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 화교은행(OCBC)과 동아시아 전시체제 - 동남아 화상(華商)기업의 전시(戰時) 위기대응과 생존 -

        김종호 ( Kim Jong-h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3 No.-

        1919년 싱가포르에서 화상(華商)자본으로 설립된 화교은행(華僑銀行, Overseas Chinese Banking Corporations)은 대공황의 여파가 아시아를 덮칠 무렵인 1932년에 대공황의 위기를 돌파하고자 또 다른 싱가포르의 화상자본 은행인 화풍은행(和豊銀行), 화상은행(華商銀行)과 합병하여 동남아시아 최대의 화상자본 은행으로 거듭나게 된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미얀마, 태국, 홍콩, 상해, 하문 등 동남아시아와 중국 대륙 동남부 지역에 걸쳐 초국적 금융네트워크를 형성한 화교은행은 현재(2017)까지 약 100여 년간 화교자본의 세계적인 금융 기업으로서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와 중국 동남부지역에 걸쳐 형성된 화교은행의 초국적 금융 네트워크는 국가라는 한정된 공간 개념으로는 그 성격을 명확히 규정할 수 없는 화교기업의 특징을 매우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상업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국내외 수많은 연구자들 역시 그 네트워크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한반도 및 일본과 같은 다양한 근대 화교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왔다. 다만 화교은행과 같은 화상자본의 서구식 금융기업을 사례로 진행한 연구는 드물었다. 또한 일반적 상업 네트워크의 전개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전시기(戰時期)를 배경으로 그 네트워크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연구 역시 부족하였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화교은행의 전시경험과 대응, 적응양상을 살펴봄으로서 초국적 화상자본의 본질과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전시체제’라고 하는 가혹한 위기상황은 화교은행에게 전전(戰前)의 기업활동 시기와는 180도 다른 환경을 제공해 주었고, 생존을 위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도록 강요하였다. 본 연구는 그 생존과 적응의 과정에서 화교은행이 보여주는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초국적 화상자본의 성격을 엿볼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표문은 1941년 아시아 태평양 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공 및 대동아 공영권의 형성으로 촉발된 전시체제 아래 화교은행이 어떻게 적응하고 생존하였는지를 규명하려 한다. 특히 화교은행이 대동아 공영권내에서 그 특유의 초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일본 식민지배의 신체제에 적응해가는 양상과 1944년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는 순간 영국의 싱가포르 및 말레이시아 재지배(Re-occupation)를 예상하고 구체제로의 재적응(Re-adaptation)을 준비하는 과정 등을 각종 1차 사료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본 문의 직접적 목적이다. 이를 통해 일국사적 접근으로는 그 본질적 성격을 명확히 규정할 수 없는 초국적 화상자본 특유의 ‘기업가적 내셔널리즘(Bourgeois Nationalism)’이 전시체제를 배경으로 더욱 명확히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For thirteen years from 1937 to 1949, many Chinese entrepreneurs in both mainland China and Southeast Asia experienced harsh circumstances due to the Anti-Japanese War, the Asia Pacific War and the Chinese civil War. In particular, overseas Chinese enterprises with their business networks spreading to Southeast Asia and South China had to find ways of adapting and surviving. They had to react rapidly frequen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British colonial rule, the Japanese threat,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British re-occupation after the war. Their reaction and adaption are the focus of this paper. Owing to Parks M. Coble's research on Chinese capitalists in Shanghai under the Japanese rule and Kuo Huei-Ying's concept, called 'Bourgeois Nationalism', on the overseas Chinese merchants, this paper deals with OCBC(Oversea-Chinese Banking Corporations), a major overseas Chinese-funded bank, as a case study. In 1932, OCBC incorporated other two overseas Chinese banks in Singapore, Ho Hong Bank and Huashang Bank, to survive the horrible economic crisis in Asia caused by the Great Depression and became the largest overseas Chinse-funded international bank. Until now (2017), OCBC has been an outstanding transnational bank having branches in Southeast Asia, Hong Kong, Shanghai, and South China. What this paper concentrates on is OCBC’s commercial activities to make balance between empires and regimes, such as the Britain, Japan and the Nationalist Government, before and after the war explod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military administration in Singapore, called 'Syonan-to', wanted to use the OCBC's transnational network and its contribution on the Malay local society to stabilize occupied territories in Southeast Asia. Based on several evidences, this paper finds that OCBC re-launched the commercial activities in Singapore, Malay Peninsula and Xiamen in Chin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o called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On the other hand, the leaders of OCBC moved to India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and pursued re-opening its business through the support of the Britain and the US. With the end of the War in 1945, OCBC could re-open its business in Singapore with the allowance of the British colonial office and re-connect the transnational business network straddling from Southeast Asia to South China as well. All these efforts of OCBC to survive and adapt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period help us conceptualizing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the overseas Chinese capitalists as 'Entrepreneurial Nationalism'.

      • KCI등재

        韩国的外国人政策及其对韩国华侨的影响

        여병창 중국인문학회 2012 中國人文科學 Vol.0 No.50

        한국화교는 한국사회의 주요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관련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화교에 대한 편견과 불평등 대우는 아직 사회 곳곳에 엄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한국의 화교 관련 정책 및 화교사회에 대한 영향을 고찰해봄으로써 양자 간의 이해와 조화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먼저 제1장 서론에서 기존의 한국화교 관련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던 이른바 ‘화교정책’이라는 용어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즉 본고의 초보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사회에는 전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인정책은 존재하지만, 한국사회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교’를 대상으로 한 ‘화교정책’은 존재한 적이 없다. 따라서 본고는 제목과 서술과정에서 일관되게 ‘외국인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제2장에서는 우선 한국화교의 정의와 범위를 고찰하고, 제3장 제1절에서는 외국인, 특히 화교를 제약하는 각종 외국인정책 제정의 배경을, 제2절에서는 각 정책의 주요 내용 및 화교사회에 대한 영향, 그리고 90년대 이래 외국인 정책의 변화와 한계를, 제3절에서는 한국화교의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끝으로 제4장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화교들의 처지를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이러한 처지의 개선을 위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항기 및 일제 강점기 전기(前期, 1893~1924년) 목포화교의 경제 · 사회적 활동에 관한 연구

        양세영(Yang, Se-Young)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2

        본 연구는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전기(1893~1924)의 목포 화교들의 경제 및 사회적 활동을 조명함으로서 지역화교 연구의 지경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목포화교는 한국 화교의 일부로서 갖는 공통적 맥락 외에 차별화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일제의 집중적인 견제 속에서 화교사회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일제는 목포 개항 직후부터 인천과 원산에서 청국에 뺏긴 경제적 주도권을 되찾고자 청국상인들의 이주를 철저히 방해하였다. 둘째, 목포화교는 전국에서 포목업 비중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며 활발하게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셋째, 목포 화상들은 전국에서 재무적으로 가장 견실한 영업을 영위하였다. 1920년대 1인당 저축금액이 전국적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였고 예금액이 대출액을 크게 상회하였다. 넷째, 단신 거주자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목포화교는 전남지역 화교 확산의 허브 역할을 하였다. 목포는 전남의 관문도시로서 호남선과 영산강 뱃길 등을 통해 도청 소재지인 광주와 나주 등 전남내륙과 정기노선을 통해 제주 등으로 화교가 진출하는데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동 기간 중 목포화교의 활동이 주는 가장 큰 시사점은 기업가정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목포화교가 처음 이주한 1893년은 개항 전으로 교통과 도시기반 등의 여건이 거의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기존 개항장의 안정된 사업환경을 벗어나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찾아 과감하게 목포에 진출하였다는 점과 일제의 지속적인 견제 속에서도 왕성한 사업활동을 추진했다는 점은 새로운 기회를 찾아 도전과 혁신을 추구한다는 현대의 기업가정신의 개념과도 부합되며 최근 목포-중국 간 경제교류 활성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mainly the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of overseas chinese in Mokpo(Mokpo Hwagyo) during the period to opening ports toward foreign countries and Japanese occupation(1893~1924), which was expected to expand scope of research on Hwagyo in major cities of Korea. Mokpo Hwagyo during this period have severa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har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overseas chinese. First, they built a their community and carried out a vigorous commercial activity under the intense oppress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 they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especially in silk fabric industry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ir businesses in comparison to other regions. Third, they had the strongest financial structure in Korean overseas chinese society. In the 1920s, their per capita savings topped the list nationwide, and deposits surpassed lending. Fourth, the ratio of single male residents wa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the country. Fifth, Mokpo Hwagyo served as a hub for the spread of overseas Chinese in Chonnam Province such as Gwangju, Naju, and Jeju. The biggest implication of Mokpo Hwagyo’s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i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ir entrepreneurship. They first came to Mokpo in 1893 before opening it’s port toward Foreign countries, when there were few conditions such as transporta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Japanese held back their activities while in Mokpo. Despite these bad conditions, they challenged to find a new opportunity and continued their business until Sino-Japanese War(1937).

      • KCI등재

        화교의 생활사와 정체성의 변화과정

        김중규(Kim Joong Kyoo)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2

        이 글은 우리 민족 최초의 외국인노동자 집단이었으며 길게는 4대째 이 땅에서 뿌리내리고 살아온 군산지역 화교들의 일상사와 생애사를 확인함으로써 화교들의 정체성 변화 원인으로 화교의 생활문화의 변화가 일정부분 작용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글의 순서는 화교의 군산 이주역사를 먼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초창기 군산 각국조계지역 내에서 일본인의 경제력에 결코 뒤지지 않는 청나라 상인들의 면모를 밝힘으로서 일제강점기 군산에 거주한 한, 중, 일 삼국 국민들의 생활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화교의 생활사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씨 집안에 대한 구술사를 근거로 화교의 생애사를 재현해 보았다. 화교의 생애사를 통한 연구는 ‘화교들이 어떻게 살아 왔는가’ 하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화교의 마시적인 생활상에 주목하는 연구로 화교들이 한국의 역사와 맞물려가면서 특히 군산이라고 하는 지방사 속에 어떻게 연루되어 살아왔는지, 또 그 과정에서 화교들이 스스로 개척해온 생활사의 진면목은 어떤 것들인지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화교의 생활문화의 변화가 화교 정체성 변화를 가져온 원인 중에 하나 였으며, 그러한 변화의 사례로 화교들이 수용한 음식문화인 김장 김치 담그기와 중국에는 없는 한국식 자장면의 개발 그리고 종족문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결혼문화의 변화와 정체성 보존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2세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지역을 중심으로 화교의 정착과정을 살펴보는 이유는 화교의 1, 2세대의 삶을 살펴봄으로서 그들의 생활공간이 우리의 공간과 중첩되어 있고 우리의 시간 속에 그들도 함께 해왔음을 확인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화교 3, 4세대 가치관의 변화과정과 변화의 원인을 확인하며 그들만 변화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도 함께 변해가야 하며, 이러한 변화는 다문화, 다민족시대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라는 생각을 해본다.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y of Chinese who migrated to Korea as laborers one hundred years ago and have lived for the 4th generation in the area of Gunsan. The contents of this paper consist of the migration process, job, marriage, family, childhood and funeral rites. It delineates the Chinese identity, its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the reasons of changes. First, I study the history of Chinese immigrants in Gunsan and describe how flourishing Chinese merchant class were working in the foreign settlements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e Japanese colonialism did not much affect their business activities. Second, I explore the lives of Chinese immigrants by collecting life histories of Yeo family. My study of Yeo family focuses on the subject matter how they have lived in Gunsan and witnesses the intensive interactions with the local people and their histories. It furthers the concrete and actual family history on the basis of individuals' memories. photos, and documents. Third, I analyze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on foreign immigrants. The Korean government has long either ignored or strictly controlled over them. It has forced Chinese people to become naturalized as Korean citizens. Nevertheless, it turned out to be ineffective. However, as times went by, the inter-cultural marriag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Chinese and Korean has increased. Also, the young Chinese actively become participated in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graduation from Korean schools. It has been done through a difficult but natural process of the history of immigration. This paper stresses the fact that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Chinese immigrants have long lived with Koreans, not being as aliens living in an island. Their living space and time have been overlapped those of Koreans. Futhermore,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are changing in their identities and values. The fact gives us to rethink the direction of multi-ethnic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 KCI등재

        대구화교소학의 설립 경위와 운영: 대구화교협회소장 편액을 근거로

        이정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3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stablishing details and operation of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in Daegu through framed pictures possessed by Overseas Chinese Association of Daege. Overseas Chinese Association of Daege is possessing four framed pictures produced in 1930, 1943, 1950, and 1957. These framed pictures is very useful to analyse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in Daegu. Overseas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Daegu(OCCCD) got started their activities to establish elementary school in 1941 with increasing of children of school age. The OCCCD obtained certification of school establishment from Kye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on August in 1941. As a result of appealing for fund-raising targeting at Overseas Chinese in Daegu, 6,350 Japanese Yen was collected.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of Daegu was opened using the building of OCCCD in 1943. The school’s two classrooms was not able to accept increased students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OCCCD purchased Seo Byongkook’s House as a new school building. 본고는 대구화교협회가 소장하고 있는 각종 편액을 통해 대구화교소학의 설립 경과 및 운영의 실태를 분석한 것이다. 대구화교협회는 1930년, 1943년, 1950년, 1957년에 각각 제작한 목판 편액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들 편액은 대구화교사회와 대구화교소학의 역사를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는 이들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 대구화교소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립되었고, 설립 초기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검토했다. 대구중화상회의 임원이 중심이 되어 학령 아동의 인구가 급증한 1941년부터 화교소학 설립을 위한 활동을 개시했으며, 그해 8월 경상북도 당국으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다. 대구와 경북의 화교가 화교소학 운영을 위한 모금활동을 전개, 136명으로부터 6,350원을 모금했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대구화교소학은 1943년 2월 대구중화상회의 방 2칸을 빌어 정식으로 개학했다. 해방 후 대구화교의 인구 증가로 기존의 교사로는 학생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모금활동을 펼쳐 서병조주택(현 대구화교협회 건물)을 매입하여 새로운 교사로 사용했다. 한국전쟁 때 대구로 피난 온 화교인구의 증가로 대구화교소학의 학생수는 1957년 329명에 달해, 한성, 인천, 부산화교소학에 이어 4번째로 많았다.

      • KCI등재

        부산 화교의 가족 분산과 국적의 함의

        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8 No.-

        이 글은 한국 부산에 거주하는 화교 여성의 생애사를 통해 20세기 동북아 국가 간 정치적 변동이 개인의 생애에 미친 영향과 그 양상의 문화적 함의를 밝혀 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대다수의 한국화교들은 지역적으로는 중국 산동성 출신이거나 그 후손들이며, 이들의 국적은 대만(중화민국)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고향, 거주지, 귀속 국가가 서로 다른 복합성은 이들의 역사가 동북아의 20세기 역사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 화교이주사에서 나타나듯이 한반도를 오갔던 초기의 화교들은 경제적 활동을 목적으로 한 이동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산의 화교들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대규모의 집단적 거주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후 냉전 체체 하에서 한국화교 인구는 계속 감소해왔다. 이글에서 제시한 화교여성의 사례는 한국화교의 인구감소가 어떠한 맥락 속에서 전개되는 것인지 보여준다. 즉 부산에 거주하는 H씨와 R씨의 사례에서 이들의 가족은 부산에 거주하는 모친을 중심으로 대만에 사는 자식들과 하나의 생활세계를 형성해 간다. 가족 간에는 분산 양상이 나타나며 국적도 서로 다르다. 화교가족이 모두 함께 이주하는 것은 아니며, 모친은 현재의 거주지가 가족의 정주지가 되기를 희망한다. 이처럼 화교인구의 감소는 가족의 집단적 이동형태가 아니라 가족의 분산 이동형태라 하겠으며, 이것은 동북아의 식민주의, 전쟁, 냉전체제 등이 낳은 정치변동과 국가 간의 불연속적 관계에 따른 가족집단의 대응이 아닌지 고려된다. 또한 가족 성원끼리 국적에 의한 갈등과 긴장은 여전히 동북아 역사적 긴장이 개인의 삶에도 배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대부분의 출신국과 거주국, 귀속국이 서로 다른 한국화교의 크로스보더성은 동북아의 역사와 정치적 지형을 반영하며, 민족국가에 의해 구분되는 국민이 아니라 ‘현지’의 거주자로서 사회적 위치를 조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History of the Overseas Chinese(Hwagyo) in Korea has deeply been related to history of North-East Asia and the Cold War in 20th century. This thesis addresses one's life history which was developed in political movement among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Macroscopic social changes among those countries led dramatic changes of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in Korea. This thesis examined microscopic aspects of the changes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he Overseas Chinese in Busan. Unlike the early stage, political aspect(Korean War)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formation of group habitation in Busan which was evacuation during the Korean War. Busan was the biggest area for the Overseas Chinese however its population has been decreased since the Korean War. In case of Ms. H. Chinese Civil War and Korean War and Cold War have intervened to her family immigration. Although these political background has made her movement, she hopes to settle down in local society.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re regarded as different nationality or different ethnic group bu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s that the Overseas Chinese are 'Chinese (or Taiwanese)'. Ms. R is Korean but has Taiwan nationality and a member of Overseas Chinese community. However social boundaries which divides by nationality has become main factor that foments internal conflicts and tension among families. Likewise, most Overseas Chinese people who happened to have Taiwan nationality through the Korean War have different one's native place, current residence and nationality. This cross-border reflects history and political landscape.

      • KCI등재

        ▣ 일반 논문 :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이은상 ( Eun Sang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본고는 기존 화교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20세기 전반 조선 북부화교, 그 중에서 중일전쟁 이전 원산화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의미는 다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지역적으로 원산에 주목함으로써 조선화교사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 원산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군사기지 역할을하였고, 20세기 초 경원철도를 시작으로 육상과 해상교통이 발달하면서도시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와 함경북도의 청진 등에 밀려 공업 발전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원산의 도시로서의특성은 원산화교의 규모와 직업별 구성에도 반영되었다. 원산화교는 청말(淸末)까지만해도 200명 정도에 불과하였지만 경원철도의 개통이후 점차 증가하여 1930년에는 1,186명으로 늘어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931년 배화폭동(排華暴動) 이후 원산화교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는화교직물도매상이 거의 몰락하고 남은 직물잡화상의 규모 역시 크게 축소되었다. 또한 화교농민이 늘어나 1934년 말에는 화교상인과 비슷한 규모가 되었다. 반면 공업도시로서의 위상이 미약하여 화교노동자의 비중은 크지 않았다. 두 번째로 『주조선사관당』(駐朝鮮使館당)에 수록된 자료를 중심으로원산화교의 네트워크를 원산부영사관, 원산중화상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지역별로 중화상회의 전신(前身) 중화회관(中華會館)의 역할 등에관해서는 자료의 한계로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지만, 원산의 경우 중화회관의 장정(章程)을 통해 그 역할을 분명히 하고 동사(董事)를 포함한 회원을 분석하였다. 중화회관은 상무총회(商務總會)를 거쳐 1916년 12월 상회법(商會法)에 따라 중화상회로 개조되었는데, 1917년, 1928년 중화상회직원의 명단을 통해 화교상인의 출신지, 직업 상황을 검토하였다. 이들은 원산화교의 대표자로 부영사관 인사, 부영사관 존폐 문제 등에 적극참여하였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iscussions on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colonial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much focus on those in Wonsan before the Sino-Japanese War (1912∼1936).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port opening in Wonsan. Second, it discussed the scale and the occupational status of the overseas Chinese in Wonsan.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situ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before and after the anti-Chinese riots of 1931. Third, it analyzed the network of the overseas Chinese in Wonsan with regard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Wonsan vice consulate and the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Wonsan.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Chinese Association, the predecessor organization of the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Wonsan.

      • KCI등재

        중일전쟁 시기 원산화교의 동향과 화교경제

        이은상 ( Lee Eun-sa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0 No.-

        본고는 기존 화교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중일전쟁기 원산화교의 동향과 화교경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주조선 영사관의 친일정부 참여과정, 그에 따른 원산화교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전쟁 발발 이후 주조선 영사관이 친일을 표방하는 북경의 중화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지지와 참여를 공식 선언하면서, 조선화교는 표면적으로 적국의 국민에서 친일정부의 국민으로 바뀌게 되었다. 원산부영사가 친일정부를 지지하자 원산화교도 이에 따라 친일을 결의하였다. 원산중화상회는 1938년초 중화민국임시정부 소속으로 전 조선화교를 총괄하는 旅鮮中華商會聯合會창립총회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총독부의 통제경제정책이 원산화교상업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1942년 원산화교상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원산부를 포함하여 원산부영사관 관내 화교상인의 주류는 여전히 면포상이었지만, 직물도매상은 전쟁 이후 폐업하였고 면포소매상만이 남았다. 가격통제, 배급통제정책이 시행되면서 면포소매상은 자유 판매에 따른 이윤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배급수수료를 취하였다. 둘째, 수출상은 조선의 해산물, 약재를 만주를 경유하여 재차 중국 각지 더 나아가 홍콩, 동남아까지 판매하였다. 그러나 화물의 수출 통제정책으로 쇠퇴하였다. 셋째, 주철공장은 제조 뿐 아니라 판매를 겸업하여 상업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주철공장 경영자는 면포상과 더불어 중화상회의 주류였지만, 원료철의 배급통제가 강화되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가격통제, 배급통제에 더하여 1944년 초부터 기업정비령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업정비령에 따라 원산의 화교요리점, 음식점이 통폐합 되었다. 화교상점이 합병되면서 상인 뿐 아니라 종업원의 실업 문제가 심각하였다. 화교가족을 구제하기 위한 조치로 송금액이 상향되었지만 화교경제와 삶을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shift of overseas Chinese of Wonsan at the era of Sino-Japanese War and their economic situation that has not dealt with in the existing history of overseas Chinese yet.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participation in pro-Japanese government by Consulate of Joseon and the situations of overseas Chinese in Wonsan. They were apparently changed into people of pro-Japanese government from ones of people of enemy country since Chinese Consulate in Joseon had publically declared his support and engage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s a pro-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In sequence, this paper checks the effect that the policy of price control and distribution control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d on the commerce of overseas Chinese in Wonsan. There were the features after the outbreak of war as follows: Firstly, the main stream of the overseas Chinese under vice Consulate of Wonsan including Wonsanbu still consisted of dealers in cotton goods, and the fabric wholesale dealers went out of business and cotton stuff retailers only remained after the wartime. Then the retailers of cotton goods didn`t get the profits by their free trade but got the distribution fee that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price control and distribution control. Secondly, the exporters made trade of seafoods and medical stuffs that were producted in Joseon by way of Manchuria, and they sold them again in Hong Kong and East Asia as well as around all over China, which declined by the policy of export control of goods. Thirdly, the iron foundry of Wonsan ha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manufacturing and sale, so that the managers of the business, with cotton dealers, constituted the mainstay of Chinese chamber of commerce, experiencing great difficulties that resulted from the distribution control of raw materials of iron. Besides the control of price and distribution, the law of business readjustment was regularly enforced since the early of 1944. Accordingly the restaurants of overseas Chinese and food shops in Wonsan were merged. As a result both the merchants and workers deeply experienced the unemployment problem. Though the home remittance of the measure to rescue the family of overseas Chinese was raised, it was too inadequate to recover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lives.

      • KCI등재

        한국화교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2010년 이후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문명기(Myung-ki,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일부의 일본학계 연구 성과도 포함하되) 주로 2010년 이후에 출간된 한국화교사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해당 연구의 공헌과 문제점을 함께 정리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하여 아래의 세 가지 측면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① (개항기·식민지시대의 경우) 한국경제사에서의 화교경제의 위상을 실제 이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② (개항기와 해방 이후의 경우) 화교경제의 성쇠에 대한 정치권력(=청나라나 한국정부의 영향력)의 영향력을 과도하게 강조하 는 경향도 없지 않으며, ③ 한국화교의 목소리에만 의지하여 (특히 해방 이후의)한국화교사를 재구성할 경우, 한국사회라는 주류집단과 화교사회라는 소수자집단 간의 관계와 그 변모를 균형 있게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향후의 과제로서는, ① (동남아시아 화교 등과의) 비교사적 접근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 ② 시대별·분야별로 균형을 맞추는 작업의 필요성, ③ 한국화교의 직업 분석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그동안 분석 대상이 되지 못했던 한의사나 약사 등의 직업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④ (인천 지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서울 지역의 화교사에 대한 연구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적 회고와 향후의 과제에 대한 제시는, 그간의 한국화교사 연구의 진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그동안의 연구에서 보이는 일정한 편향을 수정하여 보다 균형 잡힌 한국화교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언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roduce books and articles on the history of Chinese overseas in Korea(hereafter Korean Huaqiao)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10 in Korea(including a couple of books published in Japan) and review them from a critical viewpoint. Throughout some analyses, I could bring three points into further focus. First,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status of Korean Huaqiao economy in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Second, (Especially in open port period and colonial period)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influence of political power on the ups and downs of Korean Huqiao economy. And third, when we listen only to the voice of Korean Huaqiao,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make some balanced argu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nd minority groups like Korean Huaqiao. As for future agenda on Korean Huaqiao, I suggested four tasks. First, we need to utilize comparative approaches more aggressively. Second, we need to balance each detailed sphere(like Huqiao economy, Huqiao politics, etc.) not to produce biased images on the history of Korean Huaqiao. Third is as for analysis of job composition of Korean Huaqiao. For example, Oriental doctors or pharmacist, which had been the object of envy among Korean Huaqiao since 1945, had not been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of Korean Huaqiao in Seoul. Contrast to Korean Huaqiao in Incheon, Korean Huaqiao in Seoul, always the biggest majority of Korean Huaqiao population, had not got appropriate attention. I hope that my critical review and some suggestions will help to correct some possible biases in Korean Huaqiao studies and to conduct more balanced and productive studies.

      • KCI등재

        대구화교중고등학교 학생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

        박규택(Park, Kyu Tae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대구 화교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어와 한국어 혹은 중국인과 한국인이라는 요인이 교차하는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적 활동들에 의해 생성하고 변화한다. 화교학교 학생들은 유아기에 한국 어머니와 외가로부터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운 뒤, 성장하면서 화교 아버지와 친가로부터 중국어를 학습함에 따라 이중적 언어습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교학생의 상당수는 한국학교에서 유치원 교육을 받고 있지만 초등학교 이후부터 거의 모든 학생들은 화교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중국의 사회・문화・역사를 학습하였다. 화교학생은 가정, 학교 그리고 로컬에서 부모, 형제와 자매, 교사, 친구, 이웃과 중국어와 한국어를 매개로 대화를 한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중국어와 한국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두 언어를 특별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화교학생은 자신의 정체성을 중국인과 한국인 모두로 이해하는 혼종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일부는 자신의 정체성을 한국인 반, 중국인반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본 연구 결과의 객관화를 위해 서울, 인천, 부산에 위치한 화교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al language and hybrid identity of the students of Daegu Chinese Middle・High School. Such a phenomenon is being produced and changed at the site or zone of meeting different or conflict factors such as Chinese and Korean. The Chinese Korean students had learned Korean from their mother and her relative at a young age, and their dual and complex language habit was produced due to the learning of Chinese from father and his relative.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were educated at a Korean kindergarten, but they were formally learned Chinese and China’s society and culture at a Korean Chinese school after primary school. The Chinese Korean students talk with parents, brother and sister, teacher, friend and neighbor at home, school and local by Chinese and/or Korean. They use a dual language of Chinese and Korean based on various situations, but they do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both language in cognition. The students have a hybrid identity of simultaneously recognizing Chinese and Korean. But some of them think Chinese or Korean. It is necessar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objectified from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students of Chinese Middle・High School in Seoul, Incheon and Bu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