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육군의 군사교리 정의와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 미국 육군교리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천민권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한국군사 Vol.13 No.-

        군사교리 연구에 있어 “군사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은 중요하고 또 기본적이다. 정체성은 여러 면에서 설명되는데, 본 연구는 그중에 정의와 위상을 다루었다. 현재 한국 육군에 있어 이러한 군사교리의 정의와 위상이 모호하여 이것을 제대로 정립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군사교리의 정의가 무엇인가?” 그리고 “군사교리의 위상이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육군에 있어 군사교리의 정의와 군사교리의 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은 한국 육군교리에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군 교리 특히 육군교리의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때 분석결과의 시사점 중에서 궁극적으로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두 가지이다. 먼저 정의에 대해서는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집중하는 지식체>로 정립함으로써 군사교리의 대상이 군사작전이며, 전술·전기·절차보다 근본원리에 집중케 하고, 군사작전의 계층구조를 원리의 계층구조로 설명하며, 무엇보다 공개된 지식으로 연구와 토론을 가능케 하였다는 것이다. 다음 위상에 대해서는 군사교리를 군사교리가 아닌 다른 지식체와 구분하고, 특히 군사교리의 출처와 교리 자체 그리고 교리의 적용을 각각 구분하고 연계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은 모두 타당하며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서도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국 육군에게 있어 연구목적 달성 외에 나름의 의의가 있다. 그것은 첫째 군사학의 학문체계와 지식체계를 더욱더 구조화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군사교리 발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발전을 위한 논쟁의 장을 마련케 하였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군에서 지식존중의 문화를 정착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인민해방군의 현대화와 전문화 추진

        성인모(Sung, Inmo)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4 전략연구 Vol.-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인민해방군의 현대화와 전문화 추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민해방군의 군사교리 변화를 중심으로 군 현대화와 전문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군사교리를 인민전쟁 교리 시기와 국부전쟁 교리 시기로 나누어 인민해방군의 현대화와 전문화를 각각 살펴보았다. 인민해방군의 군사교리가 인민전쟁에서 국부전쟁 교리로 변화하면서 군 현대화와 전문화는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혁명전쟁 시기부터 이어온 인민전쟁 교리는 중월전쟁의 교훈과 걸프전쟁의 영향으로 국부전쟁 교리로 변화되었다. 이에 인민해방군은 국부전쟁 교리에 따라 첨단무기와 장비를 확충해 나가면서 군 현대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그리고 현대전에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해 군사분야의 법제화와 군사 전문교육을 통해 군 전문화를 강화하였다. 이와 같이 국부전쟁 교리 등장 이후 인민해방군은 적극적으로 군 현대화와 전문화를 추진하였다. 즉, 198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은 국제정세와 외부위협의 변화, 경제 및 과학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군사교리 변화를 모색하였고, 첨단전과 정보전에 적합한 군사력을 건설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the People’s Liberation of Army(PLA). This study focused in analyzing changes in the military doctrines of the PLA with military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For this research, this paper has divided the military doctrine of the PLA in to two parts(the people’s war era and the local war doctrine era). The paper investigates the military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the PLA in these eras. With the transition of people’s war doctrine to local war doctrine, military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the PLA had been actively progressed. The people’s war doctrine was changed to local war doctrine due to the impact of the Sino-Vietnamese war and The Gulf war. The PLA expanded high-tech weapons and equipme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war doctrine. In addition, the PLA reinforced military education of the army and enacted a law to cultivate soldiers of the talent. Thus, the PLA had progressed military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in the local war doctrine era. Since the mid-1980s, the PLA started to change military doctrines due to international threats, economic developments, and up-to-date technologies. Till today, it strives to develop an army suitable for high-technology and information warfare.

      • KCI등재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미군 유격교리의 수용 과정

        신상구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49

        This thesis is to confirm the background of how the ranger training became the specialty of ROK(Republic of Korea) Military by analys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US ranger doctrine in the 1960s. To this end, it tried to navigate the concept that the ROK Military deployment to Vietnam is the main factor of making ranger training in South Korea general. It opens new horizon with regard to analysing ranger training in a historical perspective unlike the training has been only analyzed in a military spectrum. This research hereby has been dealt with mainly 3 perspectives. First, the ROK Military began introducing the US ranger doctrine by sending its solders to the US to study the US forces' doctrine after experiencing ranger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The time in 1950s, however, was the period when the US was still developing its own ranger warfare as well, so was there not much difference in their doctrines when the Korean soldiers arrived at the US compared to the Korean War period. At the end of the 1950s, the ROK forces faced a seque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US strategy of the Cold War, and the ROK and US activated the 1st Air Assault Brigade, the first of the ROK ranger unit, as they hurdled to clear the challenges induced by the sequestration. Secondly, Creating Vietnam Contingencies of the government led by the miliary in the early 1960s was a major variation on how South Korea received the ranger doctrines. The government dispatched a military envoy team twice to the US in 1962 to discuss the deployment. As a result, the ROK government recognized the necessity to activate a ranger combat unit for the deployment and pushed multiple polices to garner and retain superb rangers. The military government, however, faced lots of challenges at home and abroad and withdrew the plan to deploy forces to Vietnam. Thirdly, in the middle of the 1960s the Korean deployment to the Vietnam War causes major changes to expand the scope of ranger training in Korea. Park Jeung Hee Administration introduced a number of policies with the initiation of actual deployment to the Vietnam War. As it experienced this process, the ranger training became very general in the military and with a broader perspective the training became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1960년대 한국군이 미 유격교리를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유격훈련이 한국군의 특수성이 된 배경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이 유격훈련의 보편화에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는 그동안 군사훈련적인 측면에서만 분석했던 유격훈련을 역사적 차원에서 재해석하려는 시도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 1950년 유격전을 경험했던 한국군은 1950년대 6.25전쟁을 통해 유격전을 경험했던 한국군은 전후, 도미유학을 통해, 미군의 유격교리를 간접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50년대 미군이 유격교리를 발전시키던 시기였기 때문에, 도미유학 시기의 유격교리는 6·25전쟁 시기와 큰 차이가 없었다. 1950년대 말, 미국의 냉전전략 변화에 따라 한국은 군 감축의 문제에 봉착했고, 한-미는 이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군 최초의 유격부대인 제1공수단을 창설했다. 둘째, 1960년대 초 군사정부의 베트남 파병 추진은 미 유격교리 수용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1962년 군사정부는 베트남 파병을 위해, 두 차례의 군사사절단을 베트남에 파견했다. 이를 계기로, 군사정부는 베트남 파병을 위한 유격전투단 창설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이 때문에 군사정부는 우수한 유격대원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군사정부는 국내·외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여 베트남 파병계획을 보류했다. 셋째, 1960년대 중순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유격훈련 확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1964년부터 베트남 파병이 본격화됨에 따라, 박정희 정부는 유격훈련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이 과정 속에서, 유격훈련은 전군의 보편성이라는 특성을 넘어, 한국사회의 보편화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 KCI등재

        21세기 전략환경 변화와 중국의 군사전략

        박창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8 중소연구 Vol.32 No.3

        이 연구는 지금까지 많은 부분 베일에 가려져 온 중국의 군사전략을 분석한다. 국력이 강화되고 국가이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은 21세기 전략환경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중국의 군사전략방침과 적극방어전략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중국의 군사전략은 한반도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중국의 군사전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중국의 국력 증가에 따른 국가이익 범위의 확대이다. 중국은 주변지역에서 자국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전략적 전선을 국경선 너머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이 국부전쟁에 대비하는 데서 나타나고 있다. 둘째는 현대 전쟁양상의 변화이다. 군사변혁에 따른 전쟁양상 변화는 중국으로 하여금 정보화된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셋째는 주변국들의 군사동향이다. 미국, 일본, 러시아의 군사변혁 및 군사력 현대화는 무기기술면에서 열세에 있는 중국으로 하여금 전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비대칭 전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정보화조건하 국부전쟁” 교리 및 이에 입각한 군사전략방침을 채택하고 있으며, 각 군은 적극방어 군사전략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글은 중국의 군사전략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군현대화 이면에 숨어있는 그들의 군사적 의도와 능력 그리고 군사적 위협의 실체를 명확히 제시할 것이며, 향후 한국의 전략환경을 평가하고 “한국특색의 군사전략”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개념에 기초한 한국군 군사교리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전정배 ( Jeon Jeong-bae ),박효선 ( Park Hyo-su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군사혁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군사교리를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군사교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발전체계의 기준이 되는 개념발전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념서를 기본개념서 외에 분야별, 기능별 또는 제대별로 구분해서 작성하고, 아울러 미래에 대한 효과적인 준비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개략적으로나마 ‘중기개념서’를 추가로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개념과 연계된 군사교리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개념서를 평문과 비문으로 구분해서 작성하여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의 개념서를 어떻게 세분화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는 개념서의 작성 종류 및 확대 수준, 포함내용, 접근성 향상 방안 등을 연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litary doctrin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art of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Korean military, with a focus on ‘concept’ and to suggest effective military doctrine development plans. The research results and develop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concept development, which is the standard of the combat development system,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the concept book should be written separately by field, function, or army in addition to the basic concept book, and in the sense of suggesting effective preparation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medium term concept should be further developed. Second, the military doctrine related to the concept must be developed. Third, the accessibility should be improved by dividing the concept book into plain text and inscription. However, this study did not suggest how to subdivide the concept book of ROK military properly. Therefore, the author hopes follow-up studies will examine the kinds of concept paper worked out, the scope of its expansion, included contents, an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it.

      • KCI등재

        중국의 ‘우주공간’ 활용과 군사혁신: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2013~2021)

        문장권 세종연구소 2023 국가전략 Vol.29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China has recognized, interpreted, and utilized "space" after China's founding especially analyzing how China's use of space was projected into the "military innovation" of Xi Jinping's era.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Chinese military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presented concepts, Active Defense Strategy, to support national strategies, developed and utilized satellites, rockets, and space weapons in terms of military technology, and carried out such as enhancing control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reorganizing theater level, and established strategic support units. In other words, it is argued that the military innovation being carried out in China during the Xi Jinping era is being more actively and integrated through the use of outer space. It is argued that such military innovation being carried out in China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is taking place through the use of space. The implications of China's military innovation for the Korean military are, first, enhancing space war and cyber warfare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wars, an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cale, capabilities, and operation of Chinese military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case of emer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chanism for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Army, Navy, and Air Force to reach a common opinion on the use of space. 이 글은 중국이 건국 이후 ‘우주공간’을 어떻게 인식해 왔으며, 해석 및 활용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의 우주공간 활용이 시진핑(習近平) 시기 ‘군사혁신’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시진핑 시기 인민해방군의 군사혁신은 전략/교리 측면에선 ‘적극방어 전략’을 필두로 국가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개념들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군사기술 측면에선 위성, 로켓, 우주무기 등을 개발‧활용하고 있고, 조직/편성 측면에선 중앙군사위원회 통제력 제고, 전구 중심 개편, 전략지원부대 설립 등을 단행했다. 즉 시진핑 시기 중국에서 단행되고 있는 군사혁신이 우주공간 활용을 통해 더욱 적극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군사혁신이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은 첫째, 미래전쟁 대비 우주전‧사이버전 능력 제고이며, 둘째, 유사시 한반도에 투입될 수 있는 중국 군사력의 규모 및 능력, 운용 모습에 대한 분석 필요하다. 셋째, 국방부, 합참, 육·해·공군 간 우주공간 활용에 대한 공통된 의견을 도출할 수 있는 협력기제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국 기동전 사상의 형성에 관한 연구- 미국의 공지전투(AirLand Battle) 교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김영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3

        The thought of maneuver warfare formed during the interwar period was proven to be effective through the World War II, and after the war, it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paradigm for carrying out the war. Nevertheless,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maneuver warfare in the United States did not receive attention, and a strategic culture that emphasized the firepower-attrition warfare centered on large quantities was formed. Moreover, the tendency to value nuclear warfare following the emergence of nuclear weapons after World War II had hindered the development of operation art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nd had neglected the need for maneuver warfare. However, after the Vietnam War, the need for a new doctrine was raised to prepare for the decreasing defense budget and the relatively increasing mechanized power of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due to RMA(Revolution of Military Affairs) after the Vietnam War, the latest weapon systems and maneuver force can be utilized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force. As a result, a discourse on the effectiveness of maneuver warfare was formed in the U.S. military, and after the doctrine of the Active defense in 1976, the doctrine of AirLand Battle(ALB) was formed in 1982.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doctrine of AirLand Battle did not mean a transition from the thought of the firepower-attrition warfare to the thought of maneuver warfare. In other words, an eclectic form of conduct of warfare that the firepower-attrition warfare and the maneuver warfare carried out complementarily emerged. 전간기 형성된 기동전 사상은 제2차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효용성이 증명되었고, 전쟁 종료 후 새로운 전쟁 수행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에서는 기동전의 가치와 효용성이 주목받지 못하였고, 대규모 물량을 중심으로 형성된 화력소모전을 중시하는 전략문화가 형성되었다. 더욱이 2차세계대전 이후 핵무기의 출현에 따른 핵전쟁을 중시하는 경향은 작전술의 발달을 상당 기간 저해했으며, 기동전의 필요성을 경시하게 하였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 이후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국방예산과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소련의 기계화 전력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교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베트남전쟁 이후 급속도록 이루어진 RMA로 인해 부족한 전력을 보완하기 위한 최신식 무기체계와 기동 전력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기동전의 효용성에 대한 담론이 미군 내에서 형성되었고, 1976년 적극방어 교리를 거쳐 1982년 공지전 교리가 탄생하게 되었다. 다만, 공지전 교리의 등장이 화력소모전 사상에서 기동전 사상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즉, 화력소모전과 기동전을 상호보완적으로 수행하는 절충적인 형태의 전쟁 수행 양상이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군사혁신(RMA)에 따른 중국공군 현대화와 한국공군에 주는 함의

        조관행 ( Kwan Haeng Cho ),홍성표 ( Sung Pyo Hong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2 No.2

        걸프전 이후 중국공군은 군사혁신에 따라 군사전략 개념 및 공군교리를 발전시키고 이전의 육·해군 지원 전략개념을 벗어나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독립전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 글은 중국공군의 현대화를 항공전력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국은 걸프전의 경험을 통해, 산업시대가 정보시대로 변화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군사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낮은 기술수준으로 서구와 같은 수준의 정보적 능력을 보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며 중국특색의 군사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은 기계화와 정보화의 혼합적인 발전을 동시에 가속화하고 있다. 걸프전 이후, 중국은 공군교리를 전통적인 방어개념에서 공세적인 개념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공군력의 운영이 국토방공에서 공수겸비로 전환 되고 있다. 중국공군은 이라크전 이후 정보화 조건하 국부전쟁 승리 개념을 충족 하기 위한 공군력의 증강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공군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인 항공기 현대화를 위해 전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중국이 추구하는 군사혁신과 항공전력 현대화의 교훈을 통해, 한국공군이 한국특색의 군사혁신과 전력 현대화를 완성하여 한반도 전역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People`s Liberation Army Air-Force(PLAAF) modernization, specifically its aircraft development, focusing on how it transformed itself into an independent force from the supporting force of the PLA and PLA Navy, through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ilitary strategies and Air-Force doctrines after the Gulf War. Through its observation of Gulf War, China realizes that the industrial age was replaced by the information age and actively pursues the RMA. However, with its less advanced technology, China finds it impossible to establish information warfighting capabilities comparable to those of the Western Countries and is currently pursuing RMA with Chinese characteristic. At present, China is accelerating the composite development of mechan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at the same time. Since the Gulf War, China has been developing its AirForce doctrines from a traditional defensive concept to offensive one and the employment of its air power is being converted from the homeland defense to the combination of offensive and defensive uses. PLAAF puts a priority on the improvement of air power to meet the concept of winning local wars under condition of informationization after Iraqi War and is making great efforts for the modernization of airpower. In conclusion, the lesson of PLAAF`s RMA and airpower moderniz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OKAF to make its own style of military renovation and to modernize its capabilities, so that it can play a dominant role in the Korea theater as an independent force.

      • KCI등재

        북한의 소련군 규정・교범 번역과정 연구(1945~1950)

        김선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9 No.-

        North Korean communists planned to build an army from the Soviet Union as a model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began to translate the regulations and manuals of the Soviet army and educate soldiers accordingly. First, in January 1946, they translated the manuals of the sick in the military schools and cultivated officers for each sick. In August 1946, the security officer training headquarters and the security officer camp translated the basic rules and infantry regulations of the army and fostered military command posts and infantry units that became the main body of the regular army. The Soviet Army Command and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NKWP) have mainly translated the regulations and manuals of the Soviet Army by placing the Korean of Soviet origin as instructors and translator. The NKWP formally established the military doctrine of the Soviet Union as a model of the regular army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eople’s Army(KPA) on February 8, 1948. After translating the manuals necessary for tactics and strategies after the formation of the KPA, they translated the necessary manuals for officers before the attack battle. In particular, in 1949,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Minjokbowiseong) created an essential branch of the army before the attack, such as a tank unit, and intensively translated the regulations and manuals of this branch. From 1950, the MND translated manuals essential for actual combat, manuals necessary for attack battle of residents’ habitats, mountain areas, and night. The KPA was fostered as an offensive army by translating and training offensive Soviet army regulations and manuals before the Korean War. 북한의 정치세력은 해방 직후부터 소련군을 모방해 군대를 창설하려고 계획했고, 이에 따라 소련군의 규정과 교범을 번역해 군인들을 교육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먼저 1946년 1월부터 군사학교에서 《공병・지형・화학교범》 등을 번역해서 병종별 군관을 양성했다. 그리고 1946년 8월부터 보안간부훈련대대부와 보안간부훈련소에서 《내무규정》・《보병전투규정》 등 기본규정과 보병규정을 번역함으로써 무엇보다 먼저 정규군의 기반이 될 군사지휘기관과 보병부대를 육성했다. 소련군사령부와 북조선로동당은 주로 고려인들을 군사학교와 보안간부훈련소의 교관과 번역원으로 배치해 소련군의 규정과 교범을 번역했다. 북한정치세력은 1948년 2월 8일 인민군 창설 직후부터 소련군의 군사교리를 공식적으로 정규군의 모델로 설정하면서 소련군의 규정과 교범을 본격적으로 번역했으며, 번역원들은 연대급 이상의 부대에 모두 배치되었다. 이들은 인민군 창설 이후에 《군대정찰교범》 등 전술과 전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범을 번역했고, 민족보위성 설립 이후부터 《진지방어돌파교범》 등 공격전에 필요한 지휘관용 전술교범을 번역했다. 특히 민족보위성은 1949년에 탱크부대・기계화부대・항공부대 등 공격전에 필수적인 병종의 규정과 교범을 번역했으며, 1950년부터 《전술훈련상학교범》 등 주민거주지・산악지대・야간의 공격전투에 필요한 교범을 번역했다. 결국 인민군은 6・25전쟁 이전에 공격전에 필수적인 소련군 규정과 교범에 입각해 훈련함으로써 공격형군대로 육성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