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 작품을 중심으로 -

        양순영 ( Yang Soon-young ),임혜숙 ( Im Hye-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의 대외홍보를 위한 특화사업으로서 그 지역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역사·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다양한 문화상품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문화상품의 개발은 그 지역만의 특정한 역사·문화자원을 극대화시켜 지역의 이미지 강화와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를 문화상품화 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으로 이해하고 그의 작품을 시각이미지로 재구성하여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강릉의 역사·문화자원의 개발 현황과 강릉예술창작인촌과 강릉시관광기념품공모전을 조사하여 난설헌에 대한 문화상품으로서의 활용비중을 알아보았으며, 1999년부터 시작한 지역축제로서 난설헌 문화제를 조사·분석하여 개발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하였다. 또한 난설헌의 역사적 가치와 비중에도 불구하고 활용면에 있어 매우 빈약하다는 것에 중점을 두어 난설헌 작품의 무형의 이미지를 유형화하여 문화상품에 이용할 수 있는 패턴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연구결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난설헌의 작품은 서예로 쓰여진 한시로 구성되어 있어 무형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이미지 전략 연구에 있어서 친필시를 바탕으로 calligraphy를 시각적 형태로 하는 패턴을 디자인으로 개발해 나가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패턴디자인은 다른 지역의 문화상품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경제적 이익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창의적인 문화상품의 개발과 제작으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Local governments are searching for their own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actively using them to develop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as a specialized business aimed at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and external promotions.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is a useful tool for strengthening regional image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maximizing th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designated a historic figure of Gangneung, NanSeolHeon Huh Cho-hee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to be used as a cultural product, and intends to explore methods of developing her works into pattern designs by reorganizing them through visual images. As a first step of stud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of Gangneung and its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strategies and methods were researched to identify the utilization proportion of NanSeolHeon`s works as cultural products. As a reference, the NanSeolHeon Cultural Festival, which began in 1999,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o present a development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of developing patterns to be used as cultural products by developing intangible images to be tangible after analyzing the works of NanSeolHeon, knowing that her works had hardly been used, despite the historic value and weight. Even though it was challenging to visualize the intangible images, since her works were Chinese poems (language) written in calligraphy, a method of developing pattern designs that use the calligraphy as a visual form was presented, based on her handwritten poems, as part of image strategy study. The developed pattern designs will hopefully lead to development and creation of creativ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that will achieve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gional cultural products and generate economic benefi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허난설헌과 금호연재의 시세계

        이숙희 ( Lee Sug Hui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여인에게 漢文學의 접근이 통제되고 규제되던 과거시대에도 閨房女人들이 남긴 漢文學 작품은 상당수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 문학적으로도 성공한 작품을 남긴 이는 그리 많지가 않다. 그중 하나가 蘭雪軒 許氏로서 그녀의 작품세계는 이미 많은 검증을 거쳐 공인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浩然齋 金氏는 작품이 알려지게 된지도 오래지 않았으며 작품세계에 대한 검증작업도 이제 활발해지고 있는 단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閨房漢文學史上에 있어서 蘭雪軒과 浩然齋는 어떠한 위치에 놓여있는가를 살펴보고, 공인된 난설헌의 작품세계와 함께 호연재의 작품세계를 비교고찰 혹은 정밀분석함으로써 일반적 규방한문학 작가들의 규범적이고 교훈적인 작품세계와는 다른 문학성 높은 문학의 세계를 찾아보았다. There are not a few literary works written in Chinese by Korean women in the Chosun era when women were not allowed to approach Chinese literature or literature in Chinese. However, only a few of them have been read or studied. Among a few Korean women writers who have been widely recognized as successful literary women is Nanseolheon Heo. Her literary world has been officially approved through many studies. It was not long ago that Hoyeonjae Kim`s works, unlike Heo`s work, started to become known. In recent years, Kim`s literary works have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osition of Nanseolheon Heo and Hoyeonjae Kim in the history of gyubang literature (Korean women`s literature depicting women`s life) in Chinese, and to fin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Heo`s and Kim`s works, which are distanced from the canonical and didactic literary world of general gyubang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by means of comparison and close analysis of Heo`s and Kim`s literary works.

      • KCI등재

        난설헌의 캘리그래피와 아르 데코의 기하학적 문양을 이용한 커피 잔 패턴디자인

        양순영 ( Yang Soon-young ),임혜숙 ( Im Hye-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관광을 테마로 하는 중소도시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대외홍보를 위한 특화사업으로 그 지역만의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다양한 문화상품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제 문화상품은 그 지역이 갖고 있는 특정한 문화자원을 극대화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현대인들의 상품 선호성향은 상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상품 속에서 문화적 가치가 담긴 미적, 예술적 측면까지도 함께 즐기며 체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릉커피축제를 비롯해서 커피에 관련된 문화가 활성화 된 강릉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의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잔(杯) 도자상품의 문양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패턴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패턴으로 활용할 이미지는 난설헌의 친필서체 캘리그래피와 아르 데코 양식의 기하학적 문양을 접목시켜 창의적인 패턴으로 디자인하고 이를 잔 종류에 적용하여 문화상품에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앞서 연구자는 선행논문으로 난설헌의 친필서체를 텍스타일디자인에 활용하는 패턴디자인을 연구하였다.(양순영,임혜숙2013) 선행논문에서 연구한 패턴디자인은 텍스타일디자인에 국한된 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초서체의 특징인 곡선과 아르 데코의 기하학적 문양을 접목하여 개발한 패턴디자인을 잔(杯)에 적용시켜 지역의 역사 문화적 요소와 현대디자인의 기하학적 형태가 접목된 새로운 패턴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지역문화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타 지역의 도자문화상품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독창적인 지역문화상품으로서 강릉의 이미지 구축과 홍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ourism-themed small local cities have explored their own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ed diverse cultural products to establish and advertise their own local identity. Now, cultural products are a useful means to promote local economy by maximizing the strength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the modern times, people tend to see cultural values from both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when they buy a product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pattern design which could be used as a cup pattern in ceramic ware using the handwriting of Nanseolheon Heo Cho-hui who was born in Gangneung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in which coffee-related culture is flourished including Gangneung Coffee Festival. For images to be used as patterns, Nanseolheon`s handwriting and Art Deco`s geometric patterns were mixed and designed in creative patterns. Then, they were applied to tea deigns to develop them into cultural products. Prior to this study, the pattern design in which Nanseolheon`s handwriting was used for textile design was studied. (Yang Soon-yeong, Im Hye-sook, 2013) In previous studies, pattern design was limited to textil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velop new patterns which integrated local cultural factors and modern desig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pattern design to a cup. It appears that local culture-based pattern design would make Gangneung`s ceramic cultural products differ from those in other regions and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its own image as a unique local cultural product.

      • KCI등재

        난설헌의 친필서예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양순영 ( Yang Soon-young ),임혜숙 ( Im Hye-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현대 소비자들의 상품 선호성향은 그 상품의 질적인 수준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가 담긴 미적, 예술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이 남긴 231수의 작품 중에 유일하게 친필서예로 남아있는 유선사 열 번째 수를 소재로 하여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디자인으로 연구 개발하였다. 난설헌의 친필서예는 유일하게 한 점만이 현존하기 때문에 이를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하는 것이야말로 그 무엇보다 더 소중하고 가치 있는 디자인 개발이다. 본 연구에 앞서 연구자는 선행논문으로 난설헌 허초희의 작품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양순영,임혜숙2013) 이 연구는 후속 논문으로 앞서 제시한 방안을 시행하는 단계로써 난설헌의 작품을 연구 분석하여 Calligraphy형식의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패턴디자인의 제작 방법은 35글자로 구성된 유선사의 친필서예작품의 글자 하나하나를 모티브로 하여 전통적 색채와 현대적 조형성으로 조화롭게 구성하여 배치 제작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인은 차(茶) 문화관련 상품 및 팬시용품, 텍스타일디자인 상품 등에 적용하면 문화상품을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보다 새로운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문화상품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이를 통해 관광 상품의 다양화와 함께 관광객들에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더불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 한다. Contemporary consumer taste leans toward considering not only product quality but also the esthetic and artistic aspects that include cultural value. Taking as its subject the tenth poem of Yuseonsa, the sole extant piece of handwritten caligraphy of all 231 works left by Nanseolheon, a historical figure from Gangneung, the study aims to develop it as a pattern design that may be applied to cultural products. Since there exists one single piece of caligraphy handwritten by Nanseolheon, developing it into a pattern design should be tantamount to development of a design that is more precious and valuable than anything else. In a thesis preceding this study, the research has proposed a method for developing a pattern design that taps into the works by Heo Chohui whose penname is Nanseolheon. As a follow-up thesis,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Nanseolheon`s works and develop them into a caligraphic pattern design i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proposed earlier on. In producing the pattern design, individual characters in the handwritten caligraphy of Yuseonsa that is composed of thirty-five letters are taken as its motif to be incorporated into the fusion of traditional colors and modern formativeness, which is then arranged into a harmonious composition. The design thus developed, when applied to tea products and other products like fancy stuffs and textile design, will be used as a new design motif in production of various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it to cultural products,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new tourist products, thereby contributing to revitalization of the region`s economy by satisfying tourists` consumer appetite with diversified tourist products and differentiated cultural products peculiar to the region.

      • KCI등재

        『청량』에 수록된 경성제대 조선인 예과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 이숭녕의 「허부인난설헌」을 중심으로 -

        허찬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경성제국대학 예과생이었던 이숭녕이 『청량』에 투고한 「허부인난설헌(許夫人蘭雪軒)」은, 조선이라는 시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출현한 여류시인 난설헌을 조명한 논문이다. 이숭녕은 이 논문에서 난설헌이 처한 유교 주심의 조선사회의 부정적인 면모를 적극적으로 부각시키는 한편, 그가 경험했던 고난과 시인으로서의 성취는 다소 과장하였다. 이숭녕은 근대 교육의 수혜자로서 과거 조선의 불합리한 현실을 인정하는 한편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문인이 배출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문학의 우수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획은, 가깝게는 조선문화의 독자성을 부정하였던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다카하시의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고, 멀리 일본과 대만의 구제고등학교와 제국대학 예과생들을 향해 조선적인 것의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창간 초기의 『청량』은 조선인 학생들의 이러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잡지이다. 조선인 예과생들이 쓴 조선학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유교를 적극 부정하고 서구지향적 교양주의를 추구하는 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학술의 장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대응은 제국주의에 대한 조선인 학생들 나름의 소극적인 저항의 방식이었고, 『청량』은 민족주의적 면모를 드러내는 창구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본고는 이숭녕의 허난설헌 논의에 주목하였다. Heobuin-Nanseolheon(許夫人蘭雪軒) on Cheongnyang(淸凉), written by Sungnyeong Lee(李崇寧), a pre-school student at Keijo(京城) Imperial University, is an academic essay about Nanseolheon(蘭雪軒), a female poet that appeared despite the time and space limitations of Chosun society. In this paper, Lee actively highlights the negative aspects of the Confucian-led Chosun society, which is under Nan Sul-hun, while exaggerating the hardships and achievements he experienced as a poet. As a beneficiary of modern education, he acknowledged the unreasonable realities of the past Chosun Dynasty, and tried to emphasize the excellence of Chosun literature through the fact that outstanding writers were still produced. The project was designed to counter Takahashi, a professor at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who denied the independence of Chosun culture.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meant to show the Chosun Dynasty to the students of relief high schools and Imperial College in Japan and Taiwan. In its early days, Cheongnyang is a remarkable magazine in that it provides a glimpse of the efforts of Korean students. Looking at academic essayies about Chosun written by Chosun students, a common ground is found, such as actively denying Confucianism and pursuing Western-oriented liberal arts. This response made in the academic chapter was a passive way of resistance by the Chosun students to imperialism, and Cheongnyang served as a window to the nationalist side. To confirm this aspect, this study was focused on Lee's discussion of Nanseolheon.

      • KCI등재후보

        許蘭雪軒과 金浩然齋의 詩世界

        이숙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There are not a few literary works written in Chinese by Korean women in the Chosun era when women were not allowed to approach Chinese literature or literature in Chinese. However, only a few of them have been read or studied. Among a few Korean women writers who have been widely recognized as successful literary women is Nanseolheon Heo. Her literary world has been officially approved through many studies. It was not long ago that Hoyeonjae Kim's works, unlike Heo's work, started to become known. In recent years, Kim's literary works have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osition of Nanseolheon Heo and Hoyeonjae Kim in the history of gyubang literature (Korean women's literature depicting women's life) in Chinese, and to fin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Heo's and Kim's works, which are distanced from the canonical and didactic literary world of general gyubang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by means of comparison and close analysis of Heo's and Kim's literary works. 여인에게 漢文學의 접근이 통제되고 규제되던 과거시대에도 閨房女人들이 남긴 漢文學 작품은 상당수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 문학적으로도 성공한 작품을 남긴 이는 그리 많지가 않다. 그중 하나가 蘭雪軒 許氏로서 그녀의 작품세계는 이미 많은 검증을 거쳐 공인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浩然齋 金氏는 작품이 알려지게 된지도 오래지 않았으며 작품세계에 대한 검증작업도 이제 활발해지고 있는 단계이다.이에 본 논문에서는 閨房漢文學史上에 있어서 蘭雪軒과 浩然齋는 어떠한 위치에 놓여있는가를 살펴보고, 공인된 난설헌의 작품세계와 함께 호연재의 작품세계를 비교고찰 혹은 정밀분석함으로써 일반적 규방한문학 작가들의 규범적이고 교훈적인 작품세계와는 다른 문학성 높은 문학의 세계를 찾아보았다.

      • KCI등재후보

        허난설헌 시의 문화적 접근 <채련곡(采蓮曲)>에 나타난 풍속과 연정

        김은경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0

        <채련곡(采蓮曲)>은 연밥따는 노래로서 고대 시가(詩歌) 장르인 악부시(樂府詩)의 하나이다. 난설헌의 <채련곡>은 아름다운 호수에 한 여인이 등장하고, 연인을 만나 연밥을 따 던지며 사랑고백을 한 후 이것을 부끄러워하는 내용의 작품이다. 난설헌의 <사시사-여름>에는 ‘채릉곡(採菱曲)’이 나오는데 여름날 여성화자가 벗들과 함께 강남에서 연밥을 따면서 제창하는 민요로서 등장하고 있다. 난설헌은 <강남곡> 5수 중 3수에 ‘채련(采蓮)’과 ‘채릉(採菱)’의 내용을 담기도 하였다. <강남곡>은 악부시의 하나로 규방여인들의 한을 읊은노래이다. 난설헌은 <강남곡>에서 즐거웠던 추억을 회상하는 내용과 자신의 외로운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의 시를 번갈아 배치하여 뱃사공 여인들의 정한을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난설헌은 <채련곡>이라는 고대 민간노래인 악부시의 형식을 빌어 풍속과연정을 노래하였다.

      • KCI등재후보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에 나타난 허난설헌의 문학사적 위상 -『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재원 ( Choi Jae-won ),구지현 ( Koo Jea-hyoun ) 연민학회 2021 연민학지 Vol.36 No.-

        조선시대 허난설헌에 대한 제가의 평은 시에 대한 논평, 표절과 위작시비, 와전된 기록에 대한 수정으로 정리된다. 중국까지 널리 알려져 있던 만큼 허난설헌 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여성의 문학 창작 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기반으로 표절과 위작시비나 인품에 대한 폄하도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시 외적인 측면에서의 부당한 평가로 인해 문학적 성취에 준하는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연민 이가원의 『옥류산장시화』는 저자 자신의 평가에 따른 산삭이 이루어진 전통적인 시화집으로 총 787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허난설헌 관련 시화는 25칙에 이르러, 여타 문인보다 많은 주목도를 보인다. 그런데 『옥류산장시화』는 증명할 수 없는 부분은 채택하지 않는 산삭의 태도를 취하는 동시에 허난설헌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전문을 실어, 폄훼에 가까울 수 있는 정보는 누락시키고 독자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이 시화들은 『조선문학사』에 대부분 수용되어, 허난설헌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그와 동시에 기존 오류를 교정하고 잘못된 평가를 바로잡았으며, 외적인 평가를 제거한 상태에서 허난설헌의 시풍을 고찰하였다. 생애와 작품, 기존의 평을 정리하는 것에 그친 근대 초기의 연구를 뛰어넘어 허난설헌을 시인으로 재조명하고 문학사적 위치를 자리매김한 것이다. 『옥류산장시화』는 ‘서언-본론-결어’라는 근대의 논문형식을 차용하였으나 전통적인 시화의 형식을 따르는 저작이고, 『조선문학사』는 연민의 만년에 저술된 문학사 연구가 집대성된 학술서이다. 『옥류산장시화』을 분기점으로 허난설헌의 기존 시화가 다시 정리되었고 『조선문학사』에서 실증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연민에 이르러 허난설헌이 재발굴되어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 문학적 위상이 재정립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ir Yeonmin Lee Ga-won’s acceptance of poetry related to Heo Nanseolheon, who was cited in Okryusanjangsihwa(玉溜山莊詩話) and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朝鮮文學史), authored by Yeonmin, and looks at opinions regarding her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The content of Okryusanjangsihwa is consistent with that of a traditional poetry collection. However, its format of “preface-main body-conclusion” is known as the modern thesis form. On average, each literary person covers about 5 rules, whereas in the case of Heo Nanseolheon, 25 rules are included. This part gives us a glimpse at Yeonmin’s interest in Heo Nanseolheon, and this can be seen as a distinct aspect considering that not much significance was given to female poets in the preexisting poetic history.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is a scholarly book in which the literary and historical research published by Yeonmin in his later years is compiled. It contains poems related to Heo Nanseolheon, which are included in the Okryusanjangsihwa, and a more direct assessment of the same is included. The poems related to Heo Nanseolheon quoted in Okryusanjangsihwa were all reviewed by Yeonmin with an empirical attitude, and he withheld or excluded judgments about them from the poetry in cases where there was no clear evidence. This empirical attitude was also seen in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Yeonmin reviewed Heo Nanseolheon’s poems as “Danpung’” (morale) by including his judgments in his previous work Okryusanjangsihwa, followed up by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positioned her as an outstanding poet of Joseon, regardless of her gender. Modern evaluations of Heo Nanseolheon have the limitations of being restricted to her life and works and organizing the preexisting reviews. However, as a fundamental source of data, Yeonmin organized the poetry regarding Heo Nanseolheon and reestablished that she was a prominent poet of Joseon with important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regardless of her gender.

      • KCI등재후보

        陸機의 緣情說과 韓國 漢詩

        이강현 한국비교문학회 2003 比較文學 Vol.30 No.-

        The writing of literary works cannot exist without emotion because they express feelings. This paper focuses on Yuhyup's Munsimjoryong, with the position agreeing with one's character, talents, sensibility, and moral charcter inmany ways. Especially this paper reconsider about literature & nature, imagination & creative writing, and language & expression. Firstly, on literature & nature, human beings been pursue spiritual values and express their emotion through nature. Nature has been closely with ordinary people (or writers). When writers see nature in dimension of personal emotion, and express it in words, connected with his inner spiritual world, he may be included in literature. At that time nature can be the source of literary imitation. And then nature also can be experimental source, which is perceived not scientifically or commonly but intuitionally by writers. Secondly, on imagination & creative writing, an essential element for writers as authors of consciousness to create depends on imagination - an ability to give orders - which reconciles elements of conflict and chaos. Especially Heonanseolheon has utopian thinking, because of her family's calamity and social disorder of Chosun dynasty. Among the 213 poems, 128 poems express utopian thinking. Heo Gyun gave some of the poems to Joohibeon, poet of Myeong dynasty, which caused great applause through the publication of 「Nanseolheonjib」 in China, and Bundai in Japan. Thirdly, on language & expression, creative writers must express their inner world through letters in language. Yuhyup thinks expressional process must flow from writer' inner world to outer language. Images are inner language, which are not concreted through the process of speech function. But images start from language, and are born among the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In conclusion, we can say, according to the theory of Yeonjeongseol(綠情說), the writing of literary works cannot exist without emotion because they express feelings. Literary works can have artistic values without imagination, that is to say, emotion,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literary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