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만식 소설의 허무주의 연구 -『냉동어』를 중심으로-

        윤수미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9 No.-

        In 『Frozen Fish』 of Chae Man-sik’s novel is The custodial experience became the basis In 1939 in Gaeseong. He fell into nihilism by being tired of fatigue. I think his anxiety is in this work. ‘Daeyoung’ wants to return home through an affair. And this helps ‘Sumiko’ in sacrificing herself. The struggle of ‘Daeyoung’ continues to the artist. Chae Man-sik was worried by external pressure and censorship. Therefore, the power of Frozen word, which is at the pinnacle of nihilism, allows us to take into account the values of Chae Man-sik’s literature.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read the 『Frozen Fish』 from this perspective and to confirm the texture of Chae Man-sik’s literature obscured by ‘nihilism’ and ‘pro-Japanese literature’. ‘Daeyoung’, On the contrary, he took full control of his situation through the Japanese woman “Sumiko”. And he named the daughter. Naming means you made a family. This paper thinks that the process of the artist’s obsession with nihilism and pushes nihilism with an active attitude is completely melted in the form of anxiety in Frozen Fish. Therefore, the work was analyzed on the premise that the inside of the main character ‘Dae-young’ is in line with the inside of the artist Chae Man-sik. In some ways, Chae Man-sik encounters anguish to write a work even under the press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increasingly censorship. Chae Man-sik pushed his worries to the end in the face of excessive censorship and physical cooperation. Since then, the world he has encountered has been the world of history. So far, we have examined the location and the magnetic field of Frozen Fish in Chae Man Sik’s chapt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method of research may have identified some of the independent attitudes of Chae Man-sik literature before liberation in Korean literature. 이 논문에서는 ‘독한 니힐리즘의 호흡’ 속에서 집필했던 『냉동어』가 채만식 문학사에서 어떤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급적으로 보자면 채만식은 친일문학을 시작하기 직전인 1940년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온전한 작가적 자의식으로 쓸 수 있는 마지막 소설이 『냉동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따라서 허무주의의 정점에 서 있는 『냉동어』가 가지고 있는 힘은 채만식 문학의 가치관을 참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은 시각으로 『냉동어』를 읽어내어 ‘허무주의’와 ‘친일문학’에 가려진 채만식 문학의 결을 확인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채만식의 연보를 짚어보면, 채만식이 1939년 개성에서의 구금체험으로 인해서 육체적․정신적 피로로 고통스러울 때 창작한 소설이 『냉동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소설에는 작가가 허무주의에 천착하여 능동적인 태도로 허무주의를 끝까지 밀고나가는 과정이 『냉동어』에 불안의 형상으로 고스란히 녹여져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시각으로 이 논문은 식민지 지식인 남성인 ‘대영’을 채만식의 페르소나로 보고 주인공 ‘대영’의 내면이 작가 채만식의 내면과 일맥상통하다는 전제하에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친일 소설로 분류되는 ‘대영’의 방황과 일주일 동안의 불륜을 새롭게 보고자 한다. 대영의 방황은 새로운 생명이 태어난 가정에 부담감을 느끼고 아버지라는 책무를 탈피하기 위함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자신의 상황을 온전히 떠맡기 위하여 일본 여성 ‘스미꼬’로 우회하고 있다고 보았다. 자신의 삶의 궤적에 침입을 허용하고 이 단절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양심과 주체성을 온전히 파악하게 된 대영은 이 괴로움을 곧 자신의 삶을 지켜내는 통일성으로 관철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팜므파탈로 상정되는 스미꼬는 한 가정을 파탄내고 한 남성을 파국의 나락으로 떨어트리는 요부가 아니라, 대영의 삶을 통째로 흔들면서 대영의 주체성을 각인시켜주고 자신은 팜므파탈의 이미지를 떠안고서 사라지는 희생양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소설의 마지막에 내뱉는 대영의 독백, “냉동어의 향수는 바다에 있을 테지!......”는 언제나 미끄러지고 마는 욕망에 대한 고달픈 수심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수심은 작가 채만식에게도 이어지는데, 채만식이 일제의 압력과 점점 강화되는 검열에서도 작품을 쓰기 위한 고뇌와 맞닿아 있다.

      • KCI등재

        「냉동어」의 기호들: 1940년 경성의 문화적 경계

        유승환 ( Sung Hwan Yo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8 No.-

        이 글은 채만식의 「냉동어」에 나타난 몇 가지 기호들의 계열에 대한 주석을 목적 으로 한다. 「냉동어」는 종래 채만식의 대일협력의 단초를 보여주는 작품 정도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채만식이 세심하게 배치한 작품의 여러 기호들의 당대적 맥락을 복원할 경우, 이 작품은 일제 말기 유동하던 조선문화의 경계를 새롭게 구획함으로써 신체제의 논리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전개한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냉동어」에 나타나는 기호들의 계열체는 크게 보아, 쇼치쿠(松竹)-뿔그 극장을 중심으로 하는 제국의 문화 산업의 기호들, 종로-보신각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의 전통 문화에 대한 기호들, 한글통일안-기모찌(氣持ち)를 중심으로 하는 당대의 언어적 상황에 대한 기호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세 가지 계열체들은 1940년 현재 조선인 작가 대영에게 주어진 문화적 환경을 암시하는 것이자, 동시에 신체제의 동화정책에 의하여 위기에 처한 조선문화의 상황을 보여준다. 「냉동어」의 주인공 대영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문화의 경계를 새롭게 구획하고, 이를 고수함으로써, 1940년 조선의 문화적 상황에 깃든 식민주의적 시각을 비판한다. 「냉동어」가 드러내는 이러한 성과는 일제 말기 신체제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법으로서 ``조선문화``의 구축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notate 3 series of signs in Frozen Fish(Chae-Mansik`s novel). This novel was understood as a novel to show beginning of Chae-Mansik`s collaboration with Japan. However, with restoring meanig of signs of the day, this novel could be understood a novel to suggest critical thoughts about New System(新體制)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staking off a boundary of Korean culture newly. 3 series of signs in this novel were signs of imperial cultural industry such as Shochiku,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Bosin-Gak, and of linguistic situaion such as Adjustment of orthographic works. These all alluded cultural environment given to Daeyoung(a protagonist), a Korean novelist. And These showed the crisis of Korean culture attacked by assimilationism of New System of Japaneses imperialism. In this situaion, Daeyoung criticized colonialist view which infiltrated into Korean cultural situation in 940, with staking off a boundary of Korean culture newly and with sticking to it. This outcome of that novel suggested the need to revaluate the re-construct of Korean culture as a strategic countermeasure against New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바다를 향수하는 ‘냉동어’의 허무의식

        신영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채만식은 「냉동어」에서 냉엄한 현실 속의 한 지식인을 그렸다. 그는 애초에 신념과 생활을 지닌 인물이었으나 더 이상 한가롭게 대처할 수 없는 시대에 묵묵히 자기응시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써야 될 내용’이 요구되는 시절에 이를 적절한 안전장치로 사용하며 필요한 것은 감추고 불필요한 것은 마음놓고 드러내며, 피할 수 없는 자신의 허무의식을 표현한 것이다. 종래에 없던 자전적 주인공을 세워 연애담의 줄거리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 준 것도 일종의 ‘감추기 위한 드러내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채만식이 이 작품을 계기로 친일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주장은 재고의 여지가 많다. 그는 단지 연애담의 서사구조로 화석화하는 허무의식과 함께 자기응시의 과정을 담담히 그렸기 때문이다. 강조하건대 ‘친일’에 대한 단죄가 우리의 소임이 아닌 이상 보다 복합적인 시각으로 당시의 정신사적 지형도를 파악하고 작가의 사유과정을 천착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이에 작품 자체가 맨 처음의 자리에 놓여야 함은 너무나도 분명한 일이다. In 「Naeng Dong Uh」, Chae Man-Sik depicts an intellectual who confronts a grim and stifling situation. The intellectual, who can be interpreted as the author himself, is at first full of faith and leads a normal life, but eventually he is forced to choose a path of silent self-scrutiny based on a sense of emptiness because the world does not allow him to be idle anymore. The author uses the demand of the context as a safety device and hides what is necessary, while overtly revealing what is unnecessary. Through such methods he expresses his inescapable sense of emptiness. His disjunctive prose works, written in the similar period, can be understood as “revealing” pieces, and I believe if he had written more his sense of emptiness would have deepened. The way he creates an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to speak out his voice, which is an unprecedented attempt, can also be understood as “revealing as a way of concealing.” It is only natural that he should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ld from his literary world, since the times demand him to be alert to world historical crises. Therefore, it is not surprising that his disposition should seem rather disparate until he regains his satire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since it is not up to us to judge pro-Japanese actions, we should probe the intellectual topography of the period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to delve into the author's flow of thought. It is clear that the text itself should be of foremost importance in this task.

      • KCI등재

        蔡萬植의 <冷凍魚>와 內鮮 戀愛의 問題

        김주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한국문화 Vol.51 No.-

        This study aims to rethink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Frozen Fish>, Chae, Man-sic’s novel written in 1940s from the viewpoint of a love narrative between imperial woman and colonial man. In this novel, the love between imperial woman and colonial man supposes the communication with colonial man’s translation. It is impossible that perfact and equal communication between colonial man who translates himself with imperial language and imperial woman who says her mother tongue. So the hero, colonial man constantly mistranslates the identity of imperial woman, and performs his love. He (mis)translates the heroine, imperial woman as a one in discord with the present age like himself. Meanwhile, the heroine (mis)translates colonial man as a substitute to her past lover whom she didn't divorce well. Her travel to the colony is the travel for extinction from her past as an imperialist. She goes to the Continent of China by way of the colony Chosun and reaches the high position of imperial lineage through nicely cutting her past. The hero misses the imperial woman, the mirror-figure of himself who can go to the continent and lost forever. This longing to imperial woman relates to the longing and the trial communicates between empire and nation through another way different from one-sided communication which was achieved through translating into the imperial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