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석학의 존재론적 전환과 '정당한 이해'의 이상

        신진욱(Jinwook Shin)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1

        이 논문은 현대 사회이론과 사회과학 방법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통해, 해석학을 이해의 존재론으로 재정의한 철학적 해석학의 기획이 근대해석학이 제기했던 인식론적ㆍ방법론적 질문을 피해갈 수 없음을 입증한다. 가다머는 해석의 방법론과 이해의 존재론을 대립시키는 문제설정에서 출발하여, 해석학의 과제가 학문적 해석의 인식론과, 방법론에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개념성을 넘어서는 보편적 이해의 존재양식을 규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해석학의 존재론적 전환은 현대 사회과학 방법론에서 인식론적ㆍ방법론적 고찰 자체를 근본적으로 회의하는 입장들의 철학적 근거가 되어왔다. 이에 대한 기존의 비판들은 철학적 해석학의 ‘한계’, 즉 인식론적ㆍ방법론적 고찰의 부재를 문제삼아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가다머의 해석학 체계 내의 ‘모순’을 주목하여, 가다머가 한편으론 방법론적 문제제기 자체를 끊임없이 비판하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자신의 존재론으로부터 근본적인 인식론적ㆍ방법론적 과제들을 도출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이러한 자기모순을 드러냄을 통해 이 논문은 학문적 인식의 존재론적 조건에 대한 해석학적 반성이 방법의 폐기가 아니라 오히려 더욱 엄밀하고 성찰적인 방법론을 요구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이는 또한 현대 해석학에서 방법론적 전통과 존재론적 전통의 화해가 철학적 해석학 내부의 자기혁신으로부터 추진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이 논문은 ‘방법론에 대한 존재론적 반성’이 ‘존재론에 기초한 방법론적 반성’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This article makes an internal critique of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who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social theory and sociological methodology. It seeks to show that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at redefined the hermeneutics as an ontology of understanding cannot circumvent the epistemological-methodological questions that have been raised by the modern hermeneutics. Gadamer started from an abstract confrontation between the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and the ontology of understanding, and argued that the task of hermeneutics has nothing to do with the epistemology or methodology of scientific interpretation, but is to elucidate the ways of being of Dasein and the nature of universal understanding, which goes far beyond the realm of scientific concepts. This kind of ontological turn of hermeneutics has beco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various positions which are fundamentally skeptical to any methodological investigations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Former criticisms of this kind of reception of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centered on the 'limit' of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at is, its ignorance of epistemological as well as methodological questions. But this article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self-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system of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It shows that Gadamer, on the one hand, made a fundamental criticism upon the search for a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in the modern hermeneutics, while, on the other hand, drew significant epistemological-methodological tasks out of his own ontological arguments. By demonstrating this self-contradiction, this article will make it clear that the reflection on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scientific recognition does not request the abandoning of methods, but on the contrary a more sophisticated and self-reflexive methodology. The ontological reflection on scientific methods must move on to the methodological reflection based upon such ontological self-reflection.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에 전개된 해석학과 사랑의 수사학

        문영식(Moon, Young-Sik)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아우구스티누스는 해석학이나 수사학이라는 표제로 책을 저술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중세 해석학이나 수사학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은 적지 않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교 교양』이라는 책을 저술한 목적을 해석학과 수사학의 측면에서 고찰할 것이다. 30년이라는 간극을 두고 책의 해석학과 수사학의 내용이 저술되었는데, 한 책에서 해석학과 수사학을 다루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우구스티누스는 해석학과 수사학을 서로 독립된 분야가 아니라, 해석학이 수사학의 토대가 된다는 입장에서 있다. 성서 해석을 통한 성서 수사학으로의 전개를 염두에 두고 책을 썼던 것이다. 그러니까 『그리스도 교양』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해석학 원리만을 탐구하거나 수사학 규칙만을 논구해서는 안 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수사학의 적극적인 실행은 성서 해석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아우구스티누스 수사학의 전제는 성서 해석인 셈이다. 수사학을 통해 성서의 내용을 전달하기에 앞서 성서의 해석은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개진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해석학을 ‘성서 해석학’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교 수사학의 본령을 ‘성서 수사학’으로, 그 실행을 ‘설교’라 는 연설 장르로 이루어짐을 정초했다고 볼 수 있다. Augustine did not write a book with the title of hermeneutics or rhetoric. Nonetheless, he had a good influence on medieval hermeneutics or rhetoric. In this paper I insist that we should study the purpose in the aspect of hermeneutics for which he wrote 『de doctrina christiana』. At the gap of 30 years he wrote contents of hermeneutics and rhetoric in 『de doctrina christiana』. By the way, why did he cover hermeneutics and rhetoric in one book. Augustine commits himself to an idea that hermeneutics and rhetoric are not the separate fields, but hermeneutics lays the foundation of rhetoric. He wrote the book at keeping the development in his mind for biblical rhetoric with biblical hermeneutics. For that reason, to properly read 『de doctrina christiana』we must not merely investigate hermeneutics or merely inquire into rhetorical rules. Augustine thinks that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rhetoric is from hermeneutics. His rhetorical precondition is biblical interpretation. He stated his idea that biblical interpretation was essential before delivering the Bible with rhetoric. Therefore, this paper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fact that he prescribed christianity interpretation as ‘hermeneutics’ and christianity rhetoric as ‘biblical rhetoric’, and this implementation was attained as genre of oratory in the format of ‘a sermo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와 해석 -『존재론: 현사실성의 해석학』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3

        하이데거의 해석학에 대한 구상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그의 저서는 많지 않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및 『존재와 시간』에서 해석학에 대한 그의 단상을 엿볼 수는 있지만 해석학의 근본 문제와 관련된 상세한 논의는 『존재론: 현사실성의 해석학』이 유일하다. 하이데거는 이 작품에서 기존의 해석학을 비판하고 해석학의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그 만큼 이 작품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사유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특히 하이데거는 이 작품에서 해석과 현존재 사이에 놓여 있는 ‘해석학적 상황’의 ‘근원성’을 밝힘으로써 존재 해명의 가능한 길을 방법론적으로 제시한다. 그는 ‘현사실적 삶의 존재’로서의 ‘현존재’를 해석학적으로 고찰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현상학적 성격과 존재론적 성격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이들 학문 사이에 놓인 긴밀한 관계성을 밝히고 있다. 이는 『존재와 시간』이 미리 기획되고 준비된 강의와 연구를 통해 완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본고의 목적은 『존재론: 현사실성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현사실성의 해석학’ 혹은 ‘현존재의 해석학’이라 명명되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사유를 검토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로써 하이데거의 해석학의 본질 및 근본 과제를 구명하고, 나아가 그의 해석학과 현상학과 존재론 사이에 놓인 밀접한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와 함께 존재 해명으로서의 현사실성의 해석학이 갖고 있는 한계를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There are not many of Heidegger’s works that give us a concrete understanding of his conception of hermeneutics. Some of his thoughts on hermeneutics can be shown through his works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s of Aristotle and Being and Time; however, the fundamental problems of hermeneutics and his related detailed discussions can be seen only in his earlier work Ontology: The Hermeneutics of Facticity. While criticizing existing modes of hermeneutics in this work, Heidegger seeks a new hermeneutical approach. The work thus constitutes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grounds of his hermeneutics. In it, he suggests a methodology for a possible way of giving an explanation of existence by revealing the ‘root’ of ‘hermeneutic situations’ as placed between interpretation and Dasein. He not only considers the ‘Dasein’ of ‘factual life’ hermeneutically, but also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enomenological and ontologistic characters by analyzing the two together. This suggests that “Being and Time” was completed as the result of earlier teaching and research. The present manuscript aims at analyzing and examining the grounds of Heidegger’s hermeneutics as termed ‘Hermeneutics of Dasein’ or ‘Hermeneutics of Facticity’ by using Ontology: Hermeneutics of Facticity as the pivot point. In that work, the essential aspects and fundamental subjects of his hermeneutics can be found;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phenomenology, and ontology is revealed. Moreover, the limits of hermeneutics in terms of facticity is critically examined from a metaphysical point of view of the explanation of existence.

      • KCI등재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 구상: 비교심리학에 관하여 (1895/6)와 해석학의탄생 (1896/7)을 중심으로

        최성환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0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n Versuch, anhand “der vergleichenden Psychologie”(1895/6) und “der Entstehung der Hermeneutik”(1896/7) Diltheys, seine Konzeption der Hermeneutik darzustellen. Der Schlüssel zur Erklärung über die Hermeneutik Diltheys hat mit den zweien Themen zu tun. Das erste Thema bezieht sich auf der Frage nach dem Verhältnis zwischen den psychologischen Untersuchungen, die Dilthey sehr lange und kontinuerlich unternommen hat, und dem im allgemeinen als späteren Gedanken gehaltenen hermeneutischen Denken. Das zweite Thema behandelt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kritischen Rezeption der Hermeneutik Schleiremachers und der eigenen Kunstlehre Diltheys, welche im Prinzip auf dem hermeneutischen Gedanken Schleiermachers aufgebaut wurde. Jenes kann die Auseinandersetzungen mit der Wende in der Gedankenwelt Diltheys endgültig einräumen, damit das Gesamtbild der Philosophie Diltheys anzubieten ist, und dieses ist sehr wichtig, um die Stellung der hermeneutischen Denken Diltheys in der Entstehung der modernen Hermeneutik nach Schleiermacher einzuordnen. Die Textbasis für jenes bietet “Die vergleichende Psychologie” an, die Textbasis für dieses bietet “Die Entstehung der Hermeneutik” an. Außer diesem primären Ziel versucht diese Arbeit die Darlegungen, die in der “vergleichenden Psychologie” ausgeführt wurden, als eine künstliche Interpretationskunst Diltheys hervorzuheben. Dieser Versuch gilt als legitim, sofern der hermeneutische Konzept in der “Entstehung der Hermeneutik” als eine Bilanz der geschichtlichen und systematischen Betrachtungen nur einen formalen Plan darstellt, und die materiallen Probleme, die mit dem Verstehen zusamemnhängen, konkret in der “vergleichenden Psychologie” behandet werden. 이 글은 딜타이의 해석학 구상을 그의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작품이라할 수 있는 「비교심리학에 관하여」와 「해석학의 탄생」을 토대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딜타이 해석학에 대한 해명의 열쇠는 두 가지 주제와 관련이 있다. 첫 번째주제는 딜타이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추구해온 심리학 연구들과, 일반적으로 딜타이의후가 사상을 간주되는 해석학적 사유의 관계에 대한 질문과 연관된다. 두 번째 주제는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비판적 수용과 딜타이의 해석기예론(Kunstlehre der Interpretation)과의 관계를 다루는데, 딜타이의 기예론은 원칙적으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사유를 토대 형성된 것이다. 전자는 딜타이 사고세계에서 소위 ‘심리학적연구에서 해석학적 사유로의 전환’과 연관된 논쟁을 최종적으로 해소하게 하며, 그를통해 딜타이 철학의 전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는 슐라이어마허 이후의 현대 해석학의 성립에서 딜타이의 해석학적 사유의 기여와 위상을 자리매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전자를 위한 텍스트 기초를 「비교심리학에 관하여」가, 후자를 위한 텍스트 기초를「해석학의 탄생」이 제공한다. 이러한 일차적인 목표이외에 이 글은 「비교심리학」에 논의된 내용들을 딜타이의 예술적 해석기예로 의미부여하고자 시도한다. 이 시도는 「해석학의 탄생」에서의 해석학의 구상이 역사적이며 체계적인 고찰의 결산으로서 단지 형식적인 계획만을 서술하고 있는 반면, 이해와 연관된 실질적인 문제들이 예술작업과연관해서 구체적으로 「비교심리학에 대하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한 정당하다.

      • 唯識學派의 佛敎解釋學

        황서광 회당학회 2014 회당학보 Vol.19 No.-

        불교해석학은 불교 고유의 ‘열린 텍스트’ 전통과 ‘방편설’ 전통으로부터 발전해 왔다. 다시 말해 역사 적으로 불설 범주의 무한한 확장 과정 속에서 해석학적 당위성을 추구하려는 노력과 함께 궁극적 진 리인 설법자의 진의를 표면적인 경전언어로부터 해석해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낸 결실인 셈이다. 또 한 진의의 해석은 문헌학적 해석과는 달리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으로서의 이해적 행동’이라는 확고 부동한 목표를 내포한 종교해석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불교해석학은 반야중관의 경전언어관을 바탕으로 유식학파에 이르러 꽃을 피우게 된다. 유식학파의 전적은 그 보고로서, 불교해석학의 구체적 원칙들은 거의 대부분 유식학파의 논서에서 정리되고 구체 화되었다. 유식학파는 초기에 八因을 통하여 대승비불설에 대한 소극적인 자기 방어에서 출발하였지 만, 후일 적극적인 불설확대를 주장하게 된다. 나아가 그들은 삼시교판이라는 해석학적 정통성과 정법성까지 내세우며 특유의 法相觀에 입각한 釋 大乘道理를 확립하기에 이른다. 즉 연기설, 相의 설명, 교설의 의미 설명이 그것이다. 또한 대승불교 의 경전언어철학인 방편과 진의의 해석학을 여러 방법론으로 발전시키게 되는데, 四量·四意趣·四秘 密은 대표적인 해석학적 장치들이라고 볼 수 있다. 사량은 能詮·義意· 義·無言을, 사의취는 平等意趣, 別時意趣, 別義意趣, 補特伽羅意樂意趣를, 사비밀 은 令入秘密, 相秘密, 對治秘密, 轉變秘密을 말한다. 이 가운데 특히 修所成智와 對治秘密은 ‘수행의 이해적 행동’으로서, 불교해석학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불교해석학은 역사적으로 ‘통일성과 다양성의 역설적인 순환관계’를 이루면서 발전해 왔다 . 불교해석학은 분명 해석학적 통일 원리이므로 무질서하고 다양한 해석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차원으 로 출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 원리의 포괄적 성격은 도리어 해석의 다양화를 용인하여 본 래의 취지와는 방향이 다른 결과를 도출해 버리고 말았다. 불교의 역사적, 지역적 다양화는 이러한 해 석학적 다양성에 크게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

        양천수(Chun-Soo Ya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전통적인 법적 삼단논법과는 달리 법해석학은 ‘선이해’와 ‘해석학적 순환’을 바탕으로 하여 법관이 법을 해석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고 주장한다. 법해석학에 따르면, 법을 해석하는 과정은 기존에 존재하는 법을 인식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법을 형성하거나 창조하는 과정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하여 주로 독일 법학에서 성장한 법해석학은 철학적 해석학, 그 중에서도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수용함으로써 이론화되었다. 이 글은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를 밝힌다는 취지에서 가다머가 정립한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다머는 딜타이처럼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으로서 이해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해석학은 <주체-객체 모델>에 입각한 인식론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객체>가 서로 융합된 존재론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이를 가다머는 이해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선입견을 통해 정당화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하이데거가 전개한 ‘이해의 선구조’를 수용한 것이다. 나아가 선입견은 권위와 전통에 바탕을 두고, 전통은 고전이라는 형식으로 존재하게 된다. 한편 가다머는 선입견에 입각한 존재론적-해석학적인 이해는 해석학적 순환이 역사적으로 확장된 지평융합을 통해 진행된다고 한다. 이를 가다머는 ‘영향사적 원칙’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가다머는 이러한 영향사적 원칙이 단순히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심지어는 자연과학 영역에서도 타당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존재론적 해석학은 말 그대로 보편적인 존재론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이후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반향은 문학비평이나 역사해석 또는 고전철학과 같은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법학이나 사회과학 심지어 자연과학에서도 가다머의 해석학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비판이 가다머의 해석학에 제기되었다. 이를테면 가다머와 해석학 논쟁을 전개한 하버마스는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Legal hermeneutics asserts that judges intervene active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based on ‘preunderstanding’ (Vorverständnis) and ‘hermeneutic circle’ (hermenutischer Zirkel), whi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legal syllogism. According to legal hermeneutic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is neither the process of perceiving nor discovering the existing laws but that of constituting or creating new laws. Legal hermeneutics has mainly been formulated in the German jurisprudence in pre and post-the1970s, accepting and theorizing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in particular,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that Hans-Georg Gadamer establish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established by Gadame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bases of legal hermeneutics. According to its theory, Gadamer’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damer does not advocate that hermeneutics is understood as methodology of humanities (Geisteswissenschaft) just as Wilhelm Dilthey does. This is because hermeneutics does not assum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ontological characteristics. Gadamer justifies this based on the ‘prejudice’ (Vorurteil) that any understander has already had. This prejudice accepts ‘the pre-structure of understanding’ established by Heidegger. Furthermore, prejudice is based upon ‘authority’ and ‘tradition’. Meanwhile, Gadamer states that ontological-hermeneutic understanding is being considered through historically broadened fusion of horizon (Horizontverschmelzung)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hermeneutic circle. Gadamer cites it as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Yet, Gadamer asserts that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is not merely limited to humanities areas but is even applied to natural science areas, using languages as the medium. Taking it into account, ontological hermeneutics is literally established as universal ontology. The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formulated by Gadamer has later created much sensation. However, such sensation has not been limited to humanities areas such as literary critics, history interpretation or classical philosophy. Gadamer’s hermeneutics ha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laws, social sciences and even natural scie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for Gadamer’s hermeneutics. Making the debate about hermeneutics with Gadamer, Jurgen Habermas, for example, criticizes that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ould be distorted by ideology but this is left disregarded.

      • KCI등재

        朱子『논어집주(論語集註)』의 수양론적 해석학 -"학(學)" 개념에 대한 해석에 주목하여-

        전병욱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이 글은 朱子『論語』 주석이 수양론적 해석학에 대한 연구이다. 그동안 유교경전의 해석학에 대해서는 訓?와 義理라는 두 경향을 중심으로 논의되었고, 주자의 해석학은 이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논자는 `義理的해석`이 만일 원전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주자의 해석학을 단순히 훈고와 의리의 종합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본다. 주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주석 작업과 해석을 구분하였다. 해석은 일차적으로 주석 이전에 이루어진다. 해석은 자신의 지평과 경전의 지평을 융합시켜나가는 작업이다. 그리고 주석은 주석서를 읽는 `學者`들에게서도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말하자면 해석은 學者`들에게서도 다시 이루어진다. 주자의 『논어』 주석서 저술 과정은 주자의 해석학적 입장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주자는 訓?를 통해서 經典의 지평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또 전형적인 義理的해석을 보여주거나 여러 가능한 義理的해석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學者`의 수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였다. 이 글에서는 朱子가 해석이 `學者`의 손에서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주목하여, 『論語』에서 `學` 개념을 주자가 어떻게 설명하는지 고찰하였다. 주자에 따르면 『論語』의 `學`은 경전의 본의가 무엇인지 배우는 것도 아니고, 孔子철학이 무엇인지 배우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 『論語』 속에 나타난 孔子로부터 이상적인 인격을 기르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는 『論語』에 대한 주석이 讀者인 `學者`가 孔子를 잘 배워서 자신의 인격을 수양할 수 있도록 길라잡이의 구실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바로 이런 점에서 주자의 해석학에 담긴 수양론적 성격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這篇文章所講的是朱子≪論語≫注釋的解釋學性格。筆者以爲朱子的≪論語≫解釋里含有봉富的修養論的內容。以往的硏究强調儒家經典解釋學有訓誥和義理的兩個方法論。訓誥是指語言文字的解釋, 義理是指哲學性的深層次的解釋。朱子的解釋學被稱爲這兩個解釋傳統的一種綜合。因爲他的解釋學旣强調訓誥的重要性, 又重視對經典的哲學發혼。可是, 朱子的經典解釋目標是提高自己和讀者的修養境界, 不부부是"義理"發혼。 朱子區分注釋和解釋。解釋是自己境界和經典境界的融合, 這個融合旣不可喩, 又不可受。注釋是幇助讀者自己解釋經典的一種參考。所以, 注釋家不可專說自己的理論。朱子特地反對注釋家自己"作文"。 朱子以爲≪論語≫講的都是關于修養的。爲了把自己語境和≪論語≫語境逮到融合, 訓誥是不可缺少的。還有, 先儒們的解釋, 有時候會對讀者提高自己修養境界發혼肯定的作用。所以, 他的≪論語集注≫, 訓誥和義理具備的。但是提高"學者"修養境界是他≪論語≫注釋的大方向。 旣然, 朱子≪論語≫注釋里"學者"的道德修養是那요重要的話, 硏究朱子對≪論語≫"學"槪念的解釋內容也是흔重要的。朱子以爲≪論語≫的"學"旣不부부是學經典本義, 又不是學先儒的哲學理論。他覺得"學"是學好골人的理想人格的過程。這個看法, 是個貫通≪論語集注≫的解釋學特征。

      • KCI등재

        음악해석학: 왜 슐라이어마허인가?

        장유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1

        This article begins with a discussion of the ineffability of music. Just as a poet composes a poem after seeing the beauty of nature, can we not talk about the beauty of music? Schleiermacher's hermeneutic philosophy provides a clue for discussing the modality of music. His philosophy is considered romantic hermeneutics. Hermeneutics is a study for understanding, while romantic hermeneutics goes beyond understanding the “author’s intention” and instead aims to “understand better than the author.” For this, Schleiermacher insists on “grammatical interpretation” and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that emphasize theory and practice. His hermeneutics is “universal hermeneutics.” In addition, through the discussion of music in his books, we can get a glimpse of his “musical hermeneutics,” albeit only fragmentarily. Not only did music hermeneutics start from universal hermeneutics, but music hermeneutics also develop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ermeneutics. In this paper,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s examined as a first attempt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such musical hermeneutics. 본 논문은 음악의 형용 불가능성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시인이 시를 짓듯이 음악의 아름다움에 대해 우리도 말할 수 있지 않은가.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철학은 음악의 형용 가능성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그의 철학은 낭만주의 해석학이다. ‘이해’를 위한 학문인 ‘해석학’에서 낭만주의 해석학은 ‘저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저자보다 더 잘 이해함’을 목표로 삼는다. 슐라이어마허는 이를 위해 이론과 실천을 강조하는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을 주장한다. 그의 해석학은 ‘보편적 해석학’인 것이다. 또한 그의 저서에 나타난 음악에 관한 논의를 통해 단편적이나마 그의 ‘음악해석학’을 엿볼 수 있다. 음악해석학이 보편적 해석학에서 시작되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해석학의 발전과 함께 음악해석학도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음악해석학의 발전을 살펴보기 위한 첫 시도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을 살펴본다.

      • KCI등재

        통합적 해석학 구상을 위한 시론

        김선규(Sunkyu Ki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0 No.-

        이 글은 ‘방법론적 해석학’과 ‘존재론적 해석학’으로 나뉜 해석학의 이분법적 담론지형을 통합할 수 있는 ‘통합적 해석학’의 가능성을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해석학의 이분법적 연구 동향은 더욱 심해지고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소통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해석학이 개별적으로만 정당성 내지는 학문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는 통념이 고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서 해석학에 대한 통합적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통합적 해석학의 성립 근거로서 이 글은 가다머의 해석학이 방법론적 해석학의 ‘부정’이 아닌 극복ㆍ변형을 통한 ‘계승’임을 주장한다. 또한 이 글은 방법론적/존재론적이라는 이분법의 대립이 많은 부분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통합적 해석학의 매개점으로 이 글이 제시하는 것은 ‘형성체(Gebilde)’와 ‘해석학적 동일성(hermeneutische Identität)’ 개념이다. 이 개념들은 가다머에 대한 비판의 중심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두 개념이 조화되기 힘든 개념, 상호 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다머의 해석학을 균형있게 파악하고 더 나아가 발전적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 개념들은 함께 논의되어야하며, 추후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이 개념들은 ‘존재일변도의 철학’, ‘해석지상주의’, ‘이해 상대주의’와 같은 가다머 해석학에 대한 통상적인 오해들을 불식시킴으로써 이분법적 논의의 구도를 극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ermeneutics” to achieve integration in the dichotomous discourse topography of hermeneutics, which has been divided between “methodological hermeneutics”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in Gadamer’s Truth and Method. The dichotomous research trend in hermeneutics has been increasingly severe, and there seems to be a gap that will not be communicated between the two sides. As a result, a common idea is settling down that two branches of hermeneutics can achieve legitimacy or academic value only individually. In this trend, there has been no proposal of an integrated view for hermeneutics despite its need. Trying to present a ground for integrated hermeneutics, the investigator maintained that Gadamer’s hermeneutics was not to deny methodological hermeneutics but to inherit it through conquest and transformation. The present study also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methodological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derived from a misunderstanding of Gadamer’s hermeneutics in many parts. Proposed in the study as media for integrated hermeneutics were ‘Gebilde’ and ‘Hermeneutische Identität.’ Although these concepts were at the center of criticisms about Gadamer, they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because the two concepts we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or contradict each other. These concepts should, however, be discussed together and illuminated in a new perspective through more researches in order to figure out Gadamer’s hermeneutics in balance and further propose a developmental outlook for it. The concepts may contribute to the conquest of dichotomous discussions by wiping out common misunderstandings of Gadamer’s hermeneutics such as ‘philosophy devoted to being,’ ‘supremacy of interpretation’, and ‘relativism of understanding’.

      • KCI등재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해석학

        이대헌(Dae-Hyoun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선교적 해석학은 선교적 교회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어느 날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해석학이 역사적 발전 경로를 통해 배태한 양분을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이해와 접목시키는 과정에서 등장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성경해석학 역사의 흐름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역사비평 해석학과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성경신학운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역사비평 해석과 성경신학운동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신학적 성경해석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학적 성경해석은 역사비평 해석학의 기여를 수용하되 신학적 전제를 성경해석의 조건으로 주장함으로써 해석의 학문적 객관성과 교회의 신앙 고백을 통합하는 해석학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선교적 해석학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성경해석의 신학적 전제로 주장함으로써 성경적 성경해석과 해석학적 맥락을 같이한다. 결국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해석학 분야의 발전 과정에서 배양된 학문적 성취를 배경으로 등장한 것이다. 선교적 해석학의 신학적 전제로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중요성을 갖는 정당성의 부분적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고는 선교적 해석학에 있어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왜 신학적 전제가돼야 하는지에 대해 논증했다. 그리고 헌스버거가 분석한 선교적 해석학의 네 가지 유형 안에 성경해석을 위한 신학적 전제로서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어떻게 녹아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러나 헌스버거의 논의 가 갖는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헌스버거의 분석 외에 헌스버거가 분류한 대표적 학자들의 논증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각 유형간 상보성에 대해 논증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briefly about the developmental progress of biblical hermeneutics in history as it relates to the emergence of missional hermeneutics. Missional hermeneutics did not emerged out of nothing. It emerged in the precess of grafting theological premises of missional church discussion on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as consisting a biblical metanarrative. Until early 20th century, historical-crit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of whic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emises came from the Enlightenment was highly influential. However, in spite of various academic contribution, it separated academic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from a confession of the faith of the Church. In the early 1970s, there emerged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as an alternative theological method for interpreting Scriptures. It wields strong influence over interpreting Scriptures by securing academic objectivity and providing hermeneutical contribution to church in building up her confessions. Missional hermeneutics in collusion with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due to setting theological premises as a precondition for interpreting Scriptures claims missio Dei as the theological premise for interpreting the whole Bible. Thus, it is necessary for this article to discuss about the significance of missio Dei as a theological premises. Then, this article argues how four streams of missional hermeneutics that Hunsberger assorts according their respective emphasis points develop their points of view on the basis of the theological premise of missional hermeneutics, missio De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