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맑스경제학의 전개 과정과 대안경제학으로의 가능성과 한계

        홍태희 ( Tae-hee Hong ) 한독경상학회 2021 經商論叢 Vol.39 No.3

        본 연구는 맑스경제학이 현대경제학에서 가지는 의미와 대안경제학으로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맑스경제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맑스경제학의 특징을 자본주의 경제의 구조와 동학으로 나누고, 노동가치론과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법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맑스경제학의 기여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맑스경제학이 주류경제학의 사용 언어와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지만, 주류경제학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인류 역사에 남겼고, 현재에도 그 영향력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힌다. 19세기 산업자본주의가 태동하던 시대의 산물인 맑스의 자본주의 분석은 당시에 대안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처럼 현대 경제 문제를 해결할 대안경제학으로 주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특히 역사적이며 총체적 관점에서 자본주의 경제를 분석한 맑스의 시각은 주류경제학의 현실 경제 해석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실제로 맑스경제학은 시대와 지역과 국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발전해가며 현실에서 대안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현재에도 현실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경제학적 시도가 맑스의 전통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맑스경제학의 대안경제학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가능성을 살리기 위해 무엇보다 맑스 저작에 대한 훈고학적 해독에서도 벗어나서, 21세기 경제 현실을 해석할 학문적 도구로 거듭나야 한다. 분명한 것은 21세기 현재의 시대정신은 여전히 주류경제학에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맑스경제학을 주류경제학에 대체할 대안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실용학인 경제학의 본질을 생각할 때 맑스경제학에 이 시대를 대변할 학문적 힘을 장착시키는 것이 최대 과제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Marxian economics as an alternative economics. Marxian economics differs from mainstream economics in its subject and research methodology. However, Marx’s analysis of capitalism is worthy of attention enough to create an alternative economics to solve contemporary economic problems. In particular, his analysis of the capitalist economy from a historical and holistic perspective can still be valid toda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arxian economics as an alternative economics. The order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 Marxian economic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rxian economic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Marxian economics are divided into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capitalist economy, and his labor theory of value and the law of the tendency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 are examined. Finall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Marxian economics and future tasks are presented.

      • KCI등재

        맑스주의 범죄학의 한계와 전망

        신동준 ( Dong Joon Shin ) 대한범죄학회 2007 한국범죄학 Vol.1 No.2

        이 논문은 맑스주의 범죄학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평가하고 그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맑스 스스로는 체계적으로 범죄문제를 다루지 않았지만, 그의 이론적 틀은 맑스주의 범죄학이라는 범죄학의 중요한 분파를 형성하게 하였다. 초기 맑스주의 범죄학의 거시적이며 결정론적인 입장은 개인의 행위가 갖는 사회적 함의를 분명히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다른 이론과 차별되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주류 범죄학 진영에서는 범죄원인론과 관련하여 맑스주의 범죄학의 설명력과 실질적인 기여에 대해 큰 회의를 표시하였다. 맑스주의 범죄학은 범죄 해결의 방안으로서 계급투쟁과 혁명을 통한 자본주의의 근본적 변혁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성이 결여된 공허한 주장을 한다는 점이 비판되었다. 또한 범죄와 범죄자를 낭만화 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맑스주의 범죄학자들은 실증주의 범죄학의 요소들을 서서히 그들의 이론적 틀 안에 끌어들이는 등의 형태로 절충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수정주의적 접근을 통해서 맑스주의 범죄원인론은 한층 정교화되었으나, 그 결과는 오히려 맑스주의 범죄학 특유의 장점을 상실해 버리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오히려 이것이 최근 맑스주의 범죄학의 위상이 크게 약화된 근본 원인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맑스주의 범죄학의 미래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로, 사회주의 혁명 주체로서의 노동계급의 역할에 대한 맑스의 예언에 더 이상 집착하지 않고 자본주의의 모순과 그 결과에 집중하여 체제 비판적 담론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범죄원인론보다는 법과 형사사법체계의 형성과 작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셋째, 맑스주의 범죄학은 역사에 주목해야 한다. 넷째, 맑스주의 범죄원인론은 자본주의가 범죄의 변이에 미치는 추가적인 영향을 설명해야 한다. 다섯째, 직접적인 범죄행동 원인의 선행변인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맥락과 거시적 수준으로 분석 단위및 수준을 제한해야 한다. This paper evaluates the past and present of Marxist criminology and discusses its future prospect. Even though Marx did not systematically present his ideas on crime, his theoretical framework generated a important branch of criminology called Marxist criminology. Early Marxist criminology showed its unique virtues by clarifying social implication of individual behaviors with deterministic macro-level perspective. Nevertheless, mainstream criminology has been very skeptical about Marxist criminology``s substantial contributions in explaining causes of crime. Marxist criminology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unrealistic because it proposed the fundamental changes of capitalist societies by class struggle and revolution as the only way to solve the crime problem. Moreover, it has been criticized for romanticizing crime and criminals. Responding to these criticisms, Marxist criminologists have gradually incorporated elements of positivist criminology into their theoretical framework and made a compromise with mainstream criminology. In so doing, Marxist criminology lost its unique virtues, while its etiology of crime became more elaborated. This paper argues that this compromise is the very reason for the recent decline of Marxist criminology. It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Marxist criminology as follow. First, Marxist criminology should actively form critical discourses on the system, focusing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and its consequences without clinging to Marx``s prophecy on the role of working class in revolution. Second, it should focus on the operations of criminal justice system rather than on etiology of crime. Third, it should pay attention to history. Fourth, Marxist etiology of crime should explain the additional impact of capitalism on the variation of crime. Lastly, the level of analysis should be limited to the structural context and the macro-level.

      • 맑스의 민족주의의 이해에 대하여 : 레닌의 제국주의론으로

        노태구 경기대학교 2000 論文集 Vol.44 No.1

        맑스의 저작에서 우리가 보아온 바와 같이 동양은 맑스주의의 범주내에서 서구의 정보를 접하는 초창기의 서구로 취급되고 있다. 레닌의 사고에 있어서는 동방은, 자본주의 새로운 단계로 통합되는 것을 시사한 제국주의의 이론을 통하여 맑스주의내에 포함되어지는 것이다. 이 단계의 성격은 레닌에 따르면 동방은 반드시 그 스스로는 충분하게 자본주의자로 될 수 없는 자본주의의 부분과 같은 것이다. 그리하여 레닌은 이러한 이론적 포용의 대가는 그 특수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함이 없이 맑스주의의 이론내로 포함시켰다. 동시에 이 특수성은 더 이상 동양주의적 단어로 여기지 않게 되었다. 레닌이 제국주의의 시기전에 동양의 역사에 대해 별로 말하지 않고, 그리고 그 주제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그 쟁점에 대해 어떠한 사려깊은 고려를 하지 않은 것을 보여주는 것도 사실이다. 진정으로 그들은 동양주의적 은유와 이미지로 충만되어 있다. 레닌은 동방을 정체되어 있고 동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 외에서도 레닌은 러시아를 '아시아적'인 것으로 규정하였을 때, 그 용어는 후진성 그리고 심지어 야만성을 위한 은유로서 기능하였다. 그러나 좀 더 기본적인 의미에서 레닌의 이론은 동양주의의 파라다임의 토대를 완전히 파괴하였다. 왜냐하면 제국주의가 어떻게 지구의 후진적 부분을 자본주의의 영향력하에 둘 것인가를 서술함에 있어서 레닌은 그 스스로 동방의 특수성을 국한시키려 하지 않았다. 그는 또 동구를 동일한 과정에 종속되는 것으로 보았다. 반대로 레닌은 일본은 제국주의국가의 수준에 속한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이 구분은 더 이상 '동양'과 '서양'의 개념을 불가결한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제국주의국가와 식민지화된 국가, 상대적으로 선진적이고 상대적으로 후진인 국가, 억압민족과 피억압민족으로 구분하였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은 당시로는 얼마의 절묘한 솜씨로 처리한 묘기였다. 제국주의론에서 동방은 맑스주의이론 속으로 통합되었다. 그것은 사회주의혁명에 있어서 동방의 중요성은 매우 직접적이며 그리고 즉시에 이 혁명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식민지문제와 민족문제는 레닌의 경우는 복수심으로 결합시킨데 반해, 맑스는 분리된 잇슈로 취급했다. 그리고 맑스에 있어서와 같이 불안의 잠재적 요소로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제 민족문제의 형태로서 식민지 문제는 무산대중 혁명의 동맹자와 같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서 레닌에 의해 기도된 맑스주의이론의 발전과 재구성의 중요성은 (다른 영역에서와 같이) 과대평가되어질 수 없다. 맑스주의이론에서 차지하는 비서구세계의 위치는 사회주의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급진적으로 재고되었다. 이는 물론 새로운 문제를 제기했으며 항상 직접적으로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 더 구체적인 설명이 요구되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관점과 관련하여 레닌이론의 두가지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Seth, 1995 :49) 가끔 지적하였다시피 레닌은 식민지 민족주의운동을 억압국가의 민족주의가 어떤 점에서는 반동적으로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결코 고려하지 않고 부르죠아 - 민주주의로 서술하였다. 이유는 제국주의의 반테제로서 떠오르는 (그리고 여기에는 그러므로 그 정치적 내용에 관해 어떠한 특별한 결론도 수반하지 않는) 식민지민족주의의 새로운 이해에 따라, 동방은 여전히 민주주의 등을 옹호할 성장중의 자산계급을 유지하면서 서방을 따라 역사적 단계로 출현하는 동방민족주의의 진화적 견해를 소유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두 개의 전망은 모순적이지 않다. 그러나 레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들 두가지 시각이 반드시 함께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반세기 그리고 그 이상의 역사적 경험으로 때로는 맑스주의자들이 (그러나 맑스주의자 뿐만 아니라) 놀라고 자주 곤경스러워 하면서 심지어 어느 의미에서 반제국주의로 있는 피압박민족의 민족주의운동이 언제나 자유적이고 민주적이지 않다는 것을 되풀이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제국주의에 대한 해답으로 창출된 식민지 민족주의와, 지구의 후진지역의 역사적 진화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식민지 민족주의의 사이에 단순한 잘못으로 구분을 하는 이러한 실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식민지 민족주의가 반제국주의적이지만 어떤 다른 의미에서는 부르죠아민주주의적이거나 진보적이지 않고 심지어 반동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이들 사이를 구분하는 것은, 세계혁명의 대의명분이 달리는 진보적일 수 없는 사건들과 과정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레닌은 이 단계를 다루지 않았다. 그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정치적으로 혁명적인 것은 역사적으로도 진보적이라는 주장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를 정치에 이용하는 것은 레닌이 제2국제당의 완고하고 결정론적이며 진화론적인 맑스주의와 단호하게 관계를 단절하고 난 이후에는 역사를 정치에 이용하는 것은 레닌의 맑스주의에 중요하게 되었다. 레닌은 역사의 진화론적 (그리고 목적론적) 해석에서 정치적 선택을 기초로 하는 것을 계속하였다. 역사의 해석속에서 정치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역사적 진보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발견되며, 진보의 각종 관념이 (정치적이고 그리고 역사적/진화적인) 다른 것을 보증함으로써, 이러한 이중적 의미에서 진화적이며 진보적이었다. 레닌이론의 두 번째 결과는 식민지와 민족문제를 융합함에 있어서 식민지문제는 문제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민족문제도 표면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말하자면 억압민족주의와 피억압민족주의 사이의 구분을 중심 쟁점으로 함으로써 레닌은 다음과 같은 다른 가능한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민족형성의 문화적 그리고/ 또는 언어적, 역사적 차원, 그리고 진보적인 다양성에 관한 이러한 사회주의적 요구를 민족주의가 제기하는 것을 배격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레닌은 아마도 이와 같은 문제들을 구체적인 혁명적 덕목과 비교하여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것으로 취급한 것 같다. 실로 그와 같은 문제가 틀림없이 레닌의 반응을 기대하며 제기되었을 때, 레닌은 이러한 쟁점에 대해 전념하지 않았다.(Seth, 1995 :48-51) 사실상 맑스는 이런 문제에 역점을 두지 않았다. 맑스와 엥겔스의 민족문제에 관한 저서는, 홉슨의 말에 의하면, 민족과 민족해방의 운동은 그들 스스로 목적으로서가 아니라 세계혁명의 과정, 이익과 전략과 관련하여서만 고려된다는 확고한 신념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레닌의 저술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레닌은 어떤 민족투쟁이 세계혁명에 기여하였는가 하는 여부를 판별할 때, 임시의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실용적 기초를 제공하기보다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론화'에 의하여 암시되는 바로 그 체계화는 역시 맑스의 저술에서 결여된 것은 레닌의 저술로부터도 명백히 제외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억압민족과 피억압민족사이의 구별이 주요한 쟁점이 되고, 그리고 이러한 기본위에서 진보적 민족주의와 반동적 민족주의를 구분함으로써, 레닌의 이론은 민족과 민족주의가 레닌주의의 구체화속에서 맑시즘내의 문제로하여 그들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생태시 연구 -생태맑스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연정 ( Yeon Jung J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1980년대 후반부터 맑스적 입장에서 생태문제를 해명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었다. 그 후 맑스의 사상이 생태계에 대한 풍부한 사유를 내포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맑스의 이론에 의거하여 현재의 생태문제를 해명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분명한 것은 맑스가 말했던 ``자연의 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라는 유명한 구절이 맑스의 이론체계에서 생태학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맑스의 이론은 ``인간 해방``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맑스의 철학적인 인간학은 생태학적 문제를 해명하는 분석을 시도할 수 있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서 생태학적 맑시즘의 흥미로운 통찰을 엿볼 수 있다 인류가 직면한 생태위기가 현재의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의해 전면화된 것이라고 본다면, 자본주의의 운동 법칙을 해명함으로써 그 파멸적이고 착취적 본질을 드러내고자 했던 맑스의 이론체계는 생태문제의 본질과 대안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맑스 경제학 체계 내로 생태문제를 수용하여 이론화한 생태맑스주의적 관점으로 한국생태시를 고찰하였다. ``생태맑스주의``의 문학적 적용은 확장된 생태학으로서 생태문학의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생태맑스주의 비평 역시 우리가 처해 있는 시대 상황을 정확하게 투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래 지향적인 해결책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생태계위기의 원인과 회복에 초점을 맞춘 ``한국 현대시의 생태맑스주의적 고찰``은 생태비평에 있어서 질적 변화를 위한 첫 시도로서 유의미하다. In the late 1980s, a growing number of people have raised interests in explaining ecological issues from the Marxist perspectives. Since then,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e that Marxism contains abundant thoughts on ecosystem and to explain the present ecological issues based on Marxism. The famous phrase ``humanization of the nature and naturalization of human beings`` by Marx clearly provided clues to understanding ecological issues in Marxism. Furthermore, as Marxism aims at liberalizing human beings, Marxist philosophical anthropology is based on a concept of analyzing ecological issues, which reveals interesting Marxist insights into ecology. If ecological crises facing the human race were aggravated in the wake of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Marxism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framework that suggests the true nature and alternatives with regard to ecological issues. Marxism aims to unveil devastating and exploitative nature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laws of motion of capitalism. This study examines Korean ecological poetry from the Marxist perspectives by including related issues in the Marxist economy. Literary application of ecological Marxism considers qualitative change in ecological literature as extended ecology. In this regard, the ecological Marxist criticism not only accurately reflects the present times but also suggests future-oriented resolutions.. This study focuses on figuring out the cause of ecological crises and the recovery of an ecosystem. Therefore, ``An Eco-Marxist Study on Korean Contemporary Poetry`` is meaningful as the stepping stone to make a qualitative change in the eco-criticism.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학에서 맑스와 과학적 방법

        이기홍(Lee, Ki H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연구 Vol.52 No.1

        한국사회학에서 1980년대 후반 잠깐 동안의 맑스적 경향의 유행이 있은 후 맑스는 ‘죽은 개’처럼 취급되어 왔다. 맑스에 대한 한국사회학의 평가는 맑스가 반증되었다거나, 경제결정론의 한계를 가졌다거나, 불명확하고 모순적이라는 것 등이다. 그렇지만 이런 평가는 과학적 탐구의 특성에 대한 그리고 맑스의 메타이론에 대한 몰이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사회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이론의 ‘반증’이 아니라 사회현상의 설명을 추구하는 활동이며, 사회세계의 모든 객체가 아니라 일부 객체들만을 추상하여 이론화하는 활동이다. 또한 인지능력과 연구의 진전에 따라 부분성이 확장되고 정확성이 심화되는 과정에 있는 오류가능성을 내포한 미완성의 활동이다. 이것은 과학에 대한 맑스 자신의 이해이기도 하다. 이런 이해에 기초할 때 사회세계에 대한 결실있는 과학적 탐구도 가능하고 맑스(의 기여)에 대한 적절한 이해도 가능하다. 한국사회학은 실질적으로 실증주의적 메타이론에 갇혀 이러한 인식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맑스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맑스를 죽은 개처럼 취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때문에 통찰력 있는 사회이론의 생산에도 실패하고 있다. In korean sociology, after a passing fad of Marxian drift in late 1980s, Marx has been treated as a ‘dead dog.’ It is said that Marx was falsified or captured in economic determinism or unclear and contradictory. However these evaluations tha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nquiry and Marx’s meta-theory are inadequate. Scientific inquiry of Society does not seek to falsify a theory but to explain experiences, not abstract all the objects in social world but some objects. It is fallible and unfinished works on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dependent upon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capacities and inquiries. Marx also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scientific inquiry in such way. Based on those 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inquiry into social world fruitfully and to appreciate the Marx’s contributions to sociology adequately. Because of being locked up a positivist meta-theory, Korean sociology does not apprehend Marx’s theory and meta-theory and treat Marx as ‘dead dog’ as well as fail to produce the insightful social theory.

      • 계급 죽음 논쟁에 대한 맑스주의 비판

        문혜림 한국사회경제학회 2014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4 No.겨울

        본 연구는 현실 사회주의의 실패와 몇 차례에 걸친 노동자 계급의 정치세력화 무산이 과연 과학으로서의 맑스주의와 그에 따른 계급 분석에 종언을 가하는 기점이 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 1990년대를 정점으로 한 계급 죽음 논쟁(Death of Class Debate)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 논쟁에서 제기된 맑스주의 계급 분석 비판에 대한 반비판을 시도한다. 반비판은 크게 방법론, 이론의 설명력, 그리고 분석적 측면에서 이뤄진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신베버주의 계급 분석가들, 특히 골쏩과 마샬이 라카토스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 개념을 왜곡되게 수용하여 맑스주의 계급론을 비판하고 있다는 점과 라카토스의 과학 방법론에 비춰 봐도 맑스주의 계급 분석은 진보하는 연구프로그램에 속한다는 점을 밝힌다. 이론의 설명력 측면에서는 맑스의 생산에 기반한 계급 개념을 경제결정론과 명확하게 구별 짓고, 더 나아가 맑스주의 진영 내에서 대립 관계에 있던 계급에 대한 구조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은 실상 맑스의 변증법적 계급 분석의 기초임을 밝힌다. 그리고 분석적 측면에서는 맑스주의 계급 분석이 종국엔 베버주의 계급 분석으로 수렴될 수밖에 없다는 테제를 라이트의 계급론으로 우회하여 기각하고, 그의 착취 중심적 계급 분석 방법이 갖는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맑스주의 계급 분석의 기초를 확인한다. 계급 죽음 논쟁에 대한 이와 같은 메타 이론적 접근은 계급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한 초석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추후 구체적인 계급 분석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 또한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ritically on the 'Death of Class Debate' that reached a peak during the 1990s, and to attempt anticriticism of the critiques brought up in this debate for Marxism's class analysis. The anticiriticism is done from three aspects: the methodological, explanation ability of theory, and analytical aspect.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neo-Weberian analysts, especially Goldthorpe & Marshall, accept Lakatos's scientific research program incorrectly and Marxist class analysis even belongs to Lakatos's progressive research program. In the explanation ability of theory aspect, I try to distinguish Marx's class concept based on production from that of economic determinism, and furthermore show that both structural and historical access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are actually the root of Marx's dialectical class analysis. Finally, In the analytical aspect, I dismiss the thesis that Marxist class analysis would be converged toward Weberian class analysis through examining Wright's Neo-Marxist analysis method. Although his exploitation-centric class theory can not represent marxist class theory, critical review of his perspective give us a chance to confirm the basis of marxist class analysis. This meta-theoretic access to the 'Death of Class Debate' may be meaningful to carrying out the empirical researches about class, but has limit in the way that concrete class analysi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1920년대 맑스주의 문예학에서 ‘과학적 태도’ 형성의 배경

        송민호(Song Min-ho)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본고는 1920년대 맑스의 사회주의 사상이 사회 저변에 널리 영향을 주게 된 원인을 밝혀내어 보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대부분 맑스주의 논자들이 벌였던 논쟁들을 중심으로 행해졌던 연구 경향에서 탈피하여, 맑스주의가 당시의 지식체계에 등장하여 널리 받아들여지게 된 인식론적 배경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당시 맑스주의 수용과정 속에는 이전 세대, 한말과 개화기를 거치며 한국의 지식체계를 좌우했던 사회진화론의 핵심적인 이론적 배경이었던 다윈의 진화론이라는 과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진화의 대상과 방향성을 새롭게 전유하는 과정이 담겨 있다. 이른바 맑스의 유물사관은 1920년대 초 한국에 소개될 당시에 역사발전의 동력으로써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하는 특유의 역사발전론으로 소개되기 보다는, 오히려 당시의 지식인들에게 익숙했던 다윈의 진화 발전이 인류사회의 진화에 적용된 것으로 보다 명료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맑스의 사회주의는 이렇게 전대의 사회진화론과의 영향관계가 강조되면서 이제껏 한국에서는 본격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했던 과학적 세계관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것은 계급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사회진화론적인 구도에서는 은폐되어 있던 계급적인 착취의 문제를 드러내었고 이를 통해 필연적인 인류 진화의 방향으로서 계급혁명이라는 귀결점을 과학적으로 도출해내었던 것이다. 이렇게 단순히 철학적인 견해가 아닌 결정론적인 ‘과학’으로 제시된 유물사관을 표방한 맑스의 사회주의를 식민지 체제 하의 당시의 청년들이 환영하며 받아들였던 것은 그런 의미에서 당연한 일이었던 것이다. 당시 맑스주의를 받아들였던 지식인들은 사회진화론의 흐름을 간접적으로 계승하고 있었던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을 반근대, 반과학적인 논의로 비판하는 과정에서 온전하게 맑스주의 유물사관을 유일한 사회 진화의 원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유물사관은 문학, 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끼쳐 맑스주의 문예학, 특히 KAPF의 이론중심적인 경향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김기진, 박영희 등의 이론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why the marxism was widely accepted in Korea, 1920's and appeared as the innovative knowledge to mess up the existing knowledge system, out of the tendency that focused on the socialism orga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tinuity of knowledge, Marxism, especially historical materialism, was accepted in the background of recognition formed by Darwinism as science in Korea. In the meantime, Marxist understood that historical materialism is the science which set the new direction of evolution through the class from Darwinism. Based on this viewpoint, Marxism was thought upon as the scientific world-view that indicated the inevitability of social evolution, as neither the political belief nor the guide of group struggle. This situation explained why Marxism could be widely accepted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general society. In those days, Marxists could get the initiative of scientific status of Marxism in its entirety, criticizing opinion of Yi, Kwang-su and social-darwinist as the unscientific and premodern one. Moreover, this scientific status of Marxism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theoretical differentiation of early KAPF(Korea Artista Proletaria Federatio). Park, young-hee understood historical materialism as the science of society and regarded art and literature as the method to historial materialism. Kim, ki-jin, however, tried to reinterpret historical materialism in literary history, not regarding as science. Finally, their argument about the content and form of the literature was understood as the problem whether should accept the superiority of historical materialism as science, or not.

      • KCI등재

        어떤 맑스인가?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3

        이 글은 맑스가 세상에 태어난 지 2백돌이 되는 이 해 봄에 그의 학문 유산을 되새기기 위하여 한국인문사회과학회/「현상과인식」이 연 학술 모임에서 내가 발표했던 것을 다시 고쳐 쓴 것이다. 여기에는 ‘나 자신의 이야기’와 ‘그의 이론 논의’ 이 두 부분이 함께 들어있다. 먼저, 겉으로는 ‘자유 민주주의’라고 하면서도 우리나라에서 맑스를 금해온 것, 기대치 않게 아메리카 대학에서 맑스의 생각을 만나게 된 것, 그리고 루카치와 알뛰세르에 이르는 맑스주의자들의 생각과 종교, 새 계급, 생태와 같은 문제에 대한 맑스의 생각을 내가 다룬 몇몇 논문을 떠올린다. 그 다음, 맑스의 이론을 점검하면서 학문과 사회 세계에서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힘을 얻게 된 자연과학과 같이 이의를 달 수 없는 ‘과학’ 체계를 세우고자한 그의 생각을 밝힌다. 이에 터하여, 나는 그러한 결정론에 서 있는 ‘과학’의 주장은 영향력을 잃을 운명을 갖기 마련이라고 보고, 그의 생각에 담긴 ‘예언자의 목소리’가 지식 계급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마음에 호소력을 줄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맑스 안에는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모습이 들어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나는 결정론에 치우친 ‘과학자’ 맑스보다 논쟁을 자아내는 ‘예언자와 같은’ 맑스의 모습을 회복하여 재설정하자는 논지를 제시한다. This is a revised version of the paper which I presented at the conference marking the bicentenary of the birth of Karl Marx on the 26th of May, 2018, organized by the Hyonsang-gwa-insik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he official quarterly periodic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o revisit his intellectual legacy.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personal and theoretical. First, I describe about the forbidden Marx, in the face of the ostensive ‘liberal democracy’ of Korea, an unexpected encounter with Marx in the United States, and some of my writings on Marx, dealing with the Marxist figures ranging from Lukács to Althusser and with the Marxist ideas on the topics of diverse subjects such as religion, new class, and ecology. Second, reassessing Marx’s theoretical thinking, I note the ‘scientific’ claims of his thinking so heavily influenced by the enthusiasm for building an undisputed ‘scientific’ system just life the natural science, which earned the unchallenged power in intellectual and social world. On this basis, I point out that such a deterministic ‘scientific’ claim has a fate of diminishing impact, and goes on to argue that the ‘prophetic voice’ of his thinking may provide a way forward, for the hearts and souls of not merely knowledge class but of ordinary citizens. Conceding there are more than one singular figure in Marx, I propose to recover and reconfigure the mark of a contentious ‘prophetic’ Marx over a deterministic ‘scientist’ Marx.

      • KCI등재

        아렌트의 맑스 비판과 그 타당성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오하나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3 No.4

        『인간의 조건』에 나타난 노동, 작업, 행위의 구별은 맑스의 노동 개념의 비판에서 비롯되 었다. 아렌트가 제시하고 있는 정치적 범주들이 이론적으로 타당할 수 있으려면 맑스와의 논쟁은 피해갈 수 없다. 아렌트의 맑스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노동과 작업 의 혼동, 둘째, 인간과 자연의 영원한 물질대사로서 노동과 이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이 그것 이다. 첫 번째 쟁점과 관련해서 아렌트는 인간의 욕구나 필요에 복무하는 노동과 욕구나 필요 에 저항해서 객관적으로 지속하는 세계를 건설하는 작업 간의 구분을 중시했지만, 맑스는 두 활동을 중첩시키고 있다. 두 번째 쟁점과 관련해서 아렌트는 맑스의 자유 개념은 하나의 이데올로기이며 공산사회에서 실현된 자유는 진정한 자유가 아니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맑 스의 유적 본질의 개념은 필연성 속에서 자유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사람의 관점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이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방법에서 비롯된다. 개념 간의 상호 침투를 허용하는 맑스의 변증법(Dialectics)과 달리 아렌트는 개념 간의 엄격 한 구획을 지니는 방법으로서 구별(Distinction)을 채택하고 있다. 아렌트의 방법은 개념들의 독자성을 보호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지만, 현실과 개념 간의 관계를 보다 잘 반영해줄 틀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를 노출한다. 이 글은 아렌트의 맑스 비판의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노동과 필연성이 공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는 가능성, 즉 필연성을 위한 노동이 그 자체로 자유로운 활동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Labor, Work, and Action in Human Condition originated from the criticism of the concept of Labor by Marx. Arrent's debate with Marx cannot be avoided for Arendt’s political categories to be theoretically valid. Arendt's criticism of Marx is largely twofold. First, the confusion between Labor and Work, and second, Labor, and Freedom from this labor as eternal matabolism between humans and nature. Regarding the first issue, Arendt emphasized the distinction between Labor serving human needs or desires and Work of building a world that objectively persists against desires or needs, but Marx overlaps the two activities. Regarding the second issue, Arendt criticizes that the concept of Freedom in Marx is an ideology, and Freedom realized in communist society is not true freedom. However,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the species-being of Marxs shows the feasibility of Freedom in necessity. Why does the difference in view between the two occur? This essentially comes from different method. Unlike Marx's ‘Dialectics’, which allows mutual penetration between concepts, Arendt adopts ‘Distinction’ as a method of having a strict division between concepts. Arendt's method provides a framework to protect the uniqueness of concepts, but expose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have a framework that bett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concepts. By analyzing the validity of Arendt's criticism of Marx,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Labor and Necessity can have public value in modern society, that is, that Labor for necessity can become a free activity in itself.

      • KCI등재

        한스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일고찰

        김일방(Kim, Il-Ba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전통윤리학에서 다루어온 도덕적 대상은 인간을 둘러싼 작은 환경, 즉 ‘지금’과 ‘여기’에 국한돼 있었다. 그러나 요나스에 따르면 과학기술의 발달에 의해 인간의 행위가 질적으로 변화되었고, 그에 따라 윤리학은 ‘지금’과 ‘여기’를 초월하여 ‘전 자연’과 ‘전 미래’를 책임의 대상으로 삼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주장을 요나스는 『책임의 원칙』에서 독특하고 난해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밝혀나갔다. 요나스는 자신의 ‘책임의 원칙’을 부각시키고자 미래를 위협하는 진보사상을 비판하는데, 특히 그중에서도 맑스주의를 진지하게 고려할 만한 유토피아주의로 지목하고 관심을 집중한다. 그 이유는 맑스주의와 대결하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할 때 ‘책임의 원칙’이 더욱 돋보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 내용을 필자는 다음의 세 가지 주장으로 정리해보았다. 첫째는 맑스주의가 기본적으로 반생태적이라는 것이다. 자본주의에 의해 초래된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대안으로 고려되었던 맑스주의가 실상은 자본주의보다 더 과학기술적이며, 더 인간중심적이며, 더 환경파괴적이라는 것이다. 둘째는 현대사회의 위기를 타개하는 데 자본주의가 맑스주의보다 더 낫다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는 자유와 필연은 동시적 만남 속에서 구현되는데도 맑스는 양자를 엄격하게 분리함으로써 공존 불가한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위 세 가지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따져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Moral object that was dealt with in traditional ethics, has been limited to small environment surrounding man, that is, now and here. According to Hans Jonas, however scientific technique development changed human conduct essentially, so ethics was compelled to take responsibility of ‘all future’ and ‘all nature’ that transcend here and now. Jonas made this claim by distinctive and difficult philosophical argument in his The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To emphasize this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Jonas criticizes progressive ideas that threatens our future. He especially criticizes Marxism of all progressive ideas and regards Marxism as a utopianism deserving serious consideration. The reason is that he judges the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is more remarkable when we develop a discussion from a conflicting angle between the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and Marxism. I think that Jonas’s contents of criticism of Marxism can be summarized in three kinds. The first is that Marxism is basically contrary to ecology. Marxism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ization brought on by capitalism. According to Jonas, however Marxism is really more scientific-technological, more anthropocentric, and more environmental destructive than capitalism. Secondly, capitalism is better than Marxism in overcoming modern society crisis. And the third is Marx’s misconception. While freedom and inevitability can be realized simultaneously, Marx mistakenly think that the two is not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by rigidly making a sharp distinction of the tw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Jonas’s three claims that I discuss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