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색 LED 조명의 색온도가 고령자 색지각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진숙(Jin-sook Lee),박지영(Ji-young Park),김소연(So-yeon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는 백색 LED 조명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연령대별 고령자의 색 지각 특성과 지각색 변화의 양상을 정량적으로 비교 · 분석하여 실내 공간의 조명 · 색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IRI Hue & Tone System의 120가지 색표를 대상으로 고령자 시각 대응필터 (Y2필터, YA3필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색온도별로 색표를 측색하고, 육안평가실험을 실시하여 비교 ·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색온도와 고령자 시각의 모든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RP계열과 R계열, G계열과 BG, B계열의 색을 색조(Tone)별로 서로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묶어 통일하거나 유사하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색온도 변화에 따른 지각색 변화의 경향을 살펴보면, 측색설험 결과 고령자 시각의 모든 연령대에서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a*값과 b*값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색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녹색도와 청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육안평가실험 결과 다른 색상들에 비해 G, BG, B, PB계열에서 색온도에 따라 지각되는 색상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즉 중 · 단파장 영역의 색이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채도가 높아져 짙게 지각됨에 따라 GY계열로 지각되던 색이 G계열의 색으로 지각되었다. 색에 따른 이러한 경향은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LED 조명광원의 장파장 영역에서의 상대적 분광에너지세기가 감소하고, 단파장 영역의 상대적 분광에너지세기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셋째, Y계열과 GY계열, PB계열, P계열의 색은 각각이 가지는 명도와 유사한 명도를 가지는 무채색과 혼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축 내 · 외장재의 주조색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Y계열의 고명도 색은 고명도의 무채색과 혼동되어지며, 장파장 영역의 상대적 분광에너지를 많이 갖는 낮은 색온도의 LED 조명광원 아래에서는 Y계열의 색과 무채색 간의 혼동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으므로 색채계획 시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ndition of perceived color changes in seniors due to color temperature changes in white LED lights. This comparison provides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lights and colors in interior spaces This study used senior visual correspondence filters (Y2, YA3) on a 120-color IRI Hue & Tone System chart to measure colors at each color temperature and a naked eye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All color temperatures and subject age groups showed the same or similar trends for RP-R type and G-BG-B type tones. 2) In the trend that changes the recognized color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the subjects in all age groups moved the a* and b* values in the minus (-) direction, to decrease the red color and yellow color, and to increase the green color and blue color from the colorimetry test. Similarly, there was a larger change in colors recognized according to color temperature in G, BG, B, and PB type tones compared to other colors from the visual testing method. That is, when the higher color temperatures are in the short and medium wavelengths, and the higher chroma is deep, GY-type tones are recognized as G-type tones. This color trend is analyzed by decreasing the relative spectral energy in the long wavelength parts and increasing the relative spectral energy in the short wavelength pats of LED lighting sources, according to higher color temperatures. 3) It is shown that Y-type, GY-type, PB-type, and P-type tones are confused with achromatic colors that are similar in brightness. Particularly, high brightness Y colors, frequently used for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can be confused with high brightness achromatic colors they should be assigned different brightnesses in color plans or should not be used together. Also, under LED lights with relative spectrum energies in the medium and long wavelength ranges (like low color temperature 3163K in this study), the confusion range between Y colors and achromatic colors can become broader. Therefore color plan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 KCI등재

        고령자의 색지각 변별력에 관한 연구

        이진숙(Jin-sook Lee),박지영(Ji-yo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NCS 표색계를 활용하여 노랑, 빨강, 파랑, 초록의 4가지 기본색에 대하여 흑색도 및 순색도, 흑순색도, 색상 혼합 비율의 차이에 따른 실제 고령자 시각에서의 색지각 변별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 동일 면적 크기로 인접색을 제시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 지각하는 범위를 도출하였고, 2) 동일색 추출 실험을 통해 색 지각의 정확성을 파악하였으며, 3) 가독을 통해 인접색 간의 시인성 및 순간적으로 변별 가능한 범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백내장 수술 여부 및 백내장 진행단계의 정도, 기타 안질환 등에 따라 실험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일 면적 크기로 인접색을 제시했을 때, 동일 순색량에서 흑색량이 5% 이상 차이나는 경우와 동일 흑색량에서 순색량이 5% 이상 차이나는 경우, 백색량이 동일할 경우, 그리고 색상 혼합 비율이 10% 이상 차이나는 경우 인접한 색을 서로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일색 추출실험 결과, 피험자 모두 바탕색 위에 놓인 동일한 색의 작은 색지를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지각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바탕색과 동일한 색이지만 크기가 작은 색지의 색을 조금 더 짙거나 어둡게 보는 경향을 보였다. 3) 시인성 평가실험 결과, 눈의 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흑색도, 순색도, 흑순색도 차이에 따른 시인성은 높은 반면, 색상 혼합 비율에 따른 시인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순색량에서 흑색량이 10% 이상 차이나는 경우와 동일 흑색량에서 순색량이 10% 이상 차이나는 경우, 그리고 백색량이 동일한 경우 순간적으로 가독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상 혼합 비율이 20% 이상 차이날 때 R, B, G계열은 순간적으로 가독 가능한 반면, Y계열은 가독이 가능하나 R, B, G계열보다 흐릿하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experiment on color perception discrimination from the eyes of the elderly with the ‘NCS(Natural Color System)’ according to black chromaticity, pure chromaticity, black pure chromaticity, and the change of color mixing ratio on the four basic colors of yellow, red, blue, and green. The experiment i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hen the adjacent colors in the same size are presented, the range that they recognize them as different colors is identified. Second, the accuracy of color percep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same color extracting experiment. Third, the visibility between adjacent colors and the possible range of instantaneous discrimination are identified through reading. In addition, it is compared and analyzed if the result of experiment varies depending on cataract surgery, cataract progression stage, and other eye disease.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se the adjacent colors in the same size are presented, it is identified that they recognize them as different colors if the amount of black differs more than 5% in the amount of same pure color and if the amount of pure color differs more than 5% in the amount of same black and if the amount of white is same and the color mixing ratio differs more than 10%. 2) As a result of the same color extracting experiment, it is identified that all subjects recognize and extract the same-colored small paper placed on top of the background color as very similar or same color. And, they show a tendency to recognize the color of smaller-sized paper as a little bit darker color even if it is as same as the background color. 3) As a result of the visibility experiment,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eyes, the vi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of black chromaticity, pure chromaticity, and black pure chromaticity is high, but the vi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color mixing ratio is significantly low. It is identified that the reading is instantaneously possible if the amount of black differs more than 10% in the amount of same pure color and if the amount of pure color differs more than 10% in the amount of same black and if the amount of white is same. It is also identified that if the color mixing ratio differs more than 20%, the colors of R, B, G series are readable instantaneously, but the color of Y series is recognized lighter than the colors of R, B, G series even though the color of Y series is readable.

      • KCI등재

        논문 : 색과 물리주의: 색 변이(color variation)의 문제

        김효은 한국과학철학회 2008 과학철학 Vol.11 No.1

        최근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색 물리주의에 따르면 색은 반사율 유형이며 지각자나 주변 색 환경과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 반론은 동일한 색 표면에 대하여 여러 지각자들이 상이한 색 경험을 가진다는 것이다. 물리주의자들은 온도에 대한 물리주의적 설명이 온도와 관련된 지각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처럼, 색 물리주의도 색의 경험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이에 따라 색 변이의 문제는 색 물리주의에 존재론적 문제가 되지 않고 단지 인식론적 문제일 뿐이라고 한다. 이는 직관에도 부응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지를 얻는다. 필자는 반례를 통해서 물리주의의 색 변이에 대한 설명이 허수아비 논증이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색 변이의 문제는 단순히 인식론적 문제가 아니라 존재론적 문제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중성색의 특성

        홍가영(GaYeong Ho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2

        서로 가장 다른 색상인 1차색은 빨강, 노랑, 파랑으로 더 이상 다른 색으로 분해할 수 없으며, 2차색은 주황, 초록, 보라로 두 원색 사이의 시각적인 중간지점이다. 3차색 즉, 중성색은 회색 또는 갈색으로 보색 간에 혼합됐을 때, 구별이 가능한 아무런 색상도 만들어 내지 않는 색상의 쌍을 뜻한다. 보색 간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중성색은 기본색에 비해 연상되는 색이 불분명하고, 어떤 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명확하게 떠올리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성색 판단 실험을 통해 실제 사람들이 지각하는 중성색의 색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성색이다’ 또는 ‘중성색이 아니다’를 판단하는 데에 있어서 명도에 의한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을수록 더 중성색으로 지각하며, YR영역의 a*값과 b*값 또한 낮을수록 중성색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색이 비선택 옵션 선호에 미치는 영향

        구지은(Koo, Jieun)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제품 정보의 배경색에 따라 소비자가 선택을 연기(choice deferral)하는 확률이 달라지는 가를 탐구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선택 연기는 소비자가 선택에 어려움을 느낄 때 주로 발생한다. 선택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상황은 대안 간 매력도가 비슷하거나 대안의 수가 너무 많을 때이다. 하지만 정보 제시 방법에 따라서도 선택을 연기하는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정보의 배경색이 수축색이냐 팽창색이냐에 따라 비선택 옵션(no-choice option)에 대한 선호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물체라 하더라도 그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보이게 하는 색이 존재한다. 전자를 팽창색이라 하고 후자를 수축색이라고 한다. 이러한 색은 공간의 크기를 지각하는 데도 영향을 미쳐 팽창색으로 칠해 진 공간이 수축색으로 칠해 진 공간보다 더 넓게 느껴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팽창색 또는 수축색에 노출되기만 해도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싼 공간의 크기를 심리적으로 크게 또는 작게 지각한다고 주장한다. 즉 팽창색 보다 수축색에 노출된 소비자는 공간의 제약을 강하게 느끼고 그 결과 심리적 밀폐감이 높아진다. 이러한 밀폐감은 개인의 통제(control)나 자유(freedom)가 훼손된 것으로 이해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개인은 저항행동(reactance behavior)을 보이게 된다. 이 때 비선택 옵션은 주어진 대안을 거절하는 직접적인 저항행동부터 새로운 대안을 추구하려는 간접적인 저항행동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축색에 노출된 소비자는 저항행동의 일환으로 비선택 옵션을 선호하게 된다. 이러한 가설은 세 개의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 1과 2에서는 수축색이 심리적 밀폐감을 높이고 비선택 옵션에 대한 선호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3은 본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1, 2와는 다른 제품군을 사용하여 효과를 재확인 하였다. 또한 비선택 옵션의 프레이밍을 변화시켜도 저항행동의 범위 안에 들어간다면 수축색 조건에서 비선택 옵션에 대한 선호도가 일관되게 상승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This research tests the influence of a background color on consumers" non-purchase decisio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difficulty in making a choice increases choice deferral. Hence, prior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preference for a no-choice option i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similarity in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or the number of choice options. This research presents a novel finding that the background color of product information can also affect the preference for a no-choice option. Colors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size of an object. Expansive colors make an object appear bigger than the actual size whereas contractive colors make an object appear smaller. For example, a room painted with an expansive color is perceived to be more spacious than a room painted with a contractive color. Extending the previous research to product choice setting, we contend that mere exposure to expansive or contractive colors inflates or deflates, respectively, the perceived size of space surrounding individuals. In other words, consumers exposed to a contractive color feel that space is restricted, resulting in higher perceived confinement. Consumers perceive psychological confinement as a threat to their control or freedom and tend to show reactance behaviors to regain their control. As a no-choice option plays the role of reactance behavior, consumers exposed to a contractive color are more likely to choose a no-choice option. Three lab studies examined theses hypotheses. Studies 1 and 2 showed that a contractive color increased the perceived confinement and the choice likelihood of a no-choice option. Study 3 generalized Studies 1 and 2 by employing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and confirmed the proposed effect. Also a slight modification of the framing of a non-purchase decision did not affect the strong preference for a no-choice option in contractive colors as long as the no-choice option implied a reactance behavior.

      • 일반 실내 환경에서의 색차 지각

        Hyosun Kim,Young Jun Seo,Byungchoon Yang 대한인간공학회 2014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Objective: 두 색의 차이를 지각할 수 있는 역치값이 외광이 있는 실내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색차 지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색차 지각 실험의 외적 타당도를 넓히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수행되었다. Background: 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을 살펴보면 사무실이나 카페, 가정 등과 같이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많으므로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의 색차 지각을 살펴보는 실험이 필요하다. Method: 일반 사무실내에서 정신물리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제시된 두 개의 패치의 색이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Results: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red primary를 기준으로 yellowish 방향으로 변화하는 색에 대해서 purplish 방향으로 변화할 때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또한, 비전문가에 비해 더 민감하게 색 차이를 지각하였다. Application: 본 실험 결과는 외광이 있는 사용환경을 가정할 때 적용 가능한 색 차이의 역치값을 구하고,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사내에서 색 지각 실험을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들에 대한 함의를 제공해준다.

      • KCI등재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과 선호 유사배색의 특성

        김영인(Young-In Kim),한소원(So-Won Hahn),김희연(Hee-Yeon Kim),홍윤정(Yun-Jung Hong)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이 연구는 시각의 노화에 따른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색채속성에 근소한 차이를 준 유사배색에 대한 색채지각 민감도를 분석하고 유사배색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CS를 사용하여 흑색도, 순색도, 색상의 색채속성이 색채지각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색채속성과 색채지각 민감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색채속성이 유사배색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화에 따른 색채지각 민감도와 색채선호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노화에 따른 색채지각의 변화차이를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50∼70대와 20∼30대의 연령대에 따른 두 그룹으로 설정하여 색채지각 민감도 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0∼70대는 20∼30대에 비해 명도에 근소한 차이를 준 유사배색에 대해 더 민감하게 지각하였고, 명도에 차이를 준 유사배색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색채속성이 색채지각 민감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명도에 차이를 준 유사배색을 민감하게 지각하는 색채영역을 살펴본 결과, 50∼70대는 20∼30대에 비해 Y색상계열 유사배색을 민감하게 지각하였고 그중에서도 밝고 선명한(뉘앙스 2060)색조에서의 유사배색을 가장 뚜렷하게 지각하였다. 명도에 차이를 준 유사배색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여성의 경우 Y색상계열 유사배색을 가장 선호하여 색채지각 민감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 B색상계열 유사배색을 가장 선호하여 색채지각 민감도와 선호도간의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선호하는 색조는 색채지각 식별도가 가장 높았던 밝고 선명한(뉘앙스 2060) 색조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시니어 세대를 위한 색채기획 시 유사배색을 기본으로 색상과 색조영역을 선택할 경우 색채지각 민감도와 선호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of senior generation by analysing color perception sensitivity and color preference for analogous color combination with different color attribute. The study focuses on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color attribute(blackness, chromaticness, hue) and color perception sensitivity.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NCS color system is utilized and the analysis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erception sensitivity and color prefer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50s∼70s age group perceive more sensitive to similarity color combination with brightness difference than 20s∼30s age group and analogous color combination with brightness difference is preferred by 50s∼70s age group. Therefore, influence of color attribute on color perception sensitivity and preference is consistent. 2) 50s∼70s age group perceive more sensitive to analogous color combination in Yellow hues, especially the group shows high perception on brilliant chromatic nuance(2060). In the preference for analogous color combination, women prefers Yellow hues and light clear nuance(2020) & toned dark deep nuance(2060). Men prefers Blue hues and brilliant chromatic nuance(2060).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we propose that both color perception sensitivity and preference need to be considered for color planning of analogous color combination targeting senior generation aged 50s∼70s.

      • KCI등재

        표면특성으로서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영지 ( Hwang Yeong Ji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표색계가 개발된 이후 특정 색에 대한 선호는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해왔다. 그러나 단일 색에서 나타나는 선호 경향이 물체에 적용된 색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기존 연구는 이에 대해 물체의 기능이나 의미적인 맥락이 선호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디자인 과정에서 선호 요인으로서 물체의 맥락에 적합한 색도 중요하지만, 미적 선호가 있는 색을 찾아내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체의 맥락을 제외하고도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에서는 두 가지 가설을 확인하는데 첫째, 기능이 없는 물체에서도 특정 색 선호경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둘째, 광학적 관점에서 색과 투명성을 동시에 드러나는 표면특성으로 봄으로써 물체의 투명성이 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선정된 200명의 피실험자에게 기능이 없는 기하학적 물체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물체색에 대한 선호도를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했다. 설문에 사용된 물체 이미지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특정한 색과 투명성이 동시에 드러나도록 렌더링했다. 색과 투명성은 먼셀표색계를 기반으로 하는 KS 기본색 6가지(빨강, 노랑, 연두, 초록, 파랑, 보라)에 3가지의 투과도(불투명, 반투명, 투명)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결과)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기능이 없는 물체에서도 특정 색 선호 경향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물체의 맥락 외에 다른 요인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색에서 투명한 물체색을 불투명한 물체색보다 선호했다. 다만, 빨강과 노랑은 투명성과 선호도 간의 관계에서 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빨강은 반투명을 투명보다 선호하고 노랑은 반투명보다 불투명을 선호했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면특성으로서 색과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색의 선호 요인을 색상, 명도, 채도로 분석해왔으며, 일부 연구는 물체색과 관련하여 물체의 기능이나 의미적 맥락을 선호 요인으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능이 없는 물체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표면특성인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Because the color preference in simple colors does not appear in the object, some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an object's function or context affects its color preference. In the design process, object color appropriateness is important as a preference factor, but finding a property that enhances that color's visual attractiveness is still an important tas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color preference appears even excluding the functional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object color as an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surface from an optical perspective and finds a surface property that affects object color preference. (Method) Specifically, we address two main questions about object color preference. Firstly, do object color preferences appear even in contextless object color? When the object color preference appears in contextless object, surface factors can be explained because object color in this study was only affected surface property. Next, we look at whether transparency, which is a surface property, affects color preference. To this end, 200 subjects were shown 18 images of objects without function or meaning, and they were asked to rate how much they liked each object color on a 5-point scale. The object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created using a 3-D modeling program and rendered to express a specific color and transparency at the same time. (Results) As a result, first, we confirmed that object color preferences exist in objects without apparent function. This illustrates there is another factor affecting color preference that is not related to function. Second, on average, transparent objects are more likely to be preferred when it comes to object color. In particular, transparency wa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bject color preference even more so than color. The results were transparent yellow-green, green, blue, purple were all favored over their translucent and opaque counterparts.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ecause red and yellow did not show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color preference. People preferred translucent red over transparent red and opaque yellow over translucent yellow.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color and transparency as surface properties determine object color preference.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hue, value, and saturation as factors of color preference. In particular, som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object's functional context is a factor of object color preference. However, by confirming color preference even in objects without function and meaning, we suggest that transparency influences object color preference.

      • KCI등재

        그린 정책과 색 이미지 연구

        주미경(Joo Mi-kyung)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그린 운동이 국가적 차원의 그린 정책으로 정착되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가적 그린 정책 실행 . 과정에서 그린 정책과 색 이미지 연상관계를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색은 인간에게 시각적, 정서적, 감성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간과 색은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 작용으로 관계가 형성되어 진다. 나라마다 색 정서는 차이가 있으며 국가별 정책 실현 시에 민족적 색 감성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 이미지에 대한 효율적 인지를 도울 수 있다. 현대는 국가와 기업, 개인의 이미지 실현을 위하여 홈페이지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됨으로 그린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 중 관련 4개국 홈페이지 8곳을 조사하여 그린정책과 색이미지 관련성분석을 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현재 상용 색표집인 먼셀 색표계(Mumsell System)의 그린계열과 근간 색을 선택하여 국가 그린 정책과 그린 색에 대한 개인적 기호색상과 연상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그린계열 전통색은 국립현대 미술관의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2차 시안 CMRK와 RGB로 변환한 색표집에서 색 이름은 표준 전통색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한국전통색 중 청록색계(靑綠色界)에서 녹색부터 흑록색까지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나라별 그린 운동과 관련 색상이미지 차이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일반적 그린 이미지와 그린정책 이미지는 연두색으로 동일하다. 셋째, 우리나라 그린 계열 이미지는 풀색이다. 넷째, 우리나라 그린 전통 색 이미지는 초록색으로 표현되었다. 다섯째, 우리나라 그린 이미지는 성별, 연령별 모두 연두색으로 표현되었다. The green movement in the world was settled to be national level of green policy to be in force. At the time, the study examined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green policy and color images at practical process of national level of green policy. The colors may have visual, emotional and sentimental influence upon men, and not only men but also colors can have relations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lor emotion may vary depending upon each country, and research on ethnic color image at policy management of each country may help cognize political images effectively. In modern days, homepage was most actively used to manage images of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individuals, so that the author investigated eight home pages in four countries that put green movement into practice, and examined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and color imag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author selected green group and fundamental colors from Munsell notation, current commercial color chart, and investigated not only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but also individuals" preferred colors and associated images on green color. The green group"s traditional colors followed traditional color name of color chart that converted not only the Korean traditional standard color names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t also secondary tentative plan CMRK and RGB of colors, and selectively investigated from bluish green group to green and dark green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by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were: Firstly, color images regarding green movement varied depending upon each country. Secondly, not only common green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image was yellowish green. Thirdly, green series image of Korea had grass color. Fourthly, traditional color image of green in Korea was expressed to be green. Fifthly, green image of Korea was expressed to be yellowish green regardless of ages and gender.

      • KCI등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색지각 변화 특성

        정현선 ( Hyun Sun Chung ),김예원 ( Yea Wom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사회전반의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현 사회는 2050 년에 이르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때문에 노인에 대한 배려와 편의, 안전, 교육 등에 대한 고려가 중요시 될 것이라 예측된다.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시지각변화는 노인을 위한 전문 색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65 세이상 노인의 색지각 능력과 파장이 다른 색간의 분별력이 일반 사람들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노인이 유사한 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을 위한 전문적인 색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세부적인 분석을 하고자 했다. (구)산업자원부에서 산업표준화 작업으로 개발한 플라스틱 700 색 컬러칩을 통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이색상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색상의 차이가 비교적 큰 영역은 먼셀 기본 10 색상 중에서 단파장계열색인 청록(BG), 파랑(B), 남색(PB) 색상을 구별하기 힘들었다. 이는 노인들이 노화가 진행되면서 시지각의 변화로 일어나는 황반현상으로, 수정체의 황색화로 단파장을 지각하기 어렵다는 이론적 사실과도 일치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의 시각을 고려한 전문 색채 프로그램 개선방향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색지각을 높이기 위한 장파장, 중파장 색채의 사용이 요구된다. 기본 색상 중 단파장인 색상 청록(BG), 파랑(B), 남색(PB)의 명도값은 저명도를 제외한 중명도 이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채도값은 저채도를 제외한 색값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노인이 바라보는 색의 범위와 인지 불가능한 색군을 구분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기능적인 색 범위를 선정하여 개발되어지면 색을 활용한 노인 전문 색채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방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ing population of elderly groups led to the aging society and as a consequence, the society is now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50. That is why this study assumes that considering matters from looking after the elderly to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aged. As far as the study understands, the aged people`s visual and perceptual changes will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pecial development of colors targeting the elderly. With the knowledge on how people aged over 65 find it more difficult to perceive colors and to distinguish a color from another of a different wavelength than the normal crowd, the study first aimed to look into how the elderly recognize similar colors and then, made an in-depth analysis in order to design a professional color program.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on plastic color chips in 700 colors that the former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d revealed that BG, B and PB which are included in a category of short-wavelengths are observed as these ranges of relative impressive color differences in how the aged would perceive colors. What the study had noticed was regarded as the yellow spot symptom and, the study found out that its result agrees to a theoretical fact that argues how the yellowed eyesight makes it hard for the aged to recognize the short-wavelengths. Now,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any relevant fields try to design special color programs targeting the elderly, they should limit brightness values of BG, B and PB to be intermediate and higher with low brightness values excluded and when it comes to chroma values, the development should focus on these color values that do not have low chroma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