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

        최미경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As part of the work to ascerta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in revealing the function of the nonhuman character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for this purpose, the nonhuman characters in the works of Ma Haesong were analyzed. In this abstract, nonhuman characters are nonhuman beings who feel, speak and act like humans in the epic, and based on how nonhuman characters l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haracters, the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onhuman speaking as human beings,’ ‘nonhuman speaking as nonhuman beings,’ and ‘objectively describe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the nonhuman character’s posthuman functions identified through the Ma Haeso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expand the perception of nonhumanity, second, to reflect on human beings, third, to suggest humannonhuman relationships, fourth, it highlights children as a lost link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t this time, the last func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nonhuma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front of children, along with their children’s representations. This is because child readers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hildren as ‘lost links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can connect with themselves as actors, not as reactors. Nonhuman characters are epic devic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d nonhuman beings. Now that modern belief that humans have an edge over other creatures is greatly challenged, the nonhuman character in the posthumans ecosystem itself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objects. From a posthumanitarian perspective, the task of examining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the needs of our society, where issues such as animal rights and robot rights are emerging at the forefront, and as an experience to foster childre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ensibilities, it can be a process to find meaning in children’s literature.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인간처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하는 인간 아닌 개체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어떻게 놓여있는가를 기준으로, ‘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비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객관적으로 서술된 비인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해송 동화를 통해 확인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한다. 둘째, 인간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넷째, 인간과 비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아동을 부각한다. 이때 마지막 기능은 특히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동문학에서 비인간캐릭터는 아동의 표상과 함께 아동 앞에 전시되고, 아동 독자는 아동의 표상을 통해 비인간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대상이 아닌 행동 주체가 되어 세계와 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역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캐릭터는 비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의 관계를 드러내는 서사 장치이다. 인간이 다른 생물․사물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대적 믿음이 크게 도전받고 있는 지금, 포스트휴먼 생태계에서 비인간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간과 다른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한다.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아동문학 속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살피는 작업은 동물권, 로봇권 등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일이자, 아동의 환경․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게 되는 경험으로서 아동문학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최미경 ( Choi Miki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7 No.-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 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 캐릭터는 비인간이라는 표면 형상에 인간적 속성이라는 이면의 의미가 부여된 서사 주체다. 이 논문은 비인간 캐릭터가 지닌 ‘알레고리의 심연’, 즉 표면의 형상과 이면 의미 사이의 간격에 주목하여, 이를 실제 인간과 인간적 속성 사이의 간격(간격ⓐ), 인간적 속성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 실제 인간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로 구분하여 마해송 동화속 비인간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은 낯설게 하기, 전복, 안전감, 단순화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 기능들 가운데 낯설게 하기와 전복은 간격ⓑ가, 안전감과 단순화는 간격ⓒ가 확보될 때 두드러졌으며 간격이 커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각각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피자면, ‘낯설게 하기’는 아동 독자의 시선을 끌고, 아동의 상상을 북돋우며, 아동이 알던 기존 정보를 환기하게 하고, ‘전복’은 기존 역학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아동에게 통쾌감을 준다. ‘안전감’은 독자가 이야기를 관조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심리적 보호막을 만들어 주고, ‘단순화’는 캐릭터에 대한 확실한 상을 제시하고 선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고정관념을 덜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레고리는 비인간 캐릭터 형상화의 기본 조건이자 아동문학의 특성과도 이어지는 주요 장치다. 이를 분석한 본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기 위한 기본 작업으로,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가 여전히 환영받는 까닭은 무엇인가, 비인간 캐릭터를 형상화하거나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등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onhuman characters in Ma Haesong's works to reveal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as part of the work to identify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nonhuman character is an epic subject with the meaning behind human property to the surface shape of nonhuman. This study notes ‘the abyss of allegory’, the gap between the surface and the two-side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which is the gap between the real human and the human nature (interval ⓐ), the gap between the human attribute and the actual human shape (intervalⓑ) and the gap between actual human form and nonhuman form(intervalⓒ). As a result,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as identified by their defamiliarization, subversion, sense of safety and simplicity. Second, among these functions, defamiliarization and subvers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is established, psychological safety and simplificat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established. And the greater the gap, the stronger it was. Third, to look at each function in detail. 'defamiliarization' attracts child readers' attention, encourages children's imagination, evokes child-knowledge existing information, and 'subversion' questions existing dynamics and gives children satisfaction. 'Sense of safety' makes the reader look at the story in an orchestration manner and creates psychological protection, while "simplifica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presenting a clear image of the character, delivering vivid messages and removing stereotypes. Allegory is a basic condition for impersonating nonhuman characters and a major device that also conn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which analyzed this, is a basic work to shed light on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and may help to ask for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y nonhuman beings are still welcome in children's literature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shaping or evaluating nonhuman characters.

      • KCI등재

        아동의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Characters are emerging as important items in the industry or education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culture is highlighted. This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characters as the visual language for educating children including publications, cartoons, music disks, games, etc. Especially, the impacts of characters on children are considered great, which are used in publications for education, visual object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as the imagination,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ies become important facto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anguage while children are living, learning and growing up.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nd develop characters to lead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while enabling them to have exciting access to 'science' which is recognized as a difficult and complicated subject to them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comply with efforts from each class and stratum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spreading out such percep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and suggesting their examples of application for effective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in order for children to induce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learning with their friendliness, as well as to hav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event exhibitions, learning activities, publications related to science learning or scientific animations, et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any designing of character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ppropriately to the objectives lik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developing stages of children, characteristics by the developing stage, their aesthetic preference, etc. In addition, character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ppropriately for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by applying the pattern, color and expressive methods for children to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on the basis of examination results from the preceding studies. The designing development was done with Kimchi doctors 'Chichi' and 'Chacha' as main characters, with Kimchi mother and son, three Kimchi brothers and sisters respectively as 'Sookyi', 'Tokyi', 'Pokyi', 'Tukyi' and 'Baekyi', and with a lactobacillus 'Sanyi' as sub character A and B. In addition, 10 types of icons were develop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developed characters. Specific examples of the developed characters were also suggested for such utilizations as the board exhibition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lash animations, learning contents productions and other related book productions, etc. 지식과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캐릭터는 매우 중요한 산업 또는 교육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캐릭터를 이용한 출판, 만화, 음반, 게임 등 아동 교육에서 시각 언어로서 활용도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일 것이다. 특히 아동들이 생활하고 학습하며 성장해 나가는 데 있어 언어 발달과 함께 상상력, 창조력, 사고력 개발에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교육용 출판물, 영상물 및 기타 학습자료 등에 사용되는 캐릭터는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확산하기위한 각계각층의 노력에 부응하기위하여 아동들에게 때로는 어렵고 복잡한 과목으로 인식되어있는 ‘과학’을 흥미롭게 접근하여 재미있는 학습활동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과학관련 이벤트 전시, 학습활동, 과학학습관련 출판물 또는 과학 애니메이션 등의 과학교육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또 아동들에게 친숙하면서도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 그 적용사례를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할 때에는 아동의 발단단계와 발달단계별 특징 및 미적 기호 등을 과학교육활동과 같은 목적에 맞게 개발하여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선행연구들의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캐릭터의 형태와 색채 및 표현방법들을 본 연구를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과학교육활동에 적합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김치박사 ‘치치’와 ‘차차’를 Main Character로, 김치 가족인 김치 모자(母子)와 김치 삼남매를 각각 ‘숙이’와 ‘똑이’ ‘포기’, ‘뚜기’. ‘배기’ 그리고 유산균‘산이’를 Sub Character A, B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또 개발한 캐릭터들과 함께 사용할 Icon 10종도 아울러 개발하였다. 개발된 캐릭터들은 과학교육관련 보드전시, 플래시 애니메이션, 학습콘텐츠 제작, 관련서적 제작 등에 활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아동상 탐색

        정선혜(Jung, Sun-Hea)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아동소설 속 아동상은 아동소설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무엇보다도 아동의 특성인 모방력, 사회조망력, 언어 학습 뿐 아니라 풍부한 탐색기회로 인지력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별히 한국아동문학의 대표적 아동소설을 통하여 드러난 아동상을 분석하여 한국 아동소설 속 아동상의 기능은 Leedy가 주창한 동종원리(isoprinciple)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한국 아동소설 속 아동상을 분석한 결과 눈물과 극복의 양면성을 지닌 아동상, 이상추구와 현실극복의 자기구현적 아동상, 아동이 처한 비참한 현실이 드러나는 현실 인식형 아동상, 본능적 욕망의 순수 동심형과 성격, 감정, 행동, 태도 등의 내면적 성장형 등 다섯 유형의 아동상이 추출되어 그가 지니는 의미와 특성을 다음과 같이 찾아 보았다. 한국 아동소설의 발생은 ‘일제 강점기라는 민족 내적인 특수한 상황에서 민족의 자주 독립이라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성장하여 왔다. 이는 아동소설이 여타의 다른 성인문학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지 못했다고 보여진다’. 일제의 문화말살 정책에 대응하며 모색한 또 다른 창작 기법의 일환으로 한국 아동소설의 아동상에는 다음과 같은 시대적 애환과 함께 작가의 세계관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환경의 횡포로 고통을 받는 모습을 대변하되 아동상의 내적 자아는 결코 굴복하거나 비굴해지지 않는 결말을 보임으로 세계와 상호보완적 통합을 이루거나 세계를 자아화하는 아동상이 발현된다. 둘째, 삶에 도움이 되는 지혜와 더불어, 자아에 허락된 무한한 가능성과 힘과 아름다움에 대해 지속적으로 속삭임으로써, 자아를 신뢰하고 세계와 맞서 나가는 다양성을 포용하도록 격려한다. 셋째, 주인공과 대비되는 대조되는 등장인물, 또는 다양한 관계를 통하여 바람직한 성인이 되기 위한 당면 과제들을 다루고 있다. 넷째, ‘사유’를 중시하는 성인문학에 비하여 아동문학은 몸을 통한 ‘체험’을 환기시키는 표현 양상을 지닌다. 다섯째, 그 시대가 봉착한 여러 사회문제를 대변하는 아동상과 새로운 시대의 아동상을 제시하여 독자가 비슷한 위기에 처했을 때에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시대의 아동상은 다음 시대의 문학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발견된다. A character, as one of the elements in Juvenile novels, gives big influence to childrens characteristics such as imitative capabilities, social view abilities and language learning as well as recognition power with an abundant searching opportunity. Particularly, by analyzing a character shown through representative Juvenile Novels of Korean Juvenile Literature, functions of a character in Korean Juvenile Novel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isoprinciple that Leedy advoc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 in Korean Juvenile Novels, five types of character are found as follows; - a character carrying both sides of tears and conquest - a character of self-pursuing of ideal and reality overcoming - reality recognition type of character revealing tragic reality given to Juvenile - pure childs mind of character with instinctive desire - internal growth type of emotion, character, activity and attitude Based on above five types of character, we analyzed its meaning and special character as follows. The occurrence of Korean Juvenile Novels has been grown up with sense of purpose of national independence under the special national intrinsic circumstance during Japanese colonial days. This means that Juvenile Novels was not relatively free compared to other adult literature. As an another creation technique explored to protest against Japanese liquidation policy on literature, the authors worldview with joys and sorrows of then period is shown in a character of Korean Juvenile Novels as follows. Firstly, it speaks for painful image caused by environmental devastation, however it shows the results that internal ego(self) never surrenders and never becomes obsequious, so that a character of mutual complementary integration with world or making it become ego is revealed. Secondly, it continuously whispers unlimited possibility, power and beauty given to “ego” together with beneficial wisdom to life so that it encourage to trust “ego” and accept the variety facing world. Thirdly, it also treats contrastive characters to protagonist and realistic task to become desirable adult through various relationship. Fourthly, Juvenile Literature takes an expression aspect evoking experience through body, while adult literature regards “reason” as an important value. Fifthly, it presents a character not only speaking for socialproblems then period encountered but also necessary for new age, so that it gives some influence on readers choice when he faces similar dangerous situation. And it is also found that previous period character provides great impact on literary man of next generation.

      • KCI등재

        아동 캐릭터의 형태적 특성과 소비자 호감도의 관계성 연구

        이희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1

        Recently, Kids customers became main consumers of the major market. It is because the children's opinions increased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nuclear family. The marketing for this customers has been mainly focused on characters and animation industries. Also, this tendency has been adopted by the gorvernment, business, school and public organizations as it is the important part for the competitiveness in 21C. Therefore, the development for this field have become a significant part for satisfying the purchasing demand.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research on this regards, and previous researches are confined to the conceptual study of characters. And it results a problem of a perfunctory promotion in character indus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at really determines the likability of the characters from children's point of view.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factors delivery the value and image that is enough to lead to purchases in terms of the exterior design of characters. Also, we analyzed the factors of highly-likability characters by using the method of distorting unpopular character's design. There are two contrary opinions on character's shape by gender. Girl students prefered soft and smooth line, cute character design to simple bold lines, kind and cute character design of the past. On the contrary to this, boy students prefered simple bold lines, sharp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hildren's likability of characters was determined by character's design and differed by gender. This study will provide the knowledge about successful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s, and it will be a reference for directing future character's designs as a product development manual. 오늘날의 아동 시장은 저 출산과 핵가족화로 인하여 아이의 의견이나 소비 형태가 중요시 되면서 신세대 중심의 사회 변화에 따라 어린이 소비 캐릭터 계층(Kids Customers)이 주요 시장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은 캐릭터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제품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어린이 시장의 핵심적인 캐릭터 분야는 21세기 경쟁력의 중심 요인이 되면서 정부를 비롯한 개별 기업, 학교, 공공단체 등에서 캐릭터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되면서 아동 소비자를 위한 캐릭터의 개발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고 있다. 그러나 캐릭터의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된 결과의 대부분이 캐릭터의 개념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다. 어린이의 시각에서 캐릭터 선정에 있어 기준이 되어주는 캐릭터 자체의 호감도를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정확한 분석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여건은 국내 캐릭터 산업이 형식적인 프로모션의 시도로 그치는 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는 캐릭터의 가치와 이미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요인을 캐릭터의 표현 방법 중 외관 쉐입의 표현 방법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대중적이지 않은 신생 캐릭터의 디자인 특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 왜곡시켜 캐릭터 표현 방법에 있어 호감도 높은 캐릭터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성별에 따라 캐릭터 쉐입(shape)에 관련되어 상반 되는 의견을 보였다. 여학생은 과거와는 다르게 무조건 착하고 예쁜 이미지의 캐릭터에 호감을 보이기보다 굵고 가는 쉐입 보다 부드럽고 매끄러운 라인의 귀여운 캐릭터에 호감도가 높았으며, 남학생은 굵직한 외각 라인이 선명한 캐릭터에 호감도가 높았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상품 구매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요소는 캐릭터 디자인이었으며 그 다음의 요인은 성별에 따라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연구가 성공적인 상품 개발 요소 캐릭터 이미지 구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다양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를 통해 향후 캐릭터의 이미지 표현 방법의 참고 자료로서 캐릭터 팬시 제품 개발 매뉴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환상동화 몬스터 캐릭터의 조형적 특징에 따른 아동 반응 연구

        이윤석 ( Yoon Suk Lee ),조윤주 ( Youn Joo Ch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환상동화의 몬스터 캐릭터는 그림책의 등장인물로 종종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몬스터는 환상동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환상성과 극단적인 카테고리인 악, 추에 속함으로 강한 캐릭터성이 표현된다. 이 연구는 이론적 문헌을 통해 추출한 몬스터의 악, 추, 환상성을 기반으로 아동들의 관점에서 보여 지는 몬스터에의 악, 추, 환상성에 대한 조형적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캐릭터의 조형적 요소를 잣대로 각 몬스터 캐릭터 마다 조형 요소들을 추출한 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대입하여 아동들이 선호하는 혹은 선호하지 않는 몬스터 캐릭터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아동들이 `좋아하는/싫어하는`, `예쁘게 생긴/못생긴`, `재미있게 생긴/재미없게 생긴` 몬스터 캐릭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문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한 몬스터의 특성인 `악`, `추`, `환상성`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문항들이다. 분석 결과 아동들은 과반수의 몬스터를 `싫어` 하지만 몬스터에 대해 `흥미`는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환상동화의 등장인물로서 아동들에게 `흥미`롭게 교훈적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들은 과하게 사실적인 묘사나 어른의 신체, 추상적인 신체의 비율을 가진 몬스터에게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에게 몬스터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monster characters in the fantastic fairy tales are occasionally used in the picture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monsters are described very strongly because they belong to fantastic nature, the core elements of fantastic fairy tales and wickedness & ugliness, the ultimate category. This study is on a formative distinguishing mark on fantastic nature of wickedness and ugliness on monsters from children`s views based on them drawn out from theoretical document. This researcher extracted formative elements from each monster character and then analyzed formative distinguishing mark of the favoured/disfavoured monster. characters by children subject to a questionnaire. For the questionnaire, the children were set to criminate the monster characters they like/dislike, beautiful/ ugly/funny looking/ unfunny looking, all those items of the which were made on the basis of `wickedness`, `ugliness`, fantastic nature` of monster characteristics out of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 `disliked` majority of monsters, it`s for sure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m. The fact indicates that they deliver children educational contents `in interesting way. Besides, children have negative view against excessively realistic description adults` bodies, and the monsters with bodies of abstract rate. For that reason, I hope to be helpful for the picture book illustrators in describing monster characters.

      • KCI등재후보

        해방기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상 탐색

        정선혜(Jeong Seonhy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해방공간의 소년소설 속 아동상 탐색을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해방공간 한국아동문학에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으로 ‘아동잡지의 족출현상과 소년소설의 대두’라는 점에 기반을 둔다. 먼저 해방공간의 아동잡지의 현황을 먼저 살피고 잡지에 개제된 소년소설 속 아동상 분석을 통하여 해방공간의 소년소설에 나타나는 아동상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해방공간’이라는 민족 내적인 특수한 상황에서 민족의 자주 번영이라는 일정한 목적의식을 명백히 내포한 채 아동소설에 등장하는 아동상은 단결하는‘협동의 아동상’> 고난극복의 주도적 아동상> 현실을 고발하는 애상형 아동상> 순수한 동심의 아동상> 다면적 원숙한 성장형 아동상의 순으로 그 유형이 발견된다. 이는 해방공간의 시대적 애환과 소명을 가진 작가와 잡지 발행·편집인의 소망의 결과다. 해방공간의 아동잡지에 게재된 소년소설의 아동상은 시대가 봉착한 여러 사회문제를 대변하기도 하며 또한 새로운 시대의 아동상을 제시하여 아동독자가 비슷한 위기에 처했을 때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 시대의 소년소설들에도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ghly productive phenomenon of childrens magazines which is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i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of Space of Liberation and also investigates the then state of the childrens magazines which were the media for children while the childrens novels greatly come to the fore in those day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aspect of the childrens literature of Space of Liberation through the figure of children of the childrens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childrens magazines in those days. The figure of children of the childrens novels clearly contained the fixed sense of purpose, namely the national independent prosperity in the national inner special situation. The typical figures of children of the childrens novels were the figure of children who hold together and co-operate> the figure of children who are dominant and overcome difficulties> the figure of children who prosecute the reality and are in sadness> the figure of children who are pure innocent> the figure of children who are many-sided mature. This order is the probable order which is appeared in the childrens novels. And these figures were the results of the desires of the editors, the publishers who published the childrens magazines, and the writers who had joys and sorrows of the times and realized their calling of Space of Liberation. The figures of children of the childrens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childrens magazines of Space of Liberation spoke for the various social problems which the times met. They also suggested the figure of children of the new times and led a child reader to be the host who chooses and determines for himself when he is in a similar danger. They also had a strong impact on the childrens novels of the next era.

      • KCI등재

        從幼兒識字教育到學齡兒童漢字學

        王海平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0 No.-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한자교육은 보통 유아식자교육이라 일컬으며, 기초교육단계의 학령아동(6~12세)에 대한 한 자교육은 학령아동 한자교육이라고 부른다. 현재 학계에서는 아동 한자교육의 실행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취학 전 아동인 유아한자교육은 주로 식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령아동 한자교육 연구도 유아한자교육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식자에만 제한되어, 교육의 다양화 확대 및 제고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학령아동 한자교육 대상인 초등학교 6세~12세 학생들이 학습하는 한자지식 내 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초교육한자 교학 및 연구자들에게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째, 기초교육단계에서 식자가 여전히 유일한 교학목표인가? 둘째, 학령아동에게 체계적인 한자 지 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아동 식자교육의 개선 및 확대를 제고할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정책분석, 설문조사 및 교학실천의 네 가지 방안을 토대로 학령아동을 대 상으로 한 확대된 한자교육 내용에 대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hinese characters are not a mess but have inner link of the organic combination of system, and so does Chinese Character theory. The children couldn’t get the Chinese Character theory and idea simply by mass literacy, but under the guidance of educato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review the teaching and research status of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and primary school character education, and intend to explore the necessity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knowledge for primacy school-age children. Through policy consulting, questionnaire survey and teaching practice, we explore the feasibility of it. To follow up Chinese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provide scientific idea and systemat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t is an important task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e have to remix and reorganize this knowledge so as to adapt children’s psychological cognitive level and learning ability. Be different of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cus on how to mak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ve correct theoretical idea, systemat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and good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후보

        1910년대 아동매체에 구현된 아동상 연구

        정혜원(Jeong, Hye-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1910년대는 일제의 무단정치가 시작되는 시기로 강압적으로 출판, 계몽운동, 결사, 집회 등을 전면 금지한 시기였다. 우리 민족에게 억압과 착취로 얼룩진 민족적 아픔이 시작된 역사적으로 매우 암울한 시기이다. 한편 19세기 후반부터 1910년 일제가 강점하기 시작한 시기는 서구적 충격 속에 다양한 담론들이 경쟁하듯 쏟아져 들어왔다. 때로는 새롭고, 때로는 낯설고 이질적인 것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식민지 시대의 우리의 당면과제는 민족의 독립과 계몽이었다. 이를 위해 신진 지식층은 언론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민족운동을 펼쳤고 아동문학도 그 역사적 현장에 존재했다. 당대의 아동문학을 볼 수 있는 아동매체로『붉은 져고리』,『아이들보이』, 『새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동화 장르가 자리 잡지 못한 상태에서 번안동화는 당시의 독자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번안동화 속에 구현된 아동상으로 세 가지를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지혜롭고 협동하는 아동상, 둘째, 진실하고 용기 있는 아동상, 서구적 세계관에 입각한 아동상이었다. 이 세 가지 아동상은 당대 사회의 지대한 영향 관계 속에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1910s was the period when publication, illumination movement, association, and meeting etc. were prohibited coercively as the period when the military government of Japanese imperialism started. in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started to occupy by force in the 1910s since the latter half part of the 19th century, diverse discussions poured competitively in Western shock and they started to spread over all the country as all new or strange. Our urgent questions of the colonial period were independence and illumination. To achieve these, rising intelligentsia started racial movement continuously through speech media, and childrens literature existed at the historical spot. We can regard 『BULGEUNJEOGORI』,『AIDELBOI』 and 『SAEBYEOL』 as the media for children in the 1910s. It seems that a adapted western fairy tales had greatly influence on readers those days becaus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vent put dow on their root as a genre. Characters of children described in the adapted western fairy tales were the following these; first wise and cooperative character, secondly sincere and brave one and thirdly character well grounded on western views of the world. These three characters were affected by social evolution those days.

      • KCI등재

        영상광고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미취학 아동의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혜미,지준형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8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광고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이 많다. 그러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모든 광고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아동에게 꼭 필요한 제품의 광고 또는 교육적 목적을 가진 광고의 경우 아동이 건전한 소비자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광고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동시에 긍정적 역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유’를 대상으로 한 영상광고에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영상광고 속 역할: 권유자 vs. 사용자) x 2(영상광고 노출상황: 집단 vs. 개인) 요인설계 방식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영상광고 속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권유자(예: 우유 음용 권유)보다 사용자(예: 우유 음용)의 역할을 할 때, 그리고 해당 광고를 혼자보다 또래집단과 함께 볼 때 해당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광고태도, 그리고 제품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대상은 6-7세 미취학 아동이었다. 실험 결과 영상광고 노출상황이 감정이입과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제품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이론적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re are many negative views on advertisements aimed at children.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all advertisements targeting children have a negative effect. In particular, advertisements for products essential to children or the ones with educational purposes may help children grow to become desirable consumers.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a critical perspective on advertisements for childre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laying positive roles. As part of this effort, this study sought a way to effectively utilize animation spokes-characters for video advertisements for 'milk'. To this end, 2 (the role of the animation spokes-character in the video advertisement: solicitor vs. user) x2 (video advertisement exposure situation: group vs. individual) An experiment with a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In video advertisements, when an animation spokes-character features as a user (e.g., drinking milk) rather than a solicitor (e.g., asking to drink milk), or when viewing the advertisement with a peer group rather than by himself or herself, the pre-schooler’s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ad and the product were expected to be more positive. The subjects were preschoolers aged 6-7.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xposure situation of the video advertis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ad. However, it did not affect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