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누가 행복한 은퇴생활을 하는가?

        한지형(Jihyung Han),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학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행복에 관심을 두고 이미 은퇴를 경험한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행복한 은퇴를 결정짓는 요인인 은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은퇴 전 일자리관련 특성, 은퇴특성, 재무적 특성, 그리고 비재무적 특성들을 가지고 은퇴자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행복한 은퇴자가 되기 위해서 어떤 부분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지 알아봄으로써 다가오는 고령사회에 대비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수집된 서울대-삼성생명 은퇴지수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 수준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은퇴자 218명만을 추출하여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은퇴자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은퇴자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이었고 구체적 영역 중에서는 주거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관계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전반적 생활만족도, 그리고 재무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재무만족도의 경우 세부항목에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은퇴자들은 부채수준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예상연금액수준이나 저축수준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은퇴자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현재 본인이 충분한 은퇴생활자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저축이나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으며 부동산 자산을 많이 소유하고 있고 가족에게 상속할 동기가 없으며 현재 소일거리 정도는 있고, 성별이 여자일 경우 은퇴 후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은퇴 전 일자리에서의 근속 연수가 짧을수록, 은퇴 전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은퇴자는 행복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은퇴를 할 당시에 자발적인 은퇴를 하였고 은퇴를 하기 전에 은퇴 시점에 대해 고려해보았던 사람이 은퇴 후 행복한 삶을 누릴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들 중에서도 재무적인 영역이 은퇴자 행복의 30%를 설명하여 상당히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의 나머지 70%는 재무적 특성 이외의 요인들이 설명하므로 단순히 재무적 특성만으로는 은퇴자의 행복을 결정지을 수 없다. 따라서 재무적 특성 외의 비재무적 특성이나 은퇴 특성, 은퇴전 일자리 특성과 같은 요인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개인 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retirees to identify thei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recent issue in consumer science. Also, we tri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happy retired life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occupation factors, retirement factors, financial factors, and non-financial factors. This study can help pre-retirees prepare for happy retired life.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2 for the study of retirement index. The total case of the data was 1,492. We extracted the case of retirees(218). For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tirees’ subjective well-being was slightly over the medium score. Also among the specific satisfactions, the level of dwell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ationship satisfac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living satisfaction. The level of financial satisfac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financial satisfaction, the retiree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level of debt but did not satisfied with the level of pension expectation and saving. Second, retirees who were woman, thought having sufficient retirement funds, save steady, owned lots of real estate asset, did not have inheritance motive, and who had diversion, were more likely to enjoy happy life after retirement. Also, retirees who worked shorter period, satisfied with one"s job, were voluntarily retired, and had thought about retirement point before retirement were more likely to enjoy happy life after retirement. In this article, financial characteristics was very significant for happy life after retirement since they explained 30% of a happy life after retirement. However, financial characteristics were not the only determinant for retirees’ happiness because other characteristics explain remaining part of happy life after retirement. Therefore, we should not ignore non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 characteristics when planning for retirement.

      • KCI등재

        행복교육과 행복한 교육

        최석민 한국교육사상학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 추진의 어려움과 극복 방안의 모색이라는 시의적 필요 맥락에서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쉽게 말해 행복교육을 어떻게 추진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 핵심적으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다른 교육과 구분되는 특별한 내용을 가진, 명사형으로서의 행복교육’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에 스며드는, ‘학교 교육의 과정과 결과에서 행복이 드러나는, 그런 형용사로서 행복한 교육’으로 이해하자는 것이다. 행복교육의 필요성과적절성은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행복교육은 행복‘을’ 가르치는 교육을 의미한다는 점에서,부분적 접근으로서 그 가치는 인정되지만 기존의 교육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대안적 관점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반면 행복한 교육은 기존 교육의 관행을 바라보는눈으로, 교육 실제의 전반을 행복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반성적으로 개선을 실천하는 모든활동을 의미하게 됨으로써, 학교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적절한 개념으로 파악될 수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전제하에 행복한 교육이 학교 교실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발과 추진의 조건 몇 가지를 축약하여 제시하였다. 즉 출발의 조건으로는 교육 목적으로서 행복인식, 현 행복 상황에 대한 진솔한 진단, 기존 추진 교육과의 관계 분석을, 추진의 조건으로는 학교 지성의 회복, 학생의 내적 필요를 강조한 교육과정운영, 학생의 참여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이론적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이며, 분석적이라기보다는 한 가지 제안의 성격으로 제시되었음을 밝혀둔다. Now education of happiness have been widely spread out in Korean educationallandscape. But it has tended to be understood as education for happiness per se. AsJ. Dewey had said, the ideas about happiness might be indifferent or unhappy orhappy. So to speak, it is not a powerful way to make children happy, and also itcould be burdens of school situation which is fully filled with innumerable activities. Happiness is to be considered as a color that might be habituated through all theschool activities, not just some special programs. Therefore, direct teaching ofhappiness should not be taken as the main approach to happiness education.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uggests six procedures to be reached the happyschool. 1) Happiness is taken as one of core aims of school education. 2) The states ofnow and here of real school is analyzed with eyes of it. 3) It is located under the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practices. 4) Recovery of school intellectual is mostimportant in making school happy. For this, co-discussions on it is inevitable. 5) Incurriculum managing, the inner needs of students should be more taken, in that it haslong been overlooked. 6) The participation seems to be useful tool because it can betaken as an index to make a prediction of happiness.

      • KCI등재

        공맹(孔孟)이 제안하는 행복의 길 - 행복관의 분석과 그 현대적 적용을 중심으로 -

        김형중 ( Kim Hyeong-j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오늘날 행복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특히 행복은 종종 우리 삶의 궁극적 목표로 간주됨으로써 행복을 추구할 권리는 우리의 존엄과 가치를 지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은 전세계의 국가들 사이에서 그다지 행복하지 않는 나라에 속한다. 상당한 경제성장, 최근의 열성적인 행복 추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의 행복지수는 올라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 사회의 문제 상황에 대해 공자와 맹자라면 행복에 관한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가지는 한계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한 현실성 있는 대안의 모색이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행복` 개념의 다양성을 통시적 접근으로 검토하고 현재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주류적 의미를 바탕으로 공자와 맹자의 행복관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사회가 여전히 불행한 이유나 조건,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적합한 대안을 공자와 맹자가 어떻게 제시할 수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것은 국가, 사회, 개인의 차원에서 논의될 것인데, 경제적 불평등의 완화를 통한 평등한 행복, 사회적 연대의 상실을 극복하는 함께하는 행복, 쾌락적 행복 추구에서 벗어나 자아의 성숙을 이루는 행복의 추구로 다루어질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at why our society is currently still not happy despite the frenzy of happiness, and if Confucius and Mencius are living in today whether they suggest any way of happiness. The paper made from very basic perspectives such as this, the discussion will proceed as follow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I review an existing research on the happiness of the Confucius and Mencius. Second I throughly analyses the conditions and pursuit of happiness in Korea. Based on this, I will discuss that if Confucius and Mencius is here in korean society, what they will suggest. Particularly, the concept of `Happiness` has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e condition of happiness also may vary from time.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analyze and distinguish the concept and condition of happiness. Based on this, the classical east thinkers discussed what is happy and they will say how we are happy in the modern world. I think this approach is reasonable.

      • KCI등재

        인도철학의 행복 개념 분석

        김진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2 No.-

        현대 사회의 웰빙과 행복의 열풍 속에서 진정한 행복의 본성과 기원에 관 한 열띤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만족감과 안녕감이 진정한 행복인가 하는 근원적인 질문과 행의 영속성과 자아실현에 대한 진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한 상 황이다. 인도철학은 자신 안의 신성한 본질을 되찾는 영적인 행복 개념을 포괄한 독특한 행복관을 가지고 있어 물질문명에서 소외되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대안으 로 부상하고 있다. 논자는 인도철학을 대표하는 고전 텍스트인 우파니샤드를 중심 으로 근원적인 행복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철학의 가장 대표적인 행복 개념 어는 수까(sukha)와 아난다(?nanda)이다. 수까는 만족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감정어 들을 포괄하면서도 세속적인 행복을 나타내며, 아난다는 초월적인 관계 속에 체현 화된 자아 찾기의 행복을 말한다. 이러한 행복 개념의 두 가지 양상과 본질을 분석 하여 물질적 행복과 쾌락을 웰빙으로, 도덕적이고 초월적인 측면의 만족감을 영적 인 행복으로 구축해 가는 인도철학의 행복 개념의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행복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홍병선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시민인문학 Vol.21 No.-

        ‘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에서 시작하여 공리주의, 실존주의에 이르기 까지 항상 인간 존재의 근본적 질문과 연관되어 왔다. 하지만 일관된 행복에 관한 개념을 제시하고 정리하기란 인간 존재 자체를 정 의하는 것만큼이나 방대하고 체계화하기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여타의 인 간 감정과 관련된 개념들과는 달리 ‘행복’은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와 관련되 어 있기에 철학자들의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인류가 존속하는 한, 행복에 대한 논의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어찌 보면 행복이란 인간이 절대 달 성할 수 없는 완전한 상태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실현 불가능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말대로 행복이란 부를 소유한 상태도, 권 력을 소유한 상태도, 건강한 상태도, 비록 그것들이 행복을 위한 외적인 조건 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자체로 행복은 아닌 것이다. 행복은 인간이 자 신의 본성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신의 활동성인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그 이론 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따라서 그동안 사회과학적 혹은 경제적 통계에만 의존해 온 행복에 대한 연구의 한계를 넘어 우리 현실에 맞는 행복의 인문학 적 모델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행복에 대한 개념 분석과 인문 학적 담론을 토대로 하여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중 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preparing the theoretical ground through humanities approach about happiness of human being. This study presents the new humanities model which is appropriate to our actuality presents over the limit of the research of happiness that depends on sociological studies or economic statistics so far. For this, I want to scrutinize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based upo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humanities discourse on that. The main debate in this thesis is about Aristotle's theory of happiness as continuous spiritual activity for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human being itself.

      • KCI등재

        소비자행복의 유형화 및 개념적 체계: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라선아(La, Sun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나는 행복한 소비자’라는 주제로 소비자 본인이 실제 겪은 행복한 소비 경험을 에세이 형식으로 작성한 자료 259건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분석을 수행한 결과물이다.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소비자행복의 원천과 원천별 소비자행복의 세분 유형을 발굴하고 행복창출에 대한 소비자의 참여수준과 역할을 파악하여 소비자행복의 개념적 체계를 도출하였다. 소비자행복의 원천을 소비 내재적, 외재적, 초월적 원천으로 분류하고 소비자의 행복 창출에 대한 참여수준을 결합하여, ‘제품/브랜드/고객관리’, ‘소비활동 자체’, ‘소비자 자신’, ‘인간관계’, ‘삶의 이야 기’ 등 소비자행복 원천을 5가지로 분류하였다. ‘제품/브랜드/고객관리’를 원천으로 하는 행복(41%)은 ‘본원적 소 비’, ‘마니아적 소비’, ‘고객케어 소비’의 3가지 유형이고, 소비자 역할은 ‘제공된 가치의 소비자’로 분석되었다. ‘소 비활동 자체’를 원천으로 하는 행복(25%)에는 ‘착한 소비’, ‘합리적 소비’, ‘자족적 소비’, ‘쇼핑 플로’의 4개 유형 이 도출되었고, 소비자 역할은 앞 단계보다 참여수준이 높아진 ‘소비행위의 의미 해석자’로 나타났다. ‘소비자 자 신’을 원천으로 하는 행복(12%) 단계로 넘어가면 소비자의 역할은 ‘나를 위한 투자자’로서 행복창출에 더욱 적극 적이고 능동적인 참여형태를 보인다. 이에 속하는 행복 유형은 ‘자기보상 소비’, ‘내적 집중 소비’, ‘자기향상 소비’ 의 3가지이다. ‘인간관계’를 원천으로 하는 행복(16%) 단계에서 소비자는 가족 및 사회적 관계를 위해 소비를 매개로 때론 헌신적으로 행복창출에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는 ‘소비를 통한 관계 (재)구축자’의 역할을 맡는다. 행복 유형에는 ‘가족지향 소비’, ‘사회적 관계지향 소비’의 2개 유형이 발견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삶의 이야기’를 원천으로 하는 행복(6%) 유형에는 ‘나와 제품의 이야기 창조’, ‘생의 관계 속 제품의 이야기 창조’의 2개 영역이 발굴되었으며, 소비자의 역할은 ‘삶 속 제품의 이야기 창조자’로서 이때의 행복은 전적으로 소비자에 의해서 고유하게 창조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소비자행복의 개념체계와 더불어 각 유형별 행복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탐구와 해석을 담았으며,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략적 활용 방안도 논의하였다. The study is an interpretive analysis on the essay narratives about consumers' happiness experiences. The narratives were true stories collected from the average adult consumers aged from 19 to 72. The total number of essays analyzed in the study were 259. The criteria for source categorization of consumer happiness are from consumption-intrinsic, -extrinsic, and transcendent dimensions. Five sources of consumer happines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riteria : ① ‘product/brand/custom er care’ (41%), ② ‘co nsumption activity’ (25%), ③ ‘consumer's self’ (12%), ④ ‘human relationships ’ (16%), and ⑤ ‘life memories’ (6%). Each source consists of subcategories of consumer happiness. The degree of consumers' engagement becomes gradually increasing from source① through to source⑤. Consumers' role in creating happiness i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urces and types of happiness. The source of ‘product/brand/ customer care’ produces three types of consumer happiness arising from ‘genuine benefits of products’, ‘brand image and reputation’, and ‘excellent customer care’. The customers' role in these categories is ‘a mere consumer’. The source of ‘consumption activity’ makes four types of consumer happiness such as ‘ethical consumption’, ‘rational consumption’, ‘self-satisficing consumption’ and ‘shopping flow’. The customers' role in these categories is 'a interpreter of the meaning of his/her consumption activity. The source of ‘consumer's self’ makes three types of consumer happiness emerging from ‘self-rewarding consumption’, ‘inner-focused consumption’, and ‘self-enhancing consumption’. The customers' role in these categories is ‘a investor for the self’. The source of ‘human relationships’ brings two types of consumer happiness titled as ‘consumption for familial relationship’ and ‘consumption for other people’ like friends, colleagues, or neighbors. The customers' role in these categories is ‘a relationship (re)builder’. The last source of ‘life stories’ develops two types of consumer happiness formed by ‘the story between the product and the consumer’ and ‘the story about the product existing around the consumer's human relationships’. The customers' role in these categories is ‘a life story creator’. The study finally provided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of consumer happiness and unveil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each type of consumer happiness. Implications and strategic applications are also presented.

      • 인간의 행복에 대한 기독교적인 이해

        배재욱(Bae, Jae Woog) 행복한부자학회 2016 행복한부자연구 Vol.5 No.2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욕구이다. 모든 사람이 행복을 추구하지만, 행복은 단순한 것 같지만 때로는 아주 복잡하게 다의적(多義的)인 뜻을 가진다. 인간에게 행복은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규정된다. 인간에게 물질적인 영역은 필연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부(富)가 필요하다. 인간은 시간 안에서 역사(歷史)를 이루었다. 인간은 역사 속에서 살아가지만 신의 영역을 전제하고 살아가는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할 존재이다. 그런데 인간 역사(歷史)는 제한되어 있지만, 영원을 사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은 창조적이고 역동적인 면을 가진다. 그러면 기독교적인 행복은 무엇인가? “인간의 행복에 대한 기독교적인 이해”란 제목의 이 연구에서 필자는 행복이 가지는 `기독교적인 의미`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한다. “인간의 행복에 대한 기독교적인 이해”를 찾기 위하여 필자는 먼저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연구했다. 그리고 그 후 `행복한 삶의 조건`을 `1. 분노로부터의 자유`, 2. 절망으로부터의 탈출`이란 두 가지 관점에서 찾았다. 그것은 “인간의 행복과 종교”란 장(章)에서 “1. 인간 역사와 하나님의 영역”과 “2. 하나님의 뜻 이해” 그리고 “3. 신의 뜻을 찾고자 하는 인간 행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 장에서 인간이 행복한 마음을 가지게 되고 그것을 누리는 데는 내적, 외적인 많은 조건이다. 하지만 어떤 마음으로 행복한 조건을 받아들이는가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것은 인간은 역사란 한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나님은 `희망의 하나님`(참조, 름 15:13)이시다. 그래서 하나님의 영역을 전제하고 살아가는 사람은 제한된 공간 속에 살지만 희망을 가지게 되고, 희망을 품을 때 사람은 인내할 수 있고 참된 행복의 길을 찾을 수 있다. 인간이 신을 찾는다는 사실은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고 `신의 영역`을 전제하는 데서 이루어진다. 제한된 시공(時空) 속에 사는 인간이 신을 찾고 신의 뜻에 따라 호응하고자 할 때 신과 관련 속에 살게 된다. 인간은 신을 알기 전에는 신을 오해하고 신을 제한하는 존재이다. 성경은 신과의 관련 속에서만이 인간이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참조. 잠언 8장 30; 이사야 43:15; 전 12:1)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pursuing mind of happiness, it is the human desire to pursue happiness. Everyone pursues happiness, but for man, happiness is defined as simple, sometimes very complex. As such happiness has multifaceted meanings. But what is Christian happiness? For man, happiness is defined both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Because the material realm is inevitable, wealth is a necessary part for human beings. Man has become a history in a time. Human beings live in history but is an existence that must make wise choices as premising the realm of God. Human history is limited, but in the perspective of longing for eternity, man has a creative and dynamic aspect. Human beings exist in the limits of history. God is the `God of Hope`(cf. Rom. 15:13). A person, who premises the realm of God, lives in a limited space but has hope, and when he has hope, man can be patient and find the way of the true happiness. The fact that the humans seek God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human limitation and it makes on the premise of the `realm of God`. When a man who is living in limited time and space seeks God and responds according to God`s will, he lives in relation to God. Before man knows the God, he is a foolish existence to misunderstand God limit God. The word of God is said that man can find happiness in relation to God.(cf. Prov 8:31; Is 43;15; Eccl 12: 1)

      • KCI우수등재

        지리학적 행복 연구 - 행복과 공간적 역량에 관한 북유럽 사례 질적연구 -

        신혜란(HaeRan Shin),진예린(Yerin Jin)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행복과 복지의 모범적 사례로 거론되는 북유럽 대도시 사람들의 행복에 관한 질적 분석이다. 근래 들어 지리학에서 행복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행복을 정해진 상태가 아니라 구체적 맥락과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보는 질적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요구에 답하여 노르웨이 오슬로와 덴마크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20-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 피면담자들의 심층 구술 면담을 통해 행복한 경험과 불행한 경험, 문제상황에서의 대응 방식, 인생 경험을 통한 행복 전략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이론적 틀로서는 삶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하는 인간 역량을 행복의 중심으로 보는 역량 이론(capability theory)을 거주, 이동의 자유에 관한 개념으로 발전시킨 공간적 역량(spatial capability) 개념이 사용되었다.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피면담자들은 행복을 정의하는 것에 선택의 자유와 만족감을 주요어로 얘기했고, 특히 보람을 느끼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큰 책임감과 의의를 두었다. 둘째, 거주, 이주의 자유에 관한 삶의 경험에서, 피면담자들은 수도 대도시에 사는 것에 만족했지만 높은 집값에 따른 부담으로 제한된 공간적 역량에 대해 거주공간 전략을 발전시켰다. 셋째, 피면담자들은 자신이 대면한 불평등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는 편이었고 사회구조적 원인을 추적하기도 했다. 넷째, 심층면담에서 공통적으로 활발한 동호회 활동, 친한 지인과의 사교 관계는 대부분의 피면담자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삶의 요소였다. 본 연구는 삶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행복의 구성 과정을 제시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보는 지리학에서 행복 논의의 장점과 필요성을 제안하고 행복과 연관된 정책결정에서 공간적 고려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happiness of people living in big cities in Northern Europe, which are regarded as models of happiness and welfare. In the field of geography, calls for research into happines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responds to those calls, using qualitative and processual approaches to view specific contexts of happiness in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life experiences and individuals’ strateg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around ‘human capability,’ the freedom to choose a different kind or another way of life, and ‘spatial capability,’ the capability in the areas of residency and mobility.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er adults in their 20s as well as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living in Copenhagen, Denmark, and Oslo, Nor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ir definition of happiness,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equated satisfaction with the freedom of choice, putting an emphasis on choosing a rewarding job. Second, in discussions of their experiences of freedom of residence and mobilities, most interviewees expressed contentment with living in the capital city but admitted to having had to develop a residential space strategy for limited spatial capabilities due to high housing prices. Third, those interviewees tended to actively raise questions about the inequality they faced that they attributed to social structural causes. Fourth, interviewees cited involvement in associations and social activities with friends as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their happiness. This study outlines the merits of discussing happiness in geography and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happiness in policy related to spatial decisions.

      • KCI등재

        행복과학과 행복철학

        김요한(Kim, Jo-Han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의 정의와 관련해서 행복을 마음의 상태로 보는 입장과 가치있는 것으로 보는 두가지 접근이 존재한다. 마음의 상태로서 행복은 행복 과학의 대상이고 가치있는 삶으로서 행복은 행복 철학의 대상이다. 최근 긍정심리학의 발달로 행복과학이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통해서 행복감을 극대화시키는 다양한 실험적인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행복 과학의 몇가지 근본 입장들속에서 행복이 단순하게 행복감에만 머물러있지 있지 않고 가치문제들에 대한 심사숙고가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행복 철학과 행복과학의 상호 관련성을 이 논문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논의를 통해서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행복지수의 측정과 관련해서 행복 개념을 설정하는데 행복 철학이 기여할 수 있다. 행복 지수의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그 근사치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삶의 만족으로 이론으로 접근하는가 또는 정서 상태로 이론으로 접근하는 가에 따라 그 값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이 행복하다는 행복과학의 경험적 주장도 행복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라는 행복의 본성에 관한 행복 철학의 접근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행복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지침이 행복지수의 기준에 대한 행복 과학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행복의 원천으로서 경제적인 이익과 관련해서 행복 철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돈은 삶의 만족 이론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서 이론에서는 미약한 영향을 갖는다. 이는 돈의 역할이 어떤 종류의 사회에 사는가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행복의 원천으로서 돈의 긍정적 기여와 부정적 기여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사회를 꿈꾸고 실현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사회 정치철학적 논의는 행복과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What is happiness? There are two ways of approaches in terms of definition of happiness: a state of mind or valuable thing. While happiness as a state of mind is the object of science of happiness, happiness as a valuable thing is the object of philosophy of happiness. Recently thanks to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is strengthening happy experiences of ordinary people by means of methodology of natural science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at investigations of happiness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should include value problems in the fundamental themes of science of happiness, not simply remaining on how to increase pleasant emotions of ordinary life. So we have to find interrelation between science of happiness and philosophy of happiness. We can draw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plays a great role in measurement of happines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accurate hedonometer, because amount of happiness is variable if different concepts of happiness are available. In some cases theory of life satisfaction is used but in other time affect-based theory is used. Also the empirical claim of science of happiness that most people are happy depends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hilosophy of happiness which determine the nature of happiness. So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happiness should be starting point of science of happiness in terms of measurement of happiness. Secondly, philosophy of happiness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source of happiness in relation to economical interest. Money has hard impact in the theory of life satisfaction, while soft impact in the affect-based theory. That"s why the role of money is subject to change in terms of what kind of society we live on. So positive or negative contribution of money as source of happiness depends on what kind of society we aim to accomplish. Some discussions of social-political philosophy would give a great influence to those of the science of happiness.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김명숙 ( Myung Sook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행복``은 개인이 삶에서 행동하여 얻고자 하는 성취의 궁극적 목적으로,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의 관심의 대상이다. 그러나 막상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접했을 때, 행복에 대해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삶의 목적이 행복이라면, "행복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까?"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좀 더 분명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경제적 발전에 온 관심이 집중되었던 지난 세기에, 행복은 흔히 물질적 풍요에 따라오는 것이라 생각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돈이 많고 물질적으로 풍요롭다고 해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의 인과관계가 성립한다고 보고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질적 자료에 근거하여, 한국인이 지닌 ``행복``과 삶의 마무리로서의 ``잘 죽기``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을 밝히고 그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펼쳐 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인들이 암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행복의 8가지 범주-① 신체적 안녕, ② 정서적 안녕, ③ 심리적 안녕, ④ 사회적 안녕, ⑤ 영적 안녕, ⑥ 윤리적 충만, ⑦ 미래세대의 안녕, ⑧ 경제적 안정-와, ``잘 죽기`` 위해 사람들은 후회와 미련 없이 최선을 다해 살고(심리적 안녕), 건강을 잘 관리하며(신체적 안녕),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정서적 안녕)고 인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서 몇 가지 주목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암묵적으로 사람들은 ``사회적 안녕``이 자신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안녕 상태를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행동하겠다고 한 사람은 전체의 1%에 불과했다. 둘째,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가장 바라는 상태의 행복은 심리적 안녕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행복의 조건으로 정서적 안녕을 더 높이 들고 있었다. 셋째, 최근 한국인들이 ``물질 = 행복``이라고 여겨 불행한 사회가 되어 간다고 많은 대중매체들에서 우려하고 있는데, 행복의 조건이 경제적 안정이라고 한 응답은 전체의 12%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행복 개념의 8가지 범주는 인류(혹은 생태계) 전체의 행복이라는 시스템을 위해 작동하고 있는 자기조절(self-regulation) 체계의 하위 요소들의 건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각 부분들이 통합되고 위계적인 전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의 각 부분들은 저마다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긴밀하게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균형 잡히고 지속가능한 ``행복``은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하나로 통합되어서 ``행복``이라는 전체적인 체계를 구성할 때 비로소 출현하는 속성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행복해지고자 한다면, 행복의 본질에 대해 시간을 들여 숙고하고, 구체적 계획과 실천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실천하고 점검하는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Kim, Myung-Sook ``Happiness`` is the ultimate purpose for every individuals behavior for achievement. Regardless of all era ``Happiness`` has been a interest for everybody. However, There is not much people who can answer when confronted by the question "What is happiness?". Considering that purpose of life is happiness needs for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s such as "What is happiness? How can we achieve happiness?". During the past century happiness was considered normally accomplished by material affluence. Though recent researches shows that happiness is not only fulfilled by fortune and material affluence also there is a inverse proportion between those two. This paper, based on qualitative data, were examined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of Korean adults and discussed results in terms of philosophical thoughts. 10 Korean adults were deeply interviewed about happiness and good death by trained interviewers. 8 categories of happiness were found by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① physical well-being; ② emotional well-being; ③ psychological well-being; ④ social well-being; ⑤ spiritual well-being; ⑥ ethical fulfillment; ⑦ future generational well-being; ⑧ financial security. Koreans are implicitly recognized that, in order to live happy and well-dying, people should do his/her best to live without regret and remorse (psychological well-being), to manage the physical health (physical well-being), and to live with a positive mind (emotional well-being). Some notabl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Koreans implicitly aware that ``social well-being`` is the most influential to their own happiness. Nevertheless, only 1% of the sample engaged in that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and sustain their own social well-being; Second, Koreans implicitly underst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st desired state, albeit as a condition of happiness, emotional well-being they listened to; Third, although ``material prosperity = happiness`` is considered a going concern in nowadays Korea, financial security condition of happiness is nothing more than one response was 12%. Happiness is a system that works for the entire system of self regulation of human beings. 8 categories of happiness can be understood as sub-components` health of the whole happiness system. In system theory, in order to regulate harmoniously whole happiness system, sub-components should play their own roles and are connected each other closely, and integrated as a unified system. Balanced and sustainable happiness is emerging when 8 categories of happiness make a integrated whole system. If you want to be happy, you should take the time to ponder about the nature of happiness, and make specific action plan and monitor it`s trajec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