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산 항공용 복합소재 개발 및 복합소재 인증

        김상용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국방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고성능 전략/전술 항공기들은 기체구조의 주소재로 복합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항공 무기 체계들은 주로 해외 도입된 복합소재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탄소섬유 등 복합소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소재들은 전략 물자로 분류되어 고도의 무기체계 개발에 적용할 경우 수출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국방 분야에서는 복합소재의 공급 안정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항공용 복합소재의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재 기술 확보를 위해서 항공용 복합소재를 국산화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재는 350℉ 경화용 항공용 고인성 유리섬유 직물 프리프레그, 350℉ 경화용 항공용 고인성 T-800 탄소섬유 일방향 프리프레그, 350℉ 경화용 항공용 고인성 T-800 탄소섬유 직물 프리프레그, 250℉ 경화용 항공용 T-700 탄소섬유 직물 프리프레그 4종이다. 개발된 소재 4종은 라미나 시험을 통해서 소재 특성을 확인하였고 개발 복합소재를 활용 소형 비행체 날개를 제작하여 적용성 연구도 수행하였다. 또한 제작된 소형 비행체 날개는 비행하중을 모사한 정적구조시험을 수행하여 국산 항공용 복합소재의 구조적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소재의 국산화 개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산 복합소재에 대한 국내 수요가 확보되어야 한다. 미국의 FAA에 운영하는 AGATE/NCAMP와 같은 복합소재 인증을 통한 신뢰성 있는 물성 공유 시스템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미 국토교통부에서는 민수 복합소재 인증 절차를 수립하고 시범사업을 통해서 국산 복합소재 인증을 수행하고 기본 물성이 공유되었다. 국방 분야에서 개발된 국산 항공용 복합소재의 인증 절차 정립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미래모빌리티를 위한 차세대 경량구조복합재료 검토: 자기강화복합재료의 적용 가능성

        김미나 ( Mi Na Kim ),장지운 ( Ji-un Jang ),이혜성 ( Hyeseong Lee ),오명준 ( Myung Jun Oh ),김성륜 ( Seong Yun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3 Composites research Vol.36 No.1

        미래모빌리티의 발전 기대에 따라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경량구조용소재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섬유강화복합재료(FRP,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 및 낮은 무게로 인해 기존 합금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 carbon FRP) 및 자기강화복합재료(SRC, self-reinforced composite)의 산업 적용 및 연구 동향을 강화재, 고분자 매트릭스 및 공정에 기반하여 검토하였다. 항공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에폭시 수지 기반 오토클레이브 공법의 높은 공정단가 및 긴 제조시간을 극복하기 위하여, 속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고압수지이송성형 공정으로 CFRP가 적용된 전기자동차의 양산을 보고하였다. 또한, 탄소섬유복합재료의 재활용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기반 CFRP 및 계면 향상 방안들이 재료 및 공정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FRP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유도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진 완벽한 매트릭스-강화재 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분자 섬유에 동일한 매트릭스를 함침시킨 SRC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열가소성 고분자에 기초한 SRC의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들을 고분자 배향 및 복합재료 구조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고연신 폴리프로필렌 섬유 기반 SRC의 공정창 확장을 위한 공중합체 매트릭스 전략이 논의되었다. 경량구조용소재의 CFRP 및 SRC 적용은 미래모빌리티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Demand for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expectations of future mobility.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s are known as a metho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particular,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RP)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existing metal alloys due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light weight. In this paper, industrial applications and research trends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CFRP, carbon FRP) and self-reinforced composites (SRC)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inforcement, polymer matrix, and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overcome the expensive process cost and long manufacturing time of the epoxy resin-based autoclave method, which is mainly used in the aircraft field, mass production of CFRP-applied electric vehicles has been reported using a high-pressure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including fast-curing epoxy. In addition, thermoplastic resin-based CFRP and interface enhancement methods to solve the recycling issue of carbon fiber composites were reviewed in terms of materials and processes. To form a perfect matrix-reinforcement interface, which is known as the major factor inducing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studies on SRC impregnated with the same matrix in polymer fibers have been repor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RC based on various thermoplastic polymers were reviewed in terms of polymer orientation and composite structure. In addition, a copolymer matrix strategy for extending the processing window of highly drawn polypropylene fiber-based SRC was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CFRP and SRC as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s can provide potential options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future mobility.

      • KCI등재

        실리콘 함량에 따른 리튬이온전지용 실리콘/탄소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최연지,김성훈,안욱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4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소재 연구에서 실리콘 기반의 음극 활물질 개발이 필수적이며, 탄소기반의 실리콘-탄소 복합소재의 음극 적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반도체와 태양광전지 산업에서 폐기물로 버려지는 실리콘 자원이 증가하여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지 음극소재로서 재활용된 실리콘을 이용하여 탄소와 복합화를 이루었으며, 실리콘 음극소재의 높은 용량 유지 특성 및 사이클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재활용 된 실리콘과 피치의 함량을 조절하여 복합화의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였다. 실리콘 : 피치의 질량비를 1 : 1 과 2 : 1을 가진 복합체를 간단한 자가조립 방법으로 복합화 하였으며, 석유계 피치로 코팅하여 제조된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소재는 충․방전 동안 발생되는 실리콘의 구조적 파괴를 방지하 는 방법으로 우수한 초기용량과 사이클 안정성을 달성하였으며, 재활용 실리콘의 전극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t is necessarily required in developing Si-based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re actively working especially in Si-carbon composite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photovoltaic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discard huge amount of Si resources, facing the environmental issue. In this study, recycled Si resource is adopted to obtain Si-carbon composite for LIB(Lithium-Ion Batteries). In order to improve high-capacity retention characteristics and cycle stability of a Si anode material for the LIB, two differenct composites having a mass ratio of silicon and pitch of 1:1 and 2:1 are synthesized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ode material manufactured by simple self-assembly method. This result in excellent initial capacity with stable cycle life, and confirming the potential use of recycled Si material for LIB.

      • KCI등재

        방호 ∙ 방폭 보강용 복합섬유 패널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

        Woonhak Kim,Seokwon Kang,Seunggyu Y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2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호․방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방법으로 배면보강이나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보강에 따른 방법과, 구조 부재나 지지물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저항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하였을 때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의 각 단층 구성 재료에 고인장, 경량화, 부착성능, 내화성능 등을 향상시켜 단층 각각의 개별적인 특수 성능과 복합패널 구성물로서의 방호방폭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섬유복합패널 외피와 충전제로서 나노복합소재 및 접착제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복합패널 외피(아라미드-폴리에스터 비 6:4, 6.5:3.5)의 최대 인장강도 2,348MPa, 최대 신율 1.8%의 값을 얻었고, 나노복합소재와 접착제를 혼합한 충전제의 최대 인장전단접착강도 4MPa을 얻었다. 또한 나노복합소재로 제작한 충전제는 보통포틀랜드시 멘트의 30%의 경량화의 결과를 얻었다. The methods to improve the protection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s include the backside reinforcement or concrete material property improvement and the addition of structural members or supports to increase the resistance performance, but they are inefficient in terms of economic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about the basic study on the fiber composite panel cover, and the nano-composite material and adhesive as the filler, to maximize the specific performance of each layer and the protection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as the composite panel component by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light weight, adhesion and fire-proof performances. The fiber composite panel cover (aramid-polyester ratios of 6:4 and 6.5:3.5) had a 2,348 MPa maximum tensile strength and a 1.8% maximum elongation. The filler that contained the nano-composite material and adhesive had a 4 MPa maximum tensile shear adhesive strength. In addition, the nano-composite filler was 30% lighter than the normal portland cement

      • KCI등재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복합관 부재의 정적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신종호,김강현,김두래,지효선,Shin, Jong-Ho,Kim, Kang-Hyun,Kim, Doo-Rae,Ji, Hyo-Se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2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관구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복합신소재 구조부재의 적층형태별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복합신소재는 일반적으로 등방성 재료와 달리 치수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신소재 부재의 적층형태별 인장시험을 상온($20^{\circ}C$)과 해수온도($0^{\circ}C$)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또한, 이론적 해석방법인 혼합물의 법칙과 탄성해법을 적용하여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추정하고 시험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해저터널 복합신소재 배수관 구조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역학적 성질의 값은 상온에서 얻어진 값을 보정하여 적용하여야 된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해저터널용 복합신소재 배수관구조의 설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design an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drainage pipe structures for an undersea tunnel,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lamina types of the structural member must be predetermined. It is also reported that the size effect of the specimen is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tensile tests for the lamina types of the structural member are conducted at the room temperature ($20^{\circ}C$) and the seawater temperature ($0^{\circ}C$). In add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predicted by theory based on the rule of mixtures and elasticity solution technique. The predicted mechanical properties are compared with test results obtained by a test method. In the design of an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drainage pipe structural members for an undersea tunnel, the used mechanical properties must be applied at the room temperature with considering the modified factors. These are to be offered the datum for the design an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drainage pipe structures for an undersea tunnel.

      • KCI등재

        한지 패션소재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제2보)

        김영은(Kim, Young Eun),이혜주(Lee, Hea Ju),조지현(Cho, Ji-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3 조형디자인연구 Vol.6 No.2

        4종의 YY, WY, YYG, WYG 한지복합소재에 대해 풋감즙 염색을 행한 결과, 염색을 행하지 않은 한지 복합소재에 비하여 소재가 단단하고 뺏뺏하게 변화되면서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상자형의 실루엣을 이루는 패션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염색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 차이는 대채로 한지복합소재의 생지 상태와 유사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염색을 행하지 않은 생지 상태의 한지복합소재에 관하여 여성적인 느낌이 든다고 응답한 반면,감염색 이후에는 '남성적인/여성적인' 양극에 치우침이 없는 응답이 나타나 다양한 소비자층의 소재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terest in natural dyeing has been increased in fashion because the consumer has preferred produ ct s based on green mark eting recent ly. This research was perform 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echanical proper ties and hand with repeated an ast ringe nt persimmon dyeing by KES-FB system. Experimental fabr ics were those tY'i', WY. YYG. WYG) used in the previous paper t I ), Diffe rent four kinds of fabrics us ing two Korean traditional paper s tY: the highes t grade paper , W: high grade paper ) and compound materi als tY'r' : sewing on the paper 'Y'. WY: sewing on the paper 'W' , YYG: sewing cotton ga uze on 'YY' , WYG: sewing cotton ga uze on 'WY' ). This research IS intend ed to help th e development of new fabrics satisfied both prac tica l and emotional purp ose. The resu lts obtained from thi s research were as follow : 1. Koshi of YYG had the highest value respectiv ely in comparison without dyeing. Th at of YY was the lowest with 7th astringent persimmon dyeing . As repeated dyeing increased, those of WY were increased. Whereas those YYG, WYG were the highest with first as tringent persimmon dyeing. 2. Numeri of WYG had the highest value respectively in compan son without dyeing. Those of WY, WYG, were decreased, as repeated dyeing increased. 3. Fukurami was shown as the order WYG>WY >YYG>YY. And those of all kinds were decrea sed gradually as astringent persimmon dyeing repeated.

      • KCI등재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듈 커버의 3D 프린팅 제작을 위한 GF/PC 복합소재 필라멘트 설계와 3D 프린팅 공정 및 구조 최적화

        유정욱 ( Jeong-wook Yoo ),이진우 ( Jin-woo Lee ),김승현 ( Seung-hyun Kim ),김윤철 ( Youn-chul Kim ),서종환 ( Jong-hwan Suhr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1 Composites research Vol.34 No.4

        전기자동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량 경량화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커버를 기존 알루미늄 소재에서 알루미늄 대비 절반 수준의 무게를 가지는 고강도/고내열성 고분자 복합소재로 대체하고자 한다. 또한 복잡한 형상에 대한 제약이 없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리한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하여 기술 변화가 빠른 초기 전기자동차 시장에 대응하고자 한다. 복합소재 역학에 기반하여 압출기를 통해 가공한 단섬유 GF(glass fiber)/PC(polycarbonate) 복합소재 내 유리섬유의 임계길이(critical length)가 453.87 μm임을 도출하였고, 사이드 피딩(side feeding) 방식의 가공법을 택함으로써 기존 365.87 μm이었던 잔류섬유길이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분산성을 향상시켰다. 이에 30 wt%의 GF가 함유된 GF/PC 복합소재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135 MPa, 탄성계수(Young’s modulus) 7.8 MPa의 최적의 물성을 구현하였다. 또한 3D 프린팅 필라멘트가 상용 필라멘트 규격인 두께 1.75 mm, 표준편차 0.05 mm를 만족하기 위해서 필라멘트 압출 조건(온도, 압출속도)을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필라멘트를 통해 기공률을 최소화하며 강도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위해 프린팅 속도를 최대화하는 다중 최적화 문제를 통해 3D 프린팅 공정조건(온도, 프린팅 속도)을 최적화하였고, 이로써 기존 상용화 되어있는 동일 소재 필라멘트 대비 인장강도 11%, 탄성계수 56%가 향상된 결과를 얻었으며, 출력물의 후처리(post-process)를 통해 후처리 전 대비 인장강도 5%, 탄성계수 18%를 추가로 향상시켰다. 끝으로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 기법을 활용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듈 커버의 시험 규격(ISO-12405)의 Mechanical Shock test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배터리 모듈 커버의 구조를 최적화하였고, 이로써 배터리 커버 시험규격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알루미늄을 사용했을 때 대비 37%의 경량화를 달성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 및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향후 다양한 분야에 고분자 복합소재 3D 프린팅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electric vehicle market grows, there is an issue of light weight vehicles to increase battery efficiency. Therefore, it is going to replace the battery module cover that protects the battery module of electric vehicles with high strength/high heat-resistant polymer composite material which has lighter weight from existing aluminum materials. It also aims to respond to the early electric vehicle market where technology changes quickly by combining 3D printing technology that is advantageous for small production of multiple varieties without restrictions on complex shapes. Based on the composite material mechanics, the critical length of glass fibers in short glass fiber (GF)/polycarbonate (PC) composite materials manufactured through extruder was derived as 453.87 μm, and the side feeding method was adopted to improve the residual fiber length from 365.87 μm and to increase a dispersibility. Thus, the optimal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135 MPa and Young's modulus 7.8 MPa were implemented as GF/PC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30 wt% of GF. In addition, the filament extrusion conditions (temperature, extrusion speed) were optimized to meet the commercial filament specification of 1.75 mm thickness and 0.05 mm standard deviation. Through manufactured filaments, 3D printing process conditions (temperature, printing speed) were optimized by multi-optimization that minimize porosity, maximize tensile strength, and printing spe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hrough this procedure, tensil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were improved 11%, 56% respectively. Also, by post-processing,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were improved 5%, 18% respectively. Lastly, using the FEA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over was optimized to meet the mechanical shock test criteria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 cover (ISO-12405), and it is satisfied the battery cover mechanical shock test while achieving 37% lighter weight compared to aluminum battery module cover.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3D printing technology of polymer composite material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 KCI등재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에 의한 강재 및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성능 비교

        김승억,조판규,홍갑의,전신열,Kim, Seung-Eock,Cho, Pan-Kyu,Hong, Kab-Eui,Jeon, Shin-Youl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2

        A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has been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has been compared with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s the structural strength performance,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ccording that the deformation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17.0% of that of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s the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ccording that THIV and PHD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are 47.1% and 49.0% respectively of those of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s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fter crash,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showing the increased exit velocity and the reduced exit angle. Both of the steel and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are not scattered in the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개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복합소재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구조적 강도 성능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경우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변형이 17%로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보다 강도 성능이 우수하였다. 탑승자 보호 성능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THIV 47.1%, PHD 49.0%로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보다 탑승자 보호성능이 우수하였다. 충돌 후 차량의 거동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이탈속도가 증가하고 이탈각도가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방호울타리 보다 충돌 후 차량의 거동이 우수하였다.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비산 측면에서, 강재 및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비산이 발생하지 않았다.

      • KCI등재

        LNGC 경량화를 위한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의 복합소재 적용 연구

        배경민 ( Kyong-min Bae ),임윤지 ( Yoon-ji Yim ),윤성원 ( Sung-won Yoon ),하종록 ( Jong-rok Ha ),조제형 ( Je-hyoung Cho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1 Composites research Vol.34 No.1

        조선해양 산업에서 선박의 에너지 절감과 운항효율 향상을 위한 부품의 경량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서, 고강도의 경량소재인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부품소재로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C 경량화를 위해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강화섬유로 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복합소재의 강화재료와 기지재료의 물성을 역계산하여 섬유 적층 패턴별 물성 변화에 따른 성능 예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를 통해 복합소재 두께에 따른 클램프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량화를 위해 클램프의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적용시 두께 선정에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완 설계 시 구조물의 형상변경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변경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as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weight of parts to reduce energy and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of ships is required, a method of applying fibers-reinforced composites which is high-strength lightweight materials, as part materials can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ibers-reinforced composites to the pipe support clamps was evaluated to reduce the weight of LNGC. The fibers-reinforced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using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as reinforcing fibers.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the propertie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and the matrix materials of the composites were inversely calculated, and the performance predic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each fiber lamination pattern. In additi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clamp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s was perform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ttention is needed in selecting the thickness when applying the fibers-reinforced composites of the clamp for weight reduc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structure and change the structure for weight reduction in future supplementary design.

      • KCI등재

        급속시 공용 복합신소재 교량상부구조의 구조 성능

        지효선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0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 No.1

        본 논문은 국내에서 최초로 완전 복합신소재 교량을 현장 적용하여, 실제 차량하중 재하실험 및 공용 중 내 하력 평가를 실시 하였고 설계 제작 설치 등을 기술하였다. 현장적용에 앞서 교량상부구조 설계에 대한 검증을 위해 축소모형 교량상부구조를 제작하여 실내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향후 복합신소재 교량의 설계 제작 설치에 대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장기거동 성능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없지만 복합신소재가 소형 교량에 혁신적인 재료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재하실험을 통한 공용중인 상태에서 복합신소재 교량의 내하력등급을 통하여 장기 성능실험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자료는 복합신소재 교량의 장기 성능평가에 자료로 제공 될 수 있다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manufacturing process, testing,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capacity-ratings of the first all advanced composites bridge on a public highway system. ln order to verify the bridge design prior to the field application, a sub-scale bual inspections were conducted under an actual service environment. The paper includes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for advanced composites bridge capacity rating based on the stress modification coefficients obtained from the test results. The test result indicates that the advanced composites bridge has no structural problems and is structurally performing well in-service as expected. Since these compos ite materials are new to bridge applications, reliable data is not available for their in-service performance. The results may provide a baseline data for future field advanced composites bridge capacity rating assessments and also serve as paπ of a long-term performance of advanced composites bri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