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매스 미디어 및 대인 미디어의 이용과 대면 커뮤니케이션

        이시훈 ( Si Hoon Lee ),안주아 ( Joo Ah Ah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매스 미디어와 대인 미디어의 이용시간,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과 대면 커뮤니케이션 이용량(시간/상대 수)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인 미디어 이용기간에 따른 대면 커뮤니케이션 변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매스 미디어와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과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이용량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대인 미디어 이용기간이 길수록 그 미디어의 이용으로 인해 대면 커뮤니케이션 시간이 줄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스 미디어나 대인 미디어 모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미디어 대체 가설은 인식 수준에서는 검정이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시간에 있어서는 대체보다 강화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mass (television/radio/newspaper/magazine) & interpersonal (telephone/cellular phone conver-sation/text message of cellular phone/e-mail/messenger/blog) media use and between interpersonal media &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A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respondents` cognition for increase and decreas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interpersonal media adoption except telephon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mass & interpersonal media use and between interpersonal media &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correlation. Second, early adopters of interpersonal media recognized that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decreased because of these media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heavy users of both mass & interpersonal media exist. Specifically, for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it is partially accepted cognition level, but the aspect of reinforcement rather than substitution is shown in real use.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범,김동우 한국소통학회 2009 한국소통학보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중국 유학생이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요인들이 문화적응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체류기간, 한국어 능력,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설정하였다. 우선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류기간, 한국어 능력,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 문화적응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이들 요인들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 능력 요인은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화적응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o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also tries to analyze the path between those factors. The factors are residence period,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use of Korean mass media,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a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residence period,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use of Korean mass media, cultural adaptation. As a result of path-analysis, Korean language competence affected the use of Korean mass media,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ultural adaptation. In conclusion, Korean language competence prov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cultural adaptation.

      • KCI등재

        과도한 정보추구로 인한 미디어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 및 유형 분석 연구

        이정미 한국정보관리학회 2008 정보관리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y to describe types of invasion of privacy caused by excessive information seeking on mass media. Recent 5 years of cas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see the types of invasion of privacy, and extracted only those cases showing the results by excessive information seeking. Three standards such as the intension, the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and cases. Five types of those three standards were introduced by case by case. The issues regarding ways of privacy protection and correct attitude of information seeking were explored and a few suggestions were included at the end. 본 연구는 정보추구의 과도성으로 인해 자행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미디어에서 볼 수 있었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를 종류별로 분석, 이 중 지나친 정보추구행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침해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정보추구의 동기, 주체, 성격이라는 세 가지 기준, 다섯 가지 유형에 기반, 과도한 정보추구로 인해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사례별로 소개했다. 환경변화에 따른 바람직한 정보추구 자세와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를 위한 정보이용에 대한 몇 가지 고민과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