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외국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이민법제 연구 ― 한국 이민법제 개선에 주는 시사점 ―

        최철영 미국헌법학회 2024 美國憲法硏究 Vol.35 No.1

        세계는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되었다. 교통과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더욱 가속화된 세계화는 우수한 외국 인재의 유치라는 적극적 이민 정책으로 경쟁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외국 우수인재유치를 중심으로 세계적 트렌드로 확산되는 이민 현상은 경제산업적 측면에서 첨단 기술혁신의 필요성과 함께 인구감소로 인한 국가소멸 문제라는 사회적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유럽 등 이민선진국은 국제적 범위에서 글로벌 우수인재 유치를 촉진하기 위한 입법정책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역동적인 경제와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및 연구기관 그리고 개인의 자유와 정치적 안정성이라는 다양한 매력으로 인해 외국 우수인재들이 선호하는 미국의 경우에 정보기술집약형 업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변화되면서 전문적 지식을 갖춘 우수한 인력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 우수인재의 유입을 촉진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이민자들이 당연한 권리로 영주권이나 국적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며 신속한 절차를 내용으로 하는 이민 법제의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 정부 또한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계기로 그동안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던 이민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인 문호확대로 태세를 전환하며 이민정책을 전담하는 정부 조직으로 출입국이민관리청을 설치하여 외국 우수인재의 유치를 위한 국가적 콘트롤 타워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한국의 이민 관련 법제를 체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미국의 외국 우수인재 관련 이민법제의 체계와 내용 및 이민법의 이민 관련 다양한 용어의 법적 개념, 우수 외국인재 유치를 위한 우선적 비자발급 방식 등을 소개하고, 경제적 활력을 상실한 지역에 대한 외국 이민자의 고용창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지역 이주 이민자 비자발급 우대 정책 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미국의 이민국적법(INA)에서 규정하고 있는 우수 외국인재의 구체적 범주를 살펴보고 한국의 출입국관리법 및 국적법 등이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우수 외국인재의 유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수 외국인재로서 숙련근로자, 전문가, 유학생 그리고 지역외국인재 등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입법적 체계화를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함께 우수 외국인재 유치를 위한 이민정책 수립 및 추진에 있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수평적 협업체계의 법제화 필요성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를 이민 친화적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이민 관련 법제의 새로운 개선 방향으로 외국 우수인재의 유치 확대를 위한 새로운 법률의 입법을 포함하여 출입국과 체류 및 사회통합의 전(全) 이민 단계에 부합하는 이민법제의 체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Globalization, which has accelerated as the world is integrated into one economic zone and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rapidly developing, is shifting to active immigration management, such as attracting excellent foreign talents. The importance of the immigration phenomenon, which is spreading as a global trend, is emphasized in the economic aspect of competition to attract foreign talents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s well as in the social aspect of national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legislative policy discussions to promote international attraction of foreign talents are actively taking place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Due to the historically dynamic economy, world-clas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various attractions of individual freedom and political stability, the U.S. is actively improving immigration laws to help immigrants acquire permanent residency or nationality open, speedy and ‘as-of-rights’ by promoting the influx of foreign talents and increasing the demand for excellent personnel with professional knowledge.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trying to establish a national control tower to attract foreign tal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Immigration and Immigration Administration as a government organization dedicated to immigration policy, changing its stance to an active approach to the immigration issue, which has been passively responding to the national crisis. This article first analyzed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immigration legislation related to foreign tal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legal concept of various terms related to immigration in the immigration law, the priority visa issuance method to attract foreign talents, and the preferential policy for visa issuance for local immigrants to promote job creation investment in regions that have lost economic vitality. Next, by examining the specific categories of outstanding foreign talents stipulated in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INA) of the United States and examining the various types of outstanding foreign talent stipulated by Korea's Immigration Control Act and Nationality Act, this paper sought to legislatively systematize skilled workers, exper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local foreign talent to attract outstanding foreign talent. At the same time, the necessity of legalizing a horizont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as reviewed in establishing and promoting immigration policies to attract outstanding foreign talent. Finally, as a new direction for improving immigration-related legislation to transform Korean society into an immigration-friendly society, the direction of systematization of immigration legislation in line with the entire immigration stage of immigration, such as stay, and social integration was suggested, including legislation of new laws to expand the attraction of foreign talents.

      • KCI등재

        일본에 있어서의 외국인 고도 인재 포인트제의 등장과 전개

        최민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4

        Faced with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rease and economic downturn, Japan introduced a point system targeting global talents in 2012. The purpose of the point system is to attract more global talents and make them work and live longer in Japan. Global talents are awarded points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education, income, and other criteria. And if the total exceeds a certain point, preferential immigration treatments are granted to them.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is system is that it includes a variety of measures to promote permanent residence of global talents. And this characteristic is seemingly against the non-immigration state identity that has been kept strongly during the postwar tim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bandonment of non-immigrant state identity is ‘partial’ and ‘strategic’, only for global talents with relatively high socioeconomic status. And this aspect only reinforces another principle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foreigners in postwar Japan, the exclusion of blue collar workers and the acceptance of professional workers. In other words, the point system has the feature that it keeps the big frame of the selective acceptance of ‘desirable’ foreigners by ‘exceptionally’ abandoning the non immigration state identity with the least social burden. 감소 시대의 경제 성장 동력 확보라는 문제에 직면한 일본은 타개 방안의 하나로 2012년 외국인 고도 인재를 대상으로 한 포인트제를 도입하였다. 포인트제의 목적은 학력, 수입 등의 기준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고 그 합계가 일정 포인트 이상이 되면 출입국 관리상 우대함으로써 우수한 외국인 인재를 많이 그리고 오래 유치하는 것이다. 이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고도 인재의 정주 및 영주를 전제로 하고 이를 촉진하는 다양한 조치를 포함한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측면은 일견 전후 일본에서 견지되어 온 이민국가가 아니라는 정체성과 단절된 듯 보인다. 하지만 비(非)이민국가 정체성의 포기는 어디까지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 인재만을 대상으로 ‘부분적’, ‘전략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은 오히려 단순 노동자는 배제하고 전문직 종사 외국인만 수용한다는 전후 일본에서 관철되어 온 외국인 수용과 관련된 또 하나의 원칙을 강화할 뿐이다. 즉, 포인트제는 사회적 부담이 가장 적은 형태로 비이민국가라는 정체성을 ‘예외적으로’ 포기함으로써 일본 사회에 있어서 바람직한 외국인의 선별적인 수용이라는 큰 틀은 유지하는 제도라는 특징을 지니는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고도인재(高度人材) 유치정책 -방일 유학생의 외적요인을 중심으로-

        다부치다카아키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9

        본 연구에서는 유치단계와 고용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외적유인 요소를 도입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론에서는 회귀분석을 이용한다. 이는 외적요인 분석에 있어 시론적(試論的)인 측면이 있지만,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 과정을 통하여 유학생의 유치단계와 고용단계에서 괴리가 현저히 나타나며, 선행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내적요인(국내 제도적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유치 및 고용의 두 가지 단계에 있어 강한 상관을 보여주는 변수가 거리로 나타났으며, 고용단계의 값이 유치단계보다 한층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단계에는 약한 상관관계에 있었던 인구와는 상관도 강하게 나타나 고용과 유학생 유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제적인 요인이 아니라 지리적 요인에 의해 유학생이 일본에서의 취직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 Basing on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considered in it, this paper investigates stages of ``acceptance`` and ``employment`` and their contributing elements from point of foreign students in Japan - their arrival to Japan and staying there for employment. Contents are organized as following. Chapter 1: Grasp of nowadays level of ``acceptance`` and ``employment``. Chapter.2: Arrangement and analyze of problems regarding to students ``acceptance`` and ``employment`` included in previous research. Chapter 3: Quantitative analysis of factors, which influence ``enrollment`` and ``employment`` of students, based on statistics. As a result, the gap between ``enrollment`` and further ``employment`` become clear. In both ``enrollment`` and ``employment``, the closer the native country is, the stronger will of students to study and stay in Japan. However, if giving priority to students from neighbor countries it will increase current issue- “bloc”. Among the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ss of enrollment of high-quality human resources, except distance is stable economic situation. Nevertheless, economic status has little influence for ``employment`` rate. The emerged issue is, would not be proper to perform financial support to students from strategic countries basing on a model of “Immigration and acquisition of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 KCI등재

        일본의 고도인재(高度人材) 유치정책 -방일 유학생의 외적요인을 중심으로-

        TABUCHITAKAAKI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9

        Basing on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considered in it, this paper investigates stages of ‘acceptance’ and ‘employment’ and their contributing elements from point of foreign students in Japan – their arrival to Japan and staying there for employment. Contents are organized as following. Chapter 1: Grasp of nowadays level of ‘acceptance’ and ‘employment’. Chapter.2: Arrangement and analyze of problems regarding to students ‘acceptance’ and ‘employment’ included in previous research. Chapter 3: Quantitative analysis of factors, which influence ‘enrollment’ and ‘employment’ of students, based on statistics. As a result, the gap between ‘enrollment’ and further ‘employment’ become clear. In both ‘enrollment’ and ‘employment’, the closer the native country is, the stronger will of students to study and stay in Japan. However, if giving priority to students from neighbor countries it will increase current issue- “bloc”. Among the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ss of enrollment of high-quality human resources, except distance is stable economic situation. Nevertheless, economic status has little influence for ‘employment’ rate. The emerged issue is, would not be proper to perform financial support to students from strategic countries basing on a model of “Immigration and acquisition of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본 연구에서는 유치단계와 고용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외적유인 요소를 도입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론에서는 회귀분석을 이용한다. 이는 외적요인 분석에 있어 시론적(試論的)인 측면이 있지만,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 과정을 통하여 유학생의 유치단계와 고용단계에서 괴리가 현저히 나타나며, 선행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내적요인(국내 제도적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유치 및 고용의 두 가지 단계에 있어 강한 상관을 보여주는 변수가 거리로 나타났으며, 고용단계의 값이 유치단계보다 한층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단계에는 약한 상관관계에 있었던 인구와는 상관도 강하게 나타나 고용과 유학생 유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제적인 요인이 아니라 지리적 요인에 의해 유학생이 일본에서의 취직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

      • KCI등재

        日本の留學生受入れと雇用

        전연경광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7

        本硏究では、30万人計畵の數値目標ではなく、その目的である「高度人材の獲得」を如何に效率的に達成するかを前提課題として設定する。そのうえで、高度人材獲得という觀点から、受入れの實態、雇用の實態に係る制度上の問題点を明らかにし、30万人計畵の政策的整合性を判斷する。本硏究のアプロ―チによって、次のような問題点が浮かび上がった。まず、英語のみによる敎育が、日本社會において就職の阻害要因となる点である。次に留學生受入れが東アジア出身の學生に偏っており、グロ―バル人材獲得戰略としての效果が弱い点である。そして、留學生の學問領域の偏り(理系·文系の規模的ギャップ)による勞동需給條件の不一致が生じている点である。これらをもとに、30万人計畵は、改善すべき課題をいくつか抱えており政策的整合性は高いとは言い難いと評價した。今後、これら諸課題の改善策を模索し、いかに效率よく高度人材の獲得を進めるかという視点での施策が求められる。今後の硏究課題としては、本硏究の到達点が30万人計畵の課題を明らかにする段階までであったが、今後は、それだけに留まらず課題に對する改善策を提示する。 The aim of this paper is toinvestigate the issue ofintegritybetween policy planning and actual condition of “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its main aim: acquisition of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Case study focuses on emerging problems as follows. Firstly, providing international students classes only in English language causes their further problems with employment in Japan. Secondly, the number of students from East Asia is noticeably greater than number of students from other countries. This disproportion shows a weakness of strategy to gain global human resources. Finally, gap between number of humanities and science/engineering students does not meet with the demand on a labor market. In conclusion,“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needs enhancement due to a low level of integrity between plan itself and actual results of putting it into practice. As a future study goals I aim to not only highlight issues connected with “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but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y.

      • KCI등재

        韓国の大学におけるビジネス日本語教育を考える

        守屋美佐子(Moriya, Misako)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8

        The 21st century begins, and with rapid globalization, the important issue is to acquire "highly skilled overseas personnel" in Japanese companies in order to strengthen international economic pow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ecrease of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increase of unemployed young men in the general public, Japanese Education for Business i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finding employment into a Japanese-affiliated company. The human resource which Japanese companies demand is one that understands Japanese business culture as well as one with a high Japanese language ability, and a talented person who ha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various fields. In Korean universities, institutional effort will be required to educate cooperative students with high Japanese language ability, good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different cultures, and productive teamwork. In conclusion, much effort will be required to convey effective Japanese education in the corporat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の留学生受入れと雇用

        TABUCHITAKAAKI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7

        本研究では、30万人計画の数値目標ではなく、その目的である「高度人材の獲得」を如何に効率的に達成するかを前提課題として設定する。そのうえで、高度人材獲得という観点から、受入れの実態、雇用の実態に係る制度上の問題点を明らかにし、30万人計画の政策的整合性を判断する。本研究のアプローチによって、次のような問題点が浮かび上がった。まず、英語のみによる教育が、日本社会において就職の阻害要因となる点である。次に留学生受入れが東アジア出身の学生に偏っており、グローバル人材獲得戦略としての効果が弱い点である。そして、留学生の学問領域の偏り(理系・文系の規模的ギャップ)による労働需給条件の不一致が生じている点である。これらをもとに、30万人計画は、改善すべき課題をいくつか抱えており政策的整合性は高いとは言い難いと評価した。今後、これら諸課題の改善策を模索し、いかに効率よく高度人材の獲得を進めるかという視点での施策が求められる。今後の研究課題としては、本研究の到達点が30万人計画の課題を明らかにする段階までであったが、今後は、それだけに留まらず課題に対する改善策を提示する。 The aim of this paper is toinvestigate the issue ofintegritybetween policy planning and actual condition of “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its main aim: acquisition of high skilled human resources. Case study focuses on emerging problems as follows. Firstly, providing international students classes only in English language causes their further problems with employment in Japan. Secondly, the number of students from East Asia is noticeably greater than number of students from other countries. This disproportion shows a weakness of strategy to gain global human resources. Finally, gap between number of humanities and science/engineering students does not meet with the demand on a labor market. In conclusion,“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needs enhancement due to a low level of integrity between plan itself and actual results of putting it into practice. As a future study goals I aim to not only highlight issues connected with “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Plan” but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