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전반 서유영의 新興寺 행적과 詩交

        민선홍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is article traces Seo Yoo-young's deeds and poetry in Sinheungsa in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21 poems of him, Hong Han-ju, and Lee Seung-won. First, I proved the place and period of the poem. Sinheungsa is Heungcheonsa located near Jeongneung in Donam-dong, Seongbuk-gu, Seoul. Seo Yoo-young first visited here in the late spring of 1839, began temple reading for about three months from late spring to late summer in the same year, and revisited here in the 50s and enjoyed the last tour. I analyzed Seo Yoo-young's activities and emotions shown in poem. In the first tour, the excitement of tourists appeared, and Shinheungsa was a clean area with Buddhist mysteries. During the temple reading period, as separated from friends, the feeling of wonder changed to longing, and Sinheungsa became a lonely exile. In the last tour, the same peaceful joy returned, because he was with his friends. The criterion for such emotional change was whether to accompany friends. Sinheungsa was an ecstatic paradise with friends, and a desolate exile without friends. This change contrasts with Hong Han-joo and Lee Seung-won’s consistent wonder. Sinheungsa poem shows Seo Yoo-young’s friendship. The friends at this time means someone who can discuss poetry equally. Therefore, Sinheungsa poem can be defined as a record of poetry, friends, and paradise. The achieveme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supplement Seo Yoo-young's life in the studying period, which was not sufficiently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we could get a glimpse of the strong friendship of literature club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Seoul. Third, by restoring the scene of Sinheungsa that appeared in the poem, Sinheungsa could be invited to the realm of Korean literature. 이 글은 19세기 문인 雲皐 徐有英과 그의 벗 洪翰周, 李承元이 新興寺를 배경으로 지은 21제 34수의 시에 주목하여, 당시 서유영의 행적과 詩交를 추적한 것이다. 먼저 시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시기를 고증했다. 신흥사는 현재 서울 성북구 돈암동 정릉 인근에 있는 흥천사이다. 서유영은 1839년 봄 39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신흥사를 유람하고, 같은 해 늦봄부터 늦여름까지 3개월가량 신흥사에서 사찰 독서에 들어갔다. 이후 1850년대에 신흥사를 재방문하여 마지막 유람을 즐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서 서유영과 벗들의 신흥사 시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서유영의 행적과 감회를 분석하였다. 첫 유람, 서유영의 시에선 관광객의 설렘이 나타나며 그에게 신흥사는 불교적 신비가 흐르는 청정 지대였다. 사찰 독서 기간, 친구들과 떨어져 고립되자 경탄의 감정은 그리움으로 바뀌고 신흥사는 외로운 유배지가 되었다. 마지막 유람, 벗과 동행하여 다시 찾은 신흥사에서 서유영은 첫 유람 때와 같은 평온한 즐거움을 느꼈다. 이 같은 감정 변화의 기준은 벗과의 동행 여부에 있었다. 그에게 신흥사는 벗이 있으면 황홀한 낙원, 벗이 부재하면 황량한 유배지였다. 이는 그와 동행했던 홍한주와 이승원의 시에서 신흥사가 일관적으로 경탄의 공간인 것과 대비되었다. 신흥사 시는 서유영과 벗들의 끈끈한 우정을 보여주며, 이때의 벗은 대등하게 시를 논할 수 있는 존재이다. 따라서 신흥사 시는 시와 벗과 낙원의 기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연구에서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던 修學期 서유영의 생애에 접근할 수 있었다. 둘째, 19세기 초 서울․경기 문인 시사의 끈끈한 우정의 현장을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시 속에 형상화된 과거 신흥사의 정경을 복원함으로써 신흥사를 한국문학의 영역으로 초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환수문화재 속초 신흥사 석가여래회도의 화맥(畵脈) 연구

        김경미(Kim Kyung-M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속초 신흥사 석가여래회도(1755년)는 1954년 신흥사에서 반출되었다가 6폭으로 훼손된 채 미국 라크마미술관에서 발견된 이후, LA카운티미술관측과 대한불교조계종이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2020년에 국내로 환수되었다. 이 불화는 강원도 지역의 여래도 중에서 조성 연대가 가장 앞선 불화로서 가치가 크다. 이 불화를 조성한 화승은 수화승 태전(泰巓), 칠혜(七惠), 휴봉(懏鳳), 두훈(斗訓), 성총(性聰), 재성(再性) 등 총 10명의 화승이 참여하였다. 이 중에서 칠혜, 두훈, 성총은 18세기에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화승들이다. 신흥사 석가여래회도의 형식 특징은 벽암 각성과 연계된 천신의 화풍과 친연성이 강하며, 한편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조성된 18세기 불화와도 연계성이 강하다. 신흥사 불사에 벽암각성이 1651년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과 명부전 목조지장삼존 및 시왕상 조성을 증명하고, 그의 문도인 무염이 조각승으로 참여하면서 부휴 문도와 연계성을 지녔다. 한편 신흥사 석가여래회도의 증명 및 산중 거주 승려를 통해서 청허 휴정의 법맥도 확인된다. 칠혜는 각총의 화풍을 직접적으로 반영한 그림에서 벽암 각성의 중창불사를 이룬 사찰에서 주로 활동한 천신의 화맥과 연계성이 강하다. 이것은 각총의 스승인 의겸이 천신과 화연을 통해 화맥을 이어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훈과 성총은 서로 비슷한 연배로 많은 화업을 하며 교류하였다. 두훈은 많은 화승들과 교류를 통해 화려한 화문 장식과 밝고 맑은 담채기법을 통해 독특한 화풍을 창출하였다. 신흥사 석가여래회도의 조성 화승들은 남양주 봉선사, 학림사, 법주사, 통도사에서 조성된 18세기를 대표하는 괘불도 제작에 참여하면서, 뛰어난 기량으로 18세기 서울과 경기도 일원의 선구적인 도상을 이끌어내고 있다. 권속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면서 원형구도를 이루는 형식과 담채기법을 사용하여 짜임새있는 불화를 조성하였다. 이러한 화풍은 벽암 각성(碧巖 覺性) 문도와 연계된 화맥을 바탕으로 18세기 경상도 지역화풍과 밀접한 형식의 친연성을 가진다. 신흥사 석가여래회도는 벽암 각성과 연계된 화맥과 경상도 지역의 지역 화풍을 수용한 형식을 보여주는 강원도에서 가장 시기가 앞선 여래도라는 의의가 있다. The Painting Shakyamuni Preaching (Yeongsanhoesangdo) in Sinheungsa is dated to Korea’s Joseon dynasty in 1755. The painting was looted from a temple at the end of the 1950-53 Korean War. This Buddhist painting and others were returned to Sinheungsa in South Korea, following an agreement betwee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South Korea’s largest Buddhist order, and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The works are depicting by 10 Korean Buddhist painters, such as the leading monk painters (⾸畵憎) Taejaun (泰巓) and Chilhye (七惠), Duhun (斗訓), and Seongchong (性聰). They created many works in the Gyeonggi area, including Seoul and the Gyeongsang area. The monk painter Chilhye (七惠) was influenced as a disciple of Gakchong (覺聰) and established his own styles during his works. Gakchong (覺聰) has a close cooperation between Byeokam Gakseong (碧巖 覺性) schools existed. The monk painter Duhun (斗訓) was shared mutual influences through exchanges with Seongchong(性聰). He maintained a broad association with other monk painters, established his own style, and was mutually influenced through exchanges with imhan (任閑). The banner paintings (in Bongseon-sa · Haklim-sa · beobju-sa) by Duhun (斗訓) and Seongchong (性聰) can be classified as the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group type, which enables us to examine new forms of Buddhist painting based on his proper application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use of colorful patterns and flexible calligraphy. Their works is meaningful in virtue of Buddhist painting history on banner painting styles in Seoul and Gyeong during the 18th century. They used watercolor painting techniques in works, rather than deep color painting techniques, which was more common in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Painting Shakyamuni Preaching of Sinheungsa Temple is significant, in that they represent the Buddhist painting circle in Gangwon-do during the 18th century, which demonstrated new screen compositions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techniques, developed through exchange among many monk painters, based on their associations with Byeokam Gakseong schools.

      • KCI등재

        신흥사의 역사와 사상

        문무왕 ( Mu Wang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신흥사 사적기에 따르면 신라(新羅) 진덕여왕 6 년(서기 652)에 자장율사가 설악산 동쪽에 향성사(香城寺)를 창건 하였다. 자장은 계조암(繼祖庵)과 능인암(能仁庵)을 세웠으며 구층석탑을 세우고 불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향성사라는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불토국(衆香城佛土國)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이다. 1644 년에 영서(靈瑞)·연옥(蓮玉)·혜원(惠元) 등이 중창을 발원하던 중,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비몽사몽간에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 주며 “이곳은 누 만대에 삼재가 미치지않는 신역(神域)이니라” 말씀 하신 후 홀연히 사라지는 기서(奇瑞)를 얻고 절을 중창하니 지금의 신흥사이다. 절 이름을 신인(神人)이 길지(吉地)를 점지해 주어 흥왕(興旺)하게 되었다 하여 신흥사(神興寺)라 한 것이다. 선정사 옛터 아래쪽 약 10 리 지점에 다시 절을 짓고 이름을 신흥사라 하였다. 1965 년 대한불교조계종 제 3 교구 본사가 되어 양광·속초·강릉 등지의 사암을 관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 절의 주지를 지냈던 성원(聲源)이 대소의 당우들을 거의 모두 중건 또는 중수하였고, 범종을 새로 만들었다. 최근 절이름을 ‘神興寺’에서 ‘新興寺’로 고쳐 부르고 있다. 비문은 염거화상은 도의선사로부터 법을 받은 뒤 억성사(億聖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도의선사에게 법을 받은 염거화상이 제자 체징(體澄)을 만나 가르쳤다는 것이다. 체징은 뒷날 장흥으로 내려가 가지산문을 일으키고 설악산문을 계승한 인물이다. 이는 억성사가 설악산문에서는 매우 중요한 거점사찰의 하나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신흥사는 진전사와 함께 그의 사상을 펼친 곳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홍각선사가 억성사에 머물렀다면 그 선배인 염거화상에게 배웠다는 추론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홍각선사 억성사에 거주했다면 당연히 염거화상에게 선법의 요체를 배웠다는 가정이 성립한다. 설악산문의 번창과 관련해 또 한 가지 주목할 사실은 염거화상이 열반한 곳이 억성사가 아니고 원주 흥법사라는 점이다. 흥법사는 홍각선사의 스승인 현욱선사가 머물던 여주 고달원에서 가까운 절이다. 이는 염거화상이 현욱선사나 그 제자들과 교류가 깊었을 가능성에 대한 단서가 된다. 실제로 당시에는 서로 다른 산문을 찾아가 수행하는 것이 어색한 일이 아니었다. <조당집>에 따르면 현욱선사만 해도 한때 지리산 실상사에 머문 적이 있고, 실상산문의 홍척선사는 설악산에 머문 적이 있다. 이런 사실을 고려하면 가까운 사찰들에서는 자연스러운 왕래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 이런 친 According to the temple records of the Sinheung-sa Temple, the Hyangseong-sa Temple (香城 寺) was founded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Jajang built Gyejo-am (繼祖庵) and Neungin-am (能仁庵), and erected a nine-story stone pagoda and enshrined Buddha relics in the pagoda. The name ‘Hyangseong-sa’ came from ‘Jung-hyang-seong-bul-guk-to (衆香城佛土國)’ of Buddhism. In 1644, Yeongseon (靈瑞), Yeonok (蓮玉), and Hyewon (惠元) made an oath and were praying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in their dream, a snowy god-like man appeared and indicated the present site of the Sinheung-sa Temple with the word “This is a divine realm where the three types of calamities cannot reach for tens of thousands of generations,” and then disappeared in a flash. With this auspicious omen (奇瑞), they rebuilt the temple and it was the present Sinheung-sa Temple. The temple was named ‘Sinheung-sa’ for a god-like man (神人) pinpointed the propitious site (吉地) and, as a result, the temple was prosperous (興旺). The temple was rebuilt at the site about 10 km below the old site of the Seonjeong-sa Temple and was named ‘Sinheung-sa.’ Sinheu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the 3rd parish of the Ch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is supervising temples and hermitages in Yanggwang, Sokcho, Gangreung, etc. Seongwon (聲源), who had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the temple, recently rebuilt or extended almost every small and large building of the temple, and created a new Buddhist bell. In addition, the temple was renamed from ‘Sinheung-sa (神興寺 - Divine Prosperous Temple)’ to ‘Sinheung-sa (新興寺 - New Prosperous Temple).’ The epitaph records that Monk Yeomge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and spread Zen teachings at the Eokseong-sa Temple (億聖寺).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Monk Yeomgeo, wh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met and taught his disciple Chejing (體澄). Chejing is the one who later went down to Jangheung, revived the Gaji School, and inherited the Seolak School. This suggests that the Eokseong-sa Temple is one of very important base temples to the Seolak School. Along with the Jinjeon-sa Temple, the Sinheu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a place where Yeomgeo developed and spread his thought because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he was likely to learn from Monk Yeomgeo.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it naturally supports the presupposition that he learned the essence of Zen teachings from Monk Yeomgeo. Another fact to be noted in connection to the prosperity of the Seolak School is that Monk Yeomgeo passed away not at the Eokseong-sa Temple but at the Heungbeop-sa Temple in Wonju. The Heungbeop-sa Temple is close to Godal-won in Yeoju where Monk Hyeonwook, Monk Honggak’s teacher, stayed. This provides a clue to the possibility that Monk Yeomgeo associated closely with Monk Hyeonwook or his students. In fact, it was not unusual in those days for monks to visit another school for ascetic practice. According to Jodangjip, Monk Hyeonwook also once stayed at the Silsang-sa Temple in Mt. Jiri, and Monk Hongcheon from the Silsang School stayed in Mt. Seolak. These facts suggest that it was common for Buddhist monks to visit nearby neighboring temples. It is also believed that this affinity accelerated the spread of Zen teachings. The Sinheung-sa Temple was first founded as ‘Hyangseong-sa’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and Monk Yeomgeo is believed to have transferred its tradition to the current Sinheung-sa Temple. Thus, Sinheung-s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emple that succeeds to the Dharma lineage of Zen Buddhism.

      • KCI등재

        LA 카운티미술관 < 신흥사(神興寺)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

        유경희 ( Kyung Hee Yu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미국 LA 카운티미술관(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에 소장되어 있는 소장품 가운데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불화가 있다. 불화의 하단에는 畵記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불화는 1755년 조성되었으며 한국의 강원도 설악산 神興寺에 봉안되었던 < 신흥사 영산회상도 >로 밝혀졌다. < 신흥사 영산회상도 >는 1950 년대까지 설악산 신흥사 極樂寶殿 안에 불상 뒤에 後佛畵로 봉안되었다. 원래 신흥사가 위치한 지역은 한국전쟁이 있었던 1950 년대 초반 치열한 격전지였으며 군인들의 집결지였다. 1951 년부터 54 년까지 이 지역에는 미군정이 설치되었고 여기서 통신장교로 있던 폴뷰포드팬처는 이 일대를 카메라에 담았는데 그가 찍은 사진에는 < 신흥사 영산회상도 >가 신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모습이 실려 있다. 1960 년대 이후 불화는 신흥사에서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그런데 이불화가 미국 LACMA 에 부임해온 한국인 큐레이터에 의해 6 조각으로 나눠진 상태로 박물관 수장고에서 발견되었다. 불화를 보존처리 계획이 수립되었고 한국의 서화보존처리 전문가인 박지선교수와 정재문화재연구소가 2010 년부터 12 년까지 불화의 복원을 맡았다. 잘라진 면들이 잇대어 한 폭의 불화로 다시 만들어져 현재 < 신흥사 영산회상도 >는 LACMA 한국실을 대표하고 있다. 불화의 도상은 석가모니가 인도 영취산에서 깨달은 바를 설법하고 있을 때 그의 주위로 모여든 여러 인물들을 그린 靈山會上圖 이다. 가로로 긴 구성을 취하는 이 불화는 석가의 깨달음과 그의 설법을, 안정감 있는 구도위에 한 폭의 불화로 완성하였다. 채색은 원봉안처를 떠나 수리과정에 이르기까지 변색과 박락 등 변화가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붉은색과 녹색을 주조색으로 하면서도 파스텔톤의 중간색을 사용하여 차분하면서도 밝은 느낌을 준다. 화기에 의하면 불화의 조성은 청허 휴정의 법맥을 잇는 월저 도안의 문중 승려 계통이 후원하였고 그 중심에는 용암 체조라는 승려가 있었다. 제작 화승과 계보에 대해서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지만 불화의 존재를 통해 수화승 다음으로 나오는 화승 七惠의 불화 제작이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보살의 인물의 특징 등에서는 18 세기 불화승 의겸의 특징이 엿보이는데, 이는 칠혜와 함께 <봉선사 괘불>을 조성한 각총과 의겸과의 화연관계를 통해이 불화와의 상관성까지 유추해보았다. 또한 불화에 기록된 화기를 통해 불화와 왕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L.A County Museum of Art 에 한국실을 대표하는 소장품으로 주목받는 이 불화는 조선18 세기 중반 강원도 신흥사에 봉안되었던 <영산회상도>로 18 세기 중반 강원 지역에서 조성된 영산 회상도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hereinafter LACMA) in the United States holds in its collection one of the finest examples of Korean Buddhist painting. Through the inscription on the bottom of the painting, it has been identified as the Preaching Sakyamuni Buddha painted in 1755 that had formerly been enshrined in Sinheungsa Temple on Seoraksan Mountain in Gangwon-do Province in South Korea. This Preaching Sakyamuni Buddha was hung behind the Buddha statue in the Geungnakbojeon Hall(Hall of Paradise, in Sinheungsa Temple until the 1950s. In the early 1950s, during the Korean War, fierce battles were fought and soldiers were concentrated around the area of Sinheungsa Temple, and the US forces were also stationed in the region. Paul B. Fancher, who was a US signal officer at the time, had taken a number of photos of the region, one of which captured the Preaching Sakyamuni Buddha placed inside the Geungnakbojeon Hall at Sinheungsa Temple. The painting unfortunately disappeared from the temple in the 1960s and only reappeared in 2010 at LACMA. A Korean curator who had been newly appointed to LACMA in 2006 found the painting cut into six pieces in storage at the museum. LACMA soon planned a restoration project for the Preaching Sakyamuni Buddha and commissioned specialists from Korea, including Professor Park Chi-Sun and other conservation experts from the Jeong-Jae Conservation Center in Seoul. The painting underwent a complex treatment process from 2010 through 2012. The six fragments of Preaching Sakyamuni Buddha have now been mended and are on display as a single large painting representing the arts of Korea at LACMA. The painting depicts Sakyamuni preaching to a large assembly on Vulture Peak in India. The painting is wider than it is high and portrays the enlightenment and preaching of Sakyamuni through a stable composition. The original paint was significantly discolored and flaked, but the painting’s main colors ? green and red ? were maintained while the restoration added neutral tints of pastel colors, yielding a bright and serene atmospher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the monks following Monk Woljeo Doan, a proponent of the Buddhist doctrine of Monk Cheongheo Hyujeong, were patrons of this painting, and Monk Yongam Chejo was a central figure in its production. There remains much to investigate regarding these monk-painters and the school’s followers, but this paper focused on identifying the career of the monk-painter Chilhye, whose name appears in the inscription after the head monk-painters. The Bodhisattvas in the painting feature characteristics typical of the monk-painter Uigyeom from the 18th century. This trait suggests that the painting could be related to the large hanging painting at Bongseonsa Temple, which was painted by Gakchong and Uigyeom. Moreover, the inscription on the painting assists in investigating the relations of the royal court with the painting. The Preaching Sakyamuni Buddha at LACMA, which had formerly been enshrined in Sinheungsa Temple in Gangwon-do Province since the mid-18th centur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Buddhist paintings on the theme of Shakyamuni preaching to the assembly on Vulture Peak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설악산 신흥사 극락보전에 대한 연구

        손신영 ( Son shinyou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설악산 神興寺는 향성사의 후신으로 여겨지나, 현 위치에 창건된 것은 1644 년이고, 주불전인 극락보전은 1649 년 초창되었다. 이때 湖南지역에서 주로 활약하던 각 분야의 匠人들이 초청되어 대대적인 불사가 이루어진 바는 1651 년 조성된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의 복장 축원문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축원문에 ‘碧巖覺性대사가 증명하고 無染派가 조성했다’고 되어 있어, 당시 전국의 건축공사를 진두지휘했던 벽암각성이 신흥사 창건불사도 맡았던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신흥사의 법맥을 살펴보면 淸虛系의 鞭羊門派여서 浮休系인 碧巖覺性대사 門徒가 지속적으로 관여했다고보기는 어렵다. 신흥사는 조선왕실의 忌辰齋를 지내는 王室願刹이었다. 國忌日 현판과 극락보전 우물천장에 왕실기원 문구가 쓰여진 바는 이러한 관계를 입증하고 있다. 더욱이 正朝의 승하 직후에는 忌晨齋를 봉행하는 追福寺刹로 기능하는 한편, 津寬寺의 屬寺로도 지정되었다. 신흥사극락보전은 17 세기 중반 창건되어 18~20 세기를 거치면서 총 5 회의 중수·중창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창건 당시 모습은 평면형식과 柱間너비, 18 세기 중창은 꽃살문과 연화쇠서형 공포, 19 세기 중수는 판벽 등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신흥사극락보전은 17 세기 초창되어 19 세기 중창된 내소사 대웅보전 및 18 세기 중창된 동화사 대웅전과 유사한 건축형식이다. 신흥사극락보전이 호남의 僧匠들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본다면 내소사 대웅보전과 유사한 건축형식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있고, 18 세기 이후 건축형식이 보편화되었다는 학설에 따르면 동화사 대웅전과 유사한 건축형식이라는 점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신흥사극락보전은 17 세기 호남 僧匠에 의해 창건되어 18 세기 중창·19 세기 중수 당시의 건축형식 수용 양상을 기록과 현상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건물이라 하겠다. Seoraksan Mountain Sinheungsa temple was founded in the area around Sokcho in 1644 and,the main building of the Sinheungsa temple, geukrakbo-jeon(極樂寶殿) was built in 1649. From The Wooden Triad-Ksitigarbha Bodhisattva Statue(神興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in the myeongbu-jeon(冥府殿), we can deduce that there was a major Buddhist service done by various monk architects who were active in Honam area at that time. The written prayer for Triad Buddhist Statue says that the statue was approved by Great Monk Byeogam Gakseong and was built by the Muyeom School (無染派), which confirms that Byeogam Gakseong who was spearheading nationwide temple constructions took a charge of Sinheungsa temple construction as well. However, we can hardly predicate that Byeogam Gakseong’s disciples of Buhyu-gye school(浮休係) were continuously involved in Sinheungsa temple since Sinheungsa temple had the Buddhist doctrines based on pyeonyang sect(鞭羊門派) of cheongheo-gye school(淸虛系). Sinheungsa temple served as a temple of pray for good luck, performing memorial ritual service(gisinjae, 忌辰齋) for the Joseon Dynasty. The signboards indicating the anniversaries of the death of Kings and Queens of Jeseon dynasty and the prayer for royal family’s well being written on the ceiling of well at geukrakbo-jeon show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Joseon Dynasty. Right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Sinheungsa temple carried out his memorial service and was designated as a temple preparing food for ancestral rites, affiliated to Jingwan-sa temple(津寬寺). Sinheungsa temple Geukrakbo-jeon went through a total of five times of restoration and rebuilding from the 18th to 20th century and became its present form. The original form of Geukrakbo-jeon at the time of foundation can be inferred from unit plan, column spacing and the form at the time of rebuilding in the 18th century can be inferred from the flower lattice door and yeonhwa soiseo type gongpo, and the form at the time of restoration in the 19th century can be inferred from the lining sheathing. Geukrakbo-jeon was first built in the 17th century and had a similar building type with daeungbojeon of Naeso-sa temple rebuilt in the 19thcentury and daewoongjeon of Donghwa-sa temple rebuilt in the 18th century. Assuming that geukrakbo-jeon was built by master artisans in Honam area,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is similar in building type with daeungbojeon of Naeso-sa temple. Also, according to the theory that the building type was generalized after the 18th century,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is similar in building type with daewoongjeon of Donghwa-sa temple. Therefore, geukrakbo-jeon can be described as a building that was built by master artisans in Honam area in the 17th century and adopted the most common building type at that time when rebuilt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속초 신흥사의 지역포교 방안 연구

        김응철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신흥사가 축적한 포교역량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인 포교정책 수립과 세부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접근방법으로 지역 환경 및 사찰 내부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SWOT 분석을 채택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활용하는 포교전략, 약점과 위기 요인을 관리할 수 있는 포교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의 컨설팅 기업인 맥킨지에서 성공한 서구기업의 성공요인을 추출하여 만든 일곱 가지 체크리스트, 즉 7S모델을 통해서 신흥사의 포교역량을 분석하였다. 7s모델은 전략(Strategy), 조직 구조(Structure), 시스템(System), 사람(Staff), 기술(Skills), 스타일(Style), 공유 가치(Shared Value)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론들을 중심으로 신흥사의 포교전략을 분석해보면 지역 거점사찰로서의 신흥사는 전통사찰의 위상과 관광사찰의 장점을 잘 살려 다른 지역의 사찰과는 비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활발한 포교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신도교육, 조직화, 사회복지 활동 등에 있어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반면에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본사로서의 신흥사는 교구 산하의 말사가 포교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지원활동은 미흡한 편이다. 신흥사는 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강점과 기회요인도 갖추고 있고, 단점과 위협요인도 직면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강원북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 전국적으로 문화와 명상 열풍의 확산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들이 낙후된 강원북부 지역의 포교활동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잘 살리면서 지역주민과 이 지역을 찾는 외부인들의 종교문화적 성향을 잘 분석하면 매우 긍정적인 포교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a missionary capacity and to find detailed missionary alternatives of Seorak Mt. Sinheung Temple. And the study was employed SWOT analysis. It is analyzes the local environment, and is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pros and cons of the temple. In addition, it is presents a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strengths and opportunities of Sinheung Temple. And it is proposed a strategy to manage crisis and weakness factors of Sinheung Temple. In this study I have utilized the 7S model. This model consists of seven factors made by extracting the success factors of successful Western companies in the consulting firm McKinsey & Company in the United States. 7S model is consists of Strategy, Structure, System, Staff, Skills, Style, and Shared Value. If evaluate the propaganda strategy, Sinheungsa are well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traditional temple and tourism temple. And it is very well to develop a missionary activity compared to other Temple in this area. In particular, they won a remarkable achievement of education of lay people, organization, and social welfare activities etc. Sinheung Temple, on the other hand, Jogye Order 3rd precinct headquarters, the support of other temple missionary activity is not sufficient. The temple has all the internal strengths and weaknesses, external opportunities and threats. However, improving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expanding transportation network in northern Gangwon area, nationall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spread of meditation and Culture will act as a positive factor in missionary work of this templ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very positive for missionary work if make a good use of these advantages, and if well analyzed the religious tendency of locals and outsiders.

      • KCI등재

        신흥사 경판의 조성 배경과 사상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제진언집(諸眞言集),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대원집(大圓集) 등을 중심으로-

        유근자 ( Geun Ja Y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강원도 속초 신흥사의 보제루(普濟樓)에 소장된 경판은 목판본으로 25 종류인데, 현재 269 매가 남아 있다. 그 가운데 본 연구는 반야심경의 주석서인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1666년), 밀교계 의식집인 「제진언집(諸眞言集)」(1658 년), 불교와 민간신앙 습합되어 형성된 「불설광본 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합본(1670 년), 승려들의 일상 생활의식집인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1666 년)과 「제반문(諸般文)」(1670 년), 대원무외(大圓無外, 1714~1791) 선사의 문집인 「대원집(大圓集)」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흥사의 소장 목판본이 갖는 중요성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신흥사 경판은 조선후기 인쇄술을 보여주는 자료임과 동시에, 당대 사찰의 경전 간행 사실과 당시 승려들의 생활상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둘째, 신흥사 경판은 표기 방식이 한자본, 한글·한자 병기본, 한글·한자·범어(梵語) 병기본으로 되어 있어, 조선시대 국어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대전화상의 반야심경 주석서인「대전화상주심경」을 통해 당대 선(禪) 수행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과 「제반문」은 당시 승려들의 일상 생활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섯째, 18 세기 신흥사에서 일파를 형성했던 대원무외 선사의 문집인 「대원집」은 당시 승려와 유학자들의 교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신흥사 경판은 조선후기 사찰의 신앙 형태를 잘 보여주는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밀교 진언집 계통의 「제진언집」과, 불교와 민속이 결합한 「불설광본대세경」 합본이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경전은 조선후기 불교 신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Shinheungsa temple, located in Sokcho-si of Korea, there are 269 printing plates of the Buddhist scriptures (Sutras) carved on the wooden blocks, organized as in 25 titles, which were produce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enter of the relief surface, a column of characters indicating the title and the fascicle number of the sutra suggests that a print from this plate must have been folded in half and published as a book format but not scroll format. In this study, among the engraved scriptures, the Daejeonhwasang Jusimgyeong (Daejeonhwasang’s Annotations on the Heart Sutra, 大顚和尙注心經, 1666), the Collection of Mantras(諸眞言集, 1658), Buseolgwangbondaesegyeng(佛說廣本大歲經, 1670), Seunggailyongsiksimuckeonjakbeop( 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 1666),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諸般文, 1670), and Daewonjip(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monk-scholar Daewon, 大圓集, 1801) were scrutinized closely.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Buddhist scriptures created in the Shinheungsa temple provide us considerably important information as follow: It could be estimated the advancement of printing technologies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ies. Three character sets were used in engraving the Shinheungsa version of woodblock-sutras with different formats such as Chinese-character only format, Chinese-Korean mixed format, and Chinese-Korean-Sanskrit format. They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of ancient Korean characters. Through the Daejeonhwasang Jusimgyeong, Annotations on the Heart Sutra(般若心經註釋書) by monk-scholar Daejeonhwasang,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ife of monks taking religious practice with Seon(禪) in those days. The Seunggailyongsiksimuckeonjakbeop describing the ritualistic practice of Alms-bowl Meal (Bahru offering) and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 show the aspects of daily life of monks in the monastery. Presumably, there wer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monk-scholars and Confucian scholars, because it is known that the Daewonjip,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monk Daewon-Muwoe(大圓無外, 1714~1791) who was a leader of monk-scholars in Shinheungsa temple, had been widely read even in Confucian scholars.

      • KCI등재

        1658~1661년(順治年間)신흥사 수륙재 의식집의 간행

        김현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The woodblocks in Shinheungsa-temple produced in 1658~1661(SoonChi 16~18, the name of an Ching dynasty era reign name). In total, those collections in ShinHeungsa-temple have 269 woodblocks. It is composed of some Sutras such as the Sutra of Lotus(Pundarika Sutra), the Sutra for filial duty and collections of prints for buddhist ritual. The woodblocks were used to print Buddhist book for the buddhist ritual, especially for the deceased-SuryuckJae(水陸齋). After 17th century, whole Chosun had to have recovered from 2 times Invasions, the Japanese and Chinese(Ching dynasty) Invasions of Chosun. The people would only responded to the pray and the buddhist rituals, SuryukJae. Therefore the Buddhist rituals, SuyrukJae, were held for consolation the spirits of the deceased by wars during the period very often at many buddhist temples in whole country.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shows prevalent of SuryukJae in around the east side of Kangwondo province include Shinheungsa-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after. The prints collection for the ritual were in great demand to hold the ceremony, SuryukJae as guide books. It is reported 39 kinds of the ancient guide books of a buddhist ritual, SuryukJae, remained untill now. However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 –temple are the only the woodblock relics in Kangwondo province now, the old books printed from blocks as well. It was reported that the print collections of Shinheungsa-temple from the woodblocks are the most various kinds and the largest numbers and the oldest of prints by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are very important relics, not only perfect numbers of the temple woodblocks for SuryukJae in 17th century but also for the study of ancient korean words. 순치 15~18년 신흥사에서는 대규모의 판경불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간행된 경서들은 『법화경』, 『부모은중경』을 비롯한 경전류와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설수륙재의소』, 『진언집』, 『운수단가사』와 같은 의식집, 그중에서도 수륙재와 관련된 것 대부분이다. 양란 이후 17세기는 전쟁의 피해 복구가 사회적 요구였으며, 이와 더불어 민심을 위로하기 위한 민간 발원의 수륙재가 전국적으로 성행하게 되었다. 순치년간 신흥사 경판들의 구성을 통해서 강원도 영동지역에서도 수륙재와 같은 불교 의식이 성행했었음을 알 수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의 판본들은 수륙재의 설행에는 꼭 필요한 의식집이라는 점에서 이 지역에서의 수륙재의 성행과 그에 따른 의식집의 수요가 대단히 많았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조선시대 전기 1470년부터 17세기까지 전국 사찰에서 수륙재 의식에 필요한 경판이 대량으로 제작되었고, 이때 인출된 판본은 39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들 판본은 대부분 전라도와 경상도 사찰 경판에서 인출된 것이 전해지는 가운데, 강원도 지역에서 인출된 판본은 현재 신흥사판이 유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본(서적)만을 보더라도 강원도 지역 내에서는 신흥사 판본의 경전이 수량과 종류면에서 가장 많았으며, 현존하는 판본 중에서도 판각년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더욱이 사찰본 의식집의 경판 자체를 제대로 소장 보존된 것은 신흥사와 흥국사(여수) 경판이 유일한데, 이 중에서도 신흥사 소장 경판은 내용과 구성면에서 거의 완전히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소장 경판 중에서 『진언집』은 불교사적인 의의 외에도 당시 한글의 일반적인 표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국어사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은 불교사, 서지학, 국어학 등의 연구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강원도 내 유일한 사찰판 경판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17세기 수륙재의식집 목판이다.

      • KCI등재

        고려후기 신흥사대부의 절의(節義)에 대한 소고

        홍우흠(Hong Wu Heum,洪瑀欽)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6 No.-

        본고에 있어서 고려후기란 제25대 충렬왕(1236~1308)에서부터 34대 공양왕(1345~1394)에 이르기까지 약 130년간의 시기를 뜻한다. 그리고 신흥사대부란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수용한 성리학을 수신제가(修身齊家)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의 이념으로 삼아 국정에 참여했던 관리들을 말하며, 절의란 성리학이 중시한 「도(道)」, 즉 군군(君君), 신신(臣臣), 부부(父父), 자자(子子)의 명분을 끝까지 지켜나감을 말한다. 고려 후기의 신흥사대부들은 모두 군군(君君), 신신(臣臣)의 절의를 지키는데 진력했지만 시대 상황에 따라 그들의 절의에 관한 정신은 각각 다르게 발휘되었다. 안향은 신흥사대부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제현은 국가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국왕을 수호하는데 성심을 기우렸으며, 이곡은 민족의 독자성과 권익을 지키는데 앞장섰다. 이색은 고려 후기의 주석대신으로서 충군애국의 절의로 일관했으나 이른바 우왕과 창왕을 옹립하는데 적극 가담함으로써 곡학아세(曲學阿世)의 난적지신(亂賊之臣)이란 오명을 남겼다. 그리고 정몽주는 사서(四書)를 통해 성리학의 원리를 철두철미하게 이해, 목숨을 걸고 신하의 도리를 끝까지 지켰던 충신이었으며, 정도전은 우왕과 창왕을 옹립했다는 명목으로 이색을 역적이라 공격하면서 고려왕조 수호에 충성을 다했으나 결국 그는 고려를 버리고 근세조선 건국에 앞장선 변절자의 길을 택했던 것이다. The latter period of the Koryo dynasty in this article refers roughly to the 130 years between the 25thking of Choongyul (1236-1308) to the 34thking of Kongyang (1345-1394). The emerging nobility refers to th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through the neo-Confucian principle of Susinjega and Chigukpyungchunha, and the fidelity principle, to The emerging nobility refers to th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kings, retainers, fathers, and sons should do what they each are endowed to do in order to uphold just causes. Strive though the new nobility did of the latter period of the Koryo dynasty in order to uphold the principle of fidelity, various new situations reflected different ideas about the principle. Ahn Hyang led the way to form the foundation for the new nobility; Lee Jaehyun strived to support the king and to maintain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d Lee Gok took the initiative in keeping intact national independence, rights and interests. Lee Saek, a Confucian scholar and the First Lord, brought dishonor to himself when he supported along with Shin Woo, son of Shin Don, Shin Chang to be king. Jung Mongjoo, who ha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was a patriotic retainer who kept to the principle at the sake of his life. Having called Lee Saek a traitor for supporting Shin Woo and Shin Chang, Jung Dojeon initially swore allegiance to the Koryo dynasty, but in the end deserted the Koryo dynasty, leading the way as an apostate to found the new Chosen dynasty.

      • KCI등재

        생활체육과 지역포교 활동의 관계 분석

        박종묵(지상)(Park, Jong-Muk(Ven. Ji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한국은 1980년대 중반부터 사회체육이 도입되어 활성화 되고 있다. 사회체육 확대는 종교계에도 변화를 가져 왔다. 타 종교에서는 종교 시설 내에 체육 시설을 유치하거나 신도의 체육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성직자들은 사회체육 활동에 참여하여 일반인과의 교류를 넓혀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불교계는 상대적으로 체육활동 참여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사회체육의 확대는 포교방법의 새로운 방법을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일례로, 설악산 신흥사는 포교 프로그램의 하나로 생활체육을 통한 포교를 시도해 왔다. 신흥사는 불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신흥사배 체육대회를 주최하고 있다. 신흥사배 체육대회는 매년 약 2만여 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 생활체육대회로 발전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포교와 사회체육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흥사배 체육대회에 참여하려는 자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한 결과, 불자와 비불자는 간접포교 요인에 대하여 다른 인식을 하고 있으며, 지역포교 요인과 사회체육 활성화, 불교 호감, 매년 개최 인지, 사회 기여, 신흥사 인식, 타종교 교류, 불교야구단 창단, 불교사회체육 확대 등 각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사회체육 활동으로 인해 불교와 사찰에 대한 호감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또한 사회체육 활동이 지역 포교 및 불교의 사회참여 인식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조사 표본이 불교도에 집중되어 포교 대상인 비불자 의견 반영이 적은 문제와 조사지점이 체육대회장 입구에서 실시하여 일반인 의견과 다른 결과가 도출 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Social physical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South Korea since the mid-1980s. With the growth of a physical society, changes were introduced in religious organizations to support these physical activities among believers resulting in the construction of sports facilities in all types of religious institutions. In addition, religious heads or priests participated in community sports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interactions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Buddhism is in this aspect relatively less involved in these physical activities. The growth of a physically active society has created a new ground for missionary work. Seorak Sinheungsa tried to propagate the importance of sport through a missionary program. Considering soccer as a physical activity, Sinheungsa created a new soccer team belonging to the temple. From 2011, the temple began to hold a Seorak Sinheungsa Family Festival,” which is a local representative life sport competition that sees more than 20,000 people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each ye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missionary work and the physical society by objectively considering the athletic competition organized by Sinheungsa.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inheungsa athletic competition revealed that the local missionary work was correlated to an active physical society, an appeal for Buddhism, annual social contributions, recognition of Sinheungsa, interreligious exchanges, formation of a baseball team, expansion of the Buddhist physical society, and so 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social physical activity conducted by a Buddhist missionary creates a more favorable impression of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Moreover, it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social sports activities also help the local missionary and increases the participation of the Buddhist society.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survey samples were collected only from Buddhists, and therefore opinions of non-Buddhists were reflected less in it. Also, different results may have been derived from public opinion if the survey had not been conducted exclusively at the entrance to the athletic competition ve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