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Recent Criticisms of the Old Princetonians' View of the Bible

        Kim, Eun-Soo(김은수)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3 No.-

        기독교 신학에 있어 성경의 문제는 모든 것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언제나 아주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교회 역사에 있어 특별히 성경의 문제가 신학적 논쟁의 전면에 부상하게 된 시기는 세 번 정도 인데, 곧 2세기의 정경문제, 16세기 종교개혁기의 성경의 권위문제, 19-20세기 합리주의와 고등비평에 의해 야기된 성경의 영감과 무오성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마지막 논쟁점과 관련하여, 이 시기에 성경의 무오성을 주장하여 성경의 영감론과 절대적 권위를 잘 변증하였던 챨스 하지(Charles Hodge)와 벤자민 워필드(Benjamin B. Warfield)의 견해에 대하여 제기된 여러 가지 비판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 프린스톤(the Old Princeton)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20세기 후반의 개혁주의/복음주의 성경 무오설(the theory of inerrancy)의 신학적 기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 개혁주의/복음주의 성경관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한번 정도는 반드시 검토 해 보아야만 하는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20세기 후반 복음주의 신학권 내에서 일어난 성경 불오성 vs. 무오성 논쟁(Infallibility vs. Inerrancy)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특별히 샌딘(E. Sandeen)과 로저스/맥킴(Jack Rogers/Ronald McKim)이"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들이 제기한 주요 비판적 논점들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은"스코틀랜드 상식 실재론"(the Scottish Common Sense Realism)의 영향을 심대하게 받았으며; (2) 성경의 권위를 주장함에 있어"성령의 내적 증거"보다는 합리주의적인 외적 증거들에 기초하였고; 또한 (3) 현재 우리가 물려받은 성경 본문보다는 존재하지도 않는"성경의 원본"(the original autographs)에 대한 무오성을 주장한 것은 부적절하며; 마지막으로 (4) 성경의 구원론적"기능"(function)보다는"형식"(form)에 치중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주장하기를,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교회의 역사적인 주류적 입장, 곧 종교개혁자들이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관으로부터 심대히 이탈하였고 전혀 다른 새로운 성경관을 만들어 내어 주장하였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는 샌딘과 로저스/맥킴 등이 제기하는 비판적 논점들이 오히려 그 타당성을 결하고 있으며, 챨스 하지나 워필드와 같은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철저하게 교회의 주류적 입장, 종교개혁자들과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에서 고백하고 있는 성경관을 19세기 이후에 주어진 시대적, 지적인 도전과 상황 속에서 잘 변증하였고, 또한 더욱 발전적인 형식으로 신학적인 정립을 이루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한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이 주장한 성경관의 주요 강조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1) 축자영감설(verbal inspiration); (2) 유기적이며 협력적 영감설 organic and concurrence inspiration); (3) 전적 무오설(성경의 원본에 있어); (4) 성경의 자증성(Self-evidence of the Bible). 이러한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비록 독특한 그 시대적 지적 환경과 도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조점의 차이는 보이지만, 결코 역사적인 정통주의적 입장, 특히 종교개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표준으로부터 이탈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그것을 발전적으로 잘 정립하여 변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기독교 신학에 대한 그들의 중요한 기여로 평가되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성경관의 비교 연구: 박형룡과 김재준을 중심으로

        홍철 ( Chul Hong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한국 교회와 성경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 교회의 역사에 있어서 성경은 큰 역할을 하였다. 마포삼열 선교사는 한국 교회 성장의 최대 요인에 대해 설명하기를, “해마다 우리는 이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말씀 만을 높이 들었고, 그 나머지는 성령께서 하셨다”라고 하였다. 1930년대 논쟁을 비롯하여 김재준의 성경관과 박형룡의 성경관의 차이와 논쟁을 바르게 평가해야 한다. 1930년대에 이미 김재준의 성경관에는 잘못된 씨가 있었고 그것은 신정통주의의 성경관이었다. 그는 사7:14를 해석하면서 “알마”를 젊은 여자로 번역하고 이사야가 그리스도를 예언한 것이 아니고 이상왕을 예언했다고 하였다. 이것은 칼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폰 라트의 견해와 같은 사상이다. 이에 반해서 박형룡은 구프린스턴 신학자들로부터 배운 초기 선교사들과 같은 성경무오, 완전축자영감, 유기적 영감의 성경관을 신봉하였다. 그는 “경외의 정신과 변증적 태도”의 성경관을 고수하였다. 우리는 1930년대 이후 대립되는 두 사람 사이의 성경관 논쟁에 대한 평가를 바르게 해야 한다. 현대 해석학의 영향을 받아서 무조건 다의적 의미의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 더욱이 미국에서 일어난 근본주의 대 현대주의 논쟁의 배경의 빛 속에서 이 문제를 조명해야 하며 고등비평을 받아들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과 같은 기독교의 중요 교리에 위배되는 것과 같은 김재준의 해석은 허용할 수 없는 해석으로 평가해야 한다. 한철하 박사가 지적한 것과 같이 거기에는 진리관의 차이가 있다. 박형룡, 박윤선은 칼 바르트의 계시관과 성경관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김재준은 바르트의 신정통주의를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한국장로교회사에 있어서 이러한 성경관 논쟁을 역사적·신학적으로 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앞으로 또한 한국장로교회의 미래를 좌우할 중대한 문제라고 사료된다(성경해석학적 상대주의가 초래되지 않도록 성경해석에 있어서 분명한 신학적·주해적 기준이 있어야 한다.). In the 1930s, there was a controversy in Korea between Hyung Nong Park and Chai Choon Kim concerning the view of Scripture. Chai Choon Kim had a different view of Scripture, neoorthodox view of Scripture. This is called the fundamentalist-modernist controversy in Korea. This was influenced by the fundamentalistmodernist controversy which had taken pla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20s. Chai Choon Kim contributed several articles to The Theological Review of the Pyungyang Seminary during the 1930s. He was criticized by conservatives due to his theological tendency. Hyung Nong Park made him stop contributing articles to the journal. Yet we have to know that there was in Chai Choon Kim from the beginning neoorthodox view of Scripture influenced by higher criticism. In contrast to this, Hyung Nong Park had ever the same view of Scripture, that is, biblical inerrancy and plenary verbal inspiration. Modern hermeneutics challenged to the right interpretation of Scripture. Especially it was the New Hermeneutic. One of the advocations of it was the multiple interpretation. And the result of it is hermeneutical relativism in Scripture interpretation. We should oppose to this. And thus, there should be the objective standard based on right theology by which we distinguish right interpretation from wrong interpretation.

      • KCI등재후보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Recent Criticisms of the Old Princetonians' View of the Bible

        김은수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3 No.-

        기독교 신학에 있어 성경의 문제는 모든 것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언제나 아주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교회 역사에 있어 특별히 성경의 문제가 신학적 논쟁의 전면에 부상하게 된 시기는 세 번 정도 인데, 곧 2세기의 정경문제, 16세기 종교개혁기의 성경의 권위문제, 19-20세기 합리주의와 고등비평에 의해 야기된 성경의 영감과 무오성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마지막 논쟁점과 관련하여, 이 시기에 성경의 무오성을 주장하여 성경의 영감론과 절대적 권위를 잘 변증하였던 챨스 하지(Charles Hodge)와 벤자민 워필드(Benjamin B. Warfield)의 견해에 대하여 제기된 여러 가지 비판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 프린스톤(the Old Princeton)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20세기 후반의 개혁주의/복음주의 성경 무오설(the theory of inerrancy)의 신학적 기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 개혁주의/복음주의 성경관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한번 정도는 반드시 검토 해 보아야만 하는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20세기 후반 복음주의 신학권 내에서 일어난 성경 불오성 vs. 무오성 논쟁( Infallibility vs. Inerrancy)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특별히 샌딘(E. Sandeen)과 로저스/맥킴(Jack Rogers/Ronald McKim)이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들이 제기한 주요 비판적 논점들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은 “스코틀랜드 상식 실재론”(the Scottish Common Sense Realism)의 영향을 심대하게 받았으며; (2) 성경의 권위를 주장함에 있어 “성령의 내적 증거”보다는 합리주의적인 외적 증거들에 기초하였고; 또한 (3) 현재 우리가 물려받은 성경 본문보다는 존재하지도 않는 “성경의 원본”(the original autographs)에 대한 무오성을 주장한 것은 부적절하며; 마지막으로 (4) 성경의 구원론적 “기능”(function)보다는 “형식”(form)에 치중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주장하기를,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교회의 역사적인 주류적 입장, 곧 종교개혁자들이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관으로부터 심대히 이탈하였고 전혀 다른 새로운 성경관을 만들어 내어 주장하였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는 샌딘과 로저스/맥킴 등이 제기하는 비판적 논점들이 오히려 그 타당성을 결하고 있으며, 챨스 하지나 워필드와 같은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철저하게 교회의 주류적 입장, 종교개혁자들과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에서 고백하고 있는 성경관을 19세기 이후에 주어진 시대적, 지적인 도전과 상황 속에서 잘 변증하였고, 또한 더욱 발전적인 형식으로 신학적인 정립을 이루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한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이 주장한 성경관의 주요 강조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1) 축자영감설(verbal inspiration); (2) 유기적이며 협력적 영감설(organic and concurrence inspiration); (3) 전적 무오설(성경의 원본에 있어); (4) 성경의 자증성(Self-evidence of the Bible). 이러한 구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성경관은 비록 독특한 그 시대적 지적 환경과 도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조점의 차이는 보이지만, 결코 역사적인 정통주의적 입장, 특히 종교개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표준으로부터 이탈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그것을 발전적으로 잘 정립하여 변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기독교 신학에 대한 그들의 중요한 ...

      • KCI등재

        C. S. 루이스의 “문학적” 성경관

        권연경(Yon-Gyong Kwon)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4

        이 논문은 금세기 대표적 기독교 변증가로 꼽히는 C. S. 루이스의 성경관을 검토한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성경에 관한 루이스의 관점을 기존 논의의 틀에서 평가하고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주요한 신학적 저술들에 나타난 그의 성경관의 “문학적” 특징들을 확인하고 이를 정돈하여 소개하려는 것이다. 루이스의 성경관이라는 주제에 관한 서론적 설명 이후,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성경 텍스트 자체의 성격에 대한 루이스의 문학비평가 다운 신중함이 실제 자신의 성경 읽기에서, 그리고 당시 성서비평학에 대한 그의 비판 및 근본주의적 관점에 대한 그의 비판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둘째로, 루이스의 계시 개념 자체를 상세히 분석한다. 여기서는 특별히 그가 인간적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문집으로서의 성경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한 그의 논의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성육신적 관점을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독자들 편에서의 영감된 읽기에 대한 루이스의 관심에 관해 살펴본다. 전체적으로 루이스의 관점을 루이스 자신의 언어로 최대한 충실히 소개하는 가운데, 기존 신학계에서의 이루어진 성경관 논의와의 연관성도 간간이 언급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view of C. S. Lewis, an extremely influential Christian apologist of the 20th century, on Scriptu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assess and critique his view from the existing theological frame of discussion but to draw a broad picture of his “literary” approach to Scripture and introduce it to Korean readers, as much in his own language as possible. After a brief introduct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the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sections. First, it examines how Lewis’s literary perspective is reflected in his own ways of reading the Scripture and in his critique of both the critical biblical studies of his day and of the fundamentalistic view of Scripture. The study then explores Lewis’s “incarnational” view of revelat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way he constru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s a collection of human literature and the Scripture as the medium of “carrying” the word of God. The final section deals with Lewis’s distinc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nspiration on the part of the readers of Scripture. The study tries to present Lewis’s view as much in his own language as possible, while making occasional comments on how his approach relates to the wider theological discussions on the subject.

      • KCI등재

        개혁신학의 종교개혁적 성경관: 칼빈의 성경 이해를 중심으로

        김요섭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5 No.1

        Understanding of the Bible and its interpretation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 church which determine the identity of churches and theological traditions. The sixteenth- century reformation tried to recover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rediscover the biblical truth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 distortions and errors.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focal points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ers’ understanding of Scripture and manifest its practical significance. After a brief review of Martin Luther’s and Ulrich Zwingli’s understandings of the Bible, John Calvin’s ideas is examined. This examination deals with three topics: the context and purpose of Calvin’s definition of the Bible as the special revelation, his explanation of the ground and meaning of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his idea of the Holy Spirit’s works of writing Scripture and helping believers to recognize the divine truth in it. Calvin, according to his reformation idea of the Bible, refuted both the Roman Catholic and the radical view of the Bible. He also kept a distance from the humanist hermeneutics which evaluated human reason and judgement in interpreting biblical passages. Various challenges, which arise from the ecclesiastical power, personal experiences, or rational judgements, still threat the authority and the teachings of the Bible today. In such a situation, Korean reformed churches can find a consistent principle and effective methods from Calvin’s ideas in defending the authority and the truth of Scripture. 성경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바른 성경 해석 여부는 각 교회와 신학 체계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주제였다. 16세기 종교개혁은 “오직 성경으로”의 원칙에 입각해중세 로마 가톨릭의 왜곡된 성경관을 바로잡고 이로부터 성경의권위를 회복하며 성경이 명확히 계시하는 진리를 재확인하려 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개혁신학이 견지했던 성경관의 요점을 밝히고 현재적 의의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루터와 츠빙글리의 성경관을 개략적으로 살핀후, 칼빈의 성경관을 그의 주요 저술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검토분석한다. 그가 어떤 맥락과 목적에 따라 성경을 특별계시라고규정했는지, 성경의 권위를 확증하는 근거와 그 의미를 무엇이라고 설명했는지, 그리고 성경을 기록하고 깨닫게 하는 성령의 내적 감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했는지 차례대로 분석할 것이다. 칼빈은 자신의 종교개혁적 성경 이해를 통해 16세기 로마 가톨릭과 급진개혁세력의 오류를 비판했으며, 이와 더불어 이성적 해석과 판단을 높이는 인문주의적 성경 해석 방식도 경계했다. 오늘날에도 성경의 권위와 충족함을 거부하고 성경에 기록된 명확한진리를 교회적 권위나 개인적 경험, 혹은 합리적 판단에 따라 변형시키려는 다양한 도전은 계속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칼빈의 신학을 역사적 규범으로 여기는 역사적 개혁신학은 그의 성경관으로부터 성경의 권위와 명확한 진리를 지키는 보편적인 원칙과 효과적인 방법들을 배울 수 있다.

      • KCI등재

        성경관의 비교 연구: 존 칼빈, 찰스 하지, 존 그레스앰 메이첸을 중심으로

        홍철 ( Chul Ho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6 No.-

        칼빈의 성경론과 찰스 하지와 존 그레스앰 메이첸과 같은 구 프린스턴 신학자들의 성경론은 성경무오, 완전축자영감설, 유기적 영감설을 주장하고 성경의 자증과 성령의 내증의 관계에 있어서 같은 주장을 했기 때문에 그들의 성경관은 본질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구 프린스턴 신학의 마지막 신학자인 메이첸의 성경관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필자는 메이첸과 찰스 하지의 성경론을 통해 구 프린스턴 신학을 칼빈의 신학과 성경론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논지는 그들의 성경론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구 프린스턴 신학자들이 성경론에 있어서 칼빈의 신학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구 프린스턴 신학자들은 완전축자영감설을 주장했는데 신정통주의자들은 그것을 기계적 영감설이라고 하고, “적응”의 개념을 통해서 성령이 성경을 기록한 저자들의 인간적 요소를 사용한 것을 인정하면 그것은 성경의 유오를 함의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성령이 성경 기록자들의 인간적 요소를 사용했어도 성령의 초자연적 영감을 통하여 그들이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보호했다고 믿는 것이 유기적 영감이다. 또한 성경의 자증과 성령의 내증의 관계는 칼빈의 성경관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서 칼빈은 성경의 자증과 성령의 내증의 통일성과 불가분리성을 주장했다. 이것은 칼빈이 성경관에 끼친 큰 공헌이다. The doctrine of Scripture of Old Princeton theologians has been attacked many times. However, their doctrine is accurate and the same as that of Calvin. Especially, neoorthodox theologians have severely attacked Old Princeton theologians` doctrine of Scripture, for example, their doctrine of plenary verbal inspiration. They argued that Princetonians held to mecanic view of inspiration. But that is not true. They held to organic view of inspiration. Therefore, Scripture is the word of God and without error. Biblical inerrancy comes from this doctrine. The relation between self-attestation of Scripture and the inter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is inseparable and united. Thus, Scripture has also its intrinsic authority. Essentially, Calvin`s doctrine of Scrip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Old Princeton theologians such as Charles Hodge, John Gresham Machen.

      • 정통주의적 성경관에 따른 영감(靈感)과 무오성(無誤性) 이해: 특히 B. B. 워필드와 E. J. 영을 중심으로

        이승구(Seung-Goo Lee) 한국창조과학회 2021 Origin Research Journal Vol.1 No.1

        예수님과 사도들이 주장하는 성경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정통주의적 성경관의 대변인들로 워필드(B. B. Warfield)와 영(Edward J. Young)의 주장을 정리하고, 이런 정통주의적 성경관에 의하면 성경은 온전히 영감된 정확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우리들의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규칙임을 다시 천명한다. 따라서 정통주의적 성경관을 가진 사람들의 모든 학문 활동도 성경의 가르침의 인도를 받아야 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의들을 도출하였다. (1) 성경을 바르게 해석해서 성경이 주장하는 바에 따라 하는 진술과 어떤 학문의 발견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성경에 근거해서 매우 강한 진리 주장을 할 수 있다. (2) 성경의 바른 해석에서 합리적으로 도출된 것에 대해서도 조심스럽게 진리 주장을 할 수 있다. (3) 성경이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각 학문분과 안에서 서로 상대적인 진리 주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4) 성경이 가르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성경의 권위에 근거한 진리 주장을 하려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view of B. B. Warfield and that of Edward J. Young, as the representative theologians of the Orthodox view of the Scriptures which gladly and willingly accepts what Jesus and the Apostles claim concerning the Scriptures. According to the Orthodox view of the Scripture, the Holy Scripture that is divinely inspired and infallible Word of God is the only standard of our faith and practice. The academic works of those who accept such an orthodox view of the Scripture, therefore, must follow the guidance of the Scripture. From th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rawn: (1) If only when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what the Scriptures are asserting and the findings of our academic work, one can claim the truth claim according to the authority of the Scriptures. (2) One can claim the truth claim with caution for what can be drawn through the rational inference from the Scriptures. (3) One can claim the truth claim merely in a relative sense of word in relation to the findings of our academic works that are not directly taught in the Scriptures. (4) It is wrong, however, to claim a truth claim with the authority of the Scriptures to what is not taught at all in the Scriptures.

      • KCI등재

        개혁주의 입장에서 본 성경의 영감과 무오에 관한 연구

        배정도 ( Jeong Do Bae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18세기 이후 서구 신학계에서는 성경 영감과 무오를 완전 부정하거나 왜곡하기 시작했다. 계시보다 이성을 우위에 두는 합리주의 신학이 성행하면서 성경의 초자연적 사건에 의심을 품으면서 배제되기 시작했다. 성경의 무오성은 비이성적인 소산으로 간주되었으며,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앙과 행위의 유일한 법칙이다란 선언은 무시됐다. 성경의 부조화, 비과학성, 비역사성이 강조됐고, 근동 아시아의 역사와 비교하여 이스라엘의 신앙은 고대종교의 하나로 규정지어졌다. 성경이 일점일획도 오류가 없이 완전하다는 신앙이 사라지면서 성경을 기반으로 세워졌던 교회들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구라파의 수많은 교회당이 회당이나 혹은 모스크나, 레스토랑이나, 카페나 백화점으로 바뀌면서 몰락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혼란의 기저에는 단연코 자유주의적 성경관에 있다고 본다. 그 사람이 어떤 성경관에 기초하느냐에 따라 복음주의자와 자유주의자로 나누어지게 되는 것이다. 개혁주의 성경관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과는 등식관계가 성립함을 믿는다. 즉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보고 성경이 말하는 바는 곧 하나님의 말씀하시는 것(What the Bible says, God says)으로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경의 권위가 교회 안팎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도전받고 의문시 되고 있는 이때에 성경의 권위를 바로 세우고 변증하며, 인간 중심의 신학에서 하나님 중심신학으로 돌아갈 수 있는 지침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From 18th century, the Western theological community started completely denying or distorting the biblical inspiration and inerrancy. The rational theology that considers reason for superior to revelation prevailed, and this began excluding the biblical inspiration and inerrancy, causing some doubt about the supernatural events of the Bible. The inerrancy of the Bible was considered as irrational product. The proclamation that the Old and New Testament is the Word of God, the only law of faith and behavior was ignored. The biblical discordance, non-science, and non-historicity were emphasized and the Israeli faith is regarded as one of the old religions over the history of the near east Asia. As the faith that the Bible is perfect with no errancy of one jot or one tittle disappeared, the churches built at the base of the Bible have begun to crumble. As a number of churches in Europe were changed into synagogues, mosques, restaurants, cafes, or department stores, they started being on the decline. This chaos seems to be due to the liberal view on the Bible. According to what kind of biblical view people have, they are divided into evangelists and liberalists. The Reformed biblical view believes that the Word of God is equal to the Bible. That is, the Bible is considered as the Word of God; what the Bible says, God says. Therefore, this paper is aimed at building and demonstrat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when it is challenged and questioned by a number of people in and out the church. Moreover, this sets a goal at being the guideline to be able to return to a God-oriented theology instead of a human-oriented.

      • 에큐메니칼 성경 이해와 선교

        안승오(Seung-Oh An)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3 No.-

        The Bible i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faith. Christianity believes that only through the Bible can we meet Jesus Christ and participate in God"s history of salvation, and that is why the Bible is the source and norm of faith and theology. Since the Bible is the source of all theology and church work, the view of the Bible has a decisive influence on Christian mission. WCC (World Council of Churchs) ecumenical camp, one of the Christian mission camps, has a view of the Bible that is much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ew. This study analyzes this ecumenical view of the Bible and its impact on mission. There are various thoughts and theologies behind the changed view of the Bible in the ecumenical camp, but, more than any other theologies, liberal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and God"s mission theology have greatly influenced the ecumenical view of the Bible. In other words, the ecumenical view of the Bible was influenced by liberal theology, which emphasizes reason over the Bible, liberation theology, which emphasizes the context more than the text, and God"s mission theology, which emphasizes the world more than the church. And as the trust and authority in the Bible is weakened in the ecumenical camp, unlike in the evangelical camp where the Bible has high authority, the ecumenical camp"s commitment to mission is gradually weakening. Of course, the above evaluation can be seen as a rather conservative and narrow view. However, it is unfortunately true that the ecumenical camp"s view of the Bible weaken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reby weakens the church and mission. Therefore, the ecumenical camp needs to review the Bible view considering this view i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