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이란 무엇인가

        박신화(Park, Shin-Hwa)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본 논문의 목표는 메를로-퐁티가 자신의 지각 철학 안에서 철학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특히 본고의 주 텍스트는 그의 유고작인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은 것』으로서 우리는 메를로-퐁티가 ‘최후로’ 도달한 철학 개념을 밝히려 했다. 메를로-퐁티에게 있어서 철학이란 무엇인가의 문제는 지각과 언어의 구분에서 비롯된다. 철학이 지각[경험]을 개념[언어]를 통해 사유하고 표현하는 것인 한, 철학이 무엇인가의 문제는 경험(자체)과 경험에 대한 언어적 표현의 관계는 무엇인가의 문제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다시 사유한다는 것의 의미, 말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의 문제이다. 그런데 메를로-퐁티는 자신의 초기 저작에서부터 이미 지각과 언어의 ‘동류성’에 주목했다. 그에 따르면, 지각과 언어를 경험의 주관적 개별적 영역과 객관적 보편적 영역으로 구분하는 전통적 이해와는 달리 발생 중의 언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드러나는바 언어는 철저하게 지각(적 현상)이다. 그런데 언어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철학사를 새롭게 조망하는 기회를 제공할 뿐더러 나아가 메를로-퐁티 자신의 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의미심장한 함축을 지닌다. 후기 메를로-퐁티의살 철학의 성과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는데, 사실 그의 살 철학의 성공 여부를 놓고 벌어지는 이 논란은 메를로-퐁티 자신이 살개념과 관련하여 모순되는 듯이 보이는 주장들을 편 데서 기인한 것이다. 우리는 논문에서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이 드러낸 이론적 난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우리는 언급된 난점은 비단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철학이 언어와 사유를 통해 진행하는 것인 한 철학 일반에 적용된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논문의 서두에서 ‘왜 메를로-퐁티는 새로운 존재론의 틀을 구상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철학의 본성의 문제에 그토록 천착했을까’를 자문했고, 이 물음을 그가 마지막에 도달한 철학 개념을 통해 해명함으로써 그의 살 철학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시도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what Merleau-Ponty thinks about the nature of philosophy. Especially, the main text of this essay is his posthumous work,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with which I tried to clear up Merleau-Ponty’s “final” concept of philosophy. For Merleau-Ponty,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philosophy comes from the separation between perception and language. Inasmuch as philosophy is interested in thinking about and expressing perceptions [experiences] through concepts [language],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philosophy lies in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itself and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experience. And the latter problem returns to what thinking is and what saying is. In his earlier works, Merleau-Ponty paid attention to the “structural identity” of perception and language. According to him, language turns out to be perceptual, if we analyze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genesis. By the way, such a conception of language gives us a new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an important insight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Merleau-Ponty itself as well. The problem of how to evaluate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whether it is successful or not, has caused a lot of controversy among annotators. And Merleau-Ponty himself 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is controversy; he makes an assertion that seems to contradict his concept of flesh. In this essay, I indicated what difficulty his concept of flesh involves. But, by extension, I argued that such a difficulty is not only applicable to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but also to philosophy in general, inasmuch as philosophy proceeds through language and thought. I asked at the very beginning of this essay: Why does Merleau-Ponty consider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philosophy so serious in the development of a new ontology? With regard to this question, I tried to reach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his philosophy of flesh by studying his final conception of philosophy.

      • KCI등재

        발달 심리학과의 대화를 통한 메를로-퐁티의 타자경험의 현상학의 변용과 발전

        이종주(Jong-Ju Lee)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2 No.-

        메를로?퐁티는 실증과학, 특히 당대 피아제의 발달심리학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타자경험의 현상학의 변용과 발달을 모색하였다. 메를로?퐁티의 비판적 재해석은 20세기 후반의 사회적 정서, 인지발달심리학의 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받고 있다. 그러나 재차 최근의 사회적 정서, 인지발달심리학의 성과들 중 일부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 단순히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비판받을 수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그의 현상학의 새로운 변용과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 속에서 본 논문은 세 가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첫째, 지각의 현상학으로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이념, 근본사태, 방법 및 이에 입각한 타자경험의 현상학의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당대의 발달심리학의 경험적 연구성과, 특히 피아제의 인지발달 심리학을 메를로?퐁티가 어떻게 비판하며 재해석했는지를 검토하면서 이와 같은 비판과 재해석의 타당성을 재차 20세기 후반의 발달심리학의 새로운 발견과 해석들에 의해서 정당화할 것이다. 셋째, 나아가 20세기 후반의 발달심리학의 새로운 발견과 해석들 중 메를로?퐁티의 타자경험의 현상학의 관점을 넘어서는 발견과 해석들이 무엇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발견들과 해석들이 어떤 점에서 메를로?퐁티의 타자경험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수용되기 어려운지 나아가 이런 새로운 발견과 이론들을 현상학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타자경험의 현상학적 관점은 어떤 체계를 갖추어야 하는지 그 대략적 윤곽을 그려볼 것이다. Meleau-Ponty searched of the modif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y of experience of others by reinterpretating critically contemporary positive sciences, for example piaget’s development psychology. His critical reinterpretation has been justified by recent social emotional-cognitive psychology. But some of discoveries of this psychology don’t correspondent to Meleau-Ponty’s phenomenology. Of course this doesn’t mean that his phenomenology is falsified, but rather that his phenomenology has a good opportunity to be modified and to be developed. This essay tries to compare Meleau-Ponty’s phenomenology of experience of others with discoveries of recent social emotional-cognitive psychology as well as with those of piaget’s developm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Meleau-Ponty’s phenomenology and these development psychologies this essay tries to modify and develop Meleau-Ponty’s phenomenology of experience of others.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과 경험의 발생론

        박신화(Sen-Ha Park)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5 No.-

        오늘날 메를로-퐁티의 살(chair) 철학을 둘러싼 해석의 갈등은 날로 첨예해지는 것 같다. 그 해석의 갈등은 하나의 철학 내에서 늘 있기 마련인 서로 다른 해석들 간의 충돌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의 살 철학을 근본적으로 옹호하는 입장과 이 철학의 토대 자체를 허물려는 해석적 입장들 사이의 대립이기도 한다. 한편에선 그의 살 철학 ‘내부에서의’ 해석들 사이의 충돌은 비록 거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살 철학 자체는 견고한 채 남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선 그의 살 철학은 이미 그 토대의 취약성이 드러났고 더 이상 스스로를 지탱할 수 없음이 판명되었다고 말한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을 둘러싼 이 해석의 갈등을 숙고해 보고자 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해 우리는 각각의 해석의 근거들을 면밀히 분석해 봄으로써 이 분석 위에서 상기한 해석의 갈등이 궁극적으로 무엇에서 기인하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우리의 이러한 문제제기는 본 논문을 통해 논증하고자 하는 하나의 가설에 기초해 있다. 우리는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은 경험의 발생론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렇게 이해될 때만 상기한 두 해석적 입장들은 이론적 양자택일을 넘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들어가는 말’에 이어지는 절(II)에서 먼저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이 이해하고자 하는 사태가 무엇인가를 묻고 경험(의 모호성)이 그것임을 밝힐 것이다. 기존의 철학들(실재론, 관념론)은 경험의 한 측면을 추상하는 것을 대가로 경험에 대한 명료한 개념을 얻을 수 있었다면, 그와는 달리 메를로-퐁티는 경험을 이러한 추상없이 온전한 형태로 이해하고자 했고, 이러한 추구는 결국 그로 하여금 경험의 본질적인 모호성에눈뜨게 했다. 다음으로(III) 우리는 살 개념의 형성 논리 내지는 구조를 고찰하면서,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의 옹호자들은 결국 살 개념의 이 형성 논리를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는 입장임을 밝힐 것이다. 살 개념은 경험(의 모호성)의 논리를 기술하고자 했던 것으로, 경험은 항시 발생인 까닭에 살 개념은 경험의 이 발생적 역동성을 고려하고자 했다. 그 결과 살 개념은 사유의 회고성에 근거한 자신의 개념적 안정성조차 끊임없이 문제삼아야 했다.(비록 본 논문에서는 다룰 수 없지만 이것은 메를로-퐁티가 새로운 철학적 글쓰기를 시도하는 이유가 되었다.) 끝으로(IV) 우리는 오늘날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에 대해 제기된 핵심적 비판점들을 검토한 후, 이상의 논의들을 토대로 상기한 해석의 갈등을 이해하는 우리의 방식을 개진할 것이다. 그 핵심적 비판이란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과 그가 내내 넘어서고자 했던 의식 철학과의 연관성을 겨냥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를 논하는 과정에서 그의 살 철학의 무게중심이 철학 개념에 있었음을 고려하면 그의 살 철학을 둘러싼 오늘날의 해석적 갈등은 메를로-퐁티 철학 ‘안에서’ 종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These days, the conflict among interpretations on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becomes acute increasingly. The conflict concerns not only interpretative oppositions, which occur normally in the study of a philosophy, but also, and especially, interpretative opposition between the position defending fundamentally his philosophy of flesh and the position negating its base. On one hand, they say that his philosophy of flesh has a sound foundation, though the interpretative discord in it is really excessive. On the other hand, they assert his philosophy of flesh exposes its base’s weakness and it turns out insupportable finally. In this essay, we want to consider this interpretative conflict on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More precisely, we will analyze the grounds of these two interpretations in detail, and, on the base of this analysis, we will show where the above-mentioned interpretative conflict begins after all. This essay begins with an hypothesis: The philosophy of flesh of Merleau-Ponty must be comprehended as genetic theory of experience and, then only, the aforementioned two interpretative positions can ‘coexist’ beyond theoretical alternative. In the second paragraph (II), we ask what is the question, to which Merleau- Ponty’s philosophy of flesh responds and we show that it is the (obscurity of) experience. In the third paragraph (III), we investigate the logic, which constructs the concept of flesh, and we show that supporters of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consider that this logic is still valid. Finally (IV), we examine main criticisms on Merleau- Ponty’s philosophy of flesh, and,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we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pretative conflict in question.

      • KCI등재

        메를로 퐁티의 철학과 체화된 인지 이론의 관련성

        이소희 ( Lee Sohee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130 No.-

        체화된 인지 이론의 한 갈래인 실행적 인지 이론은 객관적 과학과 주관적 경험 간의 ‘설명적 간극’을 극복하려는 동기에서 출발하여 ‘현상학의 자연화’를 기획하는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현상학에 고유한 방법은 ‘환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상학에서 환원이란 ‘자연적 태도’에 대한 ‘판단중지’인데, 메를로-퐁티는 후설현상학에서 환원을 거쳐 ‘초월론적 의식’의 작용을 통해 세계의 존재를 구성하는 것을 비판한다. 그가 보기에, 이러한 환원의 방식은 관념론이라는 오명을 쓰기 쉽고, ‘경험의 현상적 특성’을 끝내 놓치고 마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메를로-퐁티는 세계의 현상성을 드러내기 위해 그로부터 모든 현상이 끊임없이 솟구쳐 나오는 궁극적 근원으로서 ‘현상적 장’으로의 환원을 단행한다. 이러한 현상적 장으로의 환원은 객관적 과학이나 주관적 경험의 양자택일로 결코 환원될 수 없는 보다 근원적인 차원을 개시(開示)해 주는데, 여기서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실행적 인지 이론 간의 공통적인 문제의식과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실행적인지 이론의 현상학의 자연화와 메를로-퐁티 현상학의 환원은 세계와 연루되어 있는 신체의 이중성으로 인해 가능할 수 있다. 후설은 3인칭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몸으로서의 ‘객관적 신체’와 1인칭적 관점에서 체험하는 몸으로서의 ‘주관적 신체’를 구분하고 메를로-퐁티도 후설의 이러한 구분법에 따르고 있다. 실행적 인지 이론은 현상학에서 기술하는 신체의 이중성을 ‘체화’의 이중성으로 해석하며 주관성과 객관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체화를 통해 현상학의 자연화 기획을 실현하려고 노력한다. 다음으로 실행적 인지 이론의 현상학의 자연화를 중심으로 체화된 인지 이론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관련성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실행적 인지 이론에서 ‘생명’이 ‘자가생성’하는 자율적인 체계로서 ‘의미 만들기’를 통해 세계와 맺는 지향적 관계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서 의식의 차원이 아닌 행동의 영역에서 성립하는 ‘신체적 지향성’ 및 ‘운동적 지향성’과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메를로-퐁티가 말한 신체가 ‘세계에로의 존재’로 존재하는 방식과 실행적 인지 이론에서 살아 있는 존재로서의 생명이 환경과 구조적으로 연합하여 뇌-몸-환경의 결합체를 형성하며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대비하여 논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이 논문에서 메를로-퐁티 현상학을 통한 체화된 인지 이론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체화된 인지 이론을 통한 메를로-퐁티 현상학에 대한 이해라는 상호적 이해의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As a branch of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enactive cognition theory aims to overcome ‘explanatory gap’ between objective science and subjective experience. ‘Reduction’ is a method unique to phenomenology aiming to “naturalize phenomenology”. Reduction is defined as the ‘epoche’ of ‘natural attitudes’ through which Merleau-Ponty criticizes the constitution of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in Husserl’s phenomenology. In his view, this mode of reduction is susceptible to criticism and will neglect the ‘phenomenal character of experience.’ To reveal the phenomenality of the world, Merleau-Ponty implements reduction to a ‘phenomenal field’ as the ultimate source from which all phenomena arise. This reduction opens a more fundamental dimension that can never be reduced to either objective science or subjective experience, and it is here that we find the commonality betwee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enactive cognition theory. Furthermore, naturalization of phenomenology and reduction i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may be possible due to the duality of the body in connivance with the world. Merleau-Ponty follows Husserl’s distinction between the ‘objective body(Körper)’ viewed froma third-person perspective, and the ‘subjective body(Leib),’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Enactive cognition theory interprets the duality of the body as the duality of ‘embodiment’, and attempts to achieve naturalization of phenomenology through embodiment, wher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ppear simultaneously. Next,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embodied cognition theory to Merleau-Ponty's phenomenology, we compare ‘life’ as an ‘autopoietic’ entity that autonomously interacts with the world through ‘sense-making’, with ‘the corporeal and motor intentionality’ that are established in the realm of action rather than consciousness i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Finally, we contrast Merleau-Ponty's ‘being in the world’ with enactive cognitive theory, which suggests that living things exist in dynamic interaction with its environment, forming the ‘structural coupling.’ In doing so, we hope to foster a reciproc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 KCI등재

        빤짜 꼬샤(Pañca Kośa)와 인드라망(Indra’s Net)을 통한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몸철학 이해

        김영진(Kim, Young-Jin) 한국인도학회 2016 印度硏究 Vol.21 No.2

        메를로-퐁티는 몸에 대한 집중적이고 치밀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몸철학’이라고 불린다. 이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두 개념, 즉 ‘육체-정신 통합체로서의 몸’과 ‘대상-지평 구조(la structure point-horizon)’에 관심을 집중하며, 인도철학의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에 의존하여 이 개념들에 대한 좀더 쉬운 설명을 얻고자 시도한다. 첫째, 메를로-퐁티는 육체와 정신의 통합을 주장하며, 이에 대한 하나의 근거로서 환상지 증후군(le membre fantôm)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주장을 인도철학의 빤짜 꼬샤 개념과 함께 살펴본다. 인도철학에는 몸을 육체와 정신의 연속체로 보는 오랜 전통이 있으며, 여러 학파에서 육체-정신의 통합체로서의 몸을 설명하는 다양한 개념들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개념들 중 하나인 빤짜 꼬샤는 기원전 5-6세기의 문헌에 나오는 오래된 개념으로서, 몸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비교적 쉬운 설명을 제공한다. 메를로-퐁티가 몸이 갖는 여러 속성들을 구별하여 개념화하지 않는 것과 달리, 빤짜 꼬샤는 몸의 여러 층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들을 비교적 평이한 용어로 기술하는데, 이는 몸이 갖는 육체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대상-지평이란 하나의 대상이 주변의 다른 대상들을 자신의 지평으로 동원하는 구조를 뜻하는데, 메를로-퐁티는 이 대상-지평 구조를 통해 몸과 세계의 상호얽힘(chiasme)을 설명한다. 메를로-퐁티가 이처럼 추상적이고 낯선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인드라망은 비교적 쉬운 비유를 통해 세상과 몸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인드라망은 몸을 구슬에 비유함으로써 하나의 몸이 자기 자신을 포함한 전 세상을 어떻게 비추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인드라망을 표현한 그림은 부분과 전체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을 한눈에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은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낮은 문턱을 제공한다. 육체와 정신의 분리를 겪었던 서양철학과 달리, 인도철학에서는 몸을 정신과 육체의 통합체로서 다루는 여러 개념들이 큰 단절 없이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왔다.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은 이러한 전통 속에서 갈고 닦인 개념들이며, 이들은 비교적 평이한 용어와 세련된 비유를 통해 통합적 몸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

      • KCI등재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 - 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

        최재식(Zaeshick Choi)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0 No.-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와 후설의 신체개념을 통한 두 현상학의 차이를 밝히고, 후설 현상학과 구별되는 메를로-퐁티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한다.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메를로-퐁티 현상학을 설명하는 시도를 한편으로 인정하지만, 이런 이해는 단선적 이해에 그친다. 이는 전기 메를로-퐁티가 이미 후설이외의 다양한 아카데미 여정 (게슈탈트이론, 하이데거 존재론, 실존주의, 사회철학(헤겔, 마르크스), 정신분석(병리)학, 예술철학(회화), 언어학, 인류학 등)과 사회참여적 글쓰기 속에서 자신의 현상학을 전개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그가 초기에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 위에서 신체현상학을 전개시키는 측면도 있지만, 이들의 간극은 이미 벌어져 있으며 후기 사상에서 더욱 크게 벌어진다. 여기서 신체에 대한 서로 차별화된 이해가 그 핵심에 있다. 명증성의 철학(후설)에 반해서 초기 신체 현상학은 불투명성과 애매성(양의성)의 철학이다. 후설은 의식과 리얼리티 사이의 심연(Abgrund)을 지적하고 있는 반면에, 메를로-퐁티는 신체 현상학을 통해서 심연이 갖는 전통적 이분법(의식과 실재, 주관과 객관, 이성과 감성(지각), 안과 밖)을 넘어서면서 살의 존재론으로 들어가고 있다. 그에게서 후설적 이분법은 차이화를 통한 키아즘의 관계로 설명되며 이원론은 심연으로 나누어진 것이 아니라, 일종의 구조로 이해된다.

      • KCI등재

        베르그손으로부터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으로

        홍경실(Koung-Sil Hong)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6 No.-

        본고는 베르그손으로부터 메를로-퐁티로 이어지는 현대 프랑스철학사의 한 단면을 우리의 몸에 대한 양자의 이해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베르그손의 경우 『물질과 기억』을 중심으로, 메를로-퐁티의 경우에는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전기사상을 통하여 양자의 이해를 비교적으로 고찰한다. 베르그손의 경우 우리의 몸이 원리상 마음이나 정신과 분리 가능한 육체(Ie corps)로서 이해된다면, 메를로-퐁티의 경우 그것은 마음과 분리될 수 없는 신체-주체 (Ie corps-sujet), 현상적 주체, 고유한 신체로서 이해된다. 메를로-퐁티는 베르그손이 현상적 신체 이해를 선취하면서도 다른 한편 객관적 신체 이해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비판한다. 순수 회상의 형이상학적 존재론을 상정하는 베르그손의 육체 이해는 현재의 절단면일 수 있지만 메를로-퐁티의 경우 신체는 시간지평에 의하여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아우르는 전(全)시간적인 의미(Ie sens)로서 이해된다. 그래서 전자가 기억에 의해 지각 경험이 가능하다고 주장 하는 반면에 후자는 신체의 지각에 의해 기억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베르그손으로부터 이원론의 문제 의식을 계승하는 메를로-퐁티가 후설 현상학을 경유하여 다시 베르그손처럼 형이상학적인 존재론으로 선회하게 되는 과정은 주목할 만한 프랑스철학사적 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베르그손적이기보다는 탈현상학적이고 탈형이상학적인 구조주의를 예고하게 되는 것이 메를로-퐁티의 미완(未完)의 후기 사상인 살(la chair)의 존재론이다. This paper inquires into a phase of Contemporary French Philosophy, being continued from Bergson to Merleau-Ponty. It focuses on their understanding of our body. In case of Bergson, by 『Matter and Memory』, in case of Merleau-Ponty, b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it studies comparatively these two philosophers. Bergson understands our body as being separated from mind in principle. But, Merleau-Ponty understands our body as can not being separated from our mind. He names it body-subject. Merleau-Ponty criticizes Bergson as having understanding of objective body, in spite of his preoccupied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body. Bergson understands our body as a section of present, supposing metaphysical ontology of pure memory. According to Merleau-Ponty, our body can be understood as atemporal meaning, encompassing pass, present and future by way of a temporal horizon. The former asserts that our perceptual experience can be possible by means of memory. But the latter asserts that our memory can be possible through bodily perception. It is one of the remarkable events in the history of French Philosophy that Merleau-Ponty, succeeding to a critical mind of Bergsonian dualism, turns round metaphysical ontology like Bergson via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But, Merleau-Ponty's unfinished thoughts of his later period, the ontology of flesh(la chair), notices the structuralism that is not Bergsonian, but escaping from metaphysics and phenomenology.

      • KCI등재

        현상학의 근원적 토대로서 ‘자연’ 개념

        심귀연(Sim, Gui-yeo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메를로-퐁티는 『지각의 현상학 』에서 현상학이 무엇인지 다시 물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물음이 ‘자연’을 통해 해소 될 수 있다고 보며, 그것의 가능 근거를 셸링과 메를로-퐁티의 자연 개념에서 찾는다. 셸링과 메를로-퐁티는 데카르트와 칸트 철학에 대한 비판의 관점에서 사유를 전개한다. 특히 칸트의 ‘물자체’는 셸링 철학에서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칸트는 물자체를 남겨둠으로써 이원론으로 분리된 세계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있다. 셸링은 동일성 개념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메를로 퐁티는 몸- 주체로 풀어내고 있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셸링과 메를로-퐁티가 자연을 이해하는 방식이다.셸링은 자연 속에 무의식적인 지성의 창조활동이 있다고 본다. 포텐츠는 무의식적 지성을 최고 지성인 자각적 정신으로 이끌어가는 힘이다. 인간은 자각하는 정신의 담지자로 존재한다. 그러나 셸링의 자연 개념에서는 정신 또는 지성이 실존하는 개별 존재를 도출해 내지는 못한다. 여기서 우리는 셸링이 여전히 전통 인식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본다. 자연의 본래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전체성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또한 자연은 인간과 맺는 관계를 통해 해명되어야 한다. 메를로-퐁티는 몸-주체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자연과 정신의 얽힘 관계를 드러낸다. 메를로-퐁티 현상학에서 몸은 자연의 등가물이기 때문이다. 셸링과 메를로-퐁티가 보여주고자 하는 자연의 생성하는 힘을 이해함과 동시에 정신 또는 인간이 어떻게 자연으로부터 나오는지를 해명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연의 본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 hi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erleau-Ponty raises a question of why he has to ask what phenomenology is again. This study assumes that the question can be answered in a new understanding of the nature concept and finds its possible grounds in the nature concepts of Schelling and Merleau-Ponty. Schelling and Merleau-Ponty develop philosophical thinking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Cartesian and Kantian philosophies Thing-in-itself by Kant is, in particular, one of important questions that has to be answered in the philosophy of Schelling since Kant further solidifies a dualistic world by leaving thing-in-itself. Schelling solves the question with the concept of identity and Merleau-Ponty solves the question with body-subject. What we notice in this article is the understanding of Shelling and Merleau-Ponty about nature. Schelling believes there are the creative activities of unconscious intelligence in nature, but spirit or intelligence in his nature concept cannot induce an existential being. Here we see that Schelling is still beyond the traditional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restore the original nature of nature, we must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totality of nature. Nature must also be expl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humans. Merleau-Ponty shows the entanglement of nature and spirit through the body-subject. In Merleau-Ponty s phenomenology, the body is the equivalent of nature. Understanding the forces of nature that Schelling and Merleau-Ponty are trying to show, and at the same time explaining the problem of how the mind or human beings emerge from nature, we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true nature of nature.

      • KCI등재

        모리스 메를로-퐁티에서 주체의 문제와 소쉬르 언어학

        신혜영(Hye-Young Shin)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2 No.-

        메를로?퐁티는 자신의 두 번째 사유에서 신체의 표현 능력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이루어낸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소쉬르 언어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메를로?퐁티는 언어 체계의 변별성이라는 소쉬르의 개념에 주목한다. 메를로?퐁티가 신체의 표현 능력을 분화능력으로 간주하게 되는 것은 바로 이 소쉬르의 기호의 변별성이라는 개념으로 부터이다. 메를로?퐁티에게 있어, 신체적이든 언어적이든 모든 표현적 동작은 변별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의미는 의식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호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메를로?퐁티의 주체에 대한 두 번째 사유인 ‘표현적 주체’는 바로 이로부터 확립된다. 표현적 주체는 의미를 완전히 소유할 수 없고 표현 그 자체속에서 스스로 완성되는 자이다. 메를로?퐁티는 이 표현적 주체로 『지각의 현상학』의 한계였던 이분법적 틀과 의식 철학을 벗어나려하지만 의식의 전제 혹은 주체성의 차원을 완전히 단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불충분성에도 불구하고, 메를로?퐁티의 두 번째 사유가 데카르트에서 후설로 이어지는 의식 철학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메를로?퐁티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사유인 존재론의 주요개념들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 KCI등재

        심신문제를 통해 본 메를로-퐁티의 몸 이론

        주성호(Joo, Seong-H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본 논문의 목적은 메를로-퐁티의 몸 개념을 심신문제 속에서 살피면서, 기존의 심신이론에 대한 메를로-퐁티 비판의 논증을 완성하고 그의 몸 개념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메를로-퐁티 입장에서 기존의 심신이론은 모두 즉자적인 심신 개념을 가지고서 심신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메를로-퐁티는 그런 심신 개념들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신과 물질을 소통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메를로-퐁티는 이런 즉자적 개념 이전으로 돌아가 그가 말하는 몸의 현상을 탐구한다. 몸은 순수한 정신도 아니고 순수한 물질도 아닌 것으로,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몸은 스스로 보는 자이면서 스스로 보이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이분법적 사유가 즉자적인 정신과 즉자적인 물질로 또는 즉자적인 주체와 즉자적인 대상으로 이끌어 가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메를로-퐁티의 이런 몸 개념은 데카르트적 전통에 있는 심신 정의 또는 심신 구별 기준을 철폐시킨다. 공간/비공간, 삼인칭/일인칭, 인과성/지향성의 개념으로 파악되기 이전에 몸은 스스로 보고 스스로 보이는, 모호하고 애매한 자기 관계를 갖는다.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Merleau-Ponty’s concept of body in terms of the mind-body problem. I will show how Merleau-Ponty criticizes previous theories of the mind-body problem and consider what his concept of body implies in comparison with previous theories. Previous theories try to resolve the mind-body problem by means of the concepts of mind and matter. However, Merleau-Pony thinks that these concepts are impossible and that they make the interaction of matter and mind impossible. Returning to the primitive phenomenon that is not yet distorted by these in itself concepts, Merleau-Ponty inquires into the phenomenon of body. In his view, body is neither pure matter nor pure mind, or it is neither pure subject nor pure object. It is a primitive being where the dichotomous thought creates pure mind and pure matter. This concept of body invalidates the definition of mind and matter in place since Descartes. For Merleau-Ponty, before body is understood in terms of space/non-space, the first person/the third person, and causality/intentionality, it lies in the vague and ambiguous relationship with itself that it sees itself and is seen b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