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현장에서 환경심리학적 강화접근을 통한 환경 친화적 행동의 증진

        정명화,문윤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S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how environmental psychological reinforcement matters to reduce garbage in the school fields impact on environmental attitude, practical consciousnes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to confirm the most effective thing to promote pro- environmental behavior among the reinforcement matters, and to suggest how thi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pproach contributes to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is study, experimental classes were offered to and a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70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the sixth grader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lasses, it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psychological reinforcement approach was effective to improve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actical consciousness as well as pro-environmental behavior. Second, the most effective reinforcement matter of promo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joy, followed by coupons, fame, and money. Finally, the activation in the norms of environment, the positive⋅negative reinforcement approach,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ffected the frequency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the increased pro-environmental behavior can be enhanced in skill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쓰레기 줄이기 활동과 관련하여 환경심리학적 강화물이 환경태도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강화물 중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이며, 환경심리학적 접근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0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 대상 학생들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환경심리학적 강화접근법은 환경태도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데 사용한 강화물의 경우 즐거움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쿠폰 혜택, 명예, 현금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규범 활성화와 정적⋅부적 강화접근 및 환경 교육은 환경 친화적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환경 보호 기능이 가능하다.

      •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서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As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its severity recently the area of environment in the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has become crucial and come to the fore newly. It is probably because environmental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human survival in the future and ‘education’ is expected to perform a central role in all the areas as a long-term and fundamental countermeasure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 re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ublic sector of education, such as schools or universities, presents the phenomenon of marginalization and reveals clear discords or gaps between the philosophical aims and practical progra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rowth of modern education system has been based on the paradigm of classical physics,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rn scientific era. If so, to which direction does environmental education, as basic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in the society of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proceed? With a critical min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methods and alternatives: First, this study indicates and criticizes that fundamental blame for the environmental crisis of today is i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s the paradigm of separatism, namely a dominant and mainstream world view of the West,and presents an educational method of methodological holism as the paradigm of modern physic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vism. Second, focusing on J. Miller, a proposer of holistic education that is connected with methodological holism, this study examines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nts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n establishes the base of direction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among ‘organic body holism’ and ‘organic holism’, classified by Han Myeon-hui of Korea, this study indicates that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proceed with organic holism. Third, as the contents of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method of which ideology is eco justice and the eco-sensibility to which Emmanuel Kant’s sensibility theory is applied. Fourth, as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e education of ecological new method of living according to the model of Lucas who systematically categoriz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72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NAAEE (1996). All the global community members’ conversion of consciousness via their self-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possible when they are mature via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based on holism of which core contents are rationality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the value system/world view of nature-friendly paradigm that cultivates ecological wisdom of including sensibility and spirituality.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에서 환경관련 영역은 그 중요성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환경교육이 미래 인간생존과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으로 ‘교육’이 모든 부문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학교와 대학등 공교육 부문의 현실에서 환경교육은 주변화되고 환경교육의 철학적 목적과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 간에는 명백한 불일치와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근대 교육제도는 바로 근대 과학시대부터 발전한 고전물리학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그렇다면 산업문명사회의 대학에서 교양 기초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 되어야 하는가? 여기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에선 다음과 같은 방법과 대안을 주장하였다. 첫째, 서구에서 주류를 이룬 지배적 세계관인 분리주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개체론은 오늘날 환경위기의 근원적 책임이 있다고 지적 비판함으로써 여기에 연계주의적 성격을 갖는 현대물리학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전체론의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전체론과 연결되어있는 홀리스틱 교육의 제안자인 존 밀러( J.Miller)를 중심으로 이교육의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내용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의 방향과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내 한면희가 분별한 유기체 전일론과 유기적전체론 중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유기적 전체론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셋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내용은 생태정의(eco justice)를이념으로 한 학문 연계적 방법과 칸트의 감성이론을 적용한 생태적 감성(ecosensibility)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네째, 환경교육의 목표는 북미환경협회(NAAEE,1996)정의에 따라 1972년 환경교육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한 Lucas의 모델에 따라 생태학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의 실천교육을 제시하였다. 지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의식전환은 교육을 통해 성숙되어질 때 가능하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방향은 생태의식을 배양해 줄 수 있는 합리성(이성)교육과 감성과 영성의 요소까지 담고있는 생태지혜를 길러주는 자연친화적 패러다임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는 홀리즘에 기반을 둔 교육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代案的 紛爭解決制度(ADR)의 經濟學 - 環境紛爭調停制度에 대한 評價를 中心으로

        趙弘植(Hong-Sik Cho) 한국비교사법학회 2006 비교사법 Vol.13 No.1

          When individuals need to resolve their disputes with other individuals, they may often go not only to courts for trial but also to alternative methods of dispute resolution (“ADR”). Drawing upon a few recent studies, this article provides some economic explanation about why individuals make use of ADR instead of trial and/or settlement. By examining what the social interest is in ADR, it also provides a useful reference point by which one can evaluate the ADR system that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has developed to cope with complicated environmental disputes.<BR>  Part Ⅰ begins with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disputes that make environmental litigation less frequent. Due to the tendency of “under-litigation” involving environmental disputes, ADR is particularly needed for environmental disputes. An ADR system aiming at environmental disputes needs to be designed so as to i) minimize the total cost of resolving disputes, and simultaneously ii) to engage as many parties involved as possible and make an ideal communication structure where the parties involved can provide each other with the relevant information(Part Ⅱ). Part Ⅲ looks over the cost structure of ADR. The dispute resolution costs of ADR consist of ADR-using cost(“operation cost”) and misjudgment cost(“error cost”). To save the former, it is necessary to trade off the latter. Accordingly, an ideal ADR system must be such that the sum of both can be minimized. In general, ADR brings about less operation costs than a trial before the courts. Therefore the success of ADR depends upon how much it can minimize error costs. If one can design an ideal communication structure in ADR process, it may also help lower error costs. Part Ⅳ specifies ADR"s institutional elements necessary to cope successfully with environmental disputes. Drawing upon the findings of Part Ⅲ and Ⅳ, Part Ⅴ evaluates the current ADR system established by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 KCI등재

        운동의도 설명을 위한 사회생태학적 접근

        이윤구 ( Yoongu Lee ),이기표 ( Ki-pyo Lee ),윤용진 ( Yong-jin Yo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변인들이 어떻게 운동 자기-도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신체활동증진 개입전략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에서 개최된 생활체육대회 이벤트에 참여한 50대 남성 238명이 본 연구의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운동 자기-도식,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운동의도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변인 모두 운동 자기-도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과 물리적 환경은 운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회적 환경은 운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이 운동 자기-도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적 요인들은 운동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affect the exercise self-schema from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y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Methods: A total of 238 of 50s male participated in the Sports Event in Gyeonggi-do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ercise self-schema, soci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exercise inten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Results: First, both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self-schema. Second, exercise self-schema and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intention. However, the social environmen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exerci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at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self-schema,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to be helpful for the exercise behavior. In addition, many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are needed.

      • 중고등학생들의 환경보건에 대한 이해와 태도

        정현정 ( Hyeon Jeong Jeong ),국동식 ( Dong Sik Kook )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생들의 환경보건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조사하여 정규 환경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정규교과 과정내 환경교과의 점차적인 확대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환경보건 학습의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의 9, 10학년 학생(600명)이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충북지역의 중·고등학생들의 환경과 환경보건에 대한 지식수준은 인구학적 요인(학년)과 환경교과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환경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았다. 2) 환경과 환경보건에 대한 태도는 환경교과교육 유무에 따라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경교과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환경보전과 환경보건활동에 대한 참여 의지가 높았으며, 환경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s and attitudes on environmental health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level between those who have been taught the regular environment education and those who hav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to expand environ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to teach effective metho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600 students in the 9th and 11th grade in Chungju cit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 factors of anthropological traits(district, sex, grade) and experience of environment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s of understanding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health were higher accordingly as their grades higher, as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 education curricula and the anthropological traits. Likewise, in the level of the attitude o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the experienced student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have very high desire for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nvironmental health activities, in addition they have an active attitude of regarding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ir own.

      • KCI등재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를 위한 생태경제학적 접근방안

        표희동(Hee-Dong PY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7 No.-

          연안은 각종 생산 활동과 생물다양성과 같은 전통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ㆍ경제학적ㆍ사회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를 위한 생태경제학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체계를 정립하고, 연안에 대한 통합 환경관리의 적용을 위해 문제평가, 정책우선순위, 정책형성과 적합한 측정에 의한 정책시행,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고려한 적응적 절차, 요인-압박-상태-영향-대응(Driving forces-Pressure-State-Impact-Response: DPSIR)체계에 의한 연안통합 환경관리평가 및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를 위한 측정방법과 수단을 검토한다. 또한, 생태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연안관리를 위한 고려사항과 지속가능한 연안 거버넌스를 위한 지침으로서의 리스본원칙-책임성/규모조화/예방적/적응적 관리/전부원가배분/참여원칙을 소개하고, 리스본원칙에 따라 평가된 연안에 대한 문제점의 직접적 효과를 해양생태계시스템에 따라 체계화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태경제학적 접근에 의한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체계적 다기준모델을 이용한 지역 연안관리에 대한 지속가능성평가방법의 도입, 연안경제의 투입-산출모델(input-output model)을 해양생태계정보(어획량, 서식지파괴 및 생태계상호작용)와 통합함으로써 생태학적-경제학적 상호작용의 직간접적 효과를 파악하는 경제학적/생태학적 통합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o traditional importance of the coastal zones such as sources of primary and secondary production, and biodiversity, their interrelated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importance is better appreciated.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epts of ecological economic sustainability for coastal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general methodology to support coastal management. Integrated management includes adaptive process, which has to consider interactively problem assessment, policy priorities, the formulation of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adequate measures, and stakeholder involvement, adopting the driving forces-pressure-state-impact-response (DPSIR) framework. The "lisbon principles"(responsibility, scale-matching, precaution, adaptive management, full cost allocation, and participation) are introduced as a core guidelines for sustainable ocean governance.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on implementing sustainable coastal management in terms of ecological economic approach, however, integrated ecological-economic models as multi-criteria model and input-output model of a coastal economy with a model of a marine food web should be employed.

      • KCI등재

        외국어논문 : 유전자-환경 상관관계와 범죄학 연구

        윤일홍,( Anthony Walsh )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범죄학계에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생물사회학적범죄론 (biosocial criminology)에 대해 소개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서구의 범죄학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의 범죄학 연구도 범죄와 비행의 원인을 가족, 경제구조, 사회해체, 비행친구 등 사회학적 요인에서 만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기앞서 생물학적 원칙을 따르는 “동물”이므로 인간의 행동 역시 뇌와유전자와 호르몬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의 체계와 유전학적 기본 개념들을 간략히소개하였다. 더불어서 미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유전적 데이타(Add Health)를 이용하여 기존 사회학적 범죄학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유전자-환경 상호관계 (Gene-Environment Correlation) 현상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변량적 상관분석을 하였다. 유전자-환경 상호관계란 개인이 노출된 환경과 그 개인이 지니고 있는 유전적 특질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개념이다. 분석결과,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관련된 청소년들의 세 개의 유전적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 이 그 청소년들의 부모의 수입, 부모의 교육 정도, 지역사회의 취약성(neighbourhood disadvantage), 엄마와의 유대, 학대경험의 유무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최신 미국의 범죄학 경향과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범죄학계도 생물사회학적 패러다임에 바탕을 둔 활발한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The present study primarily aims at introducing the fundamentals of biosocial criminology to Korean criminologists. Criminological research in Korea, massively influenced by the sociological paradigm of the western criminology, has largely focused on studying sociological factors, such as family, economy, social disorganization, or delinquent peers, in the etiology of crime and delinquency. Human beings as social animals, however, are first and foremost a biological being influenced by the brain, genes, and hormones. Drawing on the biosocial paradigm of criminology, thus, the current study first introduces basic concepts of genetics. It then proceeds to test the phenomena of gene-environment correlation utilizing a large genetic data set collected from a sample of American youth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an existence of gene-environment correlation. Specifically, adolescents`` three genetic polymorphisms pertaining to the neurotransmitter dopamin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linked to parental income and education, neighborhood disadvantage, maternal attachment, and history of maltreatment.

      • KCI등재

        유권자의 정치이념과 정당일체감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력

        정수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voter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y analysing the 2012 Korean Congressional Election Studies data that Korean Social Science Center surveyed. My findings show that voter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have strong influence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olding other variables constant, as voter ideology shifts to the left or if voters identify themselves with progressive parties,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rather than economic development. Also, women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sup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than men and those with lower education. 2000년대 이후 유권자들의 삶의 질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문제가 점차 주요 정치쟁점으로 부상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의 환경의식 연구들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환경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분석의초점을 맞추면서 개인의 정치적 성향을 주요 변수로 고려하지 않거나 고려하더라도 측정 및 분석 방식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의 ‘국회의원 선거 유권자 조사’ 자료를 순서형 로지스틱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유권자들의 환경의식을 결정하는 정치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진보적인 성향이 강하거나 진보적인 정당에 정당일체감을 가지는 유권자일수록 친환경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구의 유권자와 같이 정치이념과 정당일체감이 한국 유권자들의 환경의식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유권자의 정치이념과 정당일체감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력

        정수현 ( Soo Hyun Jung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2000년대 이후 유권자들의 삶의 질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문제가 점차 주요 정치쟁점으로 부상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의 환경의식 연구들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환경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면서 개인의 정치적 성향을 주요 변수로 고려하지 않거나 고려하더라도 측정 및 분석 방식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데이터센터의 ‘국회의원 선거 유권자 조사’ 자료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유권자들의 환경의식을 결정하는 정치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진보적인 성향이 강하거나 진보적인 정당에 정당일체감을 가지는 유권자일수록 친환경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구의 유권자와 같이 정치이념과 정당일체감이 한국 유권자들의 환경의식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voter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y analysing the 2012 Korean Congressional Election Studies data that Korean Social Science Center surveyed. My findings show that voter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have strong influence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olding other variables constant, as voter ideology shifts to the left or if voters identify themselves with progressive parties,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rather than economic development. Also, women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sup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than men and those with lower education.

      • KCI등재

        환경 ODA의 문제점과 기독교 선교학적 접근

        정지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3

        Environmental problem has been a crucial agenda in the discuss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re has been a growing increase in environmental aid for bilateral development assistance.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skeptical views on whether environmental aid is producing positive synergy in terms of addressing the interlinked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challeng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points out the two predominant issues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aid. One is defining the purpose and the direction of aid. The other is inefficient aid management largely due to aid fragmentation and government-oriented project, which may hinder the capacity building of a recipient country.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important principles from the Christian missiological perspective which offers more holistic insight for addressing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challenges. 환경 문제는 국제개발 논의에 있어서 현재 중요한 사안이다. 양자간의 개발 원조에서 환경 원조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한편 환경과 개발의 문제를 조화롭게 해결한다는 점에서 환경 원조가 과연 긍정적인 시너지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이를 배경으로 본 논문은 현 환경 원조의 두드러진 문제점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 원조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문제이다. 둘째, 정부 주도하의 단편적으로 분할된 사업 성격 때문에 원조 체계가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수원국의 능력 제고를 방해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 선교학적 관점에서 본 중요한 원리를 도출함으로써 환경과 개발 원조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좀 더 통합적인 안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