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혜정,윤회정,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창의⋅인성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의 견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138명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의 78.3%가 창의⋅인성 교육의 중요성은 인정하였으나 그 취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25.4%로 매우 낮았 으며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해서도 48.6%의 교사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 교사들 은 교과 과정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창의⋅인성 교육을 선호했는데, 창의⋅인성 교육 방법으로 협동 학습을 강조한 조별 활동(57.2%), 창의⋅인성 교육 내용으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관련 문제 해결(52.2%),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54.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창의⋅인성 교육 방법이 제시된다면 55.8%의 교사들이 이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의견 을 나타냈지만, 창의⋅인성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창의성 지도 및 교 사의 역할 모델 제공,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과 업무 축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 다. 셋째, 과학 교사들의 41.3%가 수행평가 항목에 정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창의⋅인성 교육 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31.2%의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 평가가 제대로 이 루어지기 위해서 교사의 자율성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넷째, 창의⋅인성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충분히 교과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 확대와 지원체제 마련, 학급당 학생 수 및 교사 일인당 수업시수의 감축, 창의⋅인 성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및 학생의 마인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지론적 ILOs 접근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 단원 개발

        배은미 ( Bae Eun-mi ),강현석 ( Kang Hyeon-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인지론적 ILOs 접근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 단원을 구안 및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인성 및 인성교육, 인성교육 요소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과 본 연구에서의 접근방법 및 인성교육과 백워드 설계와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의 단계 및 주요 절차와 단원 개발 접근 방법 그리고 백워드 설계 단계별 인성교육의 방향과 구현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 인성교육 단원을 구안 및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인지론적 ILOs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참여도를 높여 교과는 물론 관련 인성교육 요소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지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일선 교사들이 당장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백워드 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백워드 설계를 우리의 교육 실정에 맞게 재구조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단원 구안과 적용과정에서 교육과정 중심 수업설계로의 인식전환, 적용 초기에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 및 점차 교사 역할 줄이기, 수행과제 해결과정 중 본질적 질문을 통해 수업 초점 잡기, 협력적인 학급문화를 형성하여 기반 다지기라는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인성은 단시간에 길러질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라 통합적 접근에 따른 교과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꾸준히 길러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apply unit on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backward design based on cognitive ILOs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afterward. To do this, we defined the concepts of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elements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alysis, and explored the main approach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approach in this study and the relevance of backward design and character education. We also examined the steps and the key procedures of backward design, the approach to development. And we examined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at the step of backward design. Based on this, we designed and applied 6th grade character education unit(mathematics) centered on backward design. As a result, the character education by backward design based on the cognitive ILOs approach helps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to enhances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to embrace the practice. However, this method seems to be difficult for general teachers to use immediatel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applicating the character education unit centered on backward desig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to the curriculum-based class design, actively intervene and reduce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early stage of application, to focus on the essential questions during the performance task solving process,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classroom culture. Character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rai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should be steadily cultivated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based on an integrated viewpoint.

      • KCI등재

        인성교육 역량 연수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손경원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contents for middle school teachers. Middle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ractice in character education are high, but their confidence in the capacity of character education is not high, and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perceived by students is lower than teacher's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aine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eacher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y training program and proposed a multi-layered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grating restorative practices as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trainin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action learning based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close the theory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reality of schoo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중학교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연수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관심이나 실천의지는 높지만 인성교육 역량에 대한 확신은 높지 않으며 학생이 지각하는 인성교육의 효과성 정도는 교사의 인식보다 낮았다. 이에 교사 인성교육 역량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요구를 설명하고, 인성교육 연수 콘텐츠로서 회복적 생활교육을 통합한 단위학교 인성교육과 긍정적 행동지원 이론에 근거한 다층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인성교육의 이론과 학교 현장의 실제를 긴밀하게 하기 위해 교사학습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액션러닝에 기초한 교사교육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

        서민철(Seo Min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What I ve got to suggest in this paper is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and should be founded upon virtue ethics. Virtue ethics is a recent stream to be risen as the third camp in the world of normative ethics to be consisted of just two theoretical camps,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Virtue ethicists call the two camps duty ethics to tell themselves from the two. Duty ethics look into what right action is, but virtue ethics who virtuous agent is. For virtue ethicists think that right action come from virtuous agent. Duty ethicists believe that moral action come from understanding moral principles, while virtue ethicists don t approve it. Virtue ethicists take the position that moral actions are taken place just when agents have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middle between our moral understanding and moral actions always intervene our will, emotions, or habits. It s as like that our reason have to go through our bddy before it materialize itself. Therefore moral understanding don t always make sure to do good actions. It t the point of virtue ethics that only when agents build up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terstanding, they could fill up the gap between moral understanding and actions. For virtue is a disposition to be willing to do some good actions, and the disposition is consist of moral understanding, emotions, and good habits. Therefore virtue is a good character which character education aims at. It s why character education is in line with virtue ethics in their focusing on character traits not actions. Character education movement began from the reflection about the problems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and the limit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moral education. Virtue ethics make clear the meanings of cardianal virtues as like justice, courage, temperance, patience as well as other virtues as like tolerance, creativity, esthetic, pride etc. and discuss why they have values in our life. The list of virtues in virtue ethics are same as the list of good characters in character education. We are able to add up some items of good character and array up a ranking of the items by referring to virute ethics. Virtue ethics may also be a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virtue ethics can be a good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under an increasing interest. 본 논문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인성교육이 윤리학에서 덕윤리에 기반할 수 있음 을 보이려 하였다. 덕윤리는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규범 윤 리학에 제3의 대안으로 등장한 비교적 최근의 경향이다. 덕윤리 학자들은 그 둘을 의무 윤리라 부르며 자신과 구별한다. 의무 윤리가 옳은 행위가 무엇인지를 논구한 다면, 덕윤리는 덕있는 행위자는 어떤 사람인가를 논구한다. 옳은 행위는 덕있는 행 위자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의무 윤리는 도덕 원칙을 이해함으로써, 도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보는 반면, 덕윤리는 그것을 부인한다. 덕윤리학자들은 도덕적 이해는 물론 도덕적 정서와 습관화까지 포함한 덕을 행위자가 갖추어야만 도 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본다. 그런데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동 사이에는 의지라 든가 정서, 그리고 습관과 같은 지식 이외의 요소가 개입한다. 그것은 마치, 우리의 이성이 구현되려면 우리의 몸을 거쳐야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도덕적 이해가 도 덕적 행위를 곧바로 보장해주지 않는다. 덕윤리는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 까지 함양하므로써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위의 간극을 메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이다. 덕은 좋은 행위를 하려는 성향으로서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덕은 좋은 인성이고, 그것이 바로 인성교육의 목표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이 학생들의 행위보다는 품성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인성교육은 주지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도덕 판단력 교육의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덕윤리는 정의, 용 기, 절제, 인내와 같은 핵심적 덕목은 물론 관대함, 관용, 창의성, 심미성, 자부심 등 과 같은 다양한 덕목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인생에서 왜 가치있는 것인가를 논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덕윤리의 덕목들은 그대로 인성교육의 좋은 인성 목록과 그대로 겹쳐진다. 덕윤리의 논의에 기대어 좋은 인성 목록을 보다 더 확충할 수도 있 으며, 좋은 인성 목록들 간에 위계를 세울 수도 있다. 또한 인성교육의 내용을 덕윤 리가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덕윤리는 인성교육의 훌륭한 윤리학적 기반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탐구

        김세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4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universities.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eachers. The meaning and field of the curriculum can be further expanded. Thus, this study devised a multi-layered character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ecological curriculum, making-teacher curriculum, and personal curriculum. This curriculum helps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in various forms and unique ways. It also creates a virtuous atmosphere i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layered curriculum and how it can be realized specifically.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운영해야 할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이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인성교육과정을 보다 폭 넓게 탐구하였다. 인성교육의 의미를 교사라는 특수한 위치에 맞추고, 교육과정의 의미와 그것이 운용되는 장을 확장하면, 대학은 더 다채롭고 다층적인 인성교육과정을 제시할 수 있다: 생태학적 인성교육과정, 교사화 인성교육과정, 개인적 인성교육과정. 이 세 층위의 교육과정은 다양한 형태와 고유의 방식으로 예비교사의 인성 발달을 도모하며, 그 자체로 대학과 지역사회에 인성적 분위기를 형성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층위의 교육과정을 예비교사의 다층적 인성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각 교육과정의 특성과 구체적 실현 방안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의 교육적 접근 경험에 대한 교사의 담론

        조연경(Cho, Yeon-Kyoung),조미영(Cho, Mi-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와 실행경 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하여 효율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인성은 ‘사람 됨됨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이라고 하였다. 둘째,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실행에 있어서 주로 하루일과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본생활습관지도와 함께 동화를 통한 극놀이, 이야기나누기 등 관계 중심의 대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을 실행하고 있었 다. 이와 같은 인성교육의 방법은 유아들로 하여금 인성덕목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며 실천적 교육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부모-자녀 체험활동, 교사의 모델링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면서 유아인성교육에 있어서 성인의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와 교사가 함께 할 때 긍정적인 교육의 효과가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자 녀체험활동의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알 수 있었 다. 셋째, 유아인성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으로는 가정과 연계되지 않는 인성교육 실행의 어려움, 장기 적이고 반복적인 인성교육 실행에서 오는 소진의 어려움,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 내용을 실행하는데 어려 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하였다. 넷째, 유아인성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로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개선의 요구와 꾸준히 실천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요구, 연령별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nings, practical experienc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carried out separately with 20 teachers who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eaning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m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not easy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access educationally because character education had a comprehensive meaning or frequent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so ambiguous or abstract in educa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most teachers said that character education was important in terms of making basic life habits and personality formation, and educated about the significance of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onsideration, empathy, cooperation and respect. Second, as fo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most teachers instructed to mainly form the basic lifestyle habits naturally in the course of the day, and focused on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standard childcare and Nuri Curriculum. As for th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e educational approach using story telling and story shar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helped children to understand the virtues of humanity and provided opportunity for practical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eacher modeling and parent-child experienti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both parents and children.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when approaching periodically than one-time education. Third, as for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ifficulty of burnout from running long-term and repeti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had difficulties of performing character education. Fourth, as for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st teachers hoped that much support would be ongoing with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an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amily, and medium suitable for the child s age, and to find teacher s self character.

      • KCI등재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분석

        변소연 ( Byeon So-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매트릭스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실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유아인성교육 실제(유아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연구도구는 유아인성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질문지(86문항, Cronbach’s α=.981)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첫째, 유아인성교육의 목적에 대해 우선시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인성교육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점진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인성교육의 내용, 유아인성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는 과잉지양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의 하위내용 분석결과 유아교사는 실제영역별로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바람직한 유아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이후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PA matrix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for 359 young children's teacher (purpos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The research tool used a questionnaire (86 items, Cronbach's α= .981) that examined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hood character practi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chil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urpose of child education was firstly needed. Secondly, we recognized that gradual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methods of child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y perceived the content of the child education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child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urpos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child character education revealed that there are various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actual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ind out desirabl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nd then to provide basic data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해 기술·가정교과 '가족의 이해' 단원에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강지민,유난숙,Kang, Jimin,Yu, Nan Soo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가정과의 인성교육 실현을 위해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인성교육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가정과 수업이 청소년의 인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수업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M중학교의 남학생 4학급 1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6일부터 4월 7일까지 총 5주간 9차시의 인성교육 수업이 실시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수업 평가, 수업 전 후 인성수준 평가를 통해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단계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이해' 단원의 인성교육 수업을 위하여 9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었다. 본 교수 학습 과정안은 ARCS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를 높이고 인성요소를 고려하여 중학생의 인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 학습을 위해 중학교 기술 가정 '가족의 이해' 단원에서 총 9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활동지(14), PPT자료(2)를 개발하였다. 둘째,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인성교육 수업을 받은 중학생은 인성의 하위 항목 (성실, 배려 소통, 책임, 자기조절, 정직 용기, 지혜, 정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ARCS를 적용한 인성교육 수업은 중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인성교육 수업은 학습자의 수업의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척도형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4개의 문항에서 72.3%가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는 '재미있었고, 가족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었고 조 활동이 많아 배려와 협동심이 늘어날 수 있어 좋았다.' 등의 응답으로 학습자들이 인성교육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필기내용이 많아 힘들어 하는 학생들이 있으므로 좀 더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개발된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기술 가정과 인성교육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인성 역량을 강화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ARCS strategies to improv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a home economics class helps to give positive effects on youth character change. Nine-period classes were conducted for 110 male students in 4 classes of M middle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5 weeks from March 6 through April 7 in 2017.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were examined with learners' class assessment and pre- and post- character index test. The research steps and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learning plans for 9 periods were developed for the character education class of the chapter 'Understanding families'. Thes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were designed to enhance learner's interests in learning using ARCS motivational strategy and improv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 elements. In the chapter 'Understanding families'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he teaching-learning plans for 9 periods, 14 student activity sheets, and 2 powerpoint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developed. Second, students who had the character education classes using ARCS motivational strateg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haracter elements. Therefore, the character education class using ARCS shows positive effects to build up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character education classes using ARCS motivational strategy increased the class satisfaction of learners. The character education class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using ARCS motivational strategy will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build up students' character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Based on didactics the article discusses the aim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suggests some practical strategies. After providing a brief review of the aims of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self-regulation, responsibilit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author described five dimens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These include individually physical education, mind education and wisdom education as well as civil education from a local and global perspective.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engage with character education by meeting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needs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Finally, after a discussion about the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is vision of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a integrated framework for general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in the realm of university education.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무성하지만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입시교육의 폐해와 가속화된 사회변화를 감안해 볼 때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은 아직 ‘미숙한’ 대학생의 더 나은 ‘성숙’을 위해서라도 절실하다. 이제라도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과 기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고는 교수학(Didaktik)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과 틀을 정립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의 원리에 따라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의 순서로 나아갈방향을 논한 후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목적으로는 자기규정능력, 공동참여 및 책임능력, 연대능력을 들고, 가속적으로 변하는 사회와 글로벌 시대에 인성교육의 방향도 결국 나와 타인, 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의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내용에서는 건강한 ‘몸’의 보존과 육성 그리고 성교육을 포괄하는 ‘몸’ 교육, 건전한 정서와 도덕성 함양을 지향하는 ‘마음’ 교육, 지성과 창조력의 육성을 의미하는 ‘지혜’ 교육, 한 차원 더 나아가 기초질서교육 및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배양을 포괄하는 민주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을 통합적으로 상정하여 논의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방법으로는 우선 자기 몸과 영혼을 돌보고, 자기 내면의 힘을 강화하는 주체역량 강화 방법과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global) 사회에서 주인으로 당당히 설 수 있는 시민 역량을 길러주는 방법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대학 인성교육의 평가에서는 결과 및 산출 위주에서 과정 자체의 평가로, 학점 선정이나 경쟁의 방식에서 상호 협동정신과 팀워크를 중시하는 방향을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인성교육의 방향

        손경원(SON, Kyung-W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연구와 실천 Vol.81 No.-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면서 국가 주도의 인성교육의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었다.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대비한 다문화 교육은 중요한 교육의 방향이었고, 최근의 인성교육의 강화가 다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과 인성교육의 상보적 관계를 위해서 인성교육진흥법에 나타난 인성교육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문화 인성교육을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①정의를 인성의 핵심덕목으로 추가 ② 문화적 차이와 존중을 배울 수 있는 문화감응 교수법 활용 ③ 역량학습을 위한 학생중심 교수법 While social concern about school violence has increased as part of the Youth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s one of the strengthening of country-led policies of character education was enacted.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generally a major direction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mpact of the recent strengthening of character educa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appeared in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o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for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 three options suggested for the multicultural character education . ① add a definition to the core virtues of social justice ② Culture -sensitive teaching methods utilized to learn and respect the cultural differences ③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for learn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