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국어과 연극 단원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이지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중 하나는 연극 단원의 신설이다. 학교 연극교육은 연극 과정에서 표현과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소양 교육의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연극교육의 도입으로 인하여 실제 현장에서 연극 단원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연극 단원의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자료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어과 연극 단원의 실태를 확인하고 교과서 연극 관련 활동의 학년별 위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극 단원의 성취 기준과 학습 목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도서에 제시된 연극 지도 모형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제안하였으며 연극 단원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하여 세부적인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지도안을 개발해보았다. 해당 내용은 추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국어과 교육과정 속 연극 단원의 지향점을 이해하고 학습자가 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연극교육이 풍부하고 의미 있는 수업으로 운영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이외에도 현장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더 많은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연극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희곡 제재를 사용한 단원을 중심으로

        하근희 청람어문교육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3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ater education to cultivate humanitie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Korean textbook0s because textbooks are important in the classroom. Analysis of the textbook revealed some problems. First, the unit is biased. This arrangement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education. Second, materials are too simple. Most of the materials were made by converting widely known stories into plays. Third, there was a lack of core activities ‘if as~’ in drama education. Fourth, the use of terminology related to drama education is incorr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suggest proper placement of drama units, development of various play materials, balanced placement of play materials, and emphasis on interpretation activities for characters.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연극 교육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육 현장에서의 연극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교과서 중 희곡 제재를 사용한 단원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단원의 배치가 편향되어 있었다. 연극단원의 경우 운영 시기와 방식의 자율성이 강조되어 있었으나 다른 학년의 경우 학기 말에 연극을 해 보는 단원이 배치되어 있어 연극 교육의 특성에 맞지 않았다. 둘째, 제재가 지나치게 단순하였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를 희곡으로 바꾸어 쓴 제재가 많았으며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문제를 다룬 제재는 없었다. 셋째, 연극 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물에 대한 해석 과정이 부족하였다. 넷째, 용어 사용에서 혼란이 있었다. ‘극본’의 경우 의미를 제시하는 시기가 맞지 않았으며 ‘역할극’은 시기에 따라 용어의 의미가 달리 쓰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극 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단원 배치, 다양한 희곡 제재의 계발, 희곡 제재의 학년별 균형 있는 배치, 인물에 대한 해석 활동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인천시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유지훈,이향근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status of theater units newly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Methods: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in the 5th and 6th graders in Incheon Elementary School,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topics of discussion in depth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s. Results:Teachers perceived the play as suitable for teachers who were “stage constituencies,” and theatrical instruction was “a burdensome activity.”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lack of consensus on the play ability and non-structural approach of elementary theat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in that theatrical activities induce students to experience ‘expression’, ‘performanc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thought or emotion’ and ‘enjoyment’ The theater members were mainly perform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but 64% of them were “omitted or reduced” and reorganized the theater members. In the case of ‘External Arts Instructor-Linked Class’, 36% of the target teachers. Conclusion: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of the drama uni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ers to rediscover the purposes of drama unit and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performance, and to improv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are not familiar with collaboration with invited professional art instructors. 목적: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인천시 초등학교 5-6학년 교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초첨 집단 인터뷰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논의 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결과:교사들은 연극은 ‘무대체질’인 교사들에게 적합하며 연극 지도는 ‘부담스러운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연극교육의 놀이성이나 비구조적 접근방식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연극 활동이 학생들에게 ‘표현’, ‘공연’, ‘의사소통’, ‘생각이나 감정의 추체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하고 있었다. 연극 단원은 주로 담임교사가 실행하였으나 그중 64%는 연극 단원을 생략하거나 축소하고, 재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외부예술강사연계 수업’을 진행한 경우도 대상 교사의 36%에 달했다. 결론:교사들은 연극 단원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나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부담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외부예술강사와의 협업에 익숙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쓰기 맥락 이해하기 지도 방안 모색 -쓰기와 교육 연극 단원의 통합 지도를 중심으로-

        최종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0

        목적: 이 연구는 쓰기 맥락 이해하기 지도 방안을 쓰기와 교육 연극 단원의 통합 지도 방법으로 모색하였다. 방법: 쓰기 맥락 이해하기의 특징을 수사 문제 탐색 관점, 제문론적 접근 관점, 인간의 상징체계를 동일시하는 관점으로 탐색 후 쓰기 맥락 이해하기와 교육 연극의 접점을 탐구하였다. 결과: 쓰기와 교육 연극 단원의 통합 지도 원리를 연극적 장치를 활용한 상황 인지하기, 다양한 관점에서 수사 문제 표현하기, 수사적 동기 형성 요소로 쓰기 맥락 분석하기로 정하고 쓰기와 교육 연극 단원의 통합 지도 절차를 제시하였다. 결론: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탈맥락화 문제를 보완하는 맥락 이해하기 등의 지도 방안이 꾸준히 모색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