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이창배,전혜성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s of two paths, a path suggests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ffects directl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other path shows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ffects indirectl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mediation variable, self-concept. The competition model consists of a path which excludes the direct effect of the family differentiation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theoretical model. In order to get the answe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mployed to fulfill the study objective and the subjects were 312 college students of 4 universities. The competition model was chosen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two models. The path which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family differentiation influenc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medit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e family differentiation positively affects the self-concept so that self-concept increases as the family differentiation increases, and self-concept positively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so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is improved as self-concept increas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elf-concept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self-concept should be improved first so tha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enhanced. To promot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counseling for developing positive self-concept based on family differentiation, parents education for healthy family differentiation, family counseling to change the family interaction. 본 연구는 자아개념이 대학생의 가족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으로는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제시하는 경로와 가족분화가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경로로 구성되었다. 경쟁모형은 연구모형에서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삭제한 경로로 구성된다. 이를 경기 2곳, 충청 1곳, 전라 1곳 4개 대학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두 모형을 비교․평가한 결과 경쟁모형이 최종 선택되었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가족분화가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즉, 가족분화는 자아개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가족분화 수준이 높아지면 자아개념도 높아지고, 자아개념 또한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아개념이 높아지면 대인관계 유능성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아개념은 가족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가족분화와 자아개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가족분화와 자아개념에 대한 선행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족분화에 기반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돕는 대학생 상담, 건강한 가족분화를 위한 부모교육, 가족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키는 가족상담을 제안한다.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오현미,최윤정,문효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intervention information for cultivating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y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to 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unstable adult attachment(i.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330 K-12 teachers in Kangwon province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attach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where they worked. Thus, kindergarten teachers’ attachment anxiety was lower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ir emotional support and mattering to ot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teacher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ies between the three groups. Second, teachers with low teaching experience (one to nine years) had higher attachment anxiety than those with longer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onger experience (over 21 years) were found to be more capable in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ttachment avoidance,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mattering to others among all school levels.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erceived by teachers, the indirect effect partially mediated by mattering to other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 and training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사의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내 유·초·중·고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대인관계유능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 (2013)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은 근무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바, 유치원교사들은 중등교사들보다 애착불안이 낮고 대인존재감은 높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1~9년)이 10년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애착불안이 높았으며, 고경력(21년 이상) 교사들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에서 나머지 경력 집단보다 높았지만, 애착회피,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전체에서는 학교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적인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업성적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은하,성한기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학업성적과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14일∼8월 29일까지 대구·경북지역 고등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단축형 행복척도 및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 행복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학업성적은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유능성은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을수록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적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적이 높은 조건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다면 대인관계 유능성이 낮을 때 보다 행복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관계형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의사표현, 이해와 배려, 자기개방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행복에 학업성적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대인관계 유능성은 학업성적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happin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employed subjective evalu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concise measure of happiness, and measu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 442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s subjects, from August 14 to 29,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each variable showed that happi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static correlation. Second, academic performance had static effect on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a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e happier he was.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static effect on happiness. That is to say, the stronger a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happier he was. Fourth, the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on happiness was moderated by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ther words, when academic competence was high, the subject’s level of happiness was higher compared to when his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weak i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strong. To examine each sub-factor, formation of relationship had a moderating effect but expression of opinion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nd self-opennes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verified that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static influence on an adolescent’s happi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able to moderate the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on happines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소영,이경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self-esteem as a mediator of this realtionship. For the research, data from 335 college students(female 53.7%)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relation to interpersonal competence.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meant the student had a higher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t also had indirect influence on the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self-esteem. Third,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ender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it is important to help students, male or female, have positive perception on their appearance while at the same time focus on raising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possible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in the field of education, counseling, and treatment program are also suggested.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 자아존중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다음과 같았다. 첫째,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외모만족도가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으며 대인관계 유능성 또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유능성간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는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하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남자 대학생과 여자대학생으로 구분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를 자아존중감이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대학생이 자신의 외모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동시에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감,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박미정(Park Mijung),채경선(Chae Kyoung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에서는 초기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 인지적 정서조절을 검토하여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공감 및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여,이들 변인 간 관계를 구조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공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21년 2월 1일~10일까지 전국 성인남녀(20~40세) 5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구조방적식 모형,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공감능력과 인지적 정서조절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초기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공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의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그 내부의 심리적 역동을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 및 심리치료 접근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진 초기성인의 공감능력과 인지적 정서조절 능력을 높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want to examine the internalized shame,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affecting interpersonal ability of early adults, assuming that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will mediate the process of internalized shame affecting interpersonal ability.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in the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early adults, this study used databased on an online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558 adult men and women (20~40 years old)nationwide. The analysis method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to analyzefrequency,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vergence feasibility,discriminative feasibility, structural spinning model, and bootstrapp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in early adults mis-affected interpersonal ability, and empathy and cognitiveemotional control had a static effect on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ability has a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ability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Fourth, there i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in the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ability. This study was able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psychological dynamics within an early adult byverifying its role as a medium of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s mediation variables in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ability. Therefore, we suggest thatinterpersonal abilit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empathy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of earlyadults with internalized shame through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pproach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하지민,고은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the sub-dimension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278 students in grades 3 and 4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ponded to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Questionnair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Based on thi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path analysis model, model fit and parameter values we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and whether the sub-dimensions of empath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spective-taking, fantasy, and empathic concern. Attachment avoid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spective-taking, fantasy, and empathic concern, but attachment anxiet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b-dimensions of empathy. Second, attachment avoidance negatively affected directly or indirectl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perspective-taking, fantasy, and empathic concern. Attachment anxiety in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e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sequentially mediating fantasy and empathic concern but had a much greater negative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rpersonal competence by understanding the adult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roving empath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 유아교육과 3~4학년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78명이 응답한 불안정 성인애착, 공감, 대인관계유능성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모델은 최대우도추정법으로 모델 적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고,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유능성은 애착회피 및 애착불안과 부적 상관관계였다. 그리고 대인관계유능성은 공감의 하위차원인 관점의 수용, 가상의 공감, 공감적 관심과 정적 상관관계였다. 애착회피는 공감의 하위차원인 관점의 수용, 가상의 공감, 공감적 관심과 부적 상관관계였으나 애착불안은 공감의 하위차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애착회피는 관점의 수용, 가상의 공감, 공감적 관심을 매개로 대인관계유능성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애착불안은 가상의 공감과 공감적 관심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인관계유능성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으나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직접효과가 훨씬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 특성을 이해하여 공감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대인관계유능성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구현주,문혁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통제,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 변인들과의 관계 및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으로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통제,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의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으며,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사회적지지도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통제는 대인관계 유능성에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지지에도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를 낮게 지각함으로 인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부모의 심리적통제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이 계획 및 시행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and Self-resiliency on Interpersonal CompetenceJimyeong H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y and self-resili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6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self-resili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bility, self-resili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nd support various ways to promote empathy and self-resiliency together in order to enhanc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ey 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Self-resiliency, Interpersonal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홍 지 명**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J도 유아교육과 재학생 156명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간 관계와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간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경험과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어: 예비유아교사,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유아교육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10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 KCI등재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솔,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2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1.34 (SD=2.36).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autonomy than female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lso,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close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initiating relationships and providing support showed significance. Initiating relationships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sserting displeasure with other actions showed signific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ositiv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nd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ere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29명(남: 137, 여: 192)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1.34(SD=2.36)세였다. 본 연구에서 감사성향척도(GQ-6),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PWBS)와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성차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 대인관계를 더 맺고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율성이 더 있었다.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심리적 웰빙과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남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감사 성향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관계 형성 및 개시 그리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여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관계 형성 및 개시가 가장 잘 설명하였고, 감사 성향과 권리 주장이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 효과에 관해서는 선행연구와 몇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SNS 중독경향성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한자연(Han Ja-yeon),조한익(Jo Han-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수용이 SNS 중독경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인관계 유능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수용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수용, SNS 중독경향성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대인관계 유능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수용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대인관계 유능성과 수용, SNS 중독경향성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인관계 유능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수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수용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이다.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용이 의미 있는 심리적 요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NS addiction tendency. Methods For this purpos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K-ICQ),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AAQ-16),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374 university students.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inclu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cceptance, SNS addiction tendency were foun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cceptance, SNS addiction tendency was proved to be valid. After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s of structural model,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Third, the pathwa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acceptance. Conclusions It impli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factor such as acceptance ha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NS addiction tendency. Also, acceptance has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NS addiction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