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주 두산마을 명주길쌈의 전통과 문화상품화

        黃慶順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2 慶州文化硏究 Vol.5 No.-

        1960년대는 나일론이 등장하고 양잠을 장려하는 정책이 공존하는 시기였다. 나일론의 등장과 양잠파동으로 인해 양잠이 쇠퇴위기를 맞은 여느 지역과 달리 두산마을에서는 壽衣를 찾는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명주길쌈을 지속함으로써 기계명주가 아닌 손명주로써 길쌈을 지속하였다. 길쌈의 전승주체가 할머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주길쌈의 생산비문제로 인하여 두산마을 명주의 생산량은 지극히 영세한 수준을 벗어나기 힘들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이루어진 국가차원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통복식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으로 인하여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官차원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진다. 이로 말미암아 영세적이었던 두산명주 길쌈이 길쌈과정에 있어서 생산비 절감으로 인하여 소득이 향상됨으로써 손명주 길쌈이 전승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과거에 명주는 혼례복을 비롯한 고급 옷의 옷감으로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에는 수의로써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명주의 고급스러움을 살려서 지역특산품으로써 손명주를 이용한 상품개발이 가능하다. 현재 두산마을 명주는 주문제작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거래 형식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판로를 다양하게 확보하는 문제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길쌈 전통의 계승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길쌈을 행하는 전승자의 매출이 중요하다. 재정지원과 수요자의 급증 못지 않게 전승의 주체가 있어야만 손명주 길쌈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으며, 전통문화의 지속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두산명주는 기계명주가 아닌 손명주로써 정성과 품질, 희소성의 면에서 그 가치를 발하고 있다. 전통의 계승 측면에서 경주 두산명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상품화 방안이 실행될 때 경주의 문화적 역량과 지역성을 살릴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써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1960 marked the creation of nylon and the use of wool as a standard fabric for weaving. Despite these innovations and unlike other regions, Dusan Village maintained its weaving tradition using silk. In addition, it did not adopt machinery to replace its hand-loom weaving customs. The financial burdens of manufacturing--being that it is a practice consisting primarily of elderly females--it is difficult to underscore the pessimistic view that the practice will not be maintained. However in 1980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in protecting and respecting national traditions ensued. This led to a full-scale effort to publicly finance the maintenance of such traditions starting from 1990. Deriving in part from these developments, economically speaking, the Dusan Village hand-loom weaving tradition was able to survive. This was coupled by the new general interest in national tradition via mass communication. Silk is a valuable component of the highest quality traditional wedding gowns. Though imported materials are rapidly increasing, silk is still valued substantially higher and seen as the classiest fabric by the Korean society. Currently there is a substantial amount of interaction within Dusan as market between manufacturers and consumers of silk. However the renovation of sites to be used as market outlets is no doubt a problem Moreover, the succession of weaving legends is above the rest a major consideration. In addition, aside from low public finances and an instable demand the traditional still reigns supreme because it is the most traditional weaving practice. The materials and factors analyzed thus far are not of machine-manufactured materials, but of the scarce and valuable high-quality hand woven materials. To fully understand the Dusan weaving-practices an understanding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 is needed.

      • 후삼국시대 溟州호족과 崛山寺

        申虎澈(Shin, Ho-Cheo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명주가 중앙의 역사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것은 8세기 후반 김주원이 명주에 퇴거해 살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또한 호족세력의 등장과 함께 굴산사를 중심으로 굴산선문이 크게 성장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김주원계의 지원 하에 굴산선문이 선종의 핵심도량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명주의 호족 세력이나 굴산문의 선승 및 그 단월(시주 및 지원)세력들을 대부분 김주원계와 연결시키고 있는 종래의 견해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신라 말 명주 일대가 김주원의 후손이 지배해 왔을 것이라는 인식이 너무 강하게 고착화 된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김주원계의 영향력이 신라 말에도 여전히 지속되었을 것이라는 점은 추론이 가능하지만,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보면 이 일대에서 활동하던 호족세력을 모두 김주원 후손과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 다고 본다. 신라 말, 명주에는 김주원계 뿐만이 아니라 여러 부류의 호족집단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중 왕순식은 본래 성이 없었는데 왕건에게 귀부한 뒤 왕씨가 되었다. 따라서 그는 김주원과도 무관하며 김씨도 아니다. 왕순식과 함께 태조에게 귀부한 왕경도 새롭게 성장한 토착호족이다. 한편 후삼국기에도 활동한 김주원계가 있었는데 왕예가 그 대표적인 인물로, 그 역시 고려 왕실과 혼인하면서 통일 이후 왕순식을 대신해서 명주의 대표적인 호족으로 성장하였다. 또 진골이나 6두품 출신으로 명주의 지방관으로 파견되었다가 지방 세력화된 경우도 있다. 범일을 굴산사로 초청한 金公이라든가, 범일의 조부인 명주도독 金述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명주호족의 지배체제는 복수의 호족집단이 중층적인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던 ‘호족연합 지배체제’였다고 할 수 있다. 명주의 호족연합체를 주도해간 지배세력은 시기에 따라 변하였는데, 후삼국 이전까지는 김주원계가 명주를 지배했을 것으로 보인다. 후삼국시대에 와서는 왕순식이 새로운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였으나, 고려 왕실의 견제를 받아 후삼국 통일이후에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대신 김주원계인 왕예라든가 순식의 휘하에 있던 왕경이 고려 왕실의 지원을 받으면서 새로운 지배 호족으로 다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들도 고려 귀족 사회가 성립되면서 중앙의 지배질서에 편입되어 吏族化되었다. 신라 말 명주에는 범일이 굴산사에 주지하면서 굴산선문이 크게 성장하였다. 범일은 김주원계와는 상관이 없는 인물이었다. 그를 후원해준 세력도 김주원계라기 보다는 오히려 신라 왕실 및 명주에 내려온 진골출신 지방관의 지원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범일은 중앙의 권위를 통해 지방민에 대해 자신의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었고, 한편 신라 왕실에서도 그를 통하여 지방의 민심을 회유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즉 범일은 처음 중앙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굴산사를 크게 성장시킬 수 있었으나, 후삼국시대에 이르러 점차 신라 중앙정부와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굴산사의 영향력도 쇠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제자인 개청이 명주 호족인 민규의 도움으로 보현사(지장선원)에 옮겨 주지하였고, 이어 명주의 대호족인 왕순식과 왕예 및 그 밖에 중소 호족들의 대대적인 후원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굴산선문을 크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었다. Myeonju began to actively appear in the historial stage of the central areas when Kim Ju-won returned to Myeongju to live in the late 8th century. And along with appearance of powerful families, Gulsan School had much grown centered on Gulsan temple. According to existing studies, Gulsan School could grow as an essential enlightenment site of meditation sect by sponsorship of Kim Ju-won line. But such an opinion shows too strong fixed recognition : descendents of Kim Ju-won would have ruled Myeongju area in the end of Silla. Linking powerful families in Myeongju, Zen monk, donation or supporter groups to Kim Ju-won line only is inappropriate. Of course, it can be assumed that influences of Kim Ju-won line had continued even late Silla. But from considering then situation, it would be somewhat unreasonable to link all powerful families in the area to descendents of Kim ju-won. In late silla, there were not only Kim Ju- won line but also several kinds. of local gentry groups in Myeongju. Among them was Wang Sun-sik who originally did not have family name but after obeying Wang geon, family name Wang was granted. Accordingly, he was not related to Kim ju-won and was not Kim family. moreover, along with Wang sun-sik, Wang gyeon who obeyed Taejo was newly emerging local gentry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Kim Ju-wan line who acted in Later Tree kingdoms and Wang yea was a representative figure. As he got married with Goryeo royal family, he, instead of Wang Sun-sik, had grown as a representative powerful families in Myeongju. And there were persons of bone lineage or head-rank six sent to Myeongju as a local magistrates who later became regional power. The representative persons were Kim Gong(金公) who invited Beomil to Gulsan Temple, Kim Sul-won, Governor of Myeongju and grandfather of Beomil. That is, the ruling system of Myeongju local gentry was ‘ruling system of allied powerful families’ where local gentry groups over two had ruling structure in multi-layers. Ruling power leading allied powerful families body was changed according th period. It seems that before Later Three kingdoms, Kim Ju-won line governed Myeongju. Entering Later Three kingdoms, Wang Sun-sik appeared as a new ruling power. But they sharply declined after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due to ckecks from royal family. Instead, Wang yea of Kim Ju-won line or Wang gyeong under Wang Sun-sik appeared again as a new ruilng local gentry by sponsorship of Goryeo royal family. but they were included to governing order of central government and became aristocrats, as Goryeo civil official society was formed.

      • KCI등재

        영천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

        박소현,정모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명주농악’은 학계에서 논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주농악의 근원과 전승 계보를 추적하고, 현재 영천문화원의 지지로서 복원된 연행물의 연행과 음악적 특징을 조명하여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명주농악의 유래를 소급하기 위한 마을의 유물유적과 함께 역사적 고증이 필요하지만, 명주농악이 정월달에 한 해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대보름 굿’에서 유래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히 근원을 소급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둘째, 명주농악은 전승과 계보에 대한 충실한 기록 보존이 다소 미흡하지만, 영천시를 대표하는 음악 문화이자 민속놀이로 풍부한 가치가 있다. 셋째, 명주농악의 판제 구성은 당제로부터 시작되어, 한해 농사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 전형적인 ‘두레농악’으로 지방 문화재로서의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있다. 넷째, 명주농악은 음악적으로 ‘질쇠[질굿가락]’, ‘탈쇠[자진모리]’, ‘춤쇠[굿거리]’ 등의 독특한 민속어휘가 쇠가락의 명칭으로 전승되어 다른 지역과 변별되는 특이점이 있다. 명주농악의 연행은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권 농악의 전형적 특징이 있다. 당굿의 전통에서부터 비롯된 명주농악의 판제와 음악적 내용을 보았을 때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의 전통성과 향토성이 돋보인다. 이처럼 명주농악을 통해 전통 농경사회의 삶과 문화적 모습을 함께 엿볼 수 있음은 명주농악이 가진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소중한 가치이다.

      • 통일신라의 명주(溟州)와 삼척(三陟)지방

        이경섭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9 No.-

        이 글은 통일신라의 명주와 삼척군에 대하여 삼국사기 기사를 토대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명주의 지명은 고구려의 하슬라에서 신라의 하서아=하서량으로 변해 갔으며, 문무왕부터 경덕왕에 이르는 시기에는 하서(주)의 지명이 사용되었다. 이후 경덕왕대의 지명 개정을 거쳐 명주가 등장하였으며, 신라 하대에 이르기까지 명주와 오랜 지명인 하슬라가 함께 사용되다가 신라말 고려초를 경과하면서 명주가 우세해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주치인 명주의 영현들 가운데 정선현과 속(동)제현의 입지를 태백산맥을 넘어 영동지역으로 진출하는 교통로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그리고 지리지의 명주 군현들의 입지를 검토하면서 지리적인 입지에서 약간의 의문을 남기고 있는 곡성군과 녹무현의 입지적 배경을 검터하였다. 이들 군현은 경상북도 내륙지방에 위치하였는데, 이를 왕경의 방어라는 시각에서 설명하였다. 신라는 통일 후 왕경을 중심으로 한 지방사회의 재편성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왕경으로 연결되는 주요 간선교통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9주 체제 내에서 운영되었던 10정의 설치가 교통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결과 곡성군과 녹무현의 입지가 결정된 것으로 보았다. 삼척군은 명주와 더불어 통일 이전 동해안 지역의 핵심 거점이었다. 이러한 사 실은 주치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하슬라와 실직(삼척)으로 이치되는 현실에서 증명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무열왕대 설치된 북진(北鎭)은 하슬라(명주)지역의 해 상 방어를 위한 해군기지로서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외에도 삼척지방에서는 중고기 북쪽 경계지역이라는 인식을 토대로 중대의 사해 제사가 열리기도 했지만, 통일 이후 고구려고지 방면으로의 국경의 확장과 주치가 명주로 고정되면서 동해 안의 핵심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잃어 갔다. 이어서 하대의 전란 속에서 읍세가 위축되면서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4개의 영현 가운데 3개의 영현이 미상 지명으로 남겨진 것으로 보인다. . This article summarizes basic information of Samchoek-gun and Myeongju of Unified Silla based on the article Samguksagi . The summary is as follows. The name of Myeongju transformed from Hasla of Goguryeo to Haseoya=Haseoryang of Silla, and the name Haseo(Ju) was used from the period of King Munmu to King Gyeongdeok. Afterward, the name was revised to Myeongju. Both Myoengju and Hasla were used until the late period of Silla, and Myeongju came to predominate since the late period of Silla and the early period of Goryeo. Furthermore, the position of Jeongseonghyeon and Sok(dong)jehyeon were seen as securing traffic route passing through the Taebaek mountains toward Yeongdong area. While examining the position of counties and township of Myeongju, the background behind the position of Gokseonggun and Nokmuhyeon which raises a slight doubt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position was also investigated. These counties were located in the inland areas of Gyeongsangbukdo and it is explained in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se of Wang Jing. After the unification, Silla attempted to reorganize the local society centered on Wang Jing and this was done with the main traffic route connecting to Wang Jing as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10 jeong which used to be operated in 9 week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raffic route. This was considered to have led to the position of Gokseonggun and Nokmuhyeon. Samcheokgun, along with Myeongju was the main base of eastern coast area before the unification. Such facts are demonstrated by the reality in which Juchi becomes Hasla and Siljik (Samcheok) depending on the period. Moreov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Bukjin, which was installed during the period of King Muyeol was used as the maritime base for sea defense. Besides, ancestral rites were sometimes performed in Samcheok region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was the northern boundary. However, as the territory was expanded toward Goguryeo after the unification and Myeongju became Juchi, it lost its status as the major base of the eastern coast. And as wars persisted its power diminished and 3 out 4 Younghyeon seem to have become unknown since Goryeo period.

      • KCI등재

        특별기고 : 보조분징(普照體澄)과 명주(明州) 대매법상(大梅法常)의 법사(法嗣) 가지(迦智)

        조영록 ( Yeong Rok Jo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體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體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掘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裏山 慧撤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臺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惡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邏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臺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體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 『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그의 입당 바로 1년 전에 法常老丈이 선원을 세워 그 명성이 인근에 자자하였으므로 이 소식을 듣고 법상 문하에 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 법이 道義의 가르침에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법상선사의 입멸 5개월 후 더 이상의 巡行을 접고 조기 귀국한 것이다. 그는 귀국 후 고향에서 전법하다가 왕이 迦智山寺로 이거하기를 청하므로 860년 봄에 옮겨 法主가 되었다. 禪宇를 확충하고 法燈을 높이 달아 수많은 제자를 배출하다가 880년 입멸에 드니, 왕은 시호를 普照, 塔號는 彰聖이라 내리고, 사액은 寶林寺라 하였다. 이같이 그가 迦智山門을 개창하여 도의의 홍주종법을 크게 선양하니, 후일 이 소식이 중국 불교계에 전하여 ‘法常의 法嗣 가지선사’로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 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한라 설문대 속살(內肉)과 혼(魂):생명주(生明紬)에서 세명주(細明紬)로

        김정수,이성국,이문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4

        1950-meter-tall goddess is Seolmundae Grandmother with the head of the 1950m Hallasan Mountain Baengnokdam and the body of the mountain ridgeline. Seolmundae Grandmother in Jeju is a folk belief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Jeju. Unlike inland, Seolmundae Grandmother, which had femininity in the customs of Jeju, which was a matrilineal society, developed into an absolute faith in Jeju, metaphorizing that in some way it was inevitable. Seolmundae Grandmother was the only subject that could mentally solve the biggest problem for Jeju residents, even if they were disconnected from the mainland. In other words, Seolmundae Grandmother was unable to make underwear for Seolmundae Grandmother because it was short of 100 bottles of silk, the god of Hallasan, a huge being and a physical symbol. Therefore, Semyungju Grandmother gave up the bridge connecting the mainland and Jeju.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fact that Mt. Halla, covered with snow in winter, is like a skein of silk thread that we usually use in our daily lives, the etymology of Seolmundae has been changed to Saengmyeongju, - Semyungju, which is a skein of fine silk. As a basis for this, there is a custom of tying a thread of silk in ‘Semyungju’, a shrine to Semyeongju in Halmangdang, ‘Hanmosal’ along the coast of Pyoseon-myeon. The silk thread is the core of the Packing DNA gene. The summit of Mt. Halla, Ninety-Nine Valleys, and five hundred generals, found in Seolmundae Grandmother or White Silk, expressed the symbols of Jeju. The Packing DNA gene was found to originate in the Jeongnang 1950m한라산의 백록담이 머리이고 산능선이 몸체인 1950m의 장신에 여신이 바로 설문대할망이다. 제주에 설문대할망은 제주대대로 내려오는 천지창조 토속신앙으로 마치 중국의 월하노인이나 우리나라 민속신앙인 삼신할머니이다. 내륙과 달리 모계사회였던 제주의 풍습에서 여성성을 가진 설문대할망은 제주에서 절대적 신앙으로 발전하였고 어찌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은유(隱喩)하고 있다. 설문대할망은 제주민들로서는 가장 큰 문제는 육지와의 단절을 정신적으로나마 해결해줄 수 있는 유일한 대상이었다. 즉 설문대할망은 거대한 존재이자 물리적인 상징인 한라산의 신, 명주실 100통에서 한통이 모자라 설문대할망의 속옷을 못 만들어줬다. 따라서 육지와 제주를 잇는 다리를 세명주 할망은 포기했다. 본 논문에서는 겨울 눈덮인 한라산이 일상에서 늘상 사용하는 명주실 실타래와 같다는 점에착안, 설문대 어원은 가는 명주 실타래인 생명주-세명주로 변천됐고 그 근거로 표선면 해안가 ‘한모살’ 할망당 세명주 신당(神堂)인 '세명주'에 명주 실타래 올리는 풍속을 들었다. 명주 실타래는 Packing DNA 유전자의 속살이다. 설문대할망이나 하얀 명주실에서 발견한 한라산의 정상, 아흔아홉계곡, 오백장군 등은 제주의 상징을 표현했다. Packing DNA 유전자는 제주의 묘의 산담과 정낭에 기원됨을 밝혀 영국 Intechopen 저널 2022.6월호에 밝혔다.

      • KCI등재

        普照体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体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体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崛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萼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体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 ...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唐末 黃晟의 明州 관할과 寺院

        鄭淳模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黃晟은 唐末 각지의 혼란 와중에서 출현한 전형적 武將으로 18년간 明州를 관할하였다. 그는 주변 群雄들과 연대하여 자신을 보호하였고 최종적으로 錢?에 협력하여 明州를 관할할 수 있었다. 그의 정치적 성공은 唐에 가담하여 명분을 잃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明州를 안정시키는데 크게 공헌하고 士人들을 예우하는 등 지역민의 존경을 받았던데 있었다. 明州는 대내외의 주요 창구로서 국내외 諸國과 활발한 교류와 교역이 전개되었다. 황성은 商人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했고 안정적인 교역 활동을 유지하는데 진력해야 했다. 그의 정치적 선택은 항상 明州의 안정을 최우선으로 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황성이 羅城을 축조하고 浮橋를 건설한 것은 치안과 활발한 교역을 위해 매우 긴요한 일이었다. 황성은 사원이 현실적으로 구비했던 중계지로서의 역할을 중시하여 佛敎 寺院을 적극 활용하였다. 상인 역시 주요 檀越로 등장하였고 황성 스스로도 직간접적으로 6곳의 사원을 건립하거나 후원하였다. 특히 그는 墳寺를 건립하여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는 그가 지역 장관으로서 관할 지역의 사원도 통제하고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다. 그 활용 내용은 明州에서 大運河의 기점인 항주까지 연결시키는 역할이었다. 황성이 사원을 교역에 활용한 사례는 멀리 登州 無染院의 건립에서 단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신라 상인도 이곳을 교역에 이용하였지만 이곳의 주요 단월은 黃晟 등 吳越의 지배자였고 兩浙과 中原지역의 교역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吳越國의 적극적 대외 교류는 商人僧侶와 互惠관계를 맺음으로써 달성하였다. 이러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직전 明州를 관할하고 교역과 교통의 입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했던 唐末 明州刺史 黃晟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라말 崛山門 梵日과 金周元系 관련설의 비판적 검토

        金興三(Kim Heung-Sam)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기왕의 연구에서는 김주원이 ① 원성왕에게 받은 거대한 식읍이 명주에 있었으며, ② 명주로 오기 이전에 이미 혈연적 연고를 두었고, ③ 명주로 퇴거할 때 추종세력이 함께 이주했다는 것을 근거로 범일과 김주원계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먼저 주장하는 바는 김주원계를 매우 큰 세력으로 상정하고 이들과 범일이 신라말 명주라는 시간과 공간의 동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연적으로 논의한 것이었다. 김주원이 받았다는 식읍이 기록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인물조는 조선전기 명족의식에 의해 족보가 만들어지던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각 지방의 거족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였다. 강릉 읍사의 주축을 이루고 있던 거족인 강릉김씨는 자신들의 시조인 김주원을 현창하고자 임금에 버금가게 명주군왕으로 칭하고 많은 지역의 식읍을 받았다고 인물조에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즉 통일신라 때 봉호의 방식으로 식읍이 주어졌으나 김주원에게는 봉토로 지급되었고, 나라를 들어 항복해 온 견훤과 경순왕의 식읍이 1군에 지나지 않은데 비해 반란을 일으킬 소지가 있던 김주원의 식읍은 5군에 걸쳐 있었다. 또 사망한 정의태후가 교지를 내렸다고 등재하였고, 신라시대 관등으로 잘 알려진 상대등을 상대장등으로 잘못서술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 때에 없는 지명인 근을어를 기록하였다. ②와 ③의 주장은 사료적 가치가 적은 족보와 최근에 만든 비문에 근거하였다. 여기에는 김주원의 부친인 김유정이 강릉에 벼슬하러 갔다가 그곳에서 박씨를 만나 결혼하였다고 실려 있다. 그러나 골품제사회에서 신라 최고위층인 경주 진골과 지방 토착세력 간의 결혼이 이루어졌는지 의심스럽다. 김주원의 휘하세력으로 경주에서 명주로 퇴거할 때 함께 했다고 거론한 최ㆍ함ㆍ박씨는 모두 고려 건국 이후에 명주에서 활동한 성이다. 또 열거한 성씨는 『세종실록』 지리지와 『승람』의 기록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이 내용을 족보와 비문에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강릉김씨가 강릉에 제대로 정착한 것은 김주원대가 아니라 『강릉김씨세보』에 삼한공신이라 나오는 김식희대에 이르러서였다. 이와 같이 범일이 살았던 시기인 신라 하대에 그가 주로 활동하였던 명주지역에서 김주원계는 큰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범일과 김주원계의 관계는 미약할 수밖에 없다. 이 취약한 관계는 범일의 가족과 김주원계와의 관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범일의 조부로 명주도독을 지냈던 김술원은 신라말에 반란 등 정치적 목적에 의해 김주원계가 명주에 관리로 파견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이 계통의 사람이 아니다. 김주원과 김술원이 ‘원’자를 돌림으로 썼고 동시대에 살았다고 하나, 족보에 기록된 것처럼 신라말 김주원계는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살았던 시기도 한 세대 이상 차이가 난다. 또 범일의 어머니인 문씨는 累葉豪門이었으므로 명주에 거주한지 얼마 안되는 김주원계와는 다른 집안이다. Past studies urged that Bumil and Kim Chuwon lineage be closely connected on the basis of ① that Kim Chuwon owned a huge sigup in Myungju area bestowed by Wonsong Wang, ② that he had blood relations prior to his arrival to Myungju, and ③ that he arrived at Myungju with his followers. This urge, however, was a conjecture that Bumil and Kim Chuwon shared with time and space, late Silla period and Myungju area, respectively, on the premise that Kim Chuwon was supposed to be a huge power in the era. Character articles of Sinchungtonggukyojisungnam describing Kim Chuwon' sigup was written in the former Chosun period in which huge families made chokpo with familial sense of interest and under their influences. Kangung Kim clan, a huge family dominating Kangung Eupsa, wrote that their ancestor Kim Chuwon received sigup encompassing many areas comparable to a king, as referring him to a Myungju kunwang with intent to distinguish him. Therefore, Character articles are discrepant with historical facts. It was written that Kim Chuwon was given bongto rather than bongho which was a common manner of bestowing sigup in the Unified Silla period; he had sigup over 5 kuns compared to the fact that surrendering former kings Kyonhwon and Kyongsun wang had sigup over only 1 kun area; many subjects were given doctrine by Jeongeui Taehu, who already dead at the time; sangdaedung, a well-known offical rank in Silla, was wrongly written as sangdeajangdung; and the article recorded Keuneuleo which never existed in the era of Unified Silla. Arguments ② and ③ are grounded on the chokpo lacking historical material value and lately made epitaph on which Kim Yujeong, Kim Chuwon's father, had been in Kangung for a government service and met a Park clan and married her. It, however, is doubtful that Kyongju chingol, a highest rank aristocrat, could marry a local gentry in the bone-rank system. Choi clan, Ham clan, and Park clan who were urged to move with Kim Chuwon from Kyongju to Myungju were in fact family names which lived since the founding of Koryo. These family names also rewrote recording of Sejongsillok chirichi and Sungnam, which are believed to be quoted in the chokpo and epitaph. Finally, the time when Kangung Kim clan settled down at Kangung was Kim Sikhee generation, as known as Samhankongsin in the Kangung kimssi sebo, not Kim Chuwon generation. In sum, Kim Chuwon lineage did not form an influential family at Myungju in the late period of Silla when Bumil lived, which only weakly connects Bumil and Kim Chuwon lineage. Also, this weak connection was confi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Bumil's family and Kim Chuwon lineage. Kim Soolwon, Bumil's grandfather and Myungju Dodok, was not a man of this lineage on the basis of that Kim Chuwon lineage was not sent to Myungju with political agenda for treason control in the late Silla. Although Kim Chuwon and Kim Soolwon owned 'won' in their names in turn and lived in the same age, Kim Chuwon lineage did not use their generation name, as written on chokpo. Kim Chuwon and Kim Soolwon lived, in fact, at the eras separated by more than one generations. Moon clan, Bumil's mother, also belonging to homun of many generations, is a family different to Kim Chuwon lineage who arrived at Myungju not long ago.

      • KCI등재

        일반논문 : 송대(宋代) 명주시박사(明州市舶司)의 변천과 무역조건

        고은미 ( Eun Mi G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송대에 고려ㆍ일본과의 교류가 주로 明州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그러한 상황이 전개된 원인으로는 항로상 明州가 고려ㆍ일본과 왕래하기에 편리한 지역으로, 그곳에 무역관리기구인 市舶司를 설치한 송의 정책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견해도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明州의 유리한 입지조건에도 불구하고 明州이외의 市舶司를 내항하는 고려ㆍ일본선박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그것은 송이 통일된 무역규정을 모든 지역에서 일관되게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서, 상인들이 자신에게 보다 유리한 市舶司를 찾아 항로상 멀리 떨어진 장소에까지 가는 경우도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송은 고려ㆍ일본선박을 明州로 집중시키기 위해 明州주변의 市舶務(市舶司의 하급기관)를 폐지하거나, 明州의 무역조건을 고려ㆍ일본선에 유리한 방식으로 개선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양국의 선박이 明州로 집중되는 경향이 발생했다. It is widely known that Mingzhou was the principal port for China`s foreign trading with Goryeo and Japan during the Song period. The general rationale behind the growth of the Mingzhou port is that the port had a geological advantage-a short course to Goryeo and Japan, together with the Song Dynasty`s political determination to establish Shih-po-ssu (Office of Overseas Trade) whose major duties were management of overseas trading and taxation on imports. This paper, however, indicates that despite the favorable location of the Mingzhou port, some vessels from Goryeo and Japan disembarked at other ports instead of Mingzhou. This is because the Song Dynasty did not place its efforts to apply the uniform, consistent trade regulations across the country, resulting in some foreign merchants traveling further to look for an Office of Overseas Trade applying more favorable trade terms. Under these circumstance, the Song Dynasty came to shut down the trade offices adjacent the Mingzhou port and improve trade terms more favorable for merchants of Goryeo and Japan with an aim to attract merchant vessels from Goryeo and Japan to the Mingzhou port. Such efforts brought about more trade ships to the specific port, leading to the prosperity of Mingzho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