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nd Psychiatric Symptoms

        강상경,전해숙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1 No.-

        Although previous literature indicates that psychiatric symptom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order to address the limit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via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o stud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parenting among women with serious mental illnesses using a panel data developed in the US. Findings indicate that the trajectory of psychiatric symptoms is associated with parenting trajectories both cross-sectionally and longitudinally. Cross sectional relationships replicat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the higher levels of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more negative parenting (i.e., higher parenting stress and lower parenting nurturance). However, those with higher initial psychiatric symptoms presented more positive parenting trajectories over time (i.e., faster decreases in parenting stress and slower decreases in parenting nurturance), indicating that impaired parenting due to symptoms is not permanent but resilient. Based on the results, contributions to knowled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후견제도에 대한 우려와 돌봄 부담

        강상경,유창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3 No.4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rea and levels of care-givers’ worries about guardianship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care burden and worries about guardianship among care-givers. For these purposes, descriptive data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were performed involving 1,498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on Supportive Service Needs Assessmen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erning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es on care-givers’s worries, financial burden and preparation for guardianship were relatively higher, wheres violation of consumers’ human rights was relatively lower. Regarding the results of SEM, care-givers with higher levels of care burden reported higher levels of worries about guardianship. Specifically, care burden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ries about proper guardian availability, health and medical issues, housing, and preparation for guardianship. Care burde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olation of human rights, asset protection, and financial burde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guardianship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후견제도에 대한 우려 영역 및 수준을 살펴보고, 보호자의 돌봄 부담과 우려와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욕구조사에 참여한 1,498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분석결과 보호자의 후견제도에 대한 우려는 후견 비용 및 수행을 위한 사회적 준비 부족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당사자의 자유권 제한에 대한 우려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보호자의 돌봄 부담 수준이 높을수록 발달장애인 후견제도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보호자 돌봄 부담은 후견인 선정 우려, 당사자 건강의료 우려, 당사자 주거문제 우려, 사회적 준비 미흡 우려 등과는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고, 당사자 자유침해 우려, 당사자 재산보호 우려, 후견제도 비용 우려 등과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발달장애인 후견제도가 이러한 것들을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건강불평등의 생애주기적 고찰

        강상경,권태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에서 보면 성별, 소득,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지위에 따라 건강불평등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강불평등 연구들의 대부분이 육체적 건강불평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에 주는 영향을 생애주기적으로 살펴본 연구들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일반인구를 대표하는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생애주기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인구사회경제학적 지위가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가를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수준에서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육체적 건강과 정신건강 수준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지위에 따른 차이를 생애주기별로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처럼 생애주기에 따라 성별,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시적 차원에서의 개입 시 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의 정책 입안 시에도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정신보건영역의 인권보호

        강상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국제사회보장리뷰 Vol.9 No.-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자기결정권의 존중 및 인권보호는 중요한 기초이다. 이 글에서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정신보건법과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를 기반으로 비자의 치료 의사결정과 인권보호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Aging and the Change in Self-Perceptions : Multilevel Modeling on Its Relationships with the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강상경,전해숙 韓國老年學會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2

        이 연구는 65세 이상 사람들의 자아개념의 궤적을 추정하고, 이 자아개념의 궤적과 관련된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수들을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포함된 조사대상은 패널데이터인 Americans Changing Lives (ACL) study에 참석한 65세 이상 1179명(Wave 1)으로 이들 중에서 878명이 Wave 2에 683명이 Wave 3에 각각 참가하였다. 데이터는 MixReg Software를 이용하여 위계성장모형 분석을 하였다. 참가자들은 긍정적 자아감, 육체적 건강 및 인지기능에 있어서 모두 감소하는 궤적들 보여주었다. 또한 육체적 건강, 인지, 사회적 활동의 궤적이 자아감 변화의 궤적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가 자아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들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자아개념이 육체적, 행동적, 심리적 결과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긍정적 자아상의 유지가 성공적 노화의 주요 관건이 될 수 있다. 노년기 자아개념의 궤적이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변화궤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긍정적 자아개념의 유지를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육체적인 건강, 심리적인 건강, 및 사회적인 활동의 유지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jectory of self-perceptions and how the trajectory is related to the trajectories of functional health,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engagement among persons aged 65 and over. Sample consists of 1179 at W1 (1986), 878 at W2 (1989), and 683 at W3 (1994) elders aged 65 and over from the longitudinal data of Americans' Changing Lives (ACL) study. Analyses were done through a multilevel modeling method using the MIXREG software. Participants presented declining trajectories in positive self-perceptions, functional health, cognitive functioning, and social engagement over time. Findings supported the notion that biopsychosocial stress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perceptions. Specifically, elders who experienced faster decreases in functional health, faster increases in cognitive impairment, and faster decreases in social engagement presented faster decreases in positive self-perceptions across the three time points.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positive self-perception is important for older adults in that it is related to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sequences. Findings suggest that the change in self-perception depends on the changes in bio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functional health, cognitive functioning, and social engagement.

      • KCI등재

        정신질환 스티그마의 심리사회적 특성:사회사업적 함의

        강상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2 No.-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Nature of Mental Illness Stigma:Implications for Social Work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22 2006. 4. pp.125~14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2집 Kahng, Sang-Kyoung Kahng, Sang-Kyoung:Assistant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llege of Social Science. e-mail:skahng@snu.ac.kr The experience of stigm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encountered by psychiatric consumers, restricting their opportunities of realizing themselves. Given the limitations presented in traditional de-stigmatizing strategies targeting the third parties, social workers as major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should consider alternative de-stigmatizing strategies. This paper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nature of stigma to examine why the traditional strategies have presented limitations as well as to provide alternative directions of future social work services.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traditional strategies targeting the non-stigmatized have limitations because stigmatizing is related to the natures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t further suggests that multifaceted de-stigmatizing strategies targeting psychiatric service consumers and treatment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continuous de-stigmatizing efforts targeting the non-stigmatized. Considering the nature of mental illness stigma, future directions of social work services are discussed at multiple levels including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policy levels. Key words:Psychological Nature Of Stigma, Social Nature Of Stigma, Stigma Formation, Stigma Maintenance, Internalized Stigma, Implications For Psychiatric Social Work 정신질환 스티그마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사회사업적 함의 강상경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정신질환과 관련된 스티그마의 경험은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우들에게 우리사회에서 그들의 자아실현을 저해하는 주요 사회문제 중의 하나이다. 제3자, 즉 정신질환의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해서 정신건강 스티그마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한계를 노출하기 때문에, 정신건강서비스의 주 인력중의 하나인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들이 대안적인 스티그마 문제해결 방안에 대해서 모색해야 한다. 이 논문은 왜 전통적인 제3자 위주의 스티그마 해소 방안이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스티그마의 사회심리학적 본질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티그마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향후 정신보건서비스의 대안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문헌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스티그마가 인간의 정서 및 인지와 관련된 심리적 본질과 인간사회 및 조직의 위계적 특성과 관련된 사회적 본질 때문에 제3자인 정신질환의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 초점을 둔 전통적인 스티그마 해소 방식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문헌은 또한 스티그마의 형성, 유지 및 내재화 과정과 관계되는 정서, 인지 및 위계적 사회관계의 본질과 복잡하게 얽힌 정신질환 스티그마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심리 및 조직적 위계의 악순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개인적, 조직적, 정책적 차원에서 다면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정신질환 스티그마의 대처방안들에 대해서 앞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 서비스 기관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중심단어:스티그마의 심리적 본질, 스티그마의 사회적 본질, 스티그마 형성, 스티그마 유지, 내재화된 스티그마,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함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