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전체 수준 교육과정 개편의 쟁점과 대안 : C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1

        Recently, The university curriculum is rapidly reorganizing with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niversity.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reorganization has man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and Resolutions of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level of the university-wide based on the case of C university. Literature and the major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analyzed that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centrated on reorganization at major curriculum level and there were many comparativ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influence from national university assessments is increasing, institutional isomorphism is deepening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still working in a closed 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focusing on the C university case. Considering appropriate curriculum reorganization at the level of the entire university curriculum is the following resolution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proposed by the university-wide Curriculum Level is as follows. First, Specify and align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ased on professionalism Third, Restructur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th, Reorganization the curriculum by systematic procedure Fifth, Student-centered curriculum. Sixth,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operation organization 최근 대학을 둘러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과정도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교육과정 개편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교육과정 개편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탐구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최근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요한 이슈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대학 교육과정 연구가 교양 교육과정에 집중된 점, 특정 학과 및 전공 단위의 교육과정 개편에 집중된 점, 비교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식별되었다. 또한 국가・사회적 환경으로는 국가수준 대학평가에 대한 민감성 증가, 대학의 제도적 동형화, 교육과정 개편의 폐쇄성이 제시되었다. 이후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C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 전체 교육과정 수준에서 적절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지기 위해 살펴본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육목적의 구체화 및 정렬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관리체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 절차에 입각한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생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육과정 운영 조직의 재편성이 필요하다.

      • 한국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방안

        곽형식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는 우리들은 현실적으로 보아 직업을 갖지 않고는 생활해가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만큼 현대 생활에서의 직업이란 인간에게 필수적인 것이며 삶의 기본이 되는 매우 소중한 내용인 것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대학을 선호하고 치열한 경쟁을 통하여 대학에 입학하여 교육을 받는 목적도 현실적으로 따지고 보면 모두가 궁극적으로는 수준 높은 전문적 직업을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요즘 대학생들은 "결혼은 선택이고, 직업은 필수"라는 사고를 갖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대학 교육이 대중화 보편화를 맞아 대학교육을 받고 졸업하는 학생은 해마다 증가하는데 취업난과 구직난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하면 대학 졸업생들에게 취업난과 구직난을 들어줄까 하는 문제는 대학교육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라도 해소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대학교육 4년동안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직업진로교육을 수행한다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대학생 직업진로 교육을 논하면서 그 필요성을 전체적인 학교교육의 진로지도의 필요성과 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필요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학교교육 진로지도의 필요성에서는 다시 개인적 측면과 국가 사회적 측면으로 검토하였으며, 대학생 직업진로지도의 필요성에서는 김충기(1995)의 주장을 토대로 5가지의 내용으로 간추려 보았다. 이러한 직업진로교육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진로교육의 이론적 뒷받침이 있어야 하므로 진로발달 이론의 주안점을 논하면서 진로발달 이론과 직업발달 이론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한국대학생 직업진로교육의 실천방안을 도출하면서 ①교양교과 과정을 통한 실천방안, ②전공교과 과정을 통한 실천방안, ③산학협동 과정을 통한 실천방안, ④심리검사 상담 과정을 통한 실천방안. ⑤현장실습 과정을 통한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미래의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살아갈 우리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을 받는 동안 전문적 직업인으로서 손색이 없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심도 있고 폭넓은 수강과 자기 자신의 혼신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바탕 위에 변화하는 시대와 세계사적인 흐름을 간파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며 변동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력과 응용력 그리고 종합력과 평가력을 다양한 교과목을 통하여 함양함으로 장차 훌륭한 전문적 직업인으로서 손색이 없고 전인적 인간으로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과업은 졸업 후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을 성취하여 경제적 곤란을 받지 않고 자기의 품위를 유지하면서 좋은 배우자를 만나 행복한 가정을 꾸려 대학 졸업자로서의 긍지를 갖고 이 사회에 자기의 역할을 잘 담당하면서 봉사적 생활을 하므로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일의 가장 기본적인 과업이 적합한 직업을 갖고 생활하는 것이다. 대학졸업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취업난과 구직난은 더욱 심각해지며 정치·경제 정책의 실책으로 I M F 의 구제금융을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대학교육에서라도 올바른 진로지도교육이 실행되어 직업과 일의 숭고한 내용을 깨닫고 자기분수에 맞는 직업개발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직업윤리를 확고히 확립할 수 있는 인재가 많이 배출되어 공동체적인 풍요한 삶을 실현할 수 있는 국가가 되기를 소망하여 본다.

      • KCI등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백은숙(Paik, Eun-Sook),장원형(Jang, Wonhyeong),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의 실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 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경험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의도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화학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 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문제풀이 위주의 학습을 하던 고등학교와 개념 중심의 학습을 하는 대학교 사이에서 큰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고등학교과정 중에 심층적인 개념학습이 필수적임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 대한 화학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을 뿐 아니라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내용에서 대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단원을 수직적 연계성과 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Also,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ntended curriculum, whil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mplemented curriculum. Finally, university students felt a big gap between high school with problem-solving learning and university with concept-focused learning, and mentioned that in-depth conceptual learning is essential during high school cour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chemistry stud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also analyzed the units that university students find difficult in the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and university general chemistry in terms of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 KCI등재

        캐나다와 호주 전문대학의 이주민을 위한 교육현황과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

        이로미(Lee, Ro-Mee),김진희(Kim, Jin-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ollege education’s educational provision for immigrants in Canada and Australi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duce a critical implication and insight for Korean community colleges’s active engagement in the multicultural context.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Canadian community colleges have been actively involved with multicultural policy and immigrants’ different learning needs, providing bridging programmes to support immigrants’ social integration and increase their job-related capacity. In Australia, TAFEs have extensively provided English language support programmes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mes as well for newcomers. Canadian and Australian cases produced three key implications to Korean community colleges. First, Korean colleges should reconstruct to develop educational provision for immigrants. Second, colleges should play a crucial role to empower immigrants’ capacity building and widen accessability to higher education. Finally, Korean colleges’ multicultural education provision should be extensively implemented using local community’s resources and network.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인구가 점증하는 우리사회에서 이주민의 고등교육 기회 확충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대학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캐나다와 호주의 전문대학이 추진해 온 이주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교육 사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 전문대학에의 시사점과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캐나다의 전문대학들은 이주민들의 조기 적응과 빠른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bridging programs)을’ 개발·제공하여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주의 경우 전문대학들을 중심으로 이주민 영어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와 함께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직업교육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양국의 전문대학들은 이주민의 역량 강화를 필요로 하는 전 사회적인 요청과 이주민 스스로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학습요구를 유연한 교육과정의 제공을 통해 부응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의 시사점과 발전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이주민을 위한 고등직업 교육기관으로의 전문대학의 교육체제 정비가 시급하며, 둘째, 전문대학을 활용한 이주민의 고등교육 기회 확충과 역량 강화가 내실화되어야 하며, 셋째,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전문대학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교육 개혁 로드맵

        정경훈(Kyung hoon J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1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교육문제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교육문제의 핵심 이슈는 1) 대학의 수직적 서열화, 2) 등록금이 비싼 사립대의 과도한 비중 3) 대학입시 중심의 초중등교육의 파행, 4) 대학교육의 부실이다. 대학의 수직적 서열화와 사립대의 과도한 비중을 완화하는 좋은 방법은 대학통합네트워크의 실시이다. 대학통합네트워크는 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는 국립공동학위대, 정부책임사립대, 정부지원사립대로 구성된다. 이들 간에는 강의개방, 학점교류, 교수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입시로 인한 중고등학교교육문제를 해결하고 대학교육을 양질화하는데 좋은 개혁방법은 국립교양대학의 설치이다. 국립교양대학은 박사급 교양교육국가교수가 주축이 되는 교양교육 담당 교수진이 양질의 다양한 강의를 제공하는 국립교양대학 프로그램을 대학통합네트워크에 동시에 설립ㆍ운영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는 졸업장과 대입자격시험만으로 자신이 사는 또는 원하는 권역의 대학의 교양대학에 진학하고, 1년 반 동안의 교양대학과정 이수 후 교양대학 성적을 중심으로 자신이 원하는 대학과 전공을 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대학통합네트워크와 국립교양대학은 2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단계에서는 수직적인 대학서열을 해체하는 대학통합네트워크제가 설립ㆍ안착되어야하며, 동시에 2단계에서의 대학입시 폐지와 전면적인 국립교양대학 실시를 위한 토대를 튼튼하게 마련해야 한다. 2단계에서는 현재의 대학입시제도를 폐지하고 국립교양대학을 전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Million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graduates, and parents in Korea have been victimized by the chronical education problems, whose key issues are the discriminating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bout 80 percentage of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being private ones, whose tuitions are expensive, and the abnormalization of education in mo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wing to the feverish competition for the entrance to colleges or universities. A good way to deconstruct the established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he extremely unbalanced ratio of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ublic ones is to found Integrative College Network composed of Government-Supported Colleges, Government-Subsidized Colleges, and National College League, whose colleges offer the same diploma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ir campus. To normalize the abnormalized education of mo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 propose to establish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in the Integrative College Network colleges and universities so that high school graduates do not apply for a college or university through tough competition but only with the high school diploma and the passage of the college qualification exam enter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near her/his residence. In graduating one and half year general education in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the student can apply for a college or a university for her/his major studies. The reform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gradually in 2 stages. In the 1st stage, Integrative College Network to deconstruct the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ill be established and the preparation for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2nd stag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will be set up and the current feverish college entrance exam will be abolished.

      • WTO時代 職業技術 敎育의 課題와 方向 : 공업계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한관순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2

        전문대학이 과거 노동집약적 산업을 주축으로 공업화를 추진하던 '70년대의 직선형 단기학제의 종국적인 중견직업인 양성교육으로 충족되기에는 최근의 기술·공학의 급속한 발전, WTO체제가 출범함에 따른 국제경쟁의 가속화, 산업구조의 고도화 과정에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전문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교육 수요자 측의 냉엄한 비판을 받고 있는 현 상황과, 교육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대학교육 개혁의 일환에 부응하여 직업기술 교육에 대한 문제점의 검토와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硏究意義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현대 국가간의 경쟁은 비단 가격경쟁만이 아니라 우수한 제품의 생산을 통한 품질 경영과 가치혁신에 있다고 할 때 과학기술 인력의 개발자 및 기술문화의 창조자로서 전문대학의 사명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우선, 우리 나라 기술인력의 양성구조와 특성을 통한 수요전망을 살펴보고 특히 중견기술인 양성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전문대 직업교육의 위상과 과제 등 인력개발 실태를 개관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육 수요자의 선택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전문대직업기술 교육이 대학선택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산업인력의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대학과 산업체 그리고 유관기관이 상호협력하여 직업기술 교육과 연구의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에 있어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Ⅰ장은 서론으로서 정보산업사회에서는 기술·공학의 고도화, 자동화, 소프트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인적자원, 그 중에서도 특히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전문기술·기능인력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속에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인력 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고찰했다. 제 Ⅱ장에서는 첫째, 최근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산업인력 수급체제상의 심각한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해소시킬 것인가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80년대 후반부터 산업현장에서는 노사간의 대립과 기술·기능인력의 부족 및 적웅력의 문제가 심화되기 시작한 반면, 인문·사회계 고학력자들은 취업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형적 취업난을 겪고 있다. 이것은 결국 사회·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귀중한 교육자원과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인력의 양적·질적인 수요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대 기술인 양성안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둘째, 직업교육의 양성체제상 서구사회의 경우처럼 학제상 중학교 과정부터 조기에 직업 진로교육 체제를 실시하고 산업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직업반의 비율이 높도록하는 둥의 교육문화 형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70년대 공업화 전략의 필요에 따라 설정된 전문대 직업교육의 역할 내지 위상은,'95년부터 교육시장 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쟁상황을 고려하여 2000년대의 사회·경제적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전문직업 기술교육 기관으로 위상이 전환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교육서비스 수요자들은 급격한 기술·공학의 발달과 경제·경쟁환경의 변화로 직업교육 학제의 과감하고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제IV장에서는 전문대 직업기술 교육의 세계화 방향에 대하여 총론적으로 고찰한 다음에, 이를 좀더 구체화하는 형식으로 산학협동을 통한 바람직한 산업인력 양성안을 모색하였는데, 첫째, 대학과 기업간의 상호 공동관심사 구축에 기초한 호혜적 관계의 설정, 둘째, 산업체 위탁교육의 정상화, 셋째, 전문대학과의 특성에 따라 학제의 다양화가 추진되어 기존의 단기 완성, 종결교육이 아닌 개방체제로의 운영방안 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WTO 시대에 적합한 직업 교육은 WTO시대에 적응하는 산학협동을 통한 산업사회 전체 분위기 속에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문대학의 교육혁신은 세계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직업기술 교육의 혁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산업지향적인 건전한 기술교육 문화의 형성(도제 내지 장인정신의 갈구)이 요구되며, 또한 120여년 이상의 산업화 역사를 갖고 있는 서구 선진공업국에 비하면 기술교육에 대한 Know-how의 축적이 없는 상태에서 기술교육은 단계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으며 교육주체(통산산업부의 기술대학, 노동부의 기능대학 설립)를 바꾼다고 교육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존 대부분의 전문대는 교육경험을 15년 이상 축적해왔으며 사립중심의 교육투자도 그 동안 누적해 왔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직업기술 교육의 Synergy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교육투자 균형관리('94년의 경우 학생수와 학교수 등으로 볼 때 고둥교육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전문대의 재정지원 규모는 일반대의 1/10에 지나지 않음)와 획기적 재정지원책의 마련이 요원하다. 한편으로,'80년대 후반 이후 인력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에 노동력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고용관행과 작업환경 개선 등 근로조건을 계속 향상시킴은 물론 기술계 직업에 대한 국민의식과 사회분위기가 우선 변화되어야 한다. 일례로서 기업에서 학력보다 능력 즉, 기술·기능자격증이 중요시되도록 자격증 소지자들이 승진과 임금면에서 우대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의 탄력적인 활용을 위하여 직업기술에 대한 계속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동일계열내의 일정한도 내에서 轉科制度와 副·複數專攻制度 등을 활성화하여 인력양성의 회임기간을 최소화 해야한다.

      • KCI등재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서민원(Min-Won Seo)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3

          With the beginnning of new practice-oriented-government in Korea, we have prospects that the policies of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of university edcation will be accelerated.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of university edcation and seek for new idea of quality enhancement and student selection under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B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BR>  First, The current student selection system ha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enhanc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causes of the results from centalized educational system by government.<BR>  Second, the educational policies under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should strongly be introduced to all schools.<BR>  Thirdly, student selection policies of Korea and tha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BR>  Finally, in order to achieve high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dependent governing system of education and student selec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최근 실용정부가 새로이 출범함에 따라 대학자율화 정책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 연구는 대학자율화의 개념과 정당화 논리를 탐색해 보고, 그러한 교육의 지배구조 하에서의 교육의 질 제고 문제, 그리고 새로운 대입전형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력과 질적 수준이 고등교육으로 높아 갈수록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근본적인 원인 중의 하나가 교육의 지배구조와 시스템이라는 데에 문제의식을 갖고 대학자율화와 교육의 질, 그리고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관계성을 탐구하였다. 둘째, 대학교육 차원에서 높은 질적 수준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교육의 지배구조와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에 입각한 학생선발과 교육의 질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자율 그 자체에 대한 개념 탐색과 정당화 논리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셋째, 정부주도하의 우리나라 대입제도의 특징과 미국의 자율기반 대입제도의 특징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대학자율화에 따른 대입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교육이 비정상적이고 소모적인 왜곡된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적 수준의 질 높은 교육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유사하게 점수 위주의 학생을 뽑는 데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각 대학의 설립취지와 특성화에 기반한 자율적인 학생선발 논리와 정책을 수립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활용에 대한 연구 - 한국 · 일본 · 미국 대학의 교양 고전교육 사례 비교 -

        함정현,민현정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은 소외되고 있던 인문학의 부활과 인재 가 갖추어야 할 인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중 하나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 대학의 경우 교양필수 또는 교양선택 강좌에서 고전읽기·고전세미나·주제로 읽는 고전 등 고전을 활용한 교 양교육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 유신 시기 왕성했던 고전교육은 이 점차 사라져 현대의 교양교육에서는 고전교육의 활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 대학의 고전교육은 1900년대 시작되어 현대까지 대학 교육의 중심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교양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 높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전을 ‘사고와 표현’ 강좌에 적용하여 실질적 고전교육뿐만이 아 니라 쓰기와 말하기라는 현대적 활용 단계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 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고와 표현’ 강좌가 대학생에게 필요한 일반적인 기술적 교 육이었다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와 표현 : 쓰기’의 경우 ‘동호문답을 통한 문답식 글쓰기’, ‘난 중일기를 통한 자기성찰 글쓰기’, ‘목민심서를 통한 정보전달 글쓰기’ 등 을 구성하여 고전탐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쓰기 활동을 제안할 수 있 다. ‘사고와 표현 : 말하기’의 경우 또한 ‘논어와 정서표현 말하기’, ‘맹 자와 지성적 말하기’, ‘도덕경과 논리정보 말하기’, 한비자와 말하는 설 득과 토론’등으로 말하기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범위적 여건의 제한으로 각 고전의 일부를 선정하여 집중 탐구해야 하는 제약 은 대학별 학사일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lowly gaining in popularity and classical literature’s greatest skill is its ability to teach humanism and good characteristics to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Japan, America, and Korea teach classical literature to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goals of general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has educational value, and we can apply it to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es in general studies. We can also look for a way to develop classical literacy in modern subjects. On Hanseo University’s cases, it designs into two classes: thinking and expression writing,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In writing class, there is interrogatory writing through Donghomoondab, and persuasion writing through Baekbumilji. In speaking class, there is sentimental speaking through Noneo, logical information speaking through Dodukkyung, rational speaking through Mookja, persuasion and debate speaking through Hanbija.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can give a change to think through the history and events of philosophy and it is a guide to solve problems, it can also help one to develop wisdom to see more out of live. For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ture is huge and the academic schedule is short so the class must be adaptable and flexible.

      • KCI등재

        대학 생활 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미정(Jang, Mi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year in terms of college culture, including 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but some fail to adjust to college life and complete their studies. To address this, universities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level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his study, which focuses on educational support, surveys 152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re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college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se students would like to learn about college culture in their liberal arts classes. When college life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schoolwide or departmental activities and ev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reer and employment; and housing and living expenses—lowerclassmen show higher needs within the academic system than in other categories. When comparing the educational prio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lowerclassmen have a higher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the credit system, the major system, how to register for classes, the seniors express higher demand for education regarding employment regulations, Korean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festiva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best to vary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learners’ academic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 체계, 학내 지원 기관, 대인 관계 등을 포함하는 대학 생활문화에 대해 외국인 학부생들이 학년 차에 따라 어떠한 교육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증가했지만, 일부 유학생은 대학 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학업을 마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교과, 비교과, 행정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 응을 돕기 위한 지원 가운데 하나인 교육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국내 대학 3곳에 개설된 학업 한국어 등 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외국인 학부생 152명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 문화 항목에 대해 어떠한 교육 요구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생활 문화 항목을 교양 수업 등의 교과차원에서 배우기를 요구하였다. 대학 생활 문화 범주를 ‘학사 체계 및 제도, 학내 지원 기관 및 제도, 학내/학과 활동 및 행사, 대인관계, 진로 및 취업, 주거 및 생활비’ 로 구분하였을 때, 다른 범주보다 학사 체계 및 제도에 대해서 저학년의 교육 요구가 높았다. 두 집단 간의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비교하였을 때, 저학년은 ‘학점 체계, 전공 체계, 수강 신청 방법’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고, 고학년은 ‘취업 규정, 한국 문화 체험 활동, 학교 축제’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 학년에 따라 대학 생활 문화 교육에 중점을 둘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계 분석 연구: 중국 대학을 중심으로

        김한나 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Chinese universities adjacent to Korea, and the in-depth study focused on the cases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which are said to be the best comprehensive universities among Chinese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the direction of talent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pursued by each universit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objective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the core liberal arts were reviewed. The core liberal arts of the two universities were compared in three categories: the number of subjects,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pport system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examined in five aspects: the organiz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e faculty,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recruitment of freshmen. In addition,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five items.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China,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to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I would like to discuss improv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o be used as a necessary material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적 이해를 도모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를 살펴보았으며 중국의 여러 대학 중에서도 특히 최고의 종합대학이라 일컬어지는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 분석을 위해 각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및 교양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양교육의 목표, 학사커리큘럼, 핵심교양과목을 살펴보고 두 대학의 핵심교양과목에 대해 과목 수, 과목 구성, 교수학습방법의 세 가지 항목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지원체제에 대해서 조직제도, 교양교육과목 설치, 교사진, 교양교육 특색발전과 학과 융합한 신입생 모집 방안의 다섯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추가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5가지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교양교육과정과 이에 대한 지원체계와 관련한 이해를 도모하고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에 주는 시사점과 적용 가능한 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이해의 관점에서 상호이해가 증진되고 양국의 교육발전에 필요한 자료로써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