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재재활서비스 이용욕구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잠재전이분석의 적용

        안새별,이준우,홍세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3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d examine the change patterns in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 of industrial-accident workers over time. Method: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extend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longitudinally, was used. Results: Three groups of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in 2019 and five groups were identified in 2020, respectively. According to transition patterns of the groups across the two time points, members in the three groups identified in 2019 were likely to stay in the same groups in 2020, bu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groups with higher needs was not relatively low. Gender,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ocial gatherings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nsition. Impl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needs for industrial-accident rehabilitation service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and providing a basis for developing individualiz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ustrial-accident workers. 목적: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유형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이 양상과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통해 재활서비스 이용욕구에 따른 유형의 전이 양상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9년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유형은 ‘저욕구 집단’, ‘중욕구 집단’, ‘고욕구 집단’으로, 2020년은 ‘저욕구 집단’, ‘문화서비스 고욕구 집단’, ‘취업관련 저욕구집단’, ‘중욕구 집단’, ‘고욕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2019년 세 집단은 2020년에 동일한 집단으로 유지될 확률이 높았으나, 더 높은 욕구를 지닌 유형으로 전이되는 확률도 낮지 않았다. 잠재전이에는 성별, 현재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친목 모임 참여 빈도가 유의한 영향을미쳤다. 시사점: 본 연구는 산재재활서비스의 이용욕구를 종단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산재근로자 개인에 맞춘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시스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서비스 회복 공정성과 회복 성과의 관계에 브랜드 동일시가 미치는 영향

        고민정(Ko, Min Jeong),김영찬(Kim, Youngchan) 한국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연구 Vol.36 No.1

        기업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실패는 발생하기 마련이며, 이는 소비자들의 불만족과 부정적 구전, 구매 전환과 같은 많은 부정적 결과를 야기하기 때문에 서비스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회복 노력은 중요하다. 이때 서비스 회복 노력으로 인한 만족의 회복과 더불어 부정적 감정인 보복 욕구의 감소, 그리고 이 과정에 소비자의 브랜드 동일시는 기업들에게 있어 중요한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서비스 회복 노력을 소비자들이 공정하다고 평가할 경우 그에 대한 만족과 재구매의도가 증가하고, 이와는 별개로 서비스 실패로 인해 발생했던 부정적 감정 반응인 보복 욕구 또한 감소한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연구들이 상충된 주장을 하였던 브랜드 동일시의 조절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실패 이후의 회복 공정성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의 서비스 회복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이는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회복 공정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실패로 인해 발생했던 보복 욕구도 일정 부분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소비자들의 브랜드 동일시가 높은 경우에는 서비스 회복 공정성이 서비스 회복으로 인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전반적으로 약화되었다. 즉, 브랜드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들은 서비스 회복에 대한 만족이 서비스 회복 공정성 정도에 관계없이 대체로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 감정 반응인 보복 욕구 또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의 서비스 회복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몇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서비스 회복 전략을 제시할 때 소비자의 불만족 사항을 해결하여 만족을 회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실패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해주는 것 또한 필요하다는 사실을 통해 기업들의 서비스 회복 전략이 총체적, 종합적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브랜드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들에 대한 서비스 회복이 단지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아닌 그 이상의 더욱 더 섬세하고 정교한 전략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마음 읽기’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비로소 소비자들의 화난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 Since service failures are inevitable despite the numerous efforts of companies, it is critical for companies to practice effective service recovery strategies. However, even though the academics and industry are focusing on how companies can gain customer loyalty through service recovery, some important elements are mis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taliation and brand identification as the missing pieces that can lead the service recovery practice in to a better one. By proposing a conceptual framework, we insist that customers’ perceived justice on service recovery leads to not only increasing recovery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but also to a decreasing level of retaliation. We also hypothesize that brand identification interferes with the effects of customers’ perceived justice on service recove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resulting in 290 usable responses. The results reveal that when customers perceive the service recovery to have justice, the level of repurchase intention increases, with recovery satisfaction as a mediator. On the other hand, customers’ perceived justice on service recovery directly lead to retaliation decreases. The level of brand identification interferes with these results, showing that customers with high brand identification are ought to be more satisfied with company’s recovery policies and its offerings, but on the other hand are ought to keep retaliation because of the higher amount of betrayal they experience. The study presents several implication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nd discusses that a more warm and delicate service recovery is in need for customers who highly identify the company with themselves.

      • KCI등재

        휴먼서비스 행정의 패러다임 연구

        이인희(李仁熙)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3

        현대국가에서 사회복지는 잔여적 수준(residual level)에서 제도적 맥락(institutional context)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복지제공의 경향성을 시민권의 관점에서 보편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회복지를 시민권의 측면에서 접근하게 될 때 직면하는 것이 욕구와 반응의 관계이다. 그동안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서비스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담론이 진전되어왔는데, 그 논의의 초점은 휴먼서비스 개념에 귀결되고 있다. 현대국가의 사회복지가 제도적 수준에서 서비스를 이행할 때 대두되는 문제에 보다 합목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간, 조직, 환경의 맥락을 전체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비스 대상으로서 인간존재의 가치를 강조하는 휴먼서비스와, 특정적인 관점에서 특히 인간의 욕구문제를 중시하는 휴먼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시키는 행정적 지식 및 기술과 기제로서의 서비스 행정의 패러다임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사회문제해결과 사회적 욕구충족을 위해 목적 및 수단으로서의 휴먼서비스의 수용범위가 전제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행정영역이 진단되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주체의 측면과, 그것을 직접 실행하는 방식 내지 수단의 측면에서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동시에 서비스 기능에 있어서 각 차원의 목적과 정신에 적합하도록 현재의 서비스 기능과 행정적 전달체계도 재구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미충족 서비스 욕구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 회복 서비스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

        정은희,강상경,김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3

        인간은 생존욕구부터 자아실현 욕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욕구의 위계적 특성 때문에 충족되지 않은 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몇몇 선행연구들이 미충족 복지서비스가 인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지만, 아직까지 정신장애인의 미충족 욕구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1) 복지서비스 미충족 욕구 수준에 대한 인식과 (2) 정신장애인의 미충족 욕구 인식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본다.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정신 장애를 가진 607명의 데이터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미충족 욕구에 대한 개별 모델은 각 미충족 욕구(생존욕구부터 자아실현 욕구까지)가 삶의 만족도와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2) 통합모델은 충족되지 않은 고용의 필요성이 삶의 만족도를 가장 강하게 예측한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직업임을 나타낸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과 서비스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회복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Human beings have various needs ranging from survival to self-actualization. In this context, unmet needs can nega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Although a few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how unmet welfare services needs affect life satisfaction,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unmet need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perceptions of unmet needs related to welfare services; and (2) to determine effects of unmet welfare services needs on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address these research purposes,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data from 607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1) separate models indicated that each unmet need (ranging from survival to self-actualiz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2) the integrative model showed that the unmet need for employment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the importance job to enrich lives of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covery services are discuss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ves of psychiatric service consumers.

      • KCI등재후보

        장애평가 기준과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욕구

        김용득,송남영,장기성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their filling up ratios of disabled people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In this study, residential care services include respite care servic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survey data which produced by the prior national survey for estimating needed amounts of national social service provisions.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needs of disabled people. The first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revealed the higher ratio of the needs on the services of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The second is that the filling up ratios of residential care service needs showed significantly low. The third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who have needs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showed the lower filling up ratios.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government policy on residential car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should consider setting up public assessment systems on the needs for residential care services, inter-related provision schemes among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arge institutions and transitional services for the residential service users being preferred to live independently with community support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욕구와 욕구의 미충족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장애인거주시설은 원래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수 있는 생활 장소를 제공하고, 개인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로서, 우리나라 시설유형 중에서는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생활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정도에 따른 거주시설서비스 욕구와 미충족 정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거주시설서비스 수요 파악을 위한 합리적 기준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 공급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장애평가 기준과 복합적 평가 기준 모두에서 거주시설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비율은 장애정도가 중증인 장애인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정부의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은 세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중증장애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서비스 이용자격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의 상호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통합적인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거주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중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해 자립생활이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이주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종양의료 및 복지서비스 제공자들의 공감피로 완화를 위한 서비스 욕구

        김민아(Min Ah Kim),이재희(Jaehee Yi),최권호(Kwonho Choi),김수현(Soohyun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3

        종양 환자 및 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은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고통과 상실감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공감피로를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이 공감피로 완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욕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5개소에서 모집한 총 31명(의사 9명, 간호사 10명, 의료사회복지사 12명)의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만 34.7세였고, 모두 성인종양(64.5%) 및 소아종양 환자(32.3%)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1) 종양서비스 현장에 대한 이해가 기반된 심리상담, (2) 종양서비스 제공자의 자조모임, (3) 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 및 해소 프로그램, (4) 전문성 강화 및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 (5)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변화 등 5개 서비스 영역에서 종양서비스 제공자의 공감피로 완화를 위한 서비스 욕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종양서비스 현장에서 중요한 자원이 되는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한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종양서비스 제공자들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들의 공감피로 및 직무소진이 완화되고 더 나아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를 바란다.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to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ften experience compassion fatigue due to repeated exposure to suffering and feelings of loss their clients face. This study explored th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31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nine oncologists, 10 nurses, and 12 medical social workers) recruiting from five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Participants’ age was 34.68 years old on average (SD = 9.35), and they were currently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to adult (64.5%) or pediatric (32.3%) cancer patients.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analysis indicate service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to reduce their compassion fatigue fall within the following six service domains: (a) psychological counseling wi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ystem of oncology health care services; (b) self-help groups for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c) education for improving stress coping skills; (d) training for build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skills; and (e) enhancement of healthy work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service development among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who are critical resources for oncology c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reflect needs of oncology health care providers for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thus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that they provide.

      • KCI등재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장애당사자의 인지와 욕구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users with Disabilities about Assistive Technology. The study question was what are the rehabilitation center’s readiness to vitalize the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conten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life. The result from the data analyzed as follows. The perception standard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was 50 percent. And the using assistive devices are mobility assisting device in general. The convenience satisfaction of daily life by assisting device was 63.7 percent. If a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will be built in community, 90 percent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they are interested in using the center. The major need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were set up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expand the range of aids and assisting device items. The ways to vitalize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s follow. First, rehabilitation center h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system and services in easily approachable. Second, counseling, evaluation, systematic approach for the prescrip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re required. Third, rehabilitation center has to carry out channel role among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ssisting device industry.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인들이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보조공학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 지역사회 재활기관에서는 어떠한 준비가 되어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재활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당사자들을 대상으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지와 욕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장애당사자들의 인지수준은 약 50% 정도로 나타났으며,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구는 대체로 이동보조기구가 많았다. 보조기구를 활용함으로써 일상생활의 활동을 하는데 편리함을 가져와서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63.7%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내에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생긴다면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약 90%이었다.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욕구로는 지역사회에 보조기구서비스 지원센터의 설치, 지원대상의 확대, 보조기구 품목의 확대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지역사회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재활기관에서는 장애당사자들이 보조공학 제도와 서비스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개인에게 적합한 보조공학적 처방을 위한 상담, 평가 및 체계적인 시스템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당사자와 보조공학 센터, 보조기구 산업현장 간의 통로 역할을 통해 당사자의 욕구에 적합한 보조공학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주거지원서비스 요구도: 초기성년기와 후기성년기간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은희,강상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CRPD 이념을 반영한 정신장애인서비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독립생활을 통한 사회통합 구현이고, 이를 위해서는 생애주기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주거지원서비스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주거지원서비스 구축을 위해서는 주거지원서비스에 대한 당사자의 다차원적 욕구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시설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의 주거지원서비스 중요도와 실행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주거지원서비스에 대한 미충족 욕구를 초기성년기와 후기성년기의 연령대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재활시설 이용자 6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총 12개 주거지원서비스 세부항목들에 대해 서비스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서비스 우선순위를 초기성년기인 45세 미만 집단과 후기성년기인 45세 이상 집단 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전반적인 주거지원서비스 중요도는 실행도보다 높아 당사자의 주거서비스에 대한 미충족 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둘째, 주거지원서비스 분야의 미충족 욕구는 45세 미만 집단보다 이상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대별 미총족 욕구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공공임대주택 기회보장과 주택수리개조 비용지원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 중심의 주거지원서비스 요구도를 IPA를 활용한 결과, 중요도가 높고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영역은 45세 미만 집단에서는 공공임대주택 기회제공과, 주택구입 대출지원인 반면, 45세 이상 집단에서는 공공임대주택 기회제공과 주택수리개조 비용지원 영역이 집중노력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의 주거 지원서비스 확충 및 지원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가족수발자의 서비스 욕구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최혜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4 사회복지정책 Vol.19 No.-

        본 연구는 서비스 욕구에 대안 요인구조에 따라 가족수발자의 서비스 욕구를 설명하는 최적 결정모형을 행동모델은 근간으로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안다, 본 연구는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역추출법과 다단계 임의추출법을 뚱해 선정된 89명의 지역사회거주 노인과 노인의 가족수발자 정보가 분석되었다. 서비스 욕구의 구조는 요인분석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최적 결정모형은 다중회귀분석의 전진선택법을 통해 결정되었다. 요인분석결과, 가족수발자의 서비스 욕구는 서비스의 속성에 따라 핵심적 서비스 욕구와 부가적 서비스 욕구로 구분되었다. 핵심적 서비스 욕구의 최적 결정모형은 Y=βO+B1^*노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β2^*가족수발자의 낮은 교육수준+β3^*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β4^*노인의 연령으로 나타났다. 부가적 서비스 욕구는 Y=βO+B1^*수발자의 주관적 재정상태+β2^*인지기능+β3^*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examine the optimal determinant model of the service needs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dependent elder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9 dependent elder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selected by the multi-level random sampling.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caregivers had two-factor structure, intensive service needs and additional service needs. The optimal determinant model for the intensive service need is Y= βO+β1^*activities of daily living+β2^*low educational level+β3^*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β4^*age. Also, the optimal determinant model for the additional service need is Y= βO+β1^*financial status+β2^*cognitive function+β3^*physical health.

      • 지역사회보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가족의 욕구와 서비스 선호 양태

        이옥희(Lee, Ok-Hee) 한국복지행정학회 2006 복지행정논총 Vol.16 No.2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치매나 뇌졸중을 앓고 있는 노인 환자들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 뿐만 아니라, 기능적 장애에 따른 수발부담, 가족문제 등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함께 갖는다. 본 논문에서 노인과 그 가족의 이런 욕구를 포괄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5개의 하위변인을 사회적 지지체계, 신체적․정신적 기능수준, 주거환경, 수발부담으로 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성과 서비스이용에서의 선호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낮은 유배우율, 경제적으로 빈곤할 가능성, 변화된 가족관계에서의 어려움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수발자가 남성노인은 아내이고 여성노인은 며느리여서 남녀노인 간에 배우자/자녀 의존성이라는 이분화 현상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보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지지체계는 가족관계망 내에서 이루어지고 주거환경의 편의도, ADL, IADL 및 정서행동에서도 낮은 기능수준을 보였다. 셋째, 수발부담과 서비스이용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가족의 수발부담은 단기보호서비스가 가장 낮고 가정봉사원파견서비스가 가장 높았다.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선호도는 수발자의 수발부담을 대체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서비스에 집중되었다. 이런 결과는 지역사회보호서비스에서 어떠한 서비스자원들이 개발․조직되어 가야하는 지를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The needs of elderly people in chronic aliments and their famillies have varieties in multi-dimensional aspects. An old person has some forms of functional disability resulted from dementia and paralysis, which raise the needs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well-being. So they need both medical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old women who needed the long term care are more vulnerable than the old men in aspect of the old age period, not being spouse, being poor, and family relationship. Secondly, the support-systems of the elderly is centerd on the family-relationship. and The function levels are low in housing condition, ADL, IADL, psychomancy behaviors. Thirdly, There are high co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caregiving burden and the service-needs. and Family s long caregiving burden impoverish the life of the elderly and his/her family because of high medical cost and psychic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