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부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고찰

        최태진,박승익,Choi, Taejin,Park, Seung-I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9 자원환경지질 Vol.52 No.5

        경기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독특한 쇄설성 저어콘 연대 분포가 알려진 이후 퇴적환경, 퇴적시기, 기원지, 변성사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논평에서는 그 동안 태안층에 대하여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고 퇴적시기 및 기원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태안층은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시대의 지층으로 알려졌으나, 근래 다수의 전기-중기 고생대 저어콘들이 발견된 이후 중부 혹은 상부 고생대 퇴적층으로 해석되고 있다. 태안층은 주로 석영과 운모로 구성된 변성사암, 이질편암, 천매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원암은 심해선상지의 로브 환경에서 쌓인 저탁암으로 해석되었다. 태안층이 퇴적된 시기는 쇄설성 저어콘 연령과 관입암의 연령 차이를 통해 데본기-트라이아스기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 퇴적시기가 데본기에 가깝다는 견해와 페름기에 가깝다는 견해로 나뉜다. 태안층의 기원지는 남중국지괴나 중국의 충돌대, 또는 경기육괴로 추정되고 있다. 태안층과 기타 한반도 (변성)퇴적층의 쇄설성 저어콘 연대를 다룬 기존 연구들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태안층은 연천층군이나 옥천누층군의 피반령 단위와 주요 기원암을 공유하되 기원지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기존 가설들을 고려하면, 태안층을 페름기-전기 트라이아스기 사이에 퇴적된 것으로 해석한 모델이 비교적 합리적으로 보인다. 향후 태안층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원지 규명을 위한 층서학 및 퇴적암석학적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Various studies regarding the sedimentary environment, depositional age, provenance, and metamorphic history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Taean Formation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since the unique detrital zircon age pattern was revealed. This review paper introduc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Taean Formation and discusses the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The Taean Formation was traditionally regarded as a Precambrian stratigraphic unit, but recently it is interpreted to be a middle or upper Paleozoic forma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large amounts of Early to Middle Paleozoic detrital zircons. The Taean Formation consists of metasandstone, argillaceous schist, and phyllite which are mainly made up of quartz and mica. The protoliths are interpreted as turbidites deposited in deep sea fan environment. The Taean Formation has been interpreted to be deposited between the Devonian to Triassic ages given the age differences between detrital zircons and intrusive rocks. There are two opinions that the deposition age is close to the Devonian or the Permian period. The provenance of this formation is supposed to be South China block, Chinese collisional belt, or Gyeonggi Massif. Given the available detrital zircon ages of the Taean Formation and other Korean (meta)sedimentary rocks, the Taean Formation shares major source rocks with Yeoncheon Group and Pibanryeong Unit of the Okcheon Supergroup, but their source regions are not entirely consistent. Considering the existing hypotheses about the depositional timing and provenance, we put we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 Taean Formation was deposited between Permian and Early Triassic periods. However, further studies on the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petrology are needed to clarify its definition and to elucidate the provenance.

      • KCI등재

        논문 : 초국가적 이주와 기원지 로컬리티 변화에 대한 연구 -중국 왕칭쎈(汪淸縣) 펑린춘(風林村)을 사례로-

        이현욱 ( Hyun Uk Lee ),이영민 ( Young Min Lee ),신지연 ( Ji Yeon Shin ),이화용 ( Hwa Yong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1

        현재 한국 사회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는 이주자들의 증가로 인하여 새로운 관계적 공간의 출현을 목도하면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한국으로 유입된 온 이주자들이 정착지인 한국 사회의 다양한 영역들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그런데 또한 이들이 자신들이 떠나온 기원지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그 실증적인 연구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주자의 기원지 로컬리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 조선족의 한국으로의 유입과 그 배경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이러한 조선족의 한국으로의 이주 및 초국가적으로 형성된 이주자 네트워크가 기원지의 로컬리티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러한 변화는 다시 이주자 네트워크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원지 로컬리티의 변화를 유발하는 가장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국가간 송금으로 인해 기원지의 경관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이주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족, 지인들의 사회-공간적 관계가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초국가적 조선족의 생활상의 변화를 지켜보는 중국 한족 농민의 대조선족 인식은 어떻게 바뀌고 있고 이들 간의 관계는 어떻게 재형성되고 있는지를 밝혀 보았다. 본연구의 사례지역인 펑린춘 마을은 이주자의 송금으로 인해 그 경관이 크게 변하고 있으며, 이와 아울러 마을 주민들은 중국 외부의 다른 도시에 집을 구매하는 등의 새로운 삶을 설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방문취업제 실시 이후에는 평린춘의 조선족 주민들의 초국가적 이주가 더욱 급증하였고, 이에 따라 마을 조선족의 가족관계 및 펑린춘 내의 또 다른 거주집단인 한족과의 관계가 이전과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the formation of the new relational space with the growth of transnational migrants from a variety of ethnic and national group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se many contemporary migrants have affected Korean society where is the place of the settlement. However at the same time migrants maintain various kinds of ties to their homelands which also bring dynamic impact back to their homeland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ransnational migration and its migration networks have interacted with the locality change in homelands. With the empirical case study on one small village in China, the change of locality in origin has been identified with its landscape change which was caused by the remittance from Korea to China. And migrants’ networks extention across the board has affected relationships between Joseonjok and Han ethnic groups who are the nonmigrants.

      • KCI등재후보

        예술제 개최지 및 기원지에 따른 개최효과 차이분석

        사염이(Xie, YanYi),정강환(Jeong, Gang-Hoan),호정(Hu, Ti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최근에 들어 예술제의 산업화에 따라 예술제를 주관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축제라는 마케팅 수단을 동원하여 시민들의 여가 수요를 수용하고 있으며 재정보조와 가격할인 등 수단을 통해 더 많은 시민이 예술제의 각종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오교서커스예술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예술제 개최지 및 기원지에 따른 개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전통 문화를 소재로 한 예술이벤트를 개최할 때 벤치마킹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축제개최효과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축제개최효과의 하위차원을 도출한 후 이 요인들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관광효과와 경제효과에 있어 개최지인 석가장과 기원지인 오교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축제개최효과에 관한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교국제서커스예술제를 운영하는 정부 및 기업에게 실무적 시사점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impacts of festival have been identified by researchers. Festival as a tourism produ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cal development including economic, tourism,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But for some festivals, such as art festival, its host city may differ from the original city of art. The study aims to compare if the impacts of the art festival would be different from the host city and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out. 34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cluding 202 from the host city and 146 from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two areas, especially in economic impacts and tourism impacts. The host city had more economic impacts compared to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while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had more tourism impacts than the host city.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proposed to the both host city and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to enhance the positive impacts of the festival. 최근에 들어 예술제의 산업화에 따라 예술제를 주관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축제라는 마케팅 수단을 동원하여 시민들의 여가 수요를 수용하고 있으며 재정보조와 가격할인 등 수단을 통해 더 많은 시민이 예술제의 각종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오교서커스예술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예술제 개최지 및 기원지에 따른 개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전통 문화를 소재로 한 예술이벤트를 개최할 때 벤치마킹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축제개최효과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축제개최효과의 하위차원을 도출한 후 이 요인들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관광효과와 경제효과에 있어 개최지인 석가장과 기원지인 오교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축제개최효과에 관한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교국제서커스예술제를 운영하는 정부 및 기업에게 실무적 시사점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impacts of festival have been identified by researchers. Festival as a tourism produ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cal development including economic, tourism,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But for some festivals, such as art festival, its host city may differ from the original city of art. The study aims to compare if the impacts of the art festival would be different from the host city and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out. 34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cluding 202 from the host city and 146 from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two areas, especially in economic impacts and tourism impacts. The host city had more economic impacts compared to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while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had more tourism impacts than the host city.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proposed to the both host city and the original city of the art to enhance the positive impacts of the festival.

      • KCI등재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초기 현생인류의 등장과 확산기의 문화적 역동성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8

        최근 동북아시아와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IUP) 현생인류의 증거는 다양한 연구와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원지 논쟁에서 시베리아를 IUP 집단 확산의 출발점으로는 보는 견해와 IUP의 기원지는 중앙아시아로 볼 수 있으며, 인류의 장거리 이동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알타이 지역의 르발루아 기술이 포함된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초기의 특징은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알타이지역에만 국한된 특징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지역에는 돌날문화의 기원지에서 나타나는 석기제작과정과 적응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만일 다른 지역을 IUP의 기원지로서의 특징을 규정하려면 그 일대에서 복합적인 기술체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검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IUP의 특징은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각 지역의 석재와 생계자원의 특징에 따라 강한 지역성을 갖고 정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중기-후기 전환기에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석기문화와 한반도로 이주한 돌날석기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인류가 공존하였다. 그리고 자갈돌석기전통의 유적의 일부에서는 돌날석기문화의 기술체계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동북아시아의 일부 지역에 서는 현생인류의 이주에 앞서 각 지역에 점거하고 있던 인류의 석기문화는 르발루아기술과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융합된 형태 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석기문화는 시간적으로 전통적인 IUP 시기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상은 전통적인 IUP 개념으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이 시기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기-후기의 전환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문화상을 1) 유형 I: 전통적인 IUP지역, 2) 유형 II: IUP 융합지역, 3) 유형 III: 보수적 지역으로 나눈 ‘세 후기구석기초기 유형 모델(Three IUP Variants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모델은 중기-후기 과도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시기를 IUP로 설정하고 그 이후 현생인류의 문화상을 편년하는 것이 인류의 등장, 석기제작체계의 다양성과 융합과정 등을 체계적 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studies and argu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odern men from the IUP spread in many regions in North and Northeast Asia. Among them, here are two major opinions; One is to define Siberia as the starting point of dispersal. The other is to define the origin of IUP as Central Asia, and the dispersal occurred as a result of long distance movement. The earl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lade tool making skills found in Altai show the features of “origin effect” very well. Though it may be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se features are limited to Altai region, there is no objection in such findings. To suggest other region as the origin of IUP, the technical complex of that region must be verified. Different industries of IUP was dispersed widely through Northeast Asia and each of them could be settled based on the local stone and resources for living. Meanwhile, the stone tool industry of previous humans before modern men in Northeast Asia had som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no relation to the fusion of Levallois technique and blade tool producing technique but went through the traditional period of IUP. These several regions in Asian continent have abundant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IUP concepts any longer. Therefore, new IUP concepts should include the migration of humans and all formation process of regional industry of Upper Paleolithic through the transition of Middle to Upper Paleolithic and then be divided into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variants. If IUP concepts are defined from this perspective as a Three IUP Variants Model , it will be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hybridization and division of various technological systems of stone tool making and their settlement process, which appeared in each region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and in the EUP.

      • KCI등재
      • KCI등재

        동중국해 99MAP-P63 코어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조현구,최재영,구효진 한국광물학회 2018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1 No.4

        East China Sea (ECS) is known to be supplied with large amounts of sediments form Huanghe, Changjiang and various rivers in Korea.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rivers and deposition process of ECS, but no consensus has been reached. In this study, clay minerals, rare earth elements (REEs) and grain size were analyzed to study the provenance and sedimentation environment of core 99MAP-P63 in ECS. Clay mineral contents of 99MAP-P63 are abundant in order of illite, chlorite, kaolinite, and smectite. The provenance of 99MAP-P63 sediments using clay minerals is interpreted as the Changjiang regardless of depth. As a result of REEs analysis, 99MAP-P63 sediments are very similar to Chinese rivers sediments. Therefore, the provenance of 99MAP-P63 is Changjiang, and the influence of Korean river seems to be insignificant. 99MAP-P63 sediments are generally classified as sandy silt, but the top of the core is divided into sand with a sand contents of 85 %. Compared with surrounding cores, sandy silt sediments arecorresponded to the low stand stage when sea-level was low, and the sediments were thought to have been supplied directly through the paleo-Changjiang. Sandy sediments in uppermost of core are corresponded to transgressive stage. Although distance from estuary was increased due to sea-level rise, it was possible to supply coarse sediments due to high bottom stress, and the paleo-Changjiang sediments deposited in study area were re-deposited. 동중국해는 황하(Huanghe), 장강(Changjiang) 및 한국의 여러 강들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 강들의 영향 및 퇴적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 으나, 의견일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중국해 퇴적물의 기원지 및 퇴적 환경 유추 를 위해, 99MAP-P63 코어 퇴적물에 대해 입도, 점토광물 및 희토류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점토광 물 분석 결과, 일라이트(illite)의 함량이 가장 높고,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및 녹니석(chlorite), 스멕타 이트(smectite)의 순으로 풍부하며, 점토광물을 이용한 99MAP-P63 퇴적물의 기원지는 깊이에 관계없 이 모두 장강인 것으로 판단된다. 희토류원소 분석 결과, 99MAP-P63 퇴적물들은 중국 강 퇴적물의 희토류원소 함량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99MAP-P63 퇴적물들의 기원지는 장강이며, 한국 강의 영 향은 미미하거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99MAP-P63 퇴적물은 대체로 사질 실트로 구분되지만, 코어 의 최상부는 모래의 함량이 85 %인 사질로 구분된다. 주변 코어들과 비교한 결과, 사질 실트는 해수 면이 낮았던 저수위기(lowstand stage)에 해당되며, 장강의 고수로를 통해 퇴적물들이 직접 공급되었 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어 최상부의 사질 퇴적물은 해침기(transgressive stage)에 해당되며 해수면 상 승으로 인해 강 하구와의 거리는 멀어졌지만, 현재보다 높은 해저면의 응력으로 인해 조립질 퇴적물 들이 공급될 수 있었으며, 인근에 퇴적되었던 고 장강(paleo-Changjiang) 퇴적물들이 재동된 것으로 해 석된다.

      • KCI등재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이민부(Min-Boo Lee),이광률(Gwang-Ryul Lee),김남신(Nam-Shin Kim)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1

        본 논문은 용암댐에 의해 형성된 고호소층인 연천읍 일대 점토층에 대한 주원소, 희토류원소 등의 이화학적 분석과 ¹⁴C 및 OSL 연대측정을 통해 고호소층의 형성시기와 물질의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고호소변 점토층(YC1)의 OSL 연대는 11~13만년으로 분석되어, 고호소층은 약 13만년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최소한 2만년 이상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지 분석을 위해 고호소 점토층(YC1, 2)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양한 지형 구성물질과의 대비를 통해 기원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차탄천 중류 하안의 선상지 퇴적물(YC8)과 용암대지 표면의 점토층(YC9)에서 물질의 유사도가 가장 높으며, 고호소저 점토층(YC2)과 서쪽 산록의 사면 풍화물(YC5)간에도 유사도가 높으며, 차탄천의 현 하상 퇴적물(YC7), 고호소변 점토층(YC1), 동쪽 산록의 사면운반 물질(YC4) 사이에서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imilarities of lacustrine deposits of lava-dammed Yeoncheon paleo-lake by geochemical analysis such as XRF, ICP-AES, and 14C and OSL age datings in Chugaryeong Rift Valley of Central Korea. OSL age of the lacustrine coastal deposit(YC1) is estimated as 0.11-0.13 Ma. It indicates that paleo-deposits may have remained during at least 20,000 years from 0.13 Ma. The origin analysis of deposits were carried out by comparison between lacustrine mud layers(YC1~2) and various geomorphic materials of vicinity. As a result, the similarity of the origin is highest between the paleo-coastal alluvial deposit of Chatan River(YC8), and surface clay deposit of Jeongok lava plateau(YC9). Next higher similarity is between paleo-lacustrine bottom deposit(YC2) and west valley-side mounat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5). Another high similarities are among present Chatan River channel sediment(YC7), acustrine coastal deposit(YC1) and east valley-side mounta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4).

      • KCI등재

        황해중앙이질대 퇴적물에 대한 중광물 예비 연구

        이부영 ( Bu Yeong Lee ),조현구 ( Hyen Goo Cho ),김순오 ( Soon Oh Kim ),이희일 ( Hi Il Yi ) 한국광물학회 2016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9 No.1

        실체현미경과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화학 분석을 통하여 황해중앙이질대에서 채취된 46개의 표층 퇴적물 시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중광물의 종류, 함량, 광물 특성 및 분포를 연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조립질 퇴적물의 기원지를 유추하였다. 황해중앙이질대 표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중광물들은 녹렴석군 광물, 각섬석군 광물, 석류석군 광물, 저어콘, 금홍석, 스핀 순으로 산출하는데, 특히 녹렴석군 광물과 각섬석군 광물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녹렴석군 광물은 녹렴석, 각섬석군 광물은 에데나이트, 석류석군 광물은 알만딘이 대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중앙이질대를 124°E 기준으로 구분할 경우, 동부지역이 서부지역에 비해 녹렴석 및 풍화에 강한 (저어콘 + 금홍석)의 함량은 높고, 풍화에 약한 각섬석의 함량은 낮게 나타난다. 이는 서부지역의 퇴적물은 기원지에 가까운 곳에, 동부지역의 퇴적물은 기원지로부터 먼 곳에 퇴적되었을 것임을 시사해준다. 추후 황해로 유입되는 강 퇴적물과 해양 퇴적물에 대한 추가적인 중광물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기원지와 퇴적과정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We studied the heavy minerals in 46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Central Yellow Sea Mud (CYSM) to characterize the type, abundance, mineralog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pattern using the stereo-microscop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 SEM) and chemical analysis through the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 Heavy mineral assemblages are primarily composed of epidote group, amphibole group, garnet group, zircon, rutile and sphene in descending order. Epidote group and amphibole group minerals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otal heavy minerals. The minerals in epidote group, amphibole group and garnet group in studied area are epidote, edenite and almandine, respectively. When we divided the CYSM into two regions by 124°E, the eastern region contain higher contents of epidote and (zircon + rutile), which are more resistant to weathering but lower of amphibole, which is less resistant to weathering than the western region. Based on this result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eastern region sediments are transported for a long distance while western region sediments are transported for a short distance from the source area. In the future, the additional study on the heavy minerals in river sediment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and much more samples for marine sediments must be carried out to interpret exactly the provenance and sedimentation process.

      • KCI등재

        분묘 출토 적색마연호에서 본 한일교류

        배진성 부산고고학회 2020 고고광장 Vol.- No.26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 types of red burnished jar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Songguk-ri period and the Northern Kyushu in Japanese Islands. And I want to examine in detail where red burnished jars of the Northern Kyushu origin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western Gyeongnam Province has the highest amount and density of red burnished jars, and research is also active. The area's red burnished jars have been studied mainly through shape characteristic. As a result, three distinct types are identified. Jinju Type Red Burnished Jar is mainly distributed in Jinju and Sacheon.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is distributed in Haman, Changwon, Gimhae and is partly identified in Geoje, Tongyeong, Goseong areas, while it is not distributed in Jinju area west of Haman.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is distributed in a limited space in downtown Busan. As such, three types of red burnished jars are clearly distribu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Gyeongnam Province. Red burnished jars, which first began appearing in the Northern Kyushu of Yayoi Age,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is is very similar to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in shape. The emergence of Yayoi Culture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nd it has often been grouped in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specifically specifying the origin region. Among them, the relatively much mentioned area is Jinju, centered in Namgang Basin. But red burnished jars of the Northern Kyushu of the Early period of Yayoi Age are well refl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Therefore, the origin region of red burnished jars of the Northern Kyushu can be seen as a region that binds Haman, Changwon and Gimhae, which are distributed by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among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n Peninsula. 송국리문화기의 한반도 남해안 일대와 일본열도 북부 규슈를 대상으로 적색마연호의 특징과 대표적인 형식을 파악하고, 북부 규슈 적색마연호의 기원지는 한반도 남부 내에서도 어느 지역인지를 특정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서부경남지역은 분묘 출토 적색마연호의 양과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서 남한 전체 또는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한 분류와 편년, 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적인 전개에 있어서도 연구의 중심이 되어 왔던 곳이다. 남해안 일대 분묘 출토 적색마연호는 주로 구연부·경부·동체부·저부 가운데 한 두 부위의 형태적 특징 혹은 여러 부위의 속성조합을 통해 파악되어 왔다. 남해안에서도 진주·사천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진주식적색마연호’는 동체부에서 외반하는 구연부로 곡선적으로 바로 연결되어서 뚜렷한 경부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른바 ‘함안식적색마연호’는 외반하는 구연부, 내경하는 경부, 경부와 동체부의 경계부분 내면의 뚜렷한꺾임, 편구형의 동체부, 원저라는 속성으로 조합된 형식을 말한다. 함안을 비롯하여 그 동쪽의 창원·김해지역까지 분포하며 거제·통영·고성 일대에도 영향이 보이는 반면, 그 서쪽의 진주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부산지역에는 원저가 아닌 평저를 특징으로 하는 ‘부산식적색마연호’가 부산 도심의 한정된 범위에만 분포한다. 따라서영남지역의 남해안 일대에는 진주식·함안식·부산식적색마연호가 뚜렷한 분포권을 형성하면서 지역색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부 규슈 야요이시대 조기에 등장하는 적색마연호는 신문화의 주 요소로서 한반도 남부지역 적색마연호의영향으로 출현하였다. 이것은 기형적으로 함안식적색마연호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야요이문화의 출현에 대해서는 다각도로 연구되어 왔는데, 그 기원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특정하기보다는 한반도 남부로 일괄되는 경우가 많았다. 적색마연토기를 통해 영남 전역을 기원지로 보거나 마연기법을 통해 남강유역이 지목된바 있다. 한편, 지석묘의 전래에 대해 전남지역설, 남강유역설, 이원적인 계통을 고려한 다지역복합설 등이 있다. 이같은 여러 견해 속에서 남강유역이 비교적 많이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북부 규슈 야요이 조기의 분묘는물론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호형토기는 함안식적색마연호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북부 규슈 적색마연호의 기원지는 한반도 남부지역 중에서도 함안식적색마연호가 분포하는 함안·창원·김해를 묶는 지역권으로 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남해중앙니질대 세립질 퇴적물의 기원지 및 이동과정 변화

        이홍금,박원영,구효진,최재영,장정규,조현구 한국광물학회 2019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2 No.4

        The Central South Sea Mud (CSSM),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is known to be supplied with sediments from Heuksan Mud Belt (HMB) and Seomjin River. However, in order to form a mud belt, more sediments must be supplied than supplied in the above areas. Therefore, research on additional sources should be conducted. In this study, clay minerals, major elements analyzes were performed on cores 16PCT-GC01 and 16PCT-GC03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in the provenance and transport pathway of sediments in CSSM. The Huanghe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smectite and the Changjiang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illite. Korean river sediments contain more kaolinite and chlorite than those of chinese rivers. Korean river sediments have higher Al, Fe, K concentraion than Chinese river sediments and Chinese rivers have higher Ca, Mg, Na than those of Korean rivers. Therefore, clay minerals and major elements can be a useful indicator for provenance. Based on our results, CSSM can be divided into three sediment units. Unit 3, which corresponds to the lowstand stage, is interpreted that sediments from Huanghe were supplied to the study area by coastal or tidal currents. Unit 2, which corresponds to the transgressive stage, is interpreted to have a weaker Huanghe effect and a stronger Changjiang and Korean rivers effect. Unit 1,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stand stage when the sea level is the same as present and current circulation system is formed, is interpreted that sediments from Changjiang and Korean rivers are supplied to the research area through the current. 남해 섬진강 하구유역에 발달되어 있는 남해중앙니질대는 흑산머드벨트의 퇴적물들과 섬진강의 퇴적물들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니질 퇴적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 지역에서공급되는 퇴적물보다 더 많은 양의 퇴적물이 공급되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퇴적물 공급원에 대한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중앙니질대 퇴적물의 기원지 및 퇴적물 유입경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6PCT-GC01 및 16PCT-GC03 코어에 대해 점토광물 및 주성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황하 퇴적물은 스멕타이트의 함량이 높고, 양쯔강 퇴적물은 일라이트의 함량이 높으며, 한국 강 퇴적물들은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의 함량이 높다. 또한 한국 강 퇴적물은 Al, Fe, K가 풍부하고, 중국 강퇴적물은 Ca, Mg, Na 등이 풍부하다. 따라서 점토광물과 주성분원소를 이용해 퇴적물의 기원지를 추적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남해중앙니질대의 코어 퇴적층은 총 3개의 퇴적 단위(sediment unit)로 구분할 수 있다. 해수면이 가장 낮은 저수위기(lowstand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3은 황하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이 연안류 혹은 조석 작용에 의해 연구지역으로 공급된 것으로 해석되고, 해수면이 빠르게상승하는 해침기(transgressive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2는 황하의 영향이 약해지고 양쯔강과 한국 강들의 영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와 같은 해수면과 해류의 순환이 형성된 고수위기(highstand stage)에 해당되는 퇴적 단위 1은 양쯔강과 한국 강으로부터 퇴적물이 해류를 통해 연구지역으로 공급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