다. 현대화 디자인 경향의 이론과 사례는 원림이 도시 건축과 도시 시설과의 혼합, 마합(磨合, 단순한 원림 과 도시의 결합이 아닌 유기적이고 경관적이며 기능적인 결합의 중간 단계, 즉, 과도기)에서 융합에 이르는 결합 과정을 말한다.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첫째, 당대 중국 원림 디자인의 주요 경향으로 복고화, 절충화 및 현대화로 귀납할 수 있다. 둘째, 이 주 요 세 경향은 현대화(서양화)를 기반으로 하여 복고화와 절충화가 제한적이나마 새로운 모색과 시도를 하고 있는 과도기이다. 셋째, 당대 중국 원림 디자인의 추세는 이와 밀접한 상호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우리에게 좋은 시사점이 된다.

      • KCI등재

        세계, 예술, 꿈의 탈주술화

        원동훈(Won Dong-Hoon)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베버의 현대성 담론의 맑스적 읽기의 하나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포스트모던적 담론의 선구로 재평가되고 있는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매체담론을 베버의 합리성 담론과 프로이드의 꿈의 담론과 관련하여 새롭게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맑스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의 개념모델 대신 ‘예배가치와 전시가치’라는 새롭게 고안된 개념모델을 통해 매체 예술의 상품물신적 특성보다는 정보적 특성을 부각시키려 했던 벤야민의 개념전략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맑스가 벤야민의 매체담론에 끼친 영향력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미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벤야민과 맑스의 관계보다는 ‘세계의 탈주술화’와 ‘예술의 탈아우라’를 주장하는 베버의 현대성 담론과 벤야민의 매체담론에 내재하는 ‘반 주술적’ 관점의 유사성에 주목하고 양자가 유대적, 플라톤적, 프로테스탄트적 합리성의 전통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 밝힌다. 분석결과 벤야민의 매체담론은 그 이론적 선구성에도 불구하고 비언어적 소리와 비문자적 형상에 대한 원초적 거부감, 감각적 실재에 대한 미디어적 실재의 과대평가, 관조적 침잠에 대한 일면적 이해와 과도한 경계심등으로 인해 유대적 ‘언어와 문자 중심주의’, 그리스적 ‘이념과 개념 중심주의’, 프로테스탄트적 ‘금욕주의적 노동중심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본다. 한편 꿈을 ‘상징’이 아니라 ‘상형문자’로 보고 언어분석을 통해 마지막 신비의 영역의 탈주술화를 시도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담론이 어떻게 벤야민의 예술담론과 매체담론의 탄생에 기여했는가를 밝힌다. 프로이드의 ‘상징과 상형문자’로서의 꿈을 모델을 고전주의와 바로크에 상응하는 상징과 알레고리‘의 예술모델로 변용시킨 벤야민이 이를 어떻게 다시 매체예술에 적용하여 새로운 매체담론을 탄생시키는지 알아본다. 요약하자면, 본 논문은 ‘세계’, ‘예술’, ‘꿈’의 탈주술화에 관한 베버, 벤야민, 프로이드의 담론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 그 안에 내재하는 서구 중심적 합리성을 비판한 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